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판 FSQOLS(Fox Simple Quality Of Life Scale)의 개발 및 타당도 평가

        홍석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e quest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new health care treatment and technology, quality of life becomes a major consequence related to heath in the healthcare ar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it is important that the measurement is efficient and reliable and it proceeds in a way of carrying the least burden on respondents, doctors and researchers. One of the most valid and reliable methods to evaluate it, is using a scale on quality of life with a simple structure to examine interplay of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Fox Simple Quality of Life Scale(FSQOLS) through linguistic validation,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n to show its practicability by examining whether it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in the clinical practice with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linguistic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FSQOLS, a simple psychometric scale of being multidimensional and subjective like quality of life. To verify linguistic validity, it formed five specialized committees composing of totally 24 specialists based on literature review, developed 9-stage translation verification suitable for this study and performed it. To eliminate differences in terms of comparative culture and to enhance linguistic validity, cognitive debriefing was conducted for 30 respondents. This study recruited 300 persons aged over 65 years hospitalized due to their chronic diseases as subjects after advertizing the recruitment of subjects on local nursing homes.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FSQOLS, other scales measuring quality of life like EQ-5D, Barthel ADL Index, VAS and SF-36 ver 2.0 were also used. For usefulness of K-FSQOLS in the clinical practic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questions and answering time were investigated as ways to measure practicability. SAS version 9.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OVA and person correlation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the newly developed scale and other existing ones respectively. Evaluation of validity was performed with multi-trait scaling analysis. To verify reliability through test-retest, Intra-class correlation(ICC) coefficient was used. Results : When Item-Total correlation of K-FSQOLS was compared, it showed an appropriate correlation recording 0.3∼0.7. K-FSQOLS was found to have a close instrument correlation with VAS measuring health condition by recording 0.568 and to have an appropriate correlation with all items of SF-36 except ‘Bodily pain' by recording over 0.3. Reliability verification through test-retest with ICC coefficients revealed a high reliability by recording over 0.7 in all cases. A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lso were over 0.7 in all cases by recording 0.94, there was a high internal consistency. When answering time of respondents for K-FSQOLS was measured, all of them finished filling in it within two to four minutes. Because the means according questions, measured to examin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questions, were 3.721 and the degree was observed to be more than 'moderate'. Wh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cores of quality of life in K-FSQOLS were compared, respondents hospit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y showed higher scores. For nursing service types, respondents receiving nursing service was observed to record higher scores and those nursed by family members or charged sick nurse showed higher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ose nursed by free sick nurse. Conclusion : K-FSQOLS showed a high internal consistency in all cases and wa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with high validity on its composition. In particular, it will be useful to measure quality of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equences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age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who are hard to fill in a questionnaire. Moreover, from the development of K-FSQOLS for researches on quality of life, a Korean scale with a simple structure to measure interaction of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s expected to be invented. key words : Quality of Life, FSQOLS, K-FSQOLS, practicability, Fox-Simple Quality of Life Scale, cognitive, affective, psychometric, cognitive debriefing, linguistic validity.

