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른 유아의 채소 섭취 실태 및 보육기관 식단 만족도 조사

        허남주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른 유아의 채소 관련 식습관 및 보육기관의 식단만족도와 채소반찬을 기피하는 유아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등원하는 유아 자녀를 둔 학부모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라 각각 상(27.5%), 중(47.5%), 하(25.1%)로 구분하여 각 변수의 빈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라 자녀의 성별, 연령, 어린이집 유형의 분포, 기피하는 식재료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았다. 2.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센터 교육 및 이벤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중 인지도군의 경우 10.7%로 매우 낮았고, 상인지도 군의 학부모조차도 58.6%에 그쳤다(p<0.05).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자녀 식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상 인지도군의 경우 88.6%에 비해, 중인지도 군의 경우 63.6%보다 높았는데,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상인지도군, 중인지도군 모두 ‘영양적 식단’이 각각 45.2%, 59.7%로 많이 응답하였고, 상인지도군은 영양 및 위생교육(25.8%), 어린이 식습관 개선(24.2%), 위생적 조리환경(4.8%)이 뒤를 이었다. 중인지도군은 어린이식습관개선(20.8%), 영양 및 위생교육(16.9%), 위생적 조리환경(2.6%)순으로 나타났다. 3.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와 무관하게 자녀의 보육기관 식단을 알고 있다는 비율은 98.0%로 나타났는데, 자녀가 다니는 보육기관의 식단 작성자를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영양사으로 응답한 비율은 상인지도군은 77.1%, 중인지도군은 62.0%였고 하인지도군의 경우 ‘조리사’나 ‘고용영양사’라고 알고 있는 비율(각각 26.6%)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영양사’로 알고 있는 비율(20.3%)보다 높았다(p<0.05).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른 보육기관의 식단에 관한 전반적 만족도는 상인지도군의 경우 78.5%가 ‘만족’ 이상으로 답하여 중인지도군 67.7%와 하인지도군 57.8%에 비해 높았다(p<0.05). 4. 유아가 하원 후 보육기관 식단에 대해 이야기 하는 빈도는 ‘항상’, ‘자주’라고 응답한 비율이 상인지도군은 45.7%로 중인지도군 18.1%, 하인지도군 14.1%보다 각각 2.5배, 3배 높았다(p<0.01).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상인지도군의 경우, 유아의 71.5%는 보육기관 식단에 ‘만족’ 이상으로 답하여 중인지도군 54.5%나 하인지도군 53.2%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에 미치지는 못했다(p=0.061). 5. 유아가 채소를 기피하는 이유는 ‘맛’이 전체적으로 35.7%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질감’, ‘먹어 본 적이 없어서’, ‘습관적으로’, ‘향이 강해서’, ‘조리법’, ‘색깔’, ‘과거 안 좋은 기억’ 순으로 뒤를 이었는데,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라 상인지도군의 경우 ‘먹어본 적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21.4%로 중인지도군과 하인지도군보다 크게 높았다(p<0.05). 