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습환경 근로자의 건성안 선별검사법 비교분석

        홍경희 을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최근 건성안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저습환경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건성안 유병률이나 건성안을 선별하는 검사방법들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저습환경에 노출되는 2차 전지 제조 산업장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성안 선별검사법에 따른 유병율을 구하고, 각 선별검사법에 대해 기존 진단기준과 연구 대상자에게 선별된 진단기준을 각각 적용하여 타당도 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가장 좋은 타당도 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선별검사의 적합모형을 통해 가상의 의료비용을 비교 분석하여 비용은 저렴하면서 타당도 와 신뢰도가 높은 건성안 선별검사법의 최적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장내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2011년 522명, 2012년 482명, 2013년 484명을 검사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중복하여 검사 받은 293명을 저습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고위험군이라 하였다. 건성안 선별검사방법 중 세극등 전안부검사를 최적표준(Gold Standard)으로 하였으며, 자각적인 방법은 맥모니검사,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자각증상 설문지을 사용하였으며, 타각적인 검사방법은 눈물량검사, 눈물막 안정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최적표준인 세극등 전안부 검사로 확인된 건성안 유병률은 2011년 26.4%, 2012년 33.2%, 2013년 42.8%이었다. 3년간 저습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고위험군에서 건성안 유병률은 2011년 25.6%, 2012년 35.2%, 2013년 48.4%로 증가하였다. 세극등 전안부검사에서 건성안을 기준으로 타 선별검사방법 각각의 절단점(cutoff point)을 구하였을 때 맥모니 검사는 9점, 자각증상 설문점수는 16.7점이었으며, 눈물분비량 검사는 8mm, 눈물막 안정성검사에서는 8초이었다. 3년간 평균 민감도와 특이도는 맥모니검사 87.9%, 95.4%, 자각증상 설문지 59.7%, 75.1%, 눈물량 검사 88.1%, 82.7%, 눈물막 안정성검사 89.4%, 74.3%이었다. 검사 연도별 3년간 평균 곡선아래면적(AUC)는 맥모니검사 0.916, 자각증상 설문지 0.624, 눈물량검사 0.854, 눈물막 안정성검사 0.818이었다. 3년간 평균 양성예측도는 맥모니검사 90.0%, 자각증상 설문지 54.9%, 눈물량검사 72.5%, 눈물막 안정성검사 63.9%이었다. 타당도 분석 결과 건성안 선별검사 방법 중 맥모니검사의 특이도(95.4%), 곡선아래면적(0.916), 양성예측도(90%)가 가장 좋았다. 3년간 평균 카파계수는 맥모니검사 0.859, 자각증상설문지 0.187, 눈물량검사 0.775, 눈물막 안정성검사 0.763이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따른 적합순서모형은 2011년 1차 맥모니검사 후 음성인 사람에게 2차 눈물량 검사, 2012년 1차 맥모니검사 후 음성인 사람에게 2차 눈물량검사 후 다시 음성인 사람에게 3차 눈물막 안정성검사, 2013년 1차 맥모니검사 후 음성인 사람에게 2차 눈물량 검사방법의 순이었다. 고위험군에서 첫 조사연도에 건성안이 없었던 근로자 218명을 대상자로 하여 2013년 건성안 발생 환자여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로 분석하였다.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근무연수, 몸무게, 맥모니검사, 자각증상 설문지, 눈물량 검사에서 유의하였고, 의사결정나무에서는 근무연수, 자각증상 설문지가 유의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맥모니검사, 자각증상설문지가 신규환자 발생예측 모형으로 적절하였다. 건성안 선별검사법의 비용은 맥모니검사 1,840원, 자각증상설문지 1,840원, 눈물량검사 3,940원, 눈물막 안정성검사 2,030원이었다. 산업장내 근로자가 건성안 검사를 위하여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 발생하는 총 검진비용과 병원을 내원하지 않고 산업장내에서 건성안 선별검사 방법을 동일하게 시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총 검진비용을 비교하였다. 병원을 내원하는 경우 총 검진비용은 82,554원이였고, 산업장 내 동일 검진을 할 경우 48,069원이었다. 또한, 본 연구의 의사결정나무분석에서 도출 된 산업장내 근로자의 건성안 검사 1차 맥모니검사 후 음성인 사람에게 2차 눈물량 검사를 시행하게 되는 경우 세극등 전안부 검사방법만으로 할 경우에 비해 검사비용이 1인당 8,985원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건성안 선별검사법에 따른 최적의 적합모형은 1차 맥모니 검사방법 후 음성인 사람들에게 2차 눈물량 검사를 실시하면 건성안 관련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Hospitals With or Without On-site Surgical Backup

        홍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and who were treated in hospitals with or without on-site cardiac surgery backup (CSB) in Korea. We also assessed the volume-outcome relationship for PCI hospitals by conducting subgroup analyses. Methods: To evaluate the cardiac outcomes, we analyzed 888 (9.0%) AMI patients in 11 hospitals without on-site CSB and 8,999 (91.0%) AMI patients in 40 hospitals with on-site CSB using the Korea AMI Registry (KAMI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on-site CSB and the patient outcomes. In the subgroup analyses, we also evaluated the cardiac outcomes of the high volume hospitals, which were defined as those that treated at least 200 patients with AMI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er year. Results: Age, gender, and several cardiac risk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tients treated in the hospitals with on-site CSB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s and a higher maximal admission N-terminal pro B-type natriuretic peptide (NT pro-BNP) and creatine kinase MB fraction (CK-MB) level. Otherwise, the patients treated in the hospitals without on-site CSB showed significantly a higher admissio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holesterol) level and a lower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holesterol) level. As for the type of stent used for PCI, the patients treated in the hospitals without on-site CSB had a higher percentage of bear-metal stents use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using drug-eluting stents. In medical treatme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 Beta blocker, statin, and nitrate use was higher in the patients treated in the hospitals with on-site CSB, while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RB) use was low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ne 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p=0.06). Yet the high AMI volume hospitals demonstrated superior in-hospital, one-month, six-month and one-year cumulative survival rates compared with the low AMI volume hospitals. Conclusion: On-site CSB for PCI provides no survival benefits following PCI for treating AMI. However, admission to high AMI volume hospitals was associated with reduced cardiac mortality.

      • 인문계 남자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 활동 요인 연구

