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관여형태와 자기결정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혜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관여형태와 자기결정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1) 부모의 학습관여형태, 자기결정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2) 부모의 학습관여형태와 자기결정성의 관계 회기분석, 3) 부모의 학습관여형태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관계에서 회귀분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인 학습관여를 높은 수치로 지각 할 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부모의 학습관여 형태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결정성요인 중 외적인 요소와 부과적인 요소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확인되었다. 이것은 부모의 긍정적인 학업참여형태 외에 자기결정성을 결정하는 다른 독립요인이 존재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둘째, 부모가 긍정적인 형태의 학업관여를 많이 한다고 지각 할수록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중 외적 조절과 요소로 갈수록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적 조절요소에 가까울수록 대부분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외적조절과 부과적 조절을 합쳐 타율요인 이라고 정의 하였을 때, 타율요인에 의한 조절은 초등학생들의 부모의 학업관여를 부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알수있다. 내적조절과 확인된 조절을 합쳐 자율요인 이라고 정의하였을 때, 자율요인에 의한 조절은 부모의 학업관여에 정적인 수치로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다시 말하면, 초등학생들은 부모의 긍정적인 학습참여형태에서도 외적조절에 가까운 형태를 보이면 오히려 자기결정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부모의 학습관여형태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만약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부모가 긍정적인 학습관여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지각하게 해준다면, 자신감이나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조절과 같은 요인들이 모두 상승한다는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마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학업관여형태에 따라 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외적 요소와 내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결정성을, 학업적인 자기효능감을 주요한 변인으로 선정하여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본인의 수묵화에 나타난 의식 표정에 관한연구

        한혜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인간은 누구나 자유로워지고 싶어 한다.그러나 우리는 현실에 맞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모습들이다. 본인 역시 그런 사람이다. 이러한 본인으이 이야기를 먹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본인은 언제나 한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그와 함께 하는 먹의 자연스러운 우연적 효과에 묘한 매력을 느껴 왔다. 먹의 번짐과 농담,마블링 등의 방법을 통해 자연에 대한 심상을 표현하며,자연적 생성안에 선의 조화는 우연성이나 즉흥적 계기 보다는 계산된 의도에 따라서 연출되어 나의 의식의 표정이 무억인가 들여다 본다. 평면으로 환원된 단순한 형태의 구성으로써 무작위적인 요소와 의도적인 요소의 공존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최소 대립 쌍을 이용한 영어발음 향상에 관한 연구

        한혜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에서 체류하면서 한국인들과 영어로 대화하는 외국인 중의 대부분은 한국식 영어 발음법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것은 현재에 대두한 문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 원인 중의 몇 가지는 과거 일본식 영어 발음법으로 학습한 학습자들의 가르침이 전수된 예도 있다. 유원호(1992)는 한국인들이 '영어와 우리말의 소리는 완전히 다르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말에 있는 소리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영어글자와 한국어 발음소리를 연관 지어 발음하는 데에 있다고 한다. Marianne Celce‐Murcia(2001)는 비 원어민이 넘어서야 하는 한계수준이 있는데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이 수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학습자가 아무리 영어 문법과 어휘에 능통하다고 하여도 말로 하는 의사소통을 이룰 수가 없다고 했다. Nathan(2006)은 /f/와 /h/의 한국식 발음과 표기법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감자튀김을 주문하기 위해 ‘후렌치 후라이(french fries)라고 영어발음을 했지만, 계산원은 이해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한국식 영어발음은 그것과는 달랐기 때문이었다. 이 예화를 통해 한국식 영어 발음법의 문제점을 살펴 볼 수 있다. 계산원이 /f/와 /h/발음을 잘 구분할 수 있었더라면 외국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었을 것으로 예상한다. 영어가 EFL교육 환경인 우리나라 학생들은 이미 모국어의 음운 체계의 영향으로 조음 기관이 거의 굳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모국어 간섭 현상으로 인해 모국어에 없는 영어 음소를 듣고 말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7차 교육과정을 통해 영어와 타 과목을 연계하여 학습하는 실용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는 통합 영어 교육으로 바뀌긴 했지만, 지난 오랜 시간 동안 입시 위주의 지필고사 수업으로 치우쳐져서 학습자들이 발음 차이를 잘 인지 하지 못했고, 이를 훈련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어보다는 모국어를 사용할 기회가 더 많기 때문에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익숙해진 나머지, 한국어에 없는 새로운 영어 발음들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영어 음소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한 달간의 발음 교정 수업이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테스트를 통해 한국인 학습자들이 발음한 녹음자료를 원어민에게 평가를 의뢰하고, 한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알아보겠다. 둘째,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최소 대립 쌍을 이용한 게임과 노래 및 대화문등을 이용한 한 달간의 교정 수업이 효과가 있었는지 사후 테스트와 통계분석을 통해 알아보겠다. It has been known that native English speakers have some difficulties to initiate and maintain a conversation with English‐speaking Korean students although these students study English for years. Additionally, some English sounds are not present in the Korean alphabet known as Hangul, so even if Korean students study these, they still have trouble expressing themselves. One of the fundamental goals of English Education has been to know how students understand and make daily English conversation. However, teaching English in Korea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Scholastic Aptitude Test(SAT) scores rather than on correct pronunciation of spoken English.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which sounds Korean students have difficulty in pronouncing. Second, I want to know if there is any improvement in their pronunciation after a month of English pronunciation clinic. Third, I would like to make more efficient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plans by using minimal pairs. This is composed of 11 periods, using such things as phone number games, bingo games, tongue twister racing games, hit songs, the‘Who Am I?’game, puzzles, matching sets, and short conversation of minimal pairs. The 1st and the last 11th periods of lesson plan are formed for oral diagnostic tests for each students’ level. I divided 18 students into two groups of 9 for phonetic testing. One group worked with a phonetic program using minimal pairs and the other group didn’t. After that, I recorded the students’ voices into an MP3 format while the student was reading sentences based on each question on the test. I also requested a native English speaker to review and evaluate the subjects’ reading in terms of accuracy and fluency. It is marked accordingly: excellent, A: 7 points; very good, B: 5 points and needs improvement, D: 1 point with foreign teacher’s comments about what mistakes they made. When the report card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month, you can find that there are much better grades of all groups except for the one group with didn't receive education with minimal pairs. English pronunciation can fix many problems and help students recognize how to pronounce words better in English and also help with English sounds if they participate in a clinic for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 스마트파워 지향적 한국 관광외교역량강화 연구 : 글로벌 거버넌스 협력을 중심으로

