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I 교과서 간의 비교 분석 : 흥분의 전도와 전달 중심으로

        허은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Comparison and Analysis of Life Science I Textbooks according to Revised Curriculum of 2009 - With a focus on Conduction and Transmission of Excitation Heo Eun Kyeong Major in General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Life Science I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with a focus on the elements of "Conduction and Transmission of Excitation." Textbooks are means and tools to embody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goals of a nation in schools and make important materials to have direct impacts on the intellectual growth of students. In South Korea, individual schools are allowed to choose their government-authorized and approved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Curriculum Books." Schools and teachers choose their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own educational orientation by comparing different textbook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of textbooks can serve as indicators in the selection process, which is why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the comparison information of textbook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especially since "Conduction and Transmission of Excitation" in Life Science I lacked research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The study first chose four textbooks of Life Science I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sorted out the units containing the elements of "Conduction and Transmission of Excitation," and checked their amounts. The investigator came up with three indicators to check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and used them as comparison and analysis criteria. The analysis effor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pecifically identified the educational goals proposed by the Curriculum, arranged and compared the ways they were presented as learning objectives, and examined differences in Introduction to the unit among the textbooks. Secondly, the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types and numbers of visual data to understand how they were utilized, covering four types of visual data including pictures, photographs, graphs, and tabl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types and numbers among the textbooks Finally, it looked into differences in the explanations about the concepts and terms in the unit and compared them in the procedure of checking concepts. Explanations about the concepts and terms showed the clearest differences among the four textbooks, whose differences were prominent in the presence and absence and also distribution of explanatory text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a unit whose research efforts had been in shortage in previous studies and compared and analyzed different textbooks around the uni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information that might be useful for textbook judgments and choices and selected one outstanding textbook that met the comparison criteria. Life Science I, however, has too much deficiency to be applied to the entire scope of textbooks, which require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effor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reference data to analyze the reorganized textbooks reflecting the upcoming 2015 Curriculum and compare them with their counterparts in Revised Curriculum of 2009. 국 문 요 약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 교과서 간의 비교 분석 - 흥분의 전도와 전달 중심으로 허은경 공통과학교육전공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흥분의 전도와 전달’ 요소를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간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는 국가의 교육이념과 목적을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수단이자 도구이며, 학생들의 지적인 성장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에 따라 개별 학교마다 사용할 검·인정 교과서를 선정할 수 있다. 학교와 교사들은 교과서 간의 비교 절차를 통해 각자의 교육적 지향점에 따라 교과서를 선정할 것이다. 이 때 교과서 간에 비교 분석한 결과가 그 선정 과정에서 지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 대한 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생명과학Ⅰ의 ‘흥분의 전도와 전달’은 선행 연구가 부족한 단원 요소였기 때문에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먼저 본 연구를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생명과학Ⅰ 교과서 4종을 선택하여, 연구 대상인 ‘흥분의 전도와 전달’ 요소가 포함된 단원을 정리하고 분량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세 가지를 만들어 그것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교육 목표를 어떻게 구체화하여 학습 목표로 제시하였는지 정리 및 비교하고, 해당 단원의 도입 글이 어떻게 다른 지 살펴보았다. 