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지 개성이 자아일치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허영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주목적은 커피관광지 개성이 자아일치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목적은 관광객들이 인지하는 커피관광지 개성이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개념을 유형화하고,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강릉이 커피관광지로서 상징화되고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관광지 개성을 “현대의”, “세련된”, “전통적인”, “여유로운”으로 구성하였고, 자아일치성은 실제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로 구분하였으며, 행동의도를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로 구성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강릉의 안목해변을 찾은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6년 6월18일-7월 3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224부의 표본을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첫째, 커피관광지 개성은 자아일치성과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관광지의 개성의 하위요인인 “현대의”, “세련된”, “전통적인”, “여유로운”은 모두 이상적 자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세련된” 요인은 실제적 자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일치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적 자아, 이상적 자아 모두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피관광지 개성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관광지 개성의 하위요인인 “현대의”, “세련된”, “전통적인”, “여유로운” 요인은 모두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여유로운”요인만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강릉의 안목해변은 국내의 커피관광지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관광객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가 탐색적 수준에서 유의 정도를 밝히는 데 그쳤으나 실증연구를 통하여 커피관광지 개성이 자아일치성에, 자아일치성이 행동의도에, 커피관광지 개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규명하고 실질적으로 강릉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어필해야할 중요성을 인식시키므로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에서는 중요한 제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강릉의 안목해변은 커피라는 주제를 확대하여 다양한 관광객 연령층의 확보할 수 있는 방안과 접근성을 고려한 교통편 증대, 다양한 커피관련 상품 개발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위한 끊임없는 개선과 변화를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강릉의 안목해변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다양한 장소와 커피관련 관광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의 커피관광지에 대한 확고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국외와의 비교 또는 국내에서 안목해변과 같이 커피를 특화시켜 상품화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커피관광지와 같은 소규모 관광지의 경우 경유지 이거나 머무르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관광지 개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커피관광지 개성이 자아일치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었으므로 더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계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s of the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on self-congr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asures to symbolize and vitalize Gangreung as a coffee destination by classifying the concept of factors composing the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and also determining the relations. In this study, the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was composed of "contemporary", "sophisticated", "traditional", and "leisurely" while self-congruity was composed of actual-self and ideal-self.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composed of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otal three hypotheses were set up. Targeting tourists of Anmok Beach in Gangreu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8th to July 3rd 2016 to verify the hypotheses based on 224 samples. Using SPS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self-congr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ll the sub-factors of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such as "contemporary", "sophisticated", "traditional", and "leisurel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deal-self while the factor "sophisticated"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actual-self. Second, self-congruity had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while all the actual-self and ideal-self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the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All the sub-factors of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such as "contemporary", "sophisticated", "traditional", and "leisurely"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hile only the factor "leisurely"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Anmok Beach in Gangreung has been settled down as a domestic coffee destination showing positive image to tourists. Even though this study just revealed the degree of significance in the exploratory level, it suggested the practically meaningfu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and self-congruity, self-congr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ts appealing to tourists visiting Gangreung, which could be an important suggestion to the future researches. Li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mok Beach of Gangreung needs to have continuous improvement and changes for the local vital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ffee-related products and increase of transportation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and measures to secure diverse tourist age groups by expanding its theme of coffee. Nex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as it is a study targeting tourists visiting Anmok Beach of Gangreung,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targeting diverse spots and coffee-related destinations. Second, as it did not suggest a solid theoretical basis of coffee destinations of Korea, the future researches would need to target regions that specialize/commercialize coffee like Anmok Beach or to compare with foreign cases. Third, in case of small-scale destinations like coffee destinations, they are the stopover for a short tim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definition personality. Lastly, as this study is only limited to the effects of coffee destination personality on self-congruity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relations with more diverse variables.

