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탄성 변조기를 이용한 원-편광 레이저 펄스의 생성 및 기체상 키랄성 분자에의 응용 연구

        홍아람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용화된 원편광 이색성 분광기 (circular dichroism (CD) spectrometer)에서 선형 편광 (linearly polarized light)을 원편광 (circularly polarized light)으로 변환 시키는데 사용되는 광탄성 변조기 (photoelastic modulator)와 나노-초 레이저 (nanosecond laser)를 이용하여 매우 강한 세기의 원편광 레이저 펄스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를 발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나노-초 레이저를 주파수 분할기 (frequency divider)와 디지털 지연시간 발생기 (digital delay generator)를 이용하여 광탄성 변조기의 기준 신호인 50 kHz에 동기화 시키고, 각 펄스에 대해서 좌원 편광 레이저 펄스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와 우원 편광 레이저 펄스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를 번갈아 가며 발생시켰다. 이를 이용해 (1R)-(-)-, (1S)-(+)-10-캠퍼술폰산 (Camphorsulfonic acid, CSA)의 수용액상 원편광 이색성 스펙트럼 (CD spectrum)을 성공적으로 얻었고, 용액의 농도와 레이저 세기에 따른 원편광 이색성 값의 의존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1S, 2S)-(+)-과 (1R, 2R)-(-)-슈도에피드린 (pseudoephedrine)을 진공 상태에서 초음속 분자선 (supersonic jet)을 통해 냉각된 기체상 중성 분자를 형성시키고, 이에 원편광 레이저 펄스를 조사하여 최초로 기체상 CD스펙트럼을 얻었다. 이를 통해 CD 분광법 (CD spectroscopy)이 거울상 이성질체 (enantiomer) 뿐만 아니라 이형태체 (conformational isomer)에 대해서도 선택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have developed new technique to generate high-intensity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s using the photoelastic modulator (PEM), which is generally used to convert linearly polarized light 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 a conventional circular dichroism (CD) spectrometer. We synchronized nanosecond laser with the birefringence oscillation of PEM at 50 kHz using a frequency divider and digital delay generator, producing left-handed and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s alternatively. Using this technique, we successfully obtained the CD spectra of (R)-(-), and (S)-(+)-10-camphorsulfonic acid (CSA) in aqueous solution and investigated the dependences of the CD values on the concentration of CSA as well as the laser power. Moreover, we measured the first CD spectra (1S, 2S)-(+)-, and (1R, 2R)-(-)-pseudoephedrine (pED) produced in a supersonic jet and found that the CD spectroscopy is selective not only to enantiomers but also to conformational isomers.

      • 조직 내 정치적 행위와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종합병원 간호조직을 중심으로.

        홍아람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병원의 대형화, 전문화로 인하여 병원 경영도 기업경영 방식을 도입하는 추세이며 간호조직 또한 그 영향을 많이 받아 조직 내 정치적 행위와 갈등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직 내 정치적 행위와 갈등은 여러 업무관련 요인들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국내 간호조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간호조직 내 정치와 갈등 지각 정도를 파악하고 조직냉소주의, 직장내괴롭힘, 조직공정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330병상 규모의 A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73명이었으며 2018년 8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직내정치, 조직내갈등을 독립변수로 하고 조직냉소주의, 직장내괴롭힘, 조직공정성 및 조직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윈도우 23.0판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내정치는 조직냉소주의, 직장내괴롭힘,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직내갈등 하위항목인 관계갈등은 조직냉소주의, 직장내괴롭힘,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직내갈등 하위항목인 업무갈등은 조직공정성 하위항목인 절차공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낮은 직급이 조직냉소주의, 직장내괴롭힘, 상호작용공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대근무가 조직냉소주의, 분배공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직경험이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낮은 경력이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조직내정치와 조직내갈등 중 관계갈등은 업무관련 요인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갈등은 긍정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자는 이를 감안한 간호조직 관리가 필요하다. Due to the recent trend in expansion and specialization of hospitals, hospital management is adopting corporate management, and nursing organizations are also expected to be affected, so that political act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s are expected to increase. Although political action and conflict within an organization are known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various work-related factors, research on domestic nursing organizations is still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conflicts among domestic nurses and to find out its impa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workplace bully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3 nurses working at a 330-bed-sized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who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from August 1, 2018 to August 31, 2018.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organizational politics and organizational conflic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rganizational cynicism, bully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rganizational politic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workplace bullying,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lationship conflict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workplace bully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ask conflicts had a negative impact on procedural justice, an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Lower ranks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workplace bullying, and interactional justice. Shift work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ynicism and distributive justice. Workplace transfer experi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Lower work experi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politics and relationship conflicts perceived by nurs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work-related factors, while task conflic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Therefore, managers should take this in consideration in the management of nursing organizations.