둘째, 시각적 자료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 그 종류와 개수를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시각적 자료의 종류는 그림, 사진, 그래프, 표의 네 가지였으며 교과서마다 종류, 개수 모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해당 단원에 포함된 개념 및 용어 설명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개념 확인 절차를 비교하였다. 개념 및 용어 설명은 4종 교과서 간의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지표였다. 설명글의 유무와 분배 정도에서 교과서들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선행 연구가 부족했던 단원을 찾아 교과서 간에 비교 분석을 실행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에 대한 판단과 선택에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고, 교과서들 중 비교 기준에 부합하는 우수한 하나를 선발하였다. 그러나 생명과학Ⅰ 모든 교과서의 전 범위로 적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곧 시행될 2015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편된 교과서를 분석할 때, 이전 교육과정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할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북한의 재미동포정책 연구 : 1973~1994

        허은경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73년부터 1994년까지 북한의 재미동포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미동포정책은 정책 모색기(1973-1979년), 정책 추진기(1980-1987년)와 정책 확대기(1988-1994년)로 구분하여 각 시기의 정책적 특징을 대내외적 환경, 남북관계 요인과 관련지어 분석하였고, 이러한 재미동포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고찰하였다. 북한은 재미동포정책 모색기(1973-1979)에 미·소 데탕트 분위기속에 대서방 외교를 강화하고 미국과의 평화협정체결을 위한 대미접근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연장선상에서 1973년부터 재미동포사회에 접근을 모색하였고 특히 북한이 고향이거나 이산가족출신, 혹은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학자 출신 등의 영향력 있는 ‘특수인사’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방북초청사업을 추진하였다. 이와 더불어 북한은 재미동포들의 민주화 및 통일운동과 그 단체들을 지지하며 남북체제경쟁에서 우월성도 확보하려고 하였다. 재미동포정책 추진기(1980-1987)에 북한은 경제적 위기의 시작과 김정일로의 권력승계 문제, 서울올림픽을 둘러싼 체제경쟁 강화 및 1983년 북한의 ‘버마 아웅산 폭파사건’과 1987년 ‘KAL기 폭파사건’으로 악화된 북미관계 개선을 위해 미국과의 대화가 절실했다. 이는 북한이 영향력 있는 재미동포들에게 지속적으로 접근하는 동기가 되었다. 북한은 이들을 통해 미국사회에 북한의 입장과 정책을 알리는 대변인 역할을 하도록 의도하였다. 또한 북한은 미국 내에서 일본의 조총련과 같은 대북창구역할을 할 수 있는 재미동포단체를 설립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고 조국통일북미주협회(통협)가 처음으로 북한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은 단체로 출범하였다. 또한 재미동포단체의 남한의 민주화운동과 반군사독재 운동에 적극적인 지지를 보이며 남한에 대한 체제경쟁을 강화했다. 재미동포정책 확대기(1988-1994)에는 북한은 남한의 올림픽 개최와 사회주의권 의 붕괴로 인한 국제적인 고립 및 경제적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재미동포정책을 정치, 외교, 경제, 사회분야까지 확대해 나가기 시작했다. 1988년 남한의 7.7선언과 미국의 대북제재완화로 북한과 재미동포간의 다양한 사회·문화 및 학술교류가 활발해졌고 방북초청사업은 단체관광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재미동포를 통해 북미종교교류가 활발해지기 시작했고 영향력 있는 미국 인사들의 방북과 북한 인사들의 미국방문을 성사시켰다. 북한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나진·선봉, 금강산을 중심으로 재미동포의 자본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대북투자를 유치하려는 노력을 펼쳤다. 그 결과, 북한의 재미동포정책은 미국이나 서방국가의 유력인사들과 친분이 있는 핵심적인 재미동포 인사들을 통해 교류를 늘려가고 이들의 네트워크와 자원을 통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투자를 유도하고 미국정부와의 접촉을 늘려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추진하고자했다. 또한 재미동포의 방북초청사업, 이산가족찾기 사업을 통해 북한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고 북한을 대변할 수 있는 제2의 조총련을 미국에 설립하려는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 결론적으로 재일동포와 정치, 사회적 배경이 다른 재미동포사회에서 조총련이 결성되는 것은 불가능했고 북미수교를 위한 중재역할이나 가교역할에 대해서도 재미동포들은 대체적으로 소극적이었다. 현재 재미동포들은 민족적, 종교적, 인도주의적, 경제적 동기에서 북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70-80년대 통일운동 세대의 노령화로 북한과 통일에 대한 관심은 점차 식어갔다. 이러한 북한과 재미동포간의 인식과 목표차이 및 세대변화는 북한의 재미동포정책의 한계로 남아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nited States from 1973 to 1994.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S. according to these three periods: Policy Development (1973-1979), Policy Formation (1980-1987), and Policy Expansion (1988-1994). This study identifies policy characteristics from each period and analyzes the impact of foreign, domestic, and inter-Korean factors on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S. was developed in the atmosphere of detente as North Korea began to explore ways to strengthen its policy toward western countries, in particularly with the U.S. In hopes of signing the peace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 began to approach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from 1973. This marked the start of the policy