      • 기독교 색채의 상징의미와 연상작용에 의한 표현연구 : 본인 작품「성령의 열매」를 중심으로

        허영은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Art and religion are closely connected to human's mental and cultural area. The forms are different, but start from samel contents the natrure of spirit, thought. Religion and art not oly express beauty, but also imply deep religious meaning, mystical and spiritual things, and sincere expression of human's life. In case of Christian artists, they would strive to complete creative mission through God's bestowed creative competencies and talents. They would go for representing as artistic works experiences religious contents and experiences through religion, the phase of life as a Christian based on Christian faith, in other words, they endeavor to produce a creatively fused work of religion and art. This researcher made effort to express God's character revealed in Christian life based on this artistoic mission and faith.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meaning God's character are Agape(Ajgavph), Happiness(Carav), Peace(Eijrhvnh), Perseverance(Makroqumiva), Charity(Crhstovth), Goodness (Ajgaqwsuvnh), Loyalty(Pivsti), Gentleness(Prauth), Moderation(Rejgkravtei). They are accomplishments Christians as well as all people should cher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shape to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and sublimate Christian faith into work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association and feeling effect of colors, to lint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to emotions created by color expression. Furthermore, in expressing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it is to sympathize with color expression through meeting of religion and art, and induce continuous concern about colors. The study approach was to explore Biblical and Christian related literature to mak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fruits of the Holy Spirit. Also to investigate the symbolism and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s,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on literature through colors related articles and books. Based on this study, decided the symbolic color of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and made up works using Jangji coloring technique. As expression materials, used powder, stone materials and glass grain power, and sprayed glue at Janggi on the foundation, and coated whiting and calcite powder. By dripping and overlapping many kinds of dyestuffs, put focus on deep color expression. As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istically used transparency expression through pointillism and glass grains. For a sketch, used a color point getting brighter and brighter to high brightness from a sketch of color similar to the foundation color. The effect of repeating and overlapping the sketch gave a sense of rhythm and solidity over the screen, so it was fit for expressing the spreading of holy spirit. For transparency, expressed it using glass grains. The glass grains of opaque white color looked in various tone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ickness covering the foundation color. The Reflected color sense was effective in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spirit not as a uniformed simple color.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the symbolic colors of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were expressed main color covering over 50% of the whole area. Each symbolic color and color tone is as follows. Love fruit, dried honeysuckled stems and leaves with read color symbolizes love, passion, Jesus' blood, fire, and the used color tone with stone color gave a clear and energetic feeling. Joy and pleasure fruit, rose with orange color symbolizes joy, friendship, hope and ambition, and the used color with Vivid tone gave a clear and bright feeling. Peace and harmony fruit, lily with yellow color symboiizes the sun, light, halo and brightness, and the used color with Bright tone, gave a clear and bright feeling. Long-patience Songseol-cho with bluish-green color symbolizes obedience to the mother nature, eternity, God's color, the used color gave with medium bright and chromatic Strong tone of tonal color combination, gave a clam feeling. Charity fruit, mignonette with greenish brown symbolizes endurance, strongness, growth, courage, the used color with Dull tone gave a modern and indistinct feeling. Bestowing goodness, wild chrysanthemum with green symbolizes vitality, fresh verdure, and good deed, the used color with Light tone gave a natural feeling. Loyalty fruit, forget-me-not with blue color symbolizes prudence, sincerity, loyalty, faithfulness, righteousness, and the used color with Deep tone gave a deep and calm feeling. Gentleness fruit, violet with violet color symbolizes grace, remorse, sacrifice, and nobleness, the used color with Bright tone gave a stable feeling. Mediation fruit, wall flower with purple and violet symbolizes mediation, humbleness, remorse, ,ejestic air, power, the used color with Light tone gave a static feeling. Second, complementary color was that similar color or color tone to the main color. Third, accent colors were mainly whites and yellows, arranged with pale, Light tone, highlighted with bright and clear feelings. For the entire image of color arrangements, the fruits of love, joy and pleasure and bestowing goodness gave a soft feeling of medium brightness and chroma, and the fruit of peace and harmony gave a warm and soft feeling of high brightness and chroma, and that of gentleness gave a static feeling of medium brightness and chroma. Finally, the fruit of loyalty gave a mobile feeling of medium brightness and high chroma. the colors appearing at the works as above expres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with arrangement of same or similar color or color tone and soft, gentle feelings, static and calm feelings. In this study, colors in painting take on a symbolic effect as one language, and their feelings could be under control of the technique.