      • 간호조직의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 갈등관리 효과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아람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hows the influence and outcome factor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gainst workplace bullying in the general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 and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effect of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in this process. The study intends to prevent workplace bullying and suggests appropriate countermeasures. The subjects were 368 nursing staff at the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IBM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were set as a predisposing, outcome, and mediating factors for workplace bullying, respectively.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was added as a predisposing factor in the model II, and a moderating factor in the model III. The results are as follows. 22% of the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workplace bullying, with the highest frequency once or twice a week. The main perpetrators were patients or caregivers, and followed by nurses, and doctors. 57.0% of the subjects thought there was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cope with the workplace bullying, but among them only 30.1% thought it to be effective.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was higher in women, those in their 40s or older, married, other departments(including outpatient), and those with 20 years or more of working experience, full-time employees, and those with turnover experience. Workplace bullying was higher in subjects in their 40s or older in age(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effe post hoc analysis), other departments, full-time positions, and those with turnover experience. Acquiescent silence was higher in those in their 20s, single marital status, RN-BSN academic background, 5-10 years of experience, generalized job, and no turnover experience, while it was lower in those with maste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and 20 years or more of experience. Celibacy was the only high variable for defensive silence.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in women, those in their 20s, single marital status, RN-BSN(reg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academic background, surgical departments, 2-5 years of experience, generalized job, and those with shift schedules.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was higher in men, those in their 50s or older, married status, master's or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 bachelor's degree, experience of 20 years or more, middle manager, and no turnover experience. The final fit index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 was deemed appropriate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ath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 fo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showed positive(+) with direct and total effect on workplace bullying. Positive(+) with direct and total effect was observed for acquiescent silence. Positive(+)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as observed for defensive silence. Turnover intention was positive(+) for indirect effect. In the case of workplace bullying, a positive(+)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otal effect was noted. Acquiescent silence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final fit index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I was deemed appropriate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ath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I showed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had negative(-) direct, and total effects o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negative(-) direct, indirect, total effects on workplace bullying, negative(-) direct, indirect, total effects on acquiescent silence, negative(-) direct, indirect, total effects on defensive silence, and negative(-) direct, indirect, total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After classifying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All of them were deemed appropriate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ath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II for workplace bullying showed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low group, but not in the middle group and the high group.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nursing staff presented in this study was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predispos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workplace bullying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conflict.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n the nursing organization is a leading factor in workplace bullying and eventually leads to turnover intention, so from the manager'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cope with the atmosphere of conflict always in th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s the awareness of 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 increases, workplace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 decrea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 also decreases(moderating effects).