        홍경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club activity influencing career aspiration of boys’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o examine the value of the factors of club activity as explanatory variable of the career aspiration, and to guide an effective and systematic curriculum of the club activity as the process of career planning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lub activities are divided into creative experimental club activities and voluntary club activities. For this research, 495 boys’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a set of questionnaires on the career aspiration scale and the factors of club activity scale. Data of the study was analyzed o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wo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Statistics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career aspiration, it was proved that students with low economic status of family tend to have a low career aspiration level.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areer aspiration. Secondly,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ype of club activity affecting the career aspiration proved that students playing voluntary club activity tend to have a high career aspiration level than those playing creative experimental club activity. Lastly, the result of analysis factors of club activity influencing career aspiration showed that the personal, contextual variables influenc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in both types of club activities, while learning experience factors effect the career aspiration level only in voluntary club activity.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career aspi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has difference by the types of club activity and extended the field of club activities stud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pplement the defect and problem of creative experimental club activity. In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personal, contextual variables and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That i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satisfaction, interest in the club activity, support of peers, parents and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and exhibitions related to club activitie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club activities as a school variable for the career development and implied the support and the guideline for club activities. There should be continuous studies on factors which can facilitate the career development in public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남자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 활동 요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진로포부에 대한 설명변인으로써의 동아리 활동의 가치를 살펴보고,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과정으로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동아리 활동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아리 활동은 정규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 활동 동아리와 정규교육과정 이외의 자율 동아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 소재 한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고등학생 1·2·3학년 495명이다. 측정 도구로는 진로포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진로포부 척도(The Career Aspiration Scale)와, 최영선(2011)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 활동 요인을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재구성한 동아리 활동 요인 척도를 사용하였다. 동아리 활동 요인은 동아리 활동의 개인적 요인, 맥락적 요인(유의미한 타인), 학습경험 요인 등 3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개인적 요인의 하위 요소는 ‘동아리 활동 관련 적성과 흥미’, ‘동아리 관련 교과목 학업 성취’, ‘동아리 활동 만족도’이며, 동아리 활동의 맥락적 요인의 하위 요소는 동아리 활동에 대한 ‘선후배 및 또래지지’,‘부모의 지지’, ‘교사의 지지’, ‘교사의 전문성’이다. 동아리 활동의 학습경험 요인의 하위 요소는 ‘동아리 활동을 통한 교내·교외 대회 참가 경험’, ‘동아리 활동 작품 및 결과물 전시회 참여 경험’, ‘동아리 관련 특별 강연 청취 및 관련시설 견학 경험’, ‘동아리 활동 후 학업 성적의 변화’로 구성하였다. 먼저 대상자들의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학년, 평균 내신 성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 동아리 활동 기간, 동아리 유형에 따른 진로포부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 분산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어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 활동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개인적, 환경적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학년, 평균 내신 성적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가정의 경제적 수준은 진로포부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율 동아리 집단 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이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집단 학생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동아리 활동 요인을 분석한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와 자율 동아리 모두, 동아리 활동의 개인적 요인, 맥락적 요인(유의미한 타인)과 진로포부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이 두 요인과 진로포부와의 상관 정도는 낮은 편이었다. 또한 학습경험 요인은 자율 동아리에서만 진로포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아리 유형에 따른 진로포부 수준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동아리 유형을 구분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영역을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자율 동아리 활동을 확대하고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의 한계점과 문제점의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동아리 활동 요인 중, ‘개인요인’, ‘맥락적 요인(유의미한 타인)’, ‘학습경험’이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아리 활동에 대한 만족감, 적성과 흥미, 동아리 활동에 대한 교사, 부모, 또래의 지지, 동아리 활동 결과물과 관련된 대회 및 전시회 참가 등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는 학교변인으로써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여 동아리 활동에 대한 지지의 필요성과 동아리 활동 지도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공교육 내에서의 진로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동아리 이외의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 예비 목회자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홍경희 서울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about the crisis of the pastor's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storal candidate's identity formation process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research collected research data from Jun. 2016 to Oct. 2016 in K Commun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 participants insist the curriculum of Theological University is overly theoretical and away from the practical issues the life of church members. So they need a community of practice as a kind of identity formation field. Second, the contents of their identity formation are as follows. The pastor's identity as a calling is as follows: Love for one soul, leadership of service and devotio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trust in God, presence of God. The pastor's identity as professionals is as follows: a man of the Bible, leadership in overcoming conflict, mission leader. Third, this learning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s occured through the formation process of practical knowledge and internalized knowledge.