      • 금속 칼코게나이드 소재의 열전 물성 탐색 및 Bi2Te3계 소재 기반 유연 열전 모듈에 대한 연구

        홍석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에너지 변환 기술 중 하나인 열전 효과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벡 효과와 역으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펠티에 효과를 포함한다. 열전 변환 효율은 무차원의 열전 성능 지수()로 표현되며, 전기 전도도(σ), 제벡 계수(), 열 전도도(κ), 그리고 절대온도() 로 구성된다. 따라서 열전 변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높은 제벡 계수, 높은 전기 전도도, 및 낮은 열 전도도를 가지는 열전 소재가 필요하나, 각 파라미터들은 상충 관계(trade-off)를 이루고 있기에, 각 파라미터 간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만족하는 새로운 소재의 도출 연구가 함께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 번째로는 금속 칼코게나이드 소재의 새로운 열전 소재로서의 가능성 탐색에 관한 내용이다. 전이 후 금속, 전이 금속, 희토류 금속 칼코게나이드 소재를 기반으로 기초 전도 물성이 반도체성을 보이는 소재 및 그 고용체를 탐색하였고. 밴드갭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소재에 대하여 결정구조 및 전기적 물성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열전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FeSe2는 550K에서 0.35mW/mK2의 파워팩터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TiS3, HfSe3는 반도체 거동을 보이므로 추가적인 도핑 또는 고용체 형성을 하여 전하 운반자의 농도를 증가시킨다면 새로운 열전 소재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신체 열을 활용하여 미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 열전 모듈 제작 연구이다. 상온 영역에서 높은 zT를 나타내는 Bi2Te3계 소재를 활용하였으며 높은 성능과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 3D-Printing을 활용하여 열간 압출 공정으로 제작된 직경 1.8mm인 봉상의 Bi2Te3계 기반 열전 소재를 PDMS에 삽입하여 배열시킨 열전 블록을 만들어 무전해 도금을 통한 기능층 형성과 전극과의 접합 과정을 거쳐 23.4mm×21.0mm의 면적을 가지며, 1.5mm부터 4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하였다. 제작된 유연 열전 모듈의 구동 환경에 따른 발전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모듈 출력 측정 시스템으로 △T를 20℃로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 3.27mW/cm2의 최대 출력 전력을 달성하였고, 외기 온도가 20℃일 때, 손목에 부착한 경우 최대 80㎼/cm2의 출력 전력 값을 시연하였다. The thermoelectric effect, one of the 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includes the Seebeck effect, which converts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Peltier effect, which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conversely. The therm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is expressed as a dimensionless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defined as (), and is composed of electrical conductivity (σ), Seebeck coefficient (), thermal conductivity (κ), and absolute temperature (). Therefore, thermoelectric materials with high Seebeck coefficient,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are required to enhance therm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but since each parameter has a trade-off, a clea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 is required, and research on deriving a new material that satisfies this is underway. This paper presents two researches. The first research is about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metal chalcogenide as a new thermoelectric material. Searching for materials and solid solutions that show semiconducting properties among post-transition metals, transition metals, and rare metal calcogenide materials, and synthesiz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nd gap. then, by analyzing the crystal 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materials, we explored the possibility as a new thermoelectric materia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owder factor of FeSe2 was 0.35mW/mK2 at 550K, and TiS3 and HfSe3 exhibited semiconducting propertie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as a thermoelectric material if the concentration of the charge carrier is increased through additional doping or solid solution formation The second research is about manufacture of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s that can produce micro-power by using body heat. Bi2Te3-based on alloy showing high zT in the room temperature range was used, and in order to secure high performance and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the thermoelectric block was created using 3D-printing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1.8mm diameter rod-shaped Bi2-Te3 based on alloys manufactured by hot extrusion process were embedded into the PDMS. the flexible thermoelectric module was fabricated to have a size of 23.4mm×21.0mm which can has different thicknesses from 1.5mm to 4mm after forming a functional layer through an electroless plating and bonding with an electrod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odule driving environment, and achieved a maximum output power of 3.27mW/cm2 when △T was kept constant at 20℃ by the module output measurement system. the thermoelectric module attached to the wrist demonstrated the maximum output power value of 80㎼/cm2,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was given at 20℃