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and mediate workplace bullying in the nursing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for managers to establish a reliable system for its members and to implement it fairly.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종합병원 간호조직에서 직장 내 괴롭힘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을 밝히고 직장 내 괴롭힘(workplace bullying)과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며 이 과정에서 갈등관리 효과성(conflict management effectiveness)이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고 올바른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A 대학부속병원의 간호사 368명이었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IBM SPSS 21.0과 AMO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 독립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I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의 선행요인은 조직 내 정치 인식(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결과요인은 이직의도, 매개요인은 조직침묵(organizational silence)으로 설정하였으며, 모형 II에서는 갈등관리 효과성을 선행요인으로서, 모형 III에서는 조절요인으로서 모형 I에 각각 추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대상자의 22%가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빈도는 주 1-2회가 제일 많았고, 가해자 빈도 순으로는 간호사, 의사, 환자(또는 보호자) 순이었다. 대상자의 43.0%가 직장 내 괴롭힘에 대처하는 제도적 장치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중 30.1%만 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의 경우 40대 이상(Scheffe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 없었음), 기타 부서(Scheffe 사후검정에서는 유의한 차이 없었음), 상근직, 이직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의 경우 여성, 20대, 독신, RN-BSN(resistered nurse-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학력, 외과계열 부서, 2-5년 경력, 일반직, 교대근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I의 최종 적합지수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경로분석 결과 조직 내 정치 인식의 경우, 직장 내 괴롭힘에 정(+)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고, 체념적 침묵에 정(+)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으며, 방어적 침묵에 정(+)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고, 이직의도에는 정(+)으로 간접효과를 보였다. 직장 내 괴롭힘의 경우, 이직의도에 정(+)으로 직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다. 체념적 침묵은 이직의도에 정(+)으로 유의한 직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II의 최종 적합지수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경로분석 결과 갈등관리 효과성은 조직 내 정치 인식에 부(-)로 직접효과, 총효과를 보였고, 직장 내 괴롭힘에 부(-)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보였으며, 체념적 침묵에 부(-)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보였고, 방어적 침묵에 부(-)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보였으며, 이직의도에는 부(-)로 직접효과,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보였다. 갈등관리 효과성 정도에 따라 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 후 구조방정식 모형 III 분석 결과 각 적합지수는 낮은 집단, 중간 집단, 높은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적합한 구조모형이라고 판단하였으며, 경로분석 결과 갈등관리 효과성이 낮은 집단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정(+)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중간 집단과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갈등관리 효과성이 직장 내 괴롭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간호조직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방정식 모형은 직장 내 괴롭힘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조직 차원의 갈등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었다. 간호조직 내 정치 인식은 직장 내 괴롭힘의 선행요인이며 결국 이직의도로 이어지므로 관리자 차원에서 볼 때 항상 이러한 조직 내 갈등 분위기를 모니터링하고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갈등관리 효과성이 증가할수록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의도가 감소하며, 직장 내 괴롭힘과 이직의도의 관련성도 감소되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간호조직 내 효과적인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중재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제도 확립 및 이를 공정하게 시행하려는 관리자의 노력이 중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A study on UV responses of three Korean macroalgae, Ulva pertusa, Sargassum confusum and Grateloupia lanceolata : 한국산 해조류 3종의 자외선 반응에 대한 연구

        홍아람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산 해조류 3 종의 자외선 반응에 대한 연구 조간대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건조, 온도와 삼투변화 그리고 고광량과 자외선에 노출된다는 서식장소의 특이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처하는 생리기작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안 조간대에 서식하고 있는 해조류를 이용하여 자외선의 영향을 받았을 경우 이들이 가지는 생리활성 변화를 관찰하여 극심한 환경변화에 적응, 대처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생산되는 항산화물질이나 자외선 흡수물질을 차후 산업적으로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종은 녹조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Kjellman), 갈조 알쏭이 모자반 (Sargassum confusum C. Agardh) 그리고 홍조 개도박 (Grateloupia lanceolata (Okamura) Kawaguchi)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계절에 관계없이 자생하는 종이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자외선 내성을 비교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사용하였다. 세 종 해조류를 장기간 인공 자외선에 노출시키며 최적광자수율을 측정한 결과 여름과 가을에 채집된 구멍갈파래와 봄과 겨울에 채집된 개도박이 자외선에 대한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자외선 흡수물질의 함량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해조류 체내에 생성되는 활성산소종 제거 능력을 비효소적 제거 방법인 DPPH-radical 소거율 반응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구멍갈파래와 알쏭이 모자반은 겨울 > 봄, 가을 > 여름 순으로 활성산소종 제거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박의 경우에는 계절마다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멍갈파래는 엽체의 가장자리, 중간 그리고 기부 부분이 서로 다른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문헌에 기초하여 세 부위를 이용해 짧은 기간 동안 자외선 노출과 회복 과정을 관찰하였다. 