한편 유아가 채소를 좋아하는 이유는 ‘몸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가 28.6%, ‘주변(가족, 친구)의 영향’, ‘맛’이 뒤를 이었고 부모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인지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6. 조사대상자인 부모의 74.1%가 가정에서 자녀가 채소를 섭취하지 않을 경우 ‘노력한다’라고 응답하였는데 노력하는 방법으로 ‘채소를 먹으면 좋은 점에 대해 설명해 줌’에 응답한 비율이 63.5%, ‘채소가 보이지 않도록 조리방법을 다르게 함’이 31.2%이었다. 자녀의 채소 섭취 증가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하인지도군의 경우 31.3%로 상인지도군 14.3%, 중인지도군 17.7%보다 각각 2배, 1.5배 높았다. 부모가 판단한 유아의 채소 선호에 따라 고선호군(53명, 20.8%), 중선호군(119명, 46.7%), 저선호군(83명, 32.5%)으로 구분하여 채소섭취관련 식습관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 채소 섭취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으로 ‘맛’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7.5%로 가장 높았고 ‘모양’ 13.3%, ‘색’ 9.8% 이 뒤를 이었고 군간 차이가 없었다. 채소 저선호군 유아의 경우 가정에서 1끼에 제공받는 채소 반찬 수를 ‘1찬 이하’로 답한 비율이 66.2%로 중선호도군 47.0%와 고선호도군 15.1%보다 높았고(p<0.01), 1끼에 섭취하는 채소반찬 수를 ‘1찬 이하’로 답한 비율도 89.2%로 중선호도군 61.4%와 저선호도군 39.6%보다 높았다(p<0.01). 유아가 가정보다 보육기관에서 채소반찬을 더 많이 먹는다고 생각하는 부모의 비율은 유아의 채소 저선호도군의 경우 81.9%로 중선호도군 68.1%와 고선호도군 39.6%보다 높았다(p<0.01). 8. 유아가 싫어하는 채소의 색은 채소 선호에 따른 군간 차이 없이 22.4%가 초록색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빨간색과 검정색(각각 18.0%), 흰색(16.1%), 주황색(11.0%), 보라색(9.8%), 노란색(4.7%)가 뒤를 이은 반면, 유아가 좋아하는 채소의 색으로 노란색을 답한 비율이 채소 저선호군에서 15.1%로 채소 고선호군 1.9%의 8배로 높았으며, 흰색으로 답한 비율은 37.3%로 고선호군 17.0%의 2.5배에 달하여 유의적 차이가 났다(p<0.01). 9. 유아가 싫어하는 채소 1위는 가지와 파프리카로 각각 11.8%가 응답했고, 버섯과 콩이 각각 9.8%, 당근 8.6%. 시금치, 오이가 각각 7.8%로 뒤를 이었으며, 유아가 좋아하는 채소 1위는 콩나물로 22.7%가 응답하였고, 당근이 12.2%, 오이, 시금치가 각각 10.6%, 브로콜리 6.7%, 버섯 6.3%, 파프리카 3.9%로 뒤를 이었는데 채소 선호에 따른 군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10. 유아가 싫어하는 채소조리법은 군간 차이 없이 1위가 나물(22.4%)이었고, 국‧탕‧찌개(14.9%), 무침(14.5)가 뒤를 이었는데, 좋아하는 조리법은 군간 차이가 유의적이어서, 채소 저선호군의 경우 일품(32.5%)이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볶음(14.5%), 무침 (9.6%), 국‧탕‧찌개(9.6%)가 뒤를 이은데 비해, 고선호군의 경우 나물(28.3%)이 가장 높았고, 볶음(17.0%), 무침(13.2%)이 뒤를 이었다(p<0.05). 11. 주사대상자인 부모가 유아에게 제공한 이유식으로 첫 번째 이유식은 거의 곡류(93.3%)였고, 두 번째 이유식은 육류(36.9%)와 서류(34.5%)가, 세 번째 이유식으로도 육류(38.6%)와 채소류(25.9%)로 응답하였다. 한편 채소류를 제공한 비율은 첫 번째 이유식의 경우 0.8%, 두 번째의 경우 16.5%, 세 번째의 경우 25.9%로 나타났다.