      • 시대별 사회현상을 반영한 국내 인디밴드의 경향 및 특징 연구

        홍석원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pop music market has continued to change in its popularity and development in the global music market and has gained momentum in the global music market. However, the Korean pop music market has focused on idol dance music, as it focuses on young people in their teens and early 20s. However, the indie bands of Korea have liberated themselves from the structure of the biased music market and expressed their thoughts freely with their identity.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movements of the indie bands, the era of origin, and the movement of indie bands that reflects the origin of the indie band. The study began because of the lack of detailed studies on the mov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die band in its 30-year-old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trends of the indie bands reflecting societal phenomena, the functional values of its features, and the ability to develop them. This paper begins with the introduction of indie bands and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indie music. In addition, through the 1990s, and a decade after the 1990s, the independent bands were analyzed on what activities had been done through a specific event, and music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a series of activities. Historically, music has always reflected the historical social situ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the domestic indie bands reflect the active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armed forces, which contributed to a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keyword: Indie band 한국의 대중음악 시장은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세계화 음악시장에서도 입지를 다지며 경쟁력을 갖춰왔다. 하지만 경제적 불황과 취업난 등의 요소로 인해 음악을 소비하는 대상이 10대와 20대 초반의 젊은 사람들에게 집중되면서 한국의 대중음악 시장은 아이돌 댄스음악에 집중되어 편중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인디밴드들은 편중된 음악시장의 구조를 벗어나 자신들의 정체성을 가지고 본인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인디밴드의 탄생과 탄생의 발단이 되었던 시대상황, 그리고 사회현상을 반영한 인디밴드들의 움직임에 대해 연구했다. 국내 인디밴드의 역사가 30년이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이들의 움직임의 이유에 대해서, 그 움직임들의 경향과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사례를 들어 정리된 연구가 부족했기에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현상을 반영한 인디밴드의 경향 및 특징이 지닌 기능적 가치와 그로인해 어떤 발전적 요소가 발생했는지를 밝히는 것에 있다. 본 논문은 국내 인디밴드들을 대상으로 하며 인디음악의 정의와 역사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또한,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10년을 주기로 구체적 사건을 통해 인디밴드들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를 분석했으며 음악사회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해 일련의 활동이 지닌 함축적 가치를 도출해냈다. 역사적으로 음악은 항상 시대적 사회상황을 반영해왔다. 이 논문이 가진 의의는 국내의 인디밴드들이 직군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유롭고 활발한 사회참여 활동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일에 기여했다는 점에 있다. 주요어: 인디밴드

      • Yttrium Iron Garnet Y_(3-x)Fe_(5+x)O_(12)(x=O.O, O.18, 0.33, 0.60)계의 Mossbauer 분광학적 연구

        홍석원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yttrium iron garnet system Y_(3-x)Fe_(5+x)O_(12)(x=0.0, 0.18, 0.33, 0.60) has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X-ray diffraction and Ma¨ssbauer spectroscopy. The structure of this system has been found to be a garnet structure from the result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lattice constants slowly decrease(12.372~12.360Å) with increasing x (0.0~0.60) The Mo¨ssbauer spectrum for x=0.0 at room temperature consists of two Zeeman sextets, one due to the Fe^(3+) on octahedral a-site and the other due to the Fe^(3+) on tetrahedral d-site, respectively. However the spectrum shows four Zeeman sextets in the range between x=0.18 and 0.60 due to two octahedral a-, a'-site and two tetrahedral d-, d'-site with different hyperfine parameters(isomer shift, quadrupole splitting, magnetic hyperfine field).

      • 예비 특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판단 및 태도 연구

        홍석원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비 특수체육교사가 통합체육에 대하여 어떠한 판단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특수체육(학)교육과가 설치되어있는 모든 대학 3학년, 4학년 재학생과 서울, 경기, 경북 지역 특수체육전공 양성과정 교육대학원생 등 총 251명이었다. 본 연구의 도구는 통합체육에 대한 판단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통합교육에 관한 체육교사의 판단 설문(KPEJI)'을, 통합체육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인 지도에 대한 체육교사의 태도 설문 세 번째 판(PEATID-Ⅲ)’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예비 특수체육교사는 통합체육에 대해 긍정적 판단과 태도를 나타냈다. 예비 특수체육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판단은 태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판단이 긍정적일수록 태도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udgment and attitude of preservice A.P.E teacher about inclusion P.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grade3 and 4 who are majoring in A.P.E; moreover those who are postgraduate students in Seoul city, Kyung-Ki and Northern Kyung-Sang provinces a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are 251 persons. Two research tools are used in this study such as KPEJI and PEATID-Ⅲ used for having a clear grasp of judgment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A.P.E teacher about inclusion P.E class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A.P.E teachers made positive judgments and attitudes about inclusion P.E classes. The preservice A.P.E teachers' judgments about inclusion P.E classes has a posi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s.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judgments the teachers hav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obtain.

