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무사 사무소에 대한 고객선택 요인의 실증연구 : B지역의 세무사 사무소와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허창식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tudies o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lients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with these related factors such as 1) quality of services, 2) physical environment, 3) recognition channel through investigating 200 clients in B region.The results are as follows.<Hypotheis 1> The more business capability and careers tax accountant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can explain 60.4% of the hypothesis, and business capability(=.777) has meaningly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clients. <Hypotheis 2>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facilities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ha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p>.05). Accordingly, <Hypothesis 2-1: The higher 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is abandoned. <Hypotheis 3> The better reputation the tax accountants offices have, the higher level of trust clients show.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that the regression model can explain 2.8% of the hypothesis, and the reputation(=.169) has meaningly positive effects on the preference of clients.<Hypotheis 4> The lower fee the tax accountants offices offer, the more preference clients have. After verifying the hypothesis, it is proved significant and therefore the hypothesis 4 is supported. <Hypotheis 5> There is a difference for clients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according to the factors such as population and society. After crosstab analysis, people in their twenties are influenced by estimation of people around them(34.8%) and people over fifties obtain information by visiting the offices in person. It prove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the hypothesis 5-3(The channel to choose tax accountants offices depends on scholastic attainments) is supported.This thesis is of value in that it brings a new aspect of behaviors to choose stores in a professional service industry, unlike choosing products and stores in the existing manufacturing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with factors such as distance, cost, quality of service, kind service, and indoor atmosphere indicated by many preceding studies (Granzin & Olsen(1997), Rumore, et al.(1999), Yang Hoi Sung(1996)). It means that clients'' choice should be applied separately according to types of industry and it has significance because of supporting related preceding studies. Therefore, a professional service industry like tax accountants offices needs professionalism and practicable executive abilities for service and a low price strategy. 본 연구는 세무사 사무소의 고객선택요인을 밝히기 위해 관련요인을 ① 서비스의 질, ② 물리적 환경, ③ 인지경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B지역 세무사 사무소 이용고객 200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후 관련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가설 1> 세무사사무소의 업무능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고객의 선호도 또한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전체설명력은 60.4%였으며, 업무능력(=.777)이 고객의 선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 세무사사무소의 고객에 대한 물리적 환경과 시설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유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물리적 환경의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 2-1은 기각되었다. <가설 3> 세무사사무소의 평판이 높을수록 고객의 신뢰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검증결과 회귀모형의 전체설명력은 2.8%였으며, 평판(=.169)이 고객의 선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세무사사무소의 가격전략이 저가일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검증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가격전략이 저가일수록 고객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지지되었다. <가설 5> 세무사사무소의 선택경로는 고객의 인구사회적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 교차 분석 결과 20대의 경우 주변사람의 평가에 보다 많은 영향을 받고(34.8%), 50대 이상은 직접방문해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의 선택경로는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라는 가설 5-3은 지지되었다.이상의 연구를 통해 볼 때 기존 제조업 중심의 상품선택이나 쇼핑점 점포선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전문용역서비스업에서의 점포 선택행위에 대한 새로운 면을 입증시킨 점에서 그 가치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 동안 거리, 가격, 제품의 질, 친절한 서비스, 실내분위기 등 Granzin & Olsen(1997), Rumore, et al.(1999), 양회성(1996) 등의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요인들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고객의 점포선택이 업종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련선행연구들이 밝히고 있는 점을 더욱 지지해 준 결과로서 그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세무사사무소와 같은 전문서비스업일수록 서비스용역에 대한 전문성과 응용력을 갖는 경륜에 다소 저가의 전략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 재난 현장에서 소방드론의 효율적 운용에 관한 연구 : 사전 Take off 공간 확보를 중심으로

        허창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Futurist Thomas Frey has predicted the potential for flying drones since 2016, presenting future uses of drones with 192 detailed examples in 24 categories. In fact, many of those examples that Frey predicted have already been realized,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working hard to commercialize drone-related technologies such as drone taxis. Magical things that people have imagined or dreamed of in SF movies are likely to be realized within a few years. Drones had been utilized only for military purpose for over hundred years since Nikola Tesla first presented a theory of unmanned aircraft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use of drones has rapidly changed in recent years, and the drone technology is now developed enough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from public to private sectors. Fire departments also started to use drones in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Seoul Metropolitan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SMFDH) first introduced firefighting drones to Korea in July 2015. Firefighting drones can easily reach a viewpoint above the ground and it allows the firefighters to keep up with th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scene that the drones share. Korea is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that introduced firefighting drones to their fire departments at an early stage.