      • 소설의 영상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소설「오래된 정원」과 영화〈오래된 정원>을 중심으로

        허남주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설을 영상화한 작품을 통해 원작소설과 영화의 내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원작소설과 영화의 관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분석텍스트로 삼은 것은 소설『오래된 정원』과 이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 <오래된 정원>이다. 각기 다른 두 매체 콘텐츠의 비교 분석을 통해 원작소설이 영화화되면서 공통적으로 유지되는 부분과 달라지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설과 영화의 변별은 그것들이 담아내는 이야기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각각의 매체 즉 언어와 영상이라는 전달수단에 의해서이다. 소설의 영상화란 동일한 이야기를 문자에서 영상으로, 매체만을 달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문학이라는 문자의 추상적 세계를 영상의 구상 세계로 옮겨 놓는 일이며 따라서 새로운 텍스트의 구축을 요구하는 것이다. 원작소설과 영화의 가장 큰 차이는 플롯에서 드러난다. 그 이유는 서사적 내용과 그것을 전달하는 작가(감독)의 담론을 드러내는 가징 상위의 형식이기 때문이다. 원작소설의 스토리를 충실하게 반영한 영화 <오래된 정원>의 임상수 감독의 담론은 원작소설의 작가 황석영의 시각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텍스트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소설을 영화화하는 과정에서 플롯과 성격, 담론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은 두 장르의 양식적 특성, 작가와 감독이 가진 세계관의 차이에 기인한다. 영화는 소설과 서사예술로서 동질성을 갖고 있으며 서로 상호텍스트성을 갖고 있다. 영화는 소설과 동질의 양식과 기능을 지니고 있고, 성격창조를 통해 인간을 드러내고 플롯을 통해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며 담론을 통해 감독의 세계관을 표현한다. 소설『오래된 정원』과 영화 <오래된 정원>은 소설과 영화라는 매체의 차이로 여러 부분이 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원작소설과 영화의 서사전개가 달라졌는데 소설에서는 주인공 현우의 감옥생활과 운동권 시절 이야기가 윤희의 과거부분과 비슷한 분량으로 채워져 있었다. 반면 영화에서는 오현우와 한윤희의 만남과 사랑 이야기가 중심축을 이루었고 소설에 나타난 한윤희의 베를린 유학시절이 생략되어 있었다. 또한 원작소설이 1인칭 시점으로 진행된데 반해 영화는 매체의 특성 상 3인칭 객관적 시점을 유지하게 되었다. 이런 시점의 변화는 서사적 전이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소설 『오래된 정원』과 영화 <오래된 정원>을 비교하여 소설과 영화의 매체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함께 서사의 전개와 등장인물의 창조와 변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소설이 영상화되는 과정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imaging process of a novel and film by means of a screen version of a novel. To what degree can and cannot the film replace the original work? The novel <The old garden> and its screen version are used as the main text for this analysis to better clarify their relations. As making a screen version of a novel, its story can be kept while the plot cannot. It is the result of the features of written language and screen language reflected in the plot, due to their advantages in dealing with time and space respectively. Also, there are modifications in a character’s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while those in a film are more simplified than in the original novel. The most important transfiguration is in the aspects of discourse. The tex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ilm <The old Garden> which faithfully reflects the novel’s story is very different from the author’s original one. The changes in its plots,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discourse during the picturizing process result from the differences in styles of those two genres and in the out look on the world of the indivisual author and director. A novel and film carry homogeneity and compatibility as a narrative art. The Film has the same style and function like the novel, and it exhibits human by creating different personalities reflects the whole human life via the plot, and expreses the director’s world view through discourse. However, the homogeneity in styles that show the compatibility is not directly linked to the conclusion that those two genres can be replaced completely. It is because even though they carry the same quality as a narrative art, they depend on a totally different means of expression and language. A comparative analysis on both creative and receptive aspects reveals more clearly the linguistic differences and relevant features of media. And finally, the novel and film are also distinguishable by their different narrators. It is not true that the text-based novel becomes weakened owing to the incorporation of image into the public daily life. If the novel faces a crisis, it is because the novel has given up the unique styles and language of its own to pursue those of image,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image itself.