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storal candidates formed their identity with formation of integrity and wholeness. The formation of this identity is formed through practical knowledge and personal knowledge. A community of practice is needed as a field of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 초등학교에 있어서 사회과와 통합한 미술과 감상지도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문화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홍경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star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re are a number of integrative efforts being made, for the development of a students whole personality and for avoiding the overlapping of study, in running the curriculum. However, the integration of an art course and other course is found to be difficult for several reason, when put into practice at schools. First the integrative approach of the art course remains to be only something formal, without any close relations to other courses contents of study. Secondly, in case of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aft become, and in the end it remains to be peripheral. Thirdly, an art subject integrative approach was mostly done in the field of expression of the art. This research aimed to fix these limits of integrative approaches, to find a close relation between course and then to present an integrative program in th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centering around the units about cultural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one of the recent trends in art education, which needs to be done after students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first. Then the Korean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must be connected to the art education. This is why school education needs to teach students the eye to appreciate our own culture first, in order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our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art education of our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the 7th course is takes an important noti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for the art of our daily lives. which complying with the demand of our age, which stresses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Also, there is a direction of guidance presented in the focu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culture, based on the emphasis of traditional art so as to establish our traditional art, in preparation for the global ag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knowing the ages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Also, through such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students have a chance to understand the times values easily. Therefore, the research took note of the 4th graders, who come to study the function of museums and value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refore it is quite significant to develop a program that integrates units regarding cultural properties and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for the 4th graders. This research therefore considered a form of study of social and art education, developed a new integrative teaching model with the subject that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interests and live. By applying this model, students, make them feel proud of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ultural properties and foster them to grow as a member of the society with the will to succeed cultural properties. What this research aims to achieve through,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will have outstanding interests and taste for traditional art, and they would be participating in study activities with confidence. Second, teachers may be able to avoid overlapping of the contests between separate courses, which would relieve unnecessary burden from students. It also would contribute to complement and to strengthen the study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art in art and social education. Thirdly, the art integrated with other courses stopped at a supportive role so far, to help the study of the other subject. However, in the art appreciation integrated with culture properties-related units, we may see the possibility to seek integration focused around art subject. Lastly, this research aimed to present an effective way to help students establish pride toward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toward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toward traditional art while internalizing the aesthetic sense. The research also aimed to find a way to avoid overlapping between different subjects. Therefore, we expect that there would be a successive research that would actually put the program from this research into actual practice at a 4th grader class and verify th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