development period (1973-1979). In an extension of this effort, North Korea mainly targeted Korean-Americans whose hometown was or had families remaining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y approached “influential” Korean-Americans who were politicians, journalists, religious leaders, or scholars. In addition, North Korea began to actively support the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movement of the Korean-American organizations as an attempt to claim superiority in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policy formation period (1980-1987)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he power succession of Kim Jong Il, North Korea's economic crisis, North-South system competition surrounding the Seoul Olympics, the ‘Rangoon bombing incident’ in 1983, and 'KAL 858 bombing incident’ in 1987. More than ever, Pyongyang needed to resume dialogue and improve relations with Washington and began to approach and invite influential Korean-Americans to North Korea in hopes that they could act as a mouthpiece in the United States for Pyongyang’s policies and position. In that effort, North Korea continued to develop relations with Korean-Americans through humanitarian efforts such as academic and religious exchanges and promotion of family reunions between separated families in the North. Along with this effort, North Korea also began to explore ways to establish pro-North Korea organization in the US, such as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hongryon).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Reunification Association of North America (tonghyup) in the United States in 1986 as the first organization that admitted its direct and formal relationship with Pyongyang. In the policy expansion period (1988-1994), North Korea began to expand the policy to include political, diplomatic,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pheres in order to overcome international isolation and economic crisis. In 1988, South Korea’s ‘July 7 declaration’ and the US eased sanctions against Pyongyang fostered various social,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s with Korean-Americans. This led to an increase in tours to North Korea, with large tour groups organized around major holidays and festivals in North Korea. In addition, religious exchanges between the US and the DPRK vastly expanded, resulting in high-profile US religious leaders and politicians to visit Pyongyang and North Korean officials and organizations to visit the US. North Korea attempted to attract investment from Korean-Americans for the development of Rajin-Sonbong and Mt. Kumgang in hopes of utilizing Korean-American’s capital, network, resources, and expertise for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e Korean diaspora in the United States was devised ultimately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US through Korean-Americans who had networks and connections with prominent Americans who had direct contacts with the US government to influence the US North Korea policy. In addition, North Korea valued the capital, network, and expertise of Korean-Americans as an important resourc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to contribute to it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gain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regime. In conclusion, North Korea’s policy to establish pro-North Korean organization in the US was not realized as the Korean community in the US were different from Koreans in Japan--which had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It was unfeasible to install Chongryon-like institution in the US. In addition, the major policy goal to normalize relations with the US with the aspirations for Korean-Americans to play the role of mediator and bridge between the two countries succeeded to a certain degree from the late 1970s to mid-1990s. However, Korean-Americans’ interests in North Korea are mainly based on ethnic, religious, humanitarian, and economic motivations with less focus on political agendas. In addition, this aging generation of unification movement is leading to waning interest in North Korea and unification. This perception and objectiv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 and Korean diaspora in the US act as main limitations of North Korea's policy toward this group.