      • 지방의회 행정사무감사 효율화 방안의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의회를 중심으로

        허남주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wenty-six years have passed since the 1991 local council was formed. The local administration has been sophisticated and the need for self-government has been greatly increased for the local residents who demand efficient and effective transparent admini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ideology and essence of local autonomy. To this end, local councils should establish a position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essence of local autonom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ing system in order to maximize the capacity for the improvement of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for this. Despite its importance for local autonomous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there are not many research results or literature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of Jeollabuk-do Assembly on the administration of Jeollabuk - do under the localization period of change and reform. First of all, I will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And then after finding out the problem, I will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study, the precedent study and the theoretical study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of the local council will be reviewed.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ing system of local council in Korea. Specifically, during the ninth and tenth Jeollabuk-do Assembly(2010-2016), I will analyze Assembly Political White Paper, Minutes, Request lists and reports on the results of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of Jeollabuk-do Assembly. This is a case study of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aspects. In addition, I will draw out the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and propose prescription for efficiency according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affairs audit and local development in the future.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용존공기부상법에서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허남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의 기체용해탱크와 마이크로버블 발생 장치가 결합된 용존공기부상장치를 이용하여 가압부상법에서 인 제거를 위한 영향인자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마이크로버블 생성 장치에서 발생되는 버블의 사이즈는 가압 압력이 높을수록 미세버블의 생성량이 높고, 상대적으로 거대버블의 생성량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압압력이 3, 4, 5, 6 kgf/cm2로 증가할수록 10 μm 이하의 버블 사이즈 누적분포는 각각 7, 8, 9, 11%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버블 사이즈가 40 μm 이하는 가압압력이 3 kgf/cm2에서 91%를 나타낸 반면 가압압력 6 kgf/cm2에서는 85%를 나타내어 가압압력이 높을수록 누적분포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버블 사이즈가 80 μm 이상은 가압 압력이 6 kgf/cm2인 경우 2% 정도였으나, 가압 압력이 3 kgf/cm2인 경우에는 0.5% 이하로 거대 버블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0 μm 이하의 미세버블은 자기가압효과에 의해 수중에 용해되어 사라지거나 거대버블과의 합체에 의해 사라지는 효과를 나타내어 가압 부상에 필요한 버블의 생성을 위해서는 적정 압력에 의한 마이크로버블의 생성이 부상효율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가압 부상장치의 가압 순환수량비는 응집제의 주입량에 따라 달라지나 생물학적 2차 처리수를 대상으로 한 인 제거에 있어서는 Alum 주입량 50 mg/L에 대해 순환비 20%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평균 인 제거율은 94.6%였으며 처리수의 인 농도는 유입수의 수질에 큰 영향 없이 평균 0.084 mg/L를 나타내어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였다. 부상효율 증대를 위해 응집과정에서의 교반강도 변화에 따른 인 제거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급속교반의 경우, 응집제의 주입량에 따라 교반강도의 세기에 따라 처리수의 인 제거율이 변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lum 주입량 25 mg/L에서는 교반강도가 증가할수록 인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G값이 300 s-1일 때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Alum 주입량을 50 mg/L로 증가시킨 경우에는 G값이 250 s-1에서 가장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어 부상분리에 있어서 교반강도는 부상분리에 적절한 교반강도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보령호 유역 내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 분석

        허남주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는 생물다양성 보전의 측면에서 환경변화에 민감한 종을 보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적 지위 폭이 좁은 종은 환경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또한 특별한 조건의 서식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의 분포역이 좁고 개체수가 적은 특성을 보인다. 전체 식물종의 약 2%에 해당하는 염생식물 역시 생태적 지위가 좁은 종에 속하여 다른 식물군에 비해서 희귀성이 높다. 게다가 오늘날 염생식물의 서식지는 각종 개발 사업으로 인하여 점차 위축,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더욱 더 가속화 되고 있어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령호 유역 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고유한 생태적 지위를 파악하여 보전을 위한 기초정보를 구축하고자 한다. 