실험을 하기 전에 구멍갈파래의 생리활성 관찰 실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간 부분을 이용하여 어떤 광량에서 최적의 회복율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선행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광회복 과정에는 아주 낮은 광량 (10 μmol photons m-2s-1)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 부위별 내성비교 실험에서는 가장자리에서 기부 부분으로 갈수록 자외선에 의한 광저해를 많이 받고 회복율 또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UV-B에 노출된 실험군은 UV-A에 노출된 실험군 보다 회복율이 낮았는데 이는 UV-B에 의한 광상해(photodamage)의 결과로 판단된다. 광계II에 존재하는 D1 단백질의 합성을 저해하는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을 이용하여 광회복 과정에 미치는 단백질합성능력을 조사한 결과, 자외선 노출 후 광회복 과정에는 D1 단백질의 신속한 turnover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래 엽체 가장자리 부분의 색소량이 많은 것을 감안할 때 가장자리 부분이 자외선에 더 내성을 보이는 이유는 색소에 의한 보호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자외선 노출에 따른 광합성 색소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외선에 노출 될수록 카로테노이드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색소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을 방어하고자 하는 메카니즘이 작동된 것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해 조간대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서식특성에 맞게 생육하기 위해 광저해에 대한 방어기작이나 보호물질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해조류 체내에서 자외선에 대한 방어 물질을 생산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이 물질을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사람의 피부조직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천연 물질로써 이용되기에 적합한 재료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 study on UV responses of three Korean macroalgae, Ulva pertusa, Sargassum confusum and Grateloupia lanceolata University of Incheon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Biology by HONG, ARAM Compared with other habitats, intertidal zone is characterized by temporal and seasonal fluctuations in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desiccation, temperature, osmotic pressure, solar irradiance and UV radiation. In order to survive adversities of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macroalgae must have developed several physiological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V radiation on photosynthesis of macroalgae dominantly growing in the intertidal zone along the coasts of Korea. The research focus was made on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aweed as primary producers in the coastal ecosystem, and exploration of commercial products like antioxidant substances or UV-absorbing compounds.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the green alga, Ulva pertusa Kjellman, brown alga Sargassum confusum C. Agardh and red alga, Grateloupia lanceolata (Okamura) Kawaguchi growing on most coasts of Korea. The compare UV responses of these macroalgae, theoptimal quantum yield of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hese species of algae grown under artificial UV radiation was measured for a period of 12 days. U. pertusa collected during summer and autumn has shown more tolerance to UV radiation compared with other seasons. On the other hand, UV tolerance of G. lanceolata was found in spring and winter. An elevated UV tolerance shown by S. confusum in summer may be an indication of their higher efficiency of photosynthesis at higher temperatures. DPPH-radical scavenging rate test with U. pertusa revealed the highest rate of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winter followed by spring, autumn, and summer. S. confusum showed comparable scavenging activities in spring and winter with values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seasons. In the case of G. lanceolata no seasonal variation in the rate of scavenging was observed. It can be hypothesized that the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that exists along various regions of the thallus of U. pertusa may interfere with the mechanism of their UV tolerance. Three different thallus parts of U. pertusa were tested for short-term UV exposure and subsequent recovery. U. pertusa showed the best recovery of photosynthesis in dim light (10 μmol photons m-2s-1), relative to darkness or 100 μmol photons m-2s-1. The extent of damage increases towards basal part with a lower rate of recovery when compared to the marginal parts of the thallus. The low rate of recovery after UV-B radiation exposure is an indication photodamage. The D1 protein has an unusually rapid light-dependent turnover and it is central to the PSII repair cycle. The addition of chloramphenicol after UV exposure resulted in a lower recovery rate along whole thallus of U. pertusa. The marginal part had more chlorophyll pigment rather than other parts, which may be contributing to their higher resistance towards UV radiation. All data demonstrate that intertidal algae contain UV protection substance, which can act as biochemical photoprotectants against exposure to UV-radiation. It could be used as a natural additive in commercial production of functional cosmetics.