      • 만 1세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 방안

        허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적은 만1세 영아의 쌓기 놀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개선 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2. 개선 방안이 교사와 영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자람 어린이집 만1세 새싹반 학급에서 실시했으며, 연구 대상은 새싹반 영아 10명과 공동 담임인 교사와 학급 담임이자 연구자를 포함해 교사 2명이다. 연구자는 영아들의 자유놀이를 관찰과 2014학년도 3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진 쌓기 활동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공동 담임교사와의 면담과 관련 문헌 고찰 등을 토대로 해결 방안을 모색한 후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9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로,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모색, 1차 실행 및 평가, 2차 실행 및 평가, 1, 2차 실행 방안의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알아보고자 동영상 촬영, 연구자 저널, 현장 노트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1세 새싹반의 쌓기 놀이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영아의 동선 및 영아의 흥미를 고려한 물리적 환경의 재정비와 체계적인 계획을 갖춘 관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세심한 관찰을 통해 개별 영아가 쌓기 놀이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였다. 둘째, 새싹반의 쌓기 놀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한 후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물리적인 환경의 재정비를 위해 동선을 조금 더 고려하여 흥미영역을 재배치하였으며, 쌓기놀이 영역의 다양한 놀잇감의 종류에 대한 분석을 거쳐 체계적으로 관리와 교체를 해 주었다. 1차 실행 경과 영아들의 자유로운 탐색과 쌓기 놀이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으며, 단순 반복 조작 놀이에서 다양한 형태의 놀이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영아들이 즐거움과 성취감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영아들에게 탐색과 놀이를 충분히 경험 할 수 있는 시간 제공이 필요하였으며, 영아들에게 발현적으로 나타나는 흥미가 놀이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흥미가 교육적으로 가치 있고 영아들의 놀이를 지속시키고 확장 시킬 수 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 평가를 반영하여 하루 일과를 조절하고 놀잇감을 남겨두어 영아들에게 탐색과 놀이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였으며, 영아의 발현적인 흥미를 반영한 발현적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셋째, 새싹반 영아들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영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고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며, 쌓기놀이 과정에서 즐거움과 성취감을 경험 할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경험이나 흥미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단순 조작 놀이에서 창의적으로 사물을 조작하고 놀이하게 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교사는 질 높은 물리적 환경 구성의 중요성을 재인식과 함께 교사의 놀이개입의 중요성 인식시킬 수 있었다. 세심한 관찰을 통한 적절한 놀이 개입방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질 높은 물리적 환경 구성의 중요성과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지원 환경 구성의 중요성과 영아의 쌓기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지원의 중요성과 다양한 방법, 영아의 흥미를 반영한 발현적인 교육과정의 중요성 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n to activate block play for one-year-old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activation plan on the infants an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How can block play be activated? 2. How does the activation plan affect teachers and infants? Ten one-year-olds in Saessak Class and two teachers―the class teacher and researcher and the co-class teacher―at Jaram Childcare Center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free play of the infants and analyzed the block activity from March to August 2014 to identify problems, developed a solu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he co-class teacher and literature review, and made a specific plan to implement. The study started with problem identification and solution development, followed by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the second implementation and assessment, and assessment of the first and second implementation plan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14, 2014. To investigate the results, video clips, the researcher's journal, and field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with block play in Saessak Class for one-year-olds suggested the ne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give management based on a systematic plan, taking infants' movements and interest into account. Careful observation identified the reasons for individual infants' failing to take interest in block play and suggested the need of a teacher's good support. Second, a plan to solve the problems with block play at Saessak Clas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interest area was rearrang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giving more consideration to movements, and diverse types of play items in the area of block play were analyzed to make systematic management and replacement.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the infants took more interest in free exploration and block play and shifted from simple, repetitive operation play to diverse types of play; in this process, they felt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However, it was necessary to give the infants time to experience full exploration and play and it was found that the infants continued to express emergent interest naturally in the process of play and that such interest could be educationally valuable and maintain and expand their play. In the seco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er adjusted daily routines and left play items to give sufficient time for exploration and play, reflecting the assessment of the first implementation, and implemented an emergent curriculum reflecting the infants' emergent interest. Third, as for the effects of the plan to activate block play for the infants in Saessak Class on the infants and teachers, the infants could make a free exploration, participate actively in play, and feel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block play. They also cam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or interest actively and operate objects and participate in simple operation play crea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teachers could rediscover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intervention in play. They could find out the way to intervene well in play through careful observation and, on this basis, improve their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the importance of a teacher's support condition creation to activate block play for infants, the importance of a teacher's support to activate block play for infants, the importance of an emergent curriculum reflecting diverse methods and infants' interest, and so on.