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Korea first introduced firefighting drones. However, it seems the drones are performing its duties below the required level expected, and there are some reasons for the underperformance. To begin with, there are numerous regulations against unmanned aircrafts in aviation law, so the active use of drones in disaster management has been hindered a lot. On top of that, there have been some accidents due to the hasty use of drones while the operating system was not fully equipped. Finally, there have been some conflicts between traditional manuals and the newly developed drone technology, so it was hard to harmonize those two tactics in a linear way. As a result, fire departments could not but endure those problems and keep using drones without any progress. SMFDH, for example, has reported that the use of drones has been decreasing from 2017 – the third year of using firefighting drones – to 2019. To improve the problems that firefighting drones have confronted, it is necessary to clearly analyze a series of records that how the drones have been utilized since its introduction. Also, a survey of firefighters who have experienced in operating drones would help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of drone using in fire departments and suggest a solution. Based on all the data for the past 5 years, we have tried to figure out how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using drones and how to actively implement them.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assumed that the safety of firefighting drones at the scene of a disaster is the top priority. The first step to obtain the expected effect of drones is to solidify the manual of using firefighting drones at the scene. This paper aims to encourage the active use of firefighting drones by improving current problems and to verify it through empirical research. We have found a couple of research goal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ing firefighting drones – not missing the golden time to fly drones and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e golden time here means the critical period that gives a window of opportunity to rescue victims of a disaster, and it is often regarded as 5 minutes from the outbreak of fire. Reports have show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preemptive decision to fly drones to secure the golden time. Also, most drone accidents are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it is hard to predict it. Therefore, it is urgent for the fire departments to provide a manual to react to unexpected factors when flying drones. According to a survey of 38 fire drone operators, the average time taken to secure a take-off space, a landing place in the field of firefighting drones, is 205 seconds (3 minutes and 25 seconds), and the maximum is 519 seconds (8 minutes 39 seconds). Securing the take-off space is crucial not only because it can spare the golden time through a preemptive decision, but also it can prevent an unexpected accident from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assumed that sparing the take-off space would be the main solution and reviewed relevant research data. After preparing for about 6 month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2 month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if the pre-take off space is secured and operated at the site of the disaster dispatch, the fire-fighting drone's mission start time is about 88 seconds faster on average, so it can respond more proa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operating performance increased by about 37% compared to the same period last year. Of course, this solution alone might be insufficient to dramatically increase the use of firefighting drones. However, there are strong correlation between efficient drone using and securing the golden time. Therefore, it is encouraged to continue the research on preemptive use of drones in a various way. 드론은 1900년 초반 니콜라 테슬라가 처음 사람이 타지 않는 무인항공기 이론을 제시한 이후 100년이 넘게 군사 목적에 의해 개발․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다양한 산업 및 민간분야는 물론이고 공공분야에서도 드론을 활용할 만큼 일반화되고 관련 인프라가 빠르게 갖춰지고 있다. 국내 소방에서도 이미 수년 전부터 드론을 도입하여 화재 등 재난 현장에서의 정보취득, 공유에 활용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활용성은 도입 초기 예상한 만큼 기대효과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입 직후부터 재난출동 현장에 맞는 드론 운용 기술 등의 전문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고 불안전한 외부환경요인으로 인한 운용 기피 현상은 재난출동 현장에서 소방드론의 적극적인 운용을 어렵게 하였다. 무엇보다도 시대의 흐름을 따라 새롭게 도입한 소방드론과 이미 오래전부터 지속된 소방대응 전술이 자연스럽게 일원화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가장 큰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소방드론 활용방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모든 소방드론 운용실적 및 사고 현황, 운용자 현황 등을 명확히 파악․분석하여 현재 소방드론 분야가 직면한 문제점에 대해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방드론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지난 5년간 재난출동 현장에서의 소방드론 운용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재난 현장에서 소방드론의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한 현장 운용 절차가 시급히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재난출동 현장에서 소방드론의 선제 대응과 운용환경 개선을 위한 사전 Take off 공간 확보를 제안하였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재난출동 현장에서 적용한 결과, 소방드론의 임무 개시 시간이 평균 약 88초가 단축되어 선제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운용 실적에서도 연구 전 동일 기간 대비 약 37% 증가하여 운용환경 개선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사전 Take off 공간 확보는 재난 현장에서 소방드론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이외에도 소방드론의 활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와 개선 과정에서 신기술의 도입이나 장비 사양 중심보다는 재난출동 현장에서의 근본적인 운용환경 개선 중심으로 접근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