      • 통제촉진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성향 성인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홍아람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More Controlled Mediums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of the adults with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endencies was investigated. For this, three college students with ADHD tendencies had been surveyed once or twice per week during Oct. to Nov. in 2015. The students had been evaluated by the 16 sets program using More Controlled Mediums, including before and after tests. The follow-up examination was performed during Apr. in 2016.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posed program, the graph for the frequency changes of the target behaviors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CAARS-K examinations and the recorded videos. Also, qualitative analyses on the results of the tree-drawing tests,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and the self-report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followed: First, the results of CAARS-K examinations shows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adults with ADHD tendencies are reduced. Second, the tendency of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adults with ADHD tendencies is decreas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ree-drawings test and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it is shown that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adults with ADHD tendencies are weakened. Lastly, the participant students voluntarily report the reduction of their problem behaviors in their self-repor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ies, we can conclude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More Controlled Mediums is helpful on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s of the adults with ADHD tendencies and on the reduction of the sub-areas of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통제촉진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성향 성인의 문제행동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ADHD 성향군에 속하는 대학생 3명으로, 2015년 10월부터 12월까지 주 1~2회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6회기의 통제촉진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2016년 4월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처치가 ADHD 성향을 가진 성인의 문제행동 감소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추후로 CAARS-K 검사 점수변화와 매 회기 녹화한 비디오 내용을 바탕으로 활동 안에서 보여지는 표적행동 빈도수의 변화를 그래프로 제시하였으며, 나무그림검사, 풍경구성법, 자기보고서의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AARS-K 검사의 점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ADHD 성향 성인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ADHD 성향 성인의 문제행동의 발생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셋째, 나무그림검사와 풍경구성법을 분석한 결과 ADHD 성향 성인의 문제행동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자기보고서에서 스스로의 문제행동의 감소를 보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통제촉진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ADHD 성향 성인의 문제행동과 문제행동의 하위영역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기체상 카이랄 분자와 클러스터의 원편광 이색성 분광 연구

        홍아람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음속 분자선 (supersonic jet) 으로 생성된 기체상 카이랄 분자와 클러스터에 대해 광탄성 변조기 (photoelastic modulator) 와 나노초 펄스 레이저를 이용한 원편광 이색성 (circular dichroism, CD) 분광법을 수행하여 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기체상 슈도에피드린 (pseudoephedrine, PED) 과 에피드린의 (ephedrine, ED) 2광자 공명 이온화 (resonant two-photon ionization, R2PI) CD 분광법을 수행하였다. PED 의 R2PICD 스펙트럼에서 나타난 세 개의CD밴드는 분자선에서 존재하는 세 가지 이형태체의 S0-S1 전이 0-0 밴드 (origin band) 로, 이 밴드들은 각각 서로 다른 CD 값과 부호를 나타냈다. ED의 R2PICD 스펙트럼은 진동-전자 밴드에 따라 다른 CD 부호를 나타냈다. ED에 대해 1광자 흡수에 대한 CD 효과를 측정하고, R2PI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이온화 과정이 CD에 주는 효과를 조사하기위해, 형광 검출 CD (fluorescence-detected CD, FDCD)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특정 진동-전자 전이 밴드에서 전자 전이 이후 이온화가 일어날 때 발생하는 CD 효과는 상당히 크게 나타났고, 이는 FDCD 와 R2PICD 스펙트럼에서 CD 부호의 반전을 유발했다. R2PI 과정에서 일어나는 전이-선택적 조각내기 패턴 (state-selective fragmentation parttern) 을 기반으로, 특정 밴드의 CD 부호 반전이 진동-전자 전이 이후 일어나는 상태-선택적 이성질화 (state-selective isomerization) 로 인한 것임을 예측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R2PICD 분광법이 이형태체 및 진동-전자 전이 선택적 CD 효과를 관측하는데 강력한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아미노산 중 하나인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Phe)을 초음속 분자선으로 생성하여 R2PICD 분광법을 수행하였다. Phe 의 R2PICD 스펙트럼에서는 여섯 개의 서로 다른 이형태체로부터 CD 밴드가 나타났고, 그 구조에 따라 CD 부호와 크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중 두 이형태체의 CD 부호가 시간-의존 밀도 함수 이론으로 예측된 이론값과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두 이형태체에 대해 선행연구에서 밝힌 실험결과와 이론결과들을 비교하여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였다. 