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messages and colors' feeling effect would be alive and expected that the power of clors in painting works would form a positive, convenien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ure the internal. 예술과 종교가 인간 정신문화 영역에서 서로 깊이 연결 된다. 그 형식은 다를지라도, 정신의 본질인 사유를 통한 동일한 내용에서 시작되고 있다. 종교와 예술은 아름다움만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깊은 신앙적 의미와 신비한 영적인 것, 그리고 인간의 삶의 진실한 표현이 함축되어 있다. 기독교 예술가의 경우는 하나님이 주신 창조적 능력과 재능을 통해 창조적 사명을 완성하고자 한다.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종교적 내용이나 종교를 통한 체험, 기독교인으로서의 삶의 단면을 예술작품으로 표상해 나아가는 것이며, 즉 종교와 예술이 창조적으로 융합된 작품을 제작 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예술적 소명을 갖고 신앙심을 바탕으로 그리스도인의 삶속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하나님의 성품을 의미하는 성령의 열매는 사랑(Ajgavph), 희락(Carav), 화평(Eijrhvnh),오래참음(Makroqumiva),자비(Crhstovth),양선(Ajgaqwsuvnh), 충성(Pivsti), 온유(Prauth), 절제(Ejgkravtei)이다. 이는 곧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간직해야할 소양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성령의 열매를 형상화하여 기독교 신앙을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며, 특히 색채가 갖는 연상이나 감정효과에 주목하여, 성령의 열매를 색채 표현이 주는 정서와 연결하는데 있다. 성령의 열매를 표현함에 있어 종교와 예술의 만남을 통해 색채 표현에 공감하고 색채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먼저 성령의 열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성서 및 기독교 관련 서적을 살펴보았다. 또한 색의 상징성과 심리적 효과들을 알아보기 위해 색채관련 논문 및 서적을 통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령의 열매 상징색을 정하고 장지 채색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표현 재료로 분채와 석채 및 유리알 가루를 사용하였으며, 바탕면은 장지에 아교포수를 한 후 호분과 방해석 가루를 칠하였다. 여러 가지 물감을 드리핑 하거나 중첩하여 밑칠을 해 줌으로써, 깊이 있는 색채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표현기법으로는 점묘기법과 유리알을 통한 투명성 표현을 특징적으로 사용 하였다. 점묘의 경우는 바탕색과 비슷한 색상의 점묘로부터 점차 고명도로 밝아지는 색점을 사용하였다. 점묘를 반복, 중첩하는 효과는 화면 전체에 리듬감과 입체감을 주며, 영성의 퍼짐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투명성의 경우는 유리알을 사용해 표현하였다. 불투명한 흰색의 유리알은 밑색을 덮고 있는 두께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톤으로 보여졌다. 투영되는 색감은 획일화된 단색이 아닌 것으로 영의 이미지를 전달하기에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령의 열매의 상징색은 전체면적의 50%가 넘는 주조색으로 표현하였다. 각각의 상징색과 색조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사랑의 열매 인동초는 빨간색으로 사랑, 열정, 예수의 피, 불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Strong톤으로 선명하고 정열적인 느낌을 주었다. 희락의 열매 장미는 주황색으로 기쁨, 우호적, 희망, 야망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Vivid톤으로 선명하고 밝은 느낌을 주었다. 화평의 열매 백합은 노란색으로 태양, 빛, 후광, 밝음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Bright톤으로 밝고 가벼운 느낌의 부드러움을 주었다. 오래 참음 열매 송설초는 청록색으로 자연의 순응 영원함, 신의 색을 상징하며, 토널 배색으로 중명도 중채도의 Strong톤으로 차분한 느낌을 주었다. 자비의 열매 목서초는 녹갈색으로 지구력, 강함, 성장, 용기를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Dull톤으로 모던하며, 은은한 느낌을 주었다. 양선의 열매 들국화는 녹색으로 생명, 신록, 선행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Light톤으로 밝고 자연적인 느낌을 주었다. 충성의 열매 물망초는 파란색으로 신중, 성실, 충실, 진실, 정의를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Deep톤으로 깊고 차분한 느낌을 주었다. 온유의 열매 오랑캐는 보라색으로 우아, 회개, 희생, 귀족성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Bright톤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었다. 절제의 열매 계란 풀은 자주색으로 절제, 겸허, 참회, 위풍, 권력을 상징하며, 사용된 색조는 Light톤으로 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둘째, 보조색은 주조색의 유사 색상이나 유사 색조를 사용하였다. 셋째, 강조색 으로는 흰색과 노란색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Pale, Light 톤으로 배색하여, 밝고 선명한 느낌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넷째, 전체 작품의 배색이미지는 사랑·희락·양선의 열매는 중명도·고채도의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고, 화평의 열매는 고명도·고채도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온유의 열매는 저명도 중채도의 온화하고 차분한 느낌을 오래참음·자비·절제의 열매는 중명도·중채도의 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충성의 열매는 중명도, 고채도의 동적인 느낌을 주었다. 위와 같이 작품에 나타난 색채는 대체로 동일색상이나 유사색상, 유사색조 배색으로 부드럽고 온화한 느낌, 정적이며 차분한 느낌들로 성령의 열매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회화에서 색은 하나의 언어와 같은 상징효과를 띠고 있으며, 기법에 따라 그 감정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작품을 통해 성령의 열매가 갖는 메시지와 색의 감정효과가 살아있기를 희망한다. 회화작품에서 나타난 색채의 힘을 통해 긍정적이며 편안한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하고, 내면을 치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리듬 지도 방법에 관한 학위 논문 분석 : 유·초등학생 대상을 중심으로