      • 차세대 디젤엔진의 연료레일 내부 유동 특성

        홍석원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배기 가스 규제 기준인 Euro-5에 대응 가능한 수단 들 중 하나인 커먼레일 디젤 엔진의 개발을 위하여, 연료 레일과 커넥션 파이프로 구성된 커먼레일 시스템 내의 비정상 유동 특성 해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연료 레일 시스템 내부에 일어나는 거시적 크기의 유동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인젝터 노즐 개폐 여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커넥션 파이프 간의 간섭 효과는 미미하였으며, 다른 실린더에 연료 분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 커넥션 파이프들의 출구에서의 압력도 거의 동시에 변화하였다. 따라서 연료 레일 내의 압력 변화가 커넥션 파이프들의 연료 공급 시기에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3차원 CAD 형상 모델링과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자동 격자 생성, 비정상 유동 특성 해석을 위한 CFD 해석, 제품 개발을 위한 계산 결과 타당성 분석 등이 가능한 CADS(Computer Aided Design System)이 구성하였으며, 향후 연료 레일과 커넥션 파이프 사이의 형상 변화에 따른 맥동 유동 저감 기술 개발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CADS 를 적용하면, 빠른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설계 및 개발 연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Unsteady flow characteristics inside a fuel rail system is investigated using a commercial software, CFD-ACE+.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fuel rail system is obtained from CAD softwares.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data is imported into CFD-GEOM and CFD-VISCART. The mesh is gen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Then, CFD-ACE+is applied to the unsteady analysis of the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fuel rail system dur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injector opening and closing. It is found that the large flow structures depends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jectors. The opening and closing of one pipe affects the pressure at the other pipes. The pressure pulsates like a sinusoidal wave. It is believed that the present approaches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fuel rail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diesel engine applications.