      • NaCl 수용액 전기분해를 위한 귀금속 담지 전극 제조와 성능에 관한 연구

        허은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NaCl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데 사용되는 전극을 제조하고, 성능을 측정하여 전극제조의 최적의 조건을 검토하였다. 전극은 티타늄 기질 위에 백금을 도포한후 75℃∼110℃범위에서 건조하고 350℃∼600℃범위에서 열처리하여 제조하였다. 그 중 100℃에서 건조하고 500℃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기질위에 백금이 가장 균일하게 도포되었다. 전극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조된 전극 위에 다른 귀금속 활성 물질로 Iridium(Ir), palladium(Pd), Rhodium(Rh)과 전이금속 Nickel(Ni)을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을 제조하여,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전극효율은 Ir>Pd>Rh>>Ni 순이었다. Ir/Pt/Ti 전극의 효율이 100% 이고, Pd/Pt/Ti 전극은 98%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염소과전압은 Ni>>Rh>Pd>Ir 순임을 확인하였으며, 전이 금속 니켈의 활성이 가장 낮았다. This work was investigated optimum condition in the electrolysis of aqueous solution of sodium chloride with preparation the elect rode and measurement the efficiency. After the electrode was dipped platinum on the titanium substrate by dipping method, it was prepared by dry at 75℃∼110℃ and calcination at 350℃∼600℃. It was found that the electrode was the most uniformly dispersed platinum on the substrate at 100℃ for dry and 500℃ for calcination.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of electrode, the prepared electrodes was coated by activated metal such as Iridium(Ir), Palladium(Pd), Rhodium(Rh) and Nickel(Ni) the same as process. As a result, the elect rode efficiency was as follows Ir>Pd>Rh>>Ni. Anode efficiency of Ir/Pt/Ti and Pd/Pt/Ti was 100%, 98% respectively. The overvoltage of chlorine was ordered Ni>>Rh>Pd>Ir. A transition metal, Nickel(Ni), was confirmed the lowest activation.

      •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의 설태와 혀 운동기능의 상관관계

        허은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ngue coating extent of patients with dysphagia and the lingual motor skills caused by strok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2010 to March 2011. The Subjects were selected 17 according to criteria. Treatment was done oral exercise and traditionally swallowing treatment during 4 weeks. We measured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of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the lingual motor skills evaluated through the tongue pressure and diadochokinesia. In addition, we evaluated swallowing ability using New VFSS to ensure whether checking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helps to effective selection and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for the subjects of before and after or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 .05), the lingual motor skills and swallowing abil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5). Second,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and the lingual motor skills before or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p< .05), and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and lingual motor ability after treatment of oral exercise als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p< .05). Third,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and the swallowing ability before oral exercise showed significant correlated statistically(p< .05),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and swallowing ability after treatment of oral exercise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p< .05).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knew that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had the correlation with the lingual motor skills and the oral exercise improve the lingual motor skills and the swallowing ability as well as reduced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Thus, it is considered to help that we could predict the lingual motor function of patients by checking the extent of tongue coating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nd reach the effective swallowing treatment approach. It is needed to study more patients subjected to generalize.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설태 정도와 혀 운동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0년 11월부터 2011년 3월까지였고, 연구대상자 선정 기준에 따라 17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4주 동안 구강운동치료와 전통적 연하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전과 후의 설태의 정도를 측정하고, 혀의 압력과 길항운동반복을 통해 혀의 운동기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설태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효율적인 선별과 치료 중재 접근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New VFSS를 사용하여 연하기능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운동치료 전과 후의 대상자의 설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혀의 운동기능과 연하기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둘째, 구강운동치료 전의 설태의 정도와 혀의 운동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 .05), 구강운동 치료 후의 설태의 정도와 혀의 운동기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셋째, 구강운동 치료 전의 설태의 정도와 연하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05), 구강운동 치료 후의 설태의 정도와 연하기능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들의 설태 정도는 혀 운동기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구강운동치료는 혀 운동기능과 연하기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설태의 정도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의 설태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환자의 혀 운동기능을 예측하여 효과적인 연하치료 접근에 이르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일반화를 위해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 일 대학병원 외래환자의 적정진료에 대한 환자경험평가 연구

        허은경 건양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duct a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on outpatients of a general hospital to identify the medical service status experienced by the patients in the overall process of outpatient care and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patient experience and perception. A total of 100 patients, who had more than 2 outpatient clinic visits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4, 2018, to May 28, 2018,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sex, there was a larger distribution of females with 60.0% females and 40.0% males. Regarding age, there was a larger distribution of age group >60 years old than that of <59 years old with 53.0% >60 years old and 47.0% <59 years old. 2. For the motivation for using the hospital, “Hospital is close by”was the highest with 42.0%, followed by “Medical staff is skilled” with 36.0%, “Recommended by another hospital” with 7.0%, and “Recommended by people” was the lowest with 1.0%. 3. Among user satisfaction of hospit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various amenities within the hospital (OA equipment, Automated Teller Machine, etc.)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3.93 points, followed by use of doctor’s office and examining room of 3.14 points, signs within the hospital of 3.13 points, and use of parking facility was the lowest with 2.93 points. 4. The total average score of outpatient nursing staff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was 3.00 points. Respect·politeness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3.19 points, followed by effort related to handling help needs of 3.02 points, listening attentively of 2.97 points, and explanation on hospital life was the lowest with 2.81 points. 5. The total average score of administration and treatment process satisfaction was 3.11 points. Provision of cautions after discharge and information on treatment plan received the highest point of 3.23 points. As shown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dentify the issues for providing the patient-centric medical services and to seek plans for medical services that meet the patient needs and differentiated medical services.