염생식물의 서식지 분포를 통해 해당 서식지의 물리적 환경특성의 임계치를 찾고 염생식물이 허용할 수 있는 생태적 지위 범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염생식물 종간, 그리고 염생식물과 타 종간의 생태적 지위의 차이를 통해 보령호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의 독창성을 살펴보았다. 보령호 유역 내에는 세 종의 염생식물(갯질경, 해홍나물, 갈대)이 우점하고 있으며, 세 종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 범위를 분석한 결과, 기후 조건으로는 기온 -10.6∼12.9℃, 강우량 0.0∼264.0mm, 상대습도 19.5∼96.9%, 일조시간 0.0∼11.9hr/day이었으며, 지각환경 조건으로는 표고 0.000∼10.277m, 경사 0.000∼51.879%, 모래 16.0∼32.0%, 점토 1.0∼16.0%의 토양구성을 지니고 있었다. 수환경 조건으로는 지하수위 30일 침수기준선으로부터 0.750∼1.742m의 이격거리를 가졌으며, 수질은 pH 8.2∼8.5, EC 450∼32,500㎲/㎝, COD 6.7∼10.7mg/L, TN 0.640∼5.350mg/L, TP 0.070∼0.179mg/L의 영향권을 가졌다. 그리고 주로 간척지에서 서식하며 도로와는 50m 이상의 이격거리를 가졌다. 그리고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는 타 육상식물종의 생태적 지위와 구분이 되었으며, 염생식물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보령호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였다. 주성분분석 방법을 적용한 결과 5개의 인자에 의한 설명 정도가 81.53%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성분은 표고, 수위 등 지형적 요소와 관련이 있었고, 두 번째 성분은 토양의 유효인산, 산도, 유기물, 토양구성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세 번째 성분은 TN, TP, EC, COD, pH 등 수질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이 세 성분으로 설명될 확률은 64.8%로 염생식물의 생태적 지위는 수질, 토양, 지형적인 요인으로 상당 부분 설명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론은 염생식물이 가진 해부학적 또는 형태학적 특징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의 결과이며, 이러한 정보는 진화적인 관점에서 볼 때, 염생식물이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힌트를 제공해 준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서 현재 보령호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고유한 생태적 지위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였고, 이 정보는 향후 여러 개발이나 환경의 변화 발생 시 염생식물을 보존하기 계획의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 have made an effort to preserve endangered species which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In general, endangered species have narrow geographical distribution because of their narrow ecological niche. This means that they require some special factors in selecting their habitats. In this context, halophytes are defined as endangered species since they take up only approximately 2% of the entire species and tend to inhabit in salty area. Halophytes' habitats, however, are gradually destroyed by development projects nowaday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alophytes' ecological niches in Boryoung basin where tidal bank was constructed recentl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species conservation. Through analysing the species' geographical distribution, we could figure out the distinguished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ir surviving. Also, we could identify their threshold value (tolerate limits) under the environmental stress, which might be coming from the inherent factors. There are three dominant species in Boryeong basin, which are 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Suaeda maritima (L.) Dumortier and Pharagmites communis Trinius. On the whole, the halophytes ecological niches are different from terrestrial plants. The Species habitats are mostly located in salt flat area and 50m apart from the road. Specifically, they tend to survive under these conditions ; temperatures -10.6∼12.9℃, precipitation 0.0∼264.0mm, relative humidity 19.5∼96.9%, sunshine duration 0.0∼11.9hr/day, elevation 0.000∼10.277m, slope 0.000∼51.879%, sand 16.0∼32.0%, clay 1.0∼16.0%, water flooding level(30days) offset 0.750∼1.742m. For the water quality conditions, pH 8.2∼8.5, EC 450∼32,500㎲/㎝, COD 6.7∼10.7mg/L, TN 0.640∼5.350mg/L, TP 0.070∼0.179mg/L. Moreover, we could realize major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habitat selection through factor analysis. We also could understand that major factors ar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result says that it can be explained 81.53% by 5 major factors consisted by some environmental parameters. First factor group is related to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levation, water level, etc. Second factor group is related to soil characteristics such as EC, P2O5, pH, organic matter, etc. And the third factor group consist of TN, TP, EC, COD, pH, which are related to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These three major factors can explain the ecological niche about 64.8%. These results implicate the relationship among species anatomic or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Furthermore, this information shows some hints for species adaptation process in evolutionary perspective. We can record the information on halophytes' ecological niche through this study and this basic information can be utilized for conservation planning and desig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