용매 분자가 CD효과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기위해, Phe의 수화 클러스터 (Phe(H2O)n (n=1-2)) 를 초음속 분자선으로 생성하여 R2PICD 분광법을 적용하였다. 물 분자 하나 혹은 두개로 이루어진 수화클러스터의 R2PICD 스펙트럼을 Phe의 R2PICD스펙트럼과 비교한 결과, CD 부호의 변화가 없었으나 그 크기가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형태체에 선택적으로 용매화가 일어남에 따라 이형태체 간 상대적인 양이 변화하여 Phe 와 수화클러스터의 CD 스펙트럼에서 부호의 반전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세번째 연구에서는 초음속 분자선으로 페놀과 다양한 카이랄 분자와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CD 분광법을 적용하여 페놀의 흡수영역에서 유도된 CD (induced CD) 현상을 관측하였다. 클러스터들의 ICD 스펙트럼은 모두 페놀의 S0-S1 전자 전이의 흡수 영역에서 잘 분리된 CD 밴드들을 나타내었고, 모두 다양한 값과 부호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CD값을 이론 계산 결과와 비교한 결과,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페놀의 기하 대칭이 깨지고, 페놀과 카이랄 분자의 전자 전이 쌍극자 모멘트 (electric transition dipole moment)가 서로 상호작용 하여 페놀 흡수 영역에서 ICD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ICD 의 부호는 클러스터 내에 존재하는 페놀의 축에 대해 카이랄 분자의 전자 전이 쌍극자 모멘트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결정되고, ICD의 크기는 두 분자 사이의 상대적인 전이 에너지 차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이형태체에 선택적인 ICD 분광법이 분자의 상호작용과 분자간 인지 반응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적외선 (infrared, IR) 레이저와 광탄성 변조기를 이용하여 IR 영역의 원편광 (circularly polarized) 레이저 펄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IR-UV 이중 공명 분광법 (double resonance spectroscopy) 과 결합하여 기체상 카이랄 분자에 대해 진동 전이 CD (vibrational CD, VCD) 분광법을 적용하였다. 초음속 분자선으로 생성된 ED의 OH 신축 진동 밴드 (stretching vibrational band) 는 잘 분리된 VCD 밴드를 나타내었고, 그 이형태체에 따라 VCD가 선택적으로 나타났다. 실험으로 측정한 IR 흡수와 VCD 값을 양자 이론 계산과 비교하여 ED 이형태체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기체상 VCD 연구 결과를 통해, 기존의 액체상 VCD 분광법보다 카이랄 분자의 절대 배열과 구조를 정확히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We have developed a new technique to generate circularly polarized laser pulses by synchronizing the oscillation of the photoelastic modulator (PEM) with the firing of a nanosecond pulsed laser. Using this technique, we have been able to measure the conformation-specific circular dichroism (CD) spectra of chiral molecules in the gas phase. In this thesis, we report the CD spectroscopic studies of chiral molecules and clusters produced in a supersonic jet. Firstly, we obtained the resonant two-photon ionization (R2PI) CD spectra of pseudoephedrine (PED) and ephedrine (ED) in a supersonic jet. The R2PICD spectra of (−)PED exhibited well-resolved CD bands, which were assigned to its three different conformers present in the jet. The CD signs of the conformer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dicating that the CD signs were determined not solely by the handedness of chiral molecules but also by their conformations. The R2PICD spectra of ED also exhibited well-resolved vibronic CD bands whose signs varied depending on their vibrational modes. Fluorescence-detected CD (FDCD) spectra of ED were obtained to measure the CD effect of one-photon absorption. The FDCD spectra were compared with the R2PI spectra to investigate the CD of the ionization process in R2PI. The CD effects of the ionization process following excitation of a vibronic band at 530 cm−1 from the origin band were large enough to cause the inversion of CD signs between the FDCD and R2PICD spectra. From the state-selective fragmentation patterns obtained by R2PI, we proposed that this large CD effect of the ionization process results because the state-selective isomerization process occurs after excitation of the vibronic band. We demonstrated that R2PICD spectroscopy combined with FDCD spectroscopy provides a powerful tool to investigate conformation- and vibrational mode-specific CD effects. Secondly, R2PICD spectra of jet-cooled phenylalanine (Phe) were obtained near the origin band of the S0-S1 transition. The R2PICD spectra exhibited the well-resolved CD bands of six different conformers present in the jet, which varied in sign and magnitude depending on their conformations. Among the conformers, the origin bands of two conformers had CD signs that were inconsistent with their theoretical values predicted by time-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 (TDDFT). We revised the previous structural assignments of the Phe conformer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CD signs, infrared