      • 부부간의 상호작용과 결혼만족도 및 신체적·심리적 건강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허은경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couple inter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but also to search for the ways for reinforcement of marital relationship and prevention of divorce. Also, this study was to provide empirical based evidence needed for education and consulting of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ar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that couple's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ha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that couple's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 ha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858 married couples selected from child care centers and preschool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ork-places,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do, Chungchongnam-do, Chungchongbuk-do, and Cheongju.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Tukey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distribution of Skewness and Kurtosis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test of APIM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AMOS 7.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husband perceived more martial satisfaction,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than the wife. However, positive or neg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both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positive inter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igher level of positive interac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or effect of the husband and wife, indicating the influence of positive inter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milar. In contra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partner effect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partner effect of wife's positive interaction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bigger than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positive interaction on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ird, both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negative inter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higher level of negative interaction was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husband and wif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or effect of the husband and wife, indicating the influence of negative inter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milar. In contra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partner effect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partner effect of wife's negative interaction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bigger than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negative interaction on wife’s marital satisfaction. Fourth, for both husband and wife, martial satisfaction had the effect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Compared to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was more explained with marital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was bigger than the influence of wife’s.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o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Six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coupl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married couple's positive/negative interactions had actor and partne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on physical /psychological health of couple.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fo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ealth. Moreover,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 for marital education programs and counselling settings. 본 연구는 부부의 긍정적․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어떠한지, 결혼만족도가 부부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부부간의 상호작용과 결혼만족도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아 부부관계를 강화시키고 이혼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과 부부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여 건강한 부부관계를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부부교육 및 상담현장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대전, 충청남도, 충청북도 청주시와 청원군에 소재한 25개의 유아교육기관, 초등학교, 중학교, 직장, 종교기관을 통하여 수집한 부부 858쌍이었다. 자료는 질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유의 표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증을 하였고, 측정변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Cronbach's 내적 합치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들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제안된 이론적 모델의 자료적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AMOS 7.0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APIM 모델을 활용하여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한지, 그리고 각각의 효과가 배우자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결혼만족도,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이 아내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부부간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남편과 아내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편과 아내 모두 부부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부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는 모두 높아졌다. 부부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하지만 자기효과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남편과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내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남편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남편과 아내 모두 부부간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남편과 아내 모두 부정적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낮아졌다. 부부간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하지만 자기효과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남편과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남편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남편과 아내 모두 결혼만족도가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혼만족도가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고,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남편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아내의 결혼만족도가 아내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남편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가 청소년기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가 유아기와 학령기일 때 더 크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아내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가 학령기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남편과 아내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는 자녀가 유아기와 학령기일 때는 차이가 없었으나 청소년기에는 남편의 자기효과가 아내보다 크게 나타났다. 반면 남편과 아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유아기와 학령기인 경우 남편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아내보다 더 크게 나타났고, 청소년기는 상대방효과에 차이가 없는 반면 상대방효과의 영향력은 자녀가 유아기나 학령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유아기인 경우 남편과 아내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학령기와 청소년기에는 아내의 상대방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일곱째,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남편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가 학령기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고, 아내의 결혼만족도가 아내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가 유아기 일 때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혼만족도가 남편과 아내의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부부간의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미치고, 부부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에도 부부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은 결혼만족도가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해 주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남편과 아내를 독립적으로 조사해왔던 연구의 한계를 인지하고 상호역동적 관점에서 부부를 한 쌍으로 분석하는 APIM 모델을 적용하여 부부간의 긍정적·부정적 상호작용과 결혼만족도 및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어떠한지를 밝혀 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부부간의 상호작용과 결혼만족도 및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아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관계의 강화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부부교육 및 상담현장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도 의의를 둔다.