      • 홍대용의 과학사상이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

        홍석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담헌 홍대용의 과학사상이 현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했다. 동양의 일반적인 정신문화는 서양의 정신문화에 비해 분석적이기 보다 종합적이며, 경험적이기 보다는 사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현재 학교에서 교육하는 과학은 서양에서 발전해온 학문이므로 우리의 정신적 바탕과는 다른 측면에서 발전해온 학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교과서에 실린 과학은 논리적, 경험적, 분석적인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다. 그러다보니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교육은 우리의 정신적인 전통보다는 서양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과학적 개념을 우리의 전통적인 정신에 조화되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설명한다면 쉽게 이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서양과학이 우리에게 전래 되고 수용되었을 때, 서양 과학은 어떤 과정을 거쳐 전래되었는지, 어떤 방식으로 수용되었는지 알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홍대용은 동양의 자연관을 수정하여 서양의 과학 사상을 수용한 뒤, 자기 나름의 자연관과 우주론의 체계를 세우려고 노력한, 18세기 조선의 과학사상가이자 과학자였다. 홍대용은 서양의 과학 사상을 수용, 발전시켜 地球說, 地轉說, 인력설, 무한우주설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진취적인 과학 사상을 제시하였다. 비록 홍대용이 과학교육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는 않았지만 과학에 대한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일생에 걸쳐 서양 과학 사상을 수용하고 연구하였던 사람이므로 홍대용의 과학사상이 현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려 하였다. 주자 성리학에서 생각하는 理의 개념은 당위와 규범의 원리가 되는 절대적이며, 인간과 자연현상을 아우르는 만물의 존재근거이자 주재자로서의 통제원리이다. 그러나 홍대용이 말하는 理는 , 사물이나 현상이 가지는 속성이나 법칙 혹은 원리 이상의 의미를 지니지 않으므로, 주자 성리학적인 자연관을 넘어서 새로운 자연관의 틀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홍대용은 陰陽五行說에 대해서도 자연현상을 무조건적으로 陰陽으로 설명하는 陰陽說을 비판하고, 五行 가운데 水,火,土 세 가지만을 원소로 인정하였다. 그는 陰陽五行說을 우주 생성의 체계로 본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연의 현상과 실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섯 가지 물질로 보았다는 점이 성리학적 사고방식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홍대용의 과학사상은 서양의 과학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시켰는데, 天圓地方說을 믿고 있던 시대에 일식과 월식에 비친 그림자로 달이 둥글고 지구가 둥글다는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지구가 둥글다는 地球說을 주장 하였으며, 더 나아가 地轉說을 주장하였다. 지구가 둥글다면 지구 표면 어디에서나 인간이 살 수 있는데 그 이유를 지구 둘레에 중심을 향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 그것을 소위 上下之勢라고 했다. 지구가 자전함으로써 지구 둘레의 氣가 소용돌이를 만들어 上下之勢라는 지금의 인력과 같은 힘을 만들어 낸다고 하며, 인력설을 생각한 것이다. 또한 그는 지구 둘레의 上下之勢가 다른 별이나 행성까지는 미치지 못한다고 보았고, 우주는 무한하다는 무한우주설을 주장하기에 이른다. 홍대용의 과학사상이 현대의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실용·실증적 과학정신, 실천적 활동, 수학의 강조라 생각하고 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은 때론 학습에 심각한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오개념을 극복하는 것이 과학교육에서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라 하겠다. 이런 오개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과학사를 이용한 수업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거 과학자들이 오개념의 극복을 위해 밟았던 과정을 보면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오개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홍대용의 우주론은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정확하다고는 말하기 힘들지만,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기존의 생각에서 지금은 상식이 되어버린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으로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거나, 지구가 둥글다는 말도 받아들여지기 힘들었던 시기에 지구가 회전한다거나 더 나아가 무한한 우주를 상상하기도 했다. 이런 홍대용과 그의 과학사상을 살펴보다 보면, 오개념을 극복해 가는 과학자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오개념의 발생 원인을 실생활과는 거리가 먼 과학교육에서도 찾을 수 있다. 교과서를 이용하거나 변인들을 통제한 이상적인 조건아래에서 이루어지는 실험실에서의 수업은 다양한 변인들이 존재하는 실생활에서의 적용이 쉽지 않다. 수업시간에 학습한 내용이 실생활과는 거리가 있거나 반대로 적용될 경우, 힘들게 배운 과학지식이 필요 없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 오개념은 없어지지 않으며 과학적 지식보다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이런 오개념의 발생을 줄이고 과학적인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과학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홍대용의 실용성을 강조한 이야기들이 과학교육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은 아니지만 과학이라는 학문이 현대인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과학교육에 시사 하는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홍대용은 당시 조선의 과학기술적 수준으로 볼 때, 자연과학자, 수학자, 기술자의 면모를 고루 갖춘 18세기 조선의 과학자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홍대용이 일생동안 견지한 비판적사고와 창의적 사고, 실용·실증적 과학정신, 실천적 활동, 수학적 사고 등은 오늘날 과학교육에서 생각해 볼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tailed