spectra, and rotational band contours. We also measured the R2PICD spectra Phe(H2O)n (n=1-2) to investigate the solvent effects on the CD value of bare Phe. The R2PICD spectra of Phe(H2O)n revealed that hydration with one or two water molecules did not affect the CD signs of bare Phe but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magnitudes. Furthermore, conformational selection by solvation changed relative populations of Phe conformers, leading to the sign inversion between the CD spectra of bare Phe and its hydrated clusters. Thirdly, we investigated induced CD (ICD) spectra of jet-cooled phenol complexes with the chiral molecules, R-(−)-2-butanol ((−)BuOH), (−)-methyl L-lactate ((−)ML), and R-(−)-1-amino-2-propanol ((−)AP). The spectra of the complexes exhibited well-resolved CD bands near the origin band of the S0-S1 transition, where phenol was a chromophore of the complex. The ICD values estimated from the ICD spectra had different signs and magnitudes depending on the conformations of each complex. Based on theoretical calculations, we suggested that the ICD effects are determined by the geometrical asymmetry of phenol moiety and the electronic coupling between phenol and the chiral molecules. We found that the signs of the ICD values were determin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s of the electric transition dipole moments of the chiral molecules with respect to the those of phenol within the complexes. Moreover, the differences in the S0-S1 transition energies between phenol and the chiral molecules ha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magnitudes of the ICD value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somer-selective ICD spectroscopy of host-guest complexes in a supersonic jet is a powerful tool to understand the ICD phenomena on the molecular level. Lastly, we developed a new technique to generate circularly polarized IR laser pulses alternating between left and right on a pulse-to-pulse basis. With these circularly polarized IR laser pulses, we obtained the first well-resolved vibrational CD (VCD) spectra of jet-cooled (−)-ED in the wavenumber region of 3400~3600 cm−1 using IR ion-dip and ion-gain spectroscopy. The asymmetry factor, g, of the OH stretching vibrational band of a major conformer present in the jet was measured to be ~5%. We demonstrated that VCD spectroscopy of jet-cooled molecules offers a greater possibility to determine the conformation-specific absolute configurations of chiral molecules.

      • The diagnostic value of plasma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to differentiate Adrenal Cushing’s syndrome from Cushing’s disease

        홍아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Plasma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level has been recommended as the first-step test to differentiate ACTH-independent Cushing’s syndrome (CS) from ACTH-dependent CS. When plasma ACTH values are inaccurate, the high-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s (HDST) and serum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can be used to make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ushing’s syndro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tility of plasma ACTH leve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CS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HDST and serum DHEA-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d multicenter study from January 2000 to May 2012. A total of 92 patients with endogenous CS were included. Plasma ACTH, serum cortisol and 24 hour urine free cortisol (UFC) after HDST, and serum DHEA-S were measured. Results: Fifty-seven patients had adrenal CS and 35 patients had Cushing’s disease. The area under the curve of plasma ACTH, serum DHEA-S and percentage suppression of serum cortisol and UFC after HDST were .954, .841, .950 and .997, respectively (all P <.001). The cut-off values for plasma ACTH, percentage suppression of serum cortisol and UFC after HDST were 24 pg/ml, 33.3%, and 61.6%.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lasma ACTH were 84.2%, 94.3% and those of serum cortisol and UFC after HDST were 95.8%, 90.6% and 97.9%, 96.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overlap in plasma ACTH levels between patients with adrenal Cushing’s syndrome and those with Cushing’s disease. The HDST may be useful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Cushing’s syndrome, especially when plasma ACTH alone is not conclusive.