      • 유방암 생존자의 직장복귀 경험

        허은경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방암생존자들의 직장복귀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질적 연구방법이다. 연구 대상자는 유방암 진단당시 직장경험이 있는 10명으로 30-55세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9월에서 11월 까지 이었다. 직장복귀경험 내용을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방암 생존자의 직장복귀 경험은 네 가지의 주제로 구분되었으며 ‘달라진 외모를 감추고 싶음,’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일상을 되찾아감,’ ‘직장복귀에 대한 주변인들의 엇갈린 반응,’ ‘일과 치료의 병행으로 인한 부담감’이다. 본 연구의 유방암생존자 들의 평균 병가기간은 6개월 미만으로 참여자 대부분이 3개월 이내에 직장생활에 복귀하였다. 달라진 외모를 감추고 싶어 했고, 직장에 복귀할 것인가 또는 직장을 그만둘 것인가를 저울질하는 갈등 상황과 업무에 적응하는데 많은 사회적 지지와 직장에서 동료들의 지원과 일의 유연성과 같은 인자가 그들의 복귀에 도움을 주었다. 직장복귀에 대한 야유나 지나친 관심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부정적 반응으로 인지되고 있었고, 전처럼 편안하게 대해 준 것은 긍정적으로 인지되고 있었다. 일과 치료의 병행으로 인해 신체적으로 힘들어 했으며 시간 조절 부담감, 경제적 압박감, 정서적으로 민감해짐을 느끼고 있었다. 유방암 생존자들의 성공적인 직장복귀를 위해서는 달라진 외모 관리나 대처법에 대한 교육과 상담지원이 요구되며 최대한의 사회적 지지를 받도록 하는 환경조성과 직장복귀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많이 하도록 주변인들의 교육이 필요하다. 일과 치료의 병행으로 인한 부담감은 충분한 병가기간과 업무시간 유연성, 보험혜택 확장, 많은 정서적 지지와 차별대우를 하지 못하도록 법적인 보호 장치가 있어야 한다. 유방암 생존자들이 여성 인력시장에서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동료나 가족뿐만 아니라 직장이나 정부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escriptive-qualitative study of the return-to-work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surviv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 women who were working at the time when they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hey were at the age of 30 to 55, and data were gather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9, by holding an in-depth interview to find out their return-to-work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eturn-to-work experiences of the breast cancer surviv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desire for hiding a changing appearance,' 'getting back to normal daily routine life through social support,' 'mixed reactions from people around toward their return-to-work,' 'pressure caused by work and treatment.' The breast cancer survivers took a sick leave of less than six months on the average, and most of them got back to work within three months. They wanted to hide their changing appearance and had a hard time physically as they had to work and receive treatment at the same time. Besides, they found it burdensome to take time to receive treatment, and were under financial pressure. And they got increasingly sensitive. They couldn't decide whether to get back to work or not, and a lot of social support and the backing of colleagues served to step up their return-to-work and adjustment. They became stressed out when others ridiculed their return-to-work or were overly interested in it, and they felt at ease when others treated them in the same comfortable manner as before.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return-to-work of breast cancer survivers, they should receive education or counseling about how to take care of their changing appearance or cope with it, and the kind of environments that provide them with the best social support as much as possible should be created. People around them should be advised to look at their return-to-work in a positive way. As having to work and receive treatment at the same time put a strain on them, leg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llow them to take a sufficient sick leave, to regulate their working hours flexibly, to receive more benefits from insurance, to be given ample emotional support and not to be discriminated in any way. Not only their colleagues and families but their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back them up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for them to fully show what they can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