influences of the science education through Hong, Dae Yong's science thought. Hong, Dae Yong(Damheon, 湛軒 洪大容 1731-1783) whom I want to treat examine, investigate, deal with, work in this thesis. He is seen to have tried to construct a new philosophical system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view of nature and newly accepted Western one. And from such viewpoint, he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about the “Li(理)” and the “Chi(氣)” of nature. Hong, Dae yong showed a new pattern of interpretation about the Greate Absolute in Chinese Philosophy mentioned by Cju Hsi(朱熹 1130-1200), that is, the "Li" of nature. That is, he Seemed to negate a priori reality of ideal existence besides experiential reality. The superintendence of "Li" of nature was negated because the principles not only existed in the "Chi" of nature comprising things, but they varied in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dispositional changes of the "Chi" the essence of forming and changing material world, he explained that the force had not only simple character of matter but also metaphysics one. The "Li" of nature is said to have been a wider concept including even ethicality and morality besides rationality thought by us, whereas he showed more rational interpretation by excluding ethicality, that is, concept of value from traditional "Li" of nature. Traditionally, yin and yang(陰陽) and Five Elements(五行) not only were naturalist concepts mobilized when explaining concrete nature phenomenon including human body, but also they were ontological concepts of explaining the generation of existences and existences themselves. They built confucian world view that can explain cosmology, ontology, ethology and so on through forming independent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heaven and man. Hong, Dae Yong freed himself from such thinking of a confucian world view and explained it with objective laws or principles of natural phenomena. And if the thinking that earth was living existence formed the basis of traditional theory of geomancy(feng-shui 風水地理), he showed the attitude of affirming the basis but rejecting the theory itself. Hong, Dae Yong wrote an essay covering many ideas on natural phenomena. This essay, “Uisanmundap(毉山問答)“ is in the form of dialogue between hermit in Mount Ui on the border of China amd Eastern Barbarians, Sirong(Oldman Plactical, 實翁) and a visitor from the East, Heoja(Mr. Empty, 虛字). On the diurnal rotation of the earth was written in this essay. Hong Dae yong, however, did not allow the idea of revolution of the earth around the sun, as is shown in the quotation above. He raised the possibility only to refute it. In fact, Hong, Dae Yong's solar system was that of Tycho Brahe(1546-1601), putting the earth at the center of the revolutions of the sun and the moon, while making five planets to go around the sun. Of cours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official Tychonic system and Hong's system was that Hong, Dae Yong made the earth rotate, while Tycho stuck to the revolution of heavens. Historical signification of Hong, Dae Yong's cosmology in general and his theory of the diurnal rotation of earth in particular, however, should not be overemphasized. For one thing, Hong, Dae Yong's ideas were unnoticed by his Korean contemporaries, not because the intellectual milieu of times were hostile to his views, but because his ideas were irrelevant to the intellectual climate of late Chosun(朝鮮). The idea of spherical earth seems to have given a nudge for Korean scholar toward proto-nationalistic self awakening. Hong, Dae Yong's system of scientific thinking made possible a new concept of science education. There are some implications of science education through Hong, Dae Yong's science thought. Firstly, Critical thinking and the Creative thinking. Secondly, Pragmatic educational thinking and Substantiative science education. Finally, He emphasize Practical activity and Mathematics. He emphasized practicality-centered thinking, which can be applied to real life, and scientific technique teaching based on actual proving. An objective, demonstrative and empirical method of teaching through experiments and observation.