      • Changes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Profile of Mouse Bone during Mechanical Unloading

        홍아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Background and purpose: Mechanical unloading induces reductions in bone and muscle mass, however, its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have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unloading on bone loss, we examined the conversion of active mature osteoblasts to bone lining cells (BLCs) via a lineage tracing stud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RNA seq-based transcriptome profiling to capture genetic changes associated with mechanical unloading. Methods: Dmp1-CreERt2 mice were crossed with Rosa26R mice to render targeted mature osteoblasts and BLCs. Dmp1-CreERt2(+):Rosa26R transgenic mice were injected with 1 mg of 4-hydroxy-tamoxifen (4-OHTam) three times a week from postnatal week 7. We developed a unilateral hindlimb unloading model. Briefly, the animals underwent a combination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2U/100 g) with left hindlimb tenotomy from postnatal week 8 to 10. The animals were euthanized at postnatal weeks 8, 9, 10, and 12 (i.e., 2 days, 1 week, 2 weeks, and 4 weeks after last 4-OHTam administration, n=4–6 in each group). The number and thickness of X-gal (+) cells on the periosteal surface of both femoral bones were quantified at each time point. Further to this, we performed RNA-seq on pairs of femurs at each time point for wild-type (C57BL/6) mice euthanized at postnatal weeks 8, 10, and 12 using the same experimental protocol (n=3 per group at postnatal weeks 8 and 12; n=2 per group at postnatal week 9). Results: Unilateral hindlimb unloading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femoral bone mass from 1 to 4 weeks following unloading. At 2 weeks after unloading (postnatal week 10),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X-gal (+) cells and a subtl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ose cells were observed in the left hindlimbs compared to the right hindlimbs (non-unloaded controls). At 4 weeks after unloading (postnatal week 12), the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X-gal (+) cells was accelerated in the left hindlimbs, while the number of X-gal (+) cells was comparable between both hindlimbs. RNA-seq analysis revealed downregulation of 315 genes in the unloaded hindlimbs at 2 and 4 weeks after mechanical unloading. Gene set analysi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analysis identified potential interactions among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related to glucose metabolism and calcium signaling. Of these, nine genes (i.e., Xirp2, AMPD1, NEXN, Ppp1r3c, Mettl11b, Tceal7, CYP2E1, Bche, and Gadl1) were upregulated during osteoblastogenic, myogenic, and osteocytic differentiation b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vitro.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mechanical unloading can accelerate the conversion of active mature osteoblasts to BLCs in the early phases of bone loss in vivo. In addition, some of the genes related to this process may have a pleiotropic action on both bone and muscle, which may be useful to identify drug targets with dual effects for osteoporosis and sarcopenia. 배경 및 목적: 기계적 무부하가 골손실을 초래하는 세포학적, 분자학적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골세포 계열 추적 연구를 통해 기계적 무부하가 성숙 조골세포를 골표면세포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쥐 생체 내에서 관찰하고, 동시에 RNA 시퀀싱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여 기계적 무부하가 골손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Dmp1-CreERt2(+):Rosa26R 7주령 쥐에 1 mg의 타목시펜을 주3회 투여하고, 생후 8주부터 10주까지 왼쪽 뒷다리에 보톡스 주사와 아킬레스 건절개를 시행하여 기계적 무부하를 유도하였다. 생후 8, 9, 10, 12주령에 쥐를 희생한 후 각 시점에 양쪽 대퇴골의 골막에서 X-gal 표지 세포의 수와 두께를 측정하여 표지된 조골세포의 운명을 추적하였다. 동일한 실험 방법 하에 정상 쥐에서 각 시점 별로 대퇴골 골간에서 추출한 RNA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기계적 무부하 후 1주부터 4주째까지 현저한 대퇴골 질량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무부하 2주 후, 오른쪽에 비해 무부하가 행해진 왼쪽 뒷다리에서 유의미한 X-gal 표지 세포의 수적 감소 및 약간의 두께 감소가 관찰되었다. 무부하 4주 후, X-gal 표지 세포의 두드러진 두께 감소가 왼쪽 뒷다리에서 관찰되었으나 X-gal 표지 세포의 숫자는 양쪽 다리에서 유사하였다. RNA 시퀀싱 분석에서 총 315개의 유전자가 무부하 2주와 4주째 왼쪽 뒷다리에서 오른쪽 뒷다리에 비해 지속적인 발현의 감소를 보였다. 이 중 Xirp2, AMPD1, Mettl11b, NEXN, CYP2E1, Bche, Ppp1r3c, Tceal7, 그리고 Gadl1 유전자의 발현이 조골세포/골세포 분화 및 근육세포 분화 과정에서 증가됨을 실시간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무부하가 쥐 생체 내 골손실의 이른 단계에서 성숙 조골세포가 골표면세포로 전환되는 과정을 가속화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의미한 발현의 변화가 확인된 일부 유전자들은 향후 골다공증과 근감소증에 효과적인 약제의 표적으로서 규명될 잠재적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