        허영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음악 교육에서 리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음악교육 전공자들 가운데서도 리듬 지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논문들의 수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자료의 양적 팽창은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어려움을 준다. 그러므로 정보 자료를 분야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선별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5년까지 제출된 유·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한 리듬 지도 방안에 관련된 국내 석사 학위 논문을 수집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함으로 선행 연구물에 대한 올바르고 체계적인 정보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하여, 리듬 지도에 관한 논제의 선정과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수집한 논문 총 46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들 논문을 ‘논제별’, ‘내용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내용별 분석에서는 ‘리듬 지도 이론에 관한 논문’, ‘리듬 지도 방안 제시에 관한 논문’, ‘리듬지도 방안 적용에 관한 논문’으로 분류하고 이를 세분화하여 내용 정리를 하였다. ‘리듬 지도 이론에 관한 논문’은 8편으로 17%였다. 이 중 달크로즈의 이론을 연구한 논문은 총 8편중 6편으로 75%였다. 이는 달크로즈의 학습법이 유·초등학생의 신체 발달 특성에 맞추어 리듬을 지도하기에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들 논문들 가운데는 이론에만 치우쳐 연구된 논문도 있었으나 대부분 이론적인 내용 고찰을 통해 현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리듬 지도 방안 제시에 관한 논문’은 23편으로 50%였다. 이 중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7편이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16편이었다. 이들 논문 가운데는 이론적인 내용에만 치우쳐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거나 비슷한 논제를 선택하여 중복 연구한 논문들도 있었으나 수업에 실제 적용 할 수 있도록 아동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지도 방안을 제시한 연구들이었다. ‘리듬 지도 방안 적용에 관한 논문’은 15편으로 33%였다. 이 중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은 5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10편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현장에서 리듬 지도 방안을 적용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논문들이 과학적인 실험 방법과 신뢰도 있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하였으나 자작검사도구를 사용하거나 관찰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여 현장에 일반화하기 어려운 연구도 있었다. 한편 멀티미디어를 이용하여 리듬 지도 방안을 적용하고 결론을 제시한 3편의 논문은 점차 발전하는 기자재를 활용한 연구로 의미를 갖는다. 유·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듬 지도에 관한 학위 논문들의 경향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새롭고 창의적인 논제의 논문이 많이 발표되어 학교 현장의 음악 수업에서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As the importance of rhythm is highlighted in music education, the number of Thesis prepared by those who have studied music education, and particularly focused on rhythm teaching, is increasing annually.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such information data makes it harder for us to find out necessary data promptly and accurat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oose selectively and organize information data systematically by field. This study aims to offer correct and systematic information about previous research to researchers and to help them designate a subject for a thesis about rhythm teaching and set up a direction by collecting korean master’s thesis about rhythm teaching aimed at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ed from 2000 to 2005, by analyzing their research trend and proposing analysis results. Therefore, a total 46 thesis collected as above purpose were classified by “subject” and “contents”. In particular, for analysis by contents, the Thesis were classified into “Thesis about rhythm teaching theory”, ”Thesis about the proposal of rhythm teaching methods”, and ”Thesis about the application of rhythm teaching methods”, and their contents were organized in detail. Of these, seven thesis were about “rhythm teaching theory,” which accounted for 17%. Among others, thesis about Dalcroze’s theory were six out of eight, which accounted for 75%. This is probably because Dalcroze’s teaching method is appropriate for teaching rhythm to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it is suited to their features of physical development. Some of them were excessively focused on the theory only, but most of them were intended to propose meaningful points through a consideration of theoretical contents. There were 23 Thesis about “rhythm teaching methods,” which accounted for 50%. Among others, seven Thesis were aimed at preschool children and 16 Thesis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me were hardly applicable as they were too focused on theoretical contents and others studied similar subjects so could be considered as duplicated to some extent; however, they proposed teaching methods suited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so that the teaching methods may be actually applied to a class. There were 15 Thesis about “the application of rhythm teaching theory,” which accounted for 33%. Among others, five Thesis were aimed at preschool children and ten Thesis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hows that there is active research into applying rhythm teaching methods to a class and withdrawing result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Thesis conducted research by using scientific experimental methods and reliable test tools, but it was difficult to obtain generalizations for a class from some research as they used self-made test tools or proposed results through observation. On the other hand, three Thesis that proposed results after applying rhythm teaching methods by using multi-media are meaningful as research utilizing more developed devices. Hopefully, Thesis with many new creative themes will be published for contributing to making the music class at schools practical and effici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trend of Thesis for master’s degrees about rhythm teaching aimed at preschool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