      • 검도선수의 심리기술 검사지 개발에 관한 연구

        홍석원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S Dept. of Sports and Well-being at Graduate School in Hanyang Univ. Hong, Seuk W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psychological skill inventory for KumDo which is based on psychological control in base of competition. Each items on this inventory instrument that is selected by a variety of references and opened questionnaire is establised in the pilot items through item appropriated subjugation and content-related validity investigation and pilot test is performed immediately by researcher. In addition to, technical and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item analysis which are perform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are tested to get rid inner concurent degree on the items to make low. And for the next procedures, EFA is practiced for the test the structure of seleted items and also CFA is practice for the test the appropriate degree on the whole inventory valid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 skill inventory that appeared in competition for the players is structured by Will, Team combination, Anxiety, Goal Target, Confidence, Concentration, Mental training, and Arousal level. Secondly, Psychological skill inventory for KumDo is structured by 5 Likert Scale and completed in 32 all items. thirdly, this inventory has con-structured validity as the results of EFA. Forthly, the 8 factors of this inventory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procession are expressed not independent but by co-complexed psychological skill 국문요지 본 연구의 목적은 검도 선수들의 심리기술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검도 심리기술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있다. 검사지 개발은 문헌조사 및 개방형 설문을 통해 추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문항 적절성 평정 및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내적 일치도를 낮추는 문항들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문항의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EFA를 실시하였으며, 그 적합도 검증을 위한 CFA를 실시하여 검사지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검도 선수들의 경기 시 나타나는 심리기술은 의지력, 팀조화, 불안, 목 표설정, 자신감, 집중력, 심상훈련, 각성조절의 8개 요인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둘째, 검도 심리기술 검사지는 5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총 32개의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셋째, EFA의 결과 검도 심리기술 검사지는 구조적 타당도를 지니고 있다. 넷째, CFA에 의한 요인 간 상관계수 행렬을 분석한 결과 8가지 요인들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복합적인 심리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 시각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그림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홍석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대중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이미지를 명확히 표현해야 한다. 특히 그림 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은 아동기의 지적능력이나 정신발달에 기초가 되므로 매우 신중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어린이는 사물을 그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자기의 정서나 주관에 의해 파악하며, 생각이 단순해 조그마한 것에서도 놀라운 발견을 한다. 또한 그려진 그림 속에서 어른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들을 찾아낸다. 현재 어린이 동화책의 대다수가 언어 문자의 비중보다도 일러스트레이션에 신경을 쓰고 있는 것도 이러한 어린이의 특성을 잘 수렴한 결과이다. 동화는 그 특유의 성질, 즉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꿈과 상상력을 길러준다. 그러므로 좋은 일러스트레이션은 아동을 상상의 세계로 자연스럽게 이끌어 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서 먼저 밑받침이 되는 시각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동용 그림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림 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 어린이의 인지발달과 일러스트레이션의 역할, 구성요소, 미치는 영향, 가치 둥을 고찰해 본 후, 국내의 그림동화책 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본인의 작품을 배경으로 활용하여 개선안을 제시해 보았다. 그림책을 선택하는 것은 주로 어른이지만, 그림 동화책은 아동이 느끼는 것이므로 이에 기준을 두고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러스트레이터의 책임이 막중하다.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를 명확한 표현으로 전달하고 아동에게 유익한, 즐겁게 대할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Because of its directed effect on the mass public, it is essential that illustration as a means of visual communication clearly relates the message or image it is originally intended to represent. Specifically speaking, illustrations in children's stories need to be produced prudently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foundation for the intellectual abilities and mental development of a person during his or her childhood years. Children tend to view objects not in itself, but though their emotion and subjectivity. Furthermore, because the thought process of a child has not fully developed yet, they make "amazing discoveries" even from the most insignificant objects. For example, children are able pick out and make inferences from objects that adults originally fail to notice when viewing the same illustrations. The fact that the producers of children's books these days tend to focus more on illustrations rather than the writing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Children's stories further develop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i.e., they rise above the barriers of time and space to further develop creativity and imagination within a child. A good illustration leads the child reader into an imaginary world, not in an artificial but natural way. Thus, the research in this paper will discuss illustration as a means of visual communication, followed by the discussion of issues regarding illustrations in children's stories.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production of illustrations in children's stories will include;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the effects and value of such illustrations. And finally, the research will conclude with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domestic children's book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existing problems and suggeste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such areas. Although it is the adult who ultimately chooses which books a child such read, since it is the children who read, see and feel the story, the standard of children's books should be based on children themselves. Therefore the role and responsiblity of the illustrator is extremly important. It is essential that the illustrator produces illustrations which not only clealy reflect the message that the story is attempting to relay, but also those which bring certain benefits and joy to the child reading the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