        한혜리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explores the evolution of Korea's tourism diplomacy that is defined as "a medium or tool of public diplomacy and a behavior to enhance soft power which expands a nation's ability to affect others to the global level through stimulating tourism exchanges between nations and people." Among three types of tourism diplomacy, Korea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global governance cooperation in the field tourism, attempting to improve its tourism diplomacy and global image. By closely investigating the level of engagement by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UNWTO(World Tourism Organization) and with the analysis of interviews of the UNWTO member states, this paper lays out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Korea's tourism diplomacy capacity, which is an important tool in the arsenal of smart power.

      • 브람스 첼로 소나타 제1번 마단조 Op.38에 대한 분석 연구 : 브람스 첼로 소나타 제1번 마단조 Op.38에 대한 분석 연구

        한혜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지만, 그 당시 무분별하게 뻗어 나가는 낭만주의를 반대하였으며 고전파의 견고한 형식미와 구축미를 강조했다. 북독일 특유의 정서와 분위기를 접목한 브람스의 음악은 중후한 화성과 견고한 구성과 더불어 낭만주의의 서정미까지 보여준다. 고전적 낭만주의 작곡가로 평가받는 그는 교향곡, 실내악곡, 피아노곡, 가곡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수많은 뛰어난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특히 실내악은 브람스의 작품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는 실내악곡 분야에서 24곡의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그중 첼로 소나타는 제1번 Op. 38 그리고 제2번 Op. 99 두 곡이 작곡되었다. 첼로 소나타 제1번 Op. 38은 전반적으로 어둡고 감상적인 분위기이지만, 제2번 Op. 99는 밝고 정열적이다. 이처럼 두 곡의 첼로 소나타는 스타일과 테크닉 등 여러 면에서 서로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브람스의 생애와 음악 세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전형적인 낭만주의 음악이면서도 엄격한 고전주의적 형식을 중요시한 브람스의 첼로 소나타 제1번 마단조 Op. 38의 작품 배경을 탐구한다. 결론적으로 음악적인 분석을 통해 브람스 특유의 작곡어법을 이해하여 작곡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연주를 하기 위함에 그 의의와 목적을 두고자 한다. ABSTRACT Johannes Brahms (1833-1897), a German composer in the 19th century, opposed the indiscriminate spread of romanticism at that time and emphasized the solid formality and building beauty of the classical school. Brahms' music, which combines the emotions and atmosphere unique to North Germany, shows the lyrical beauty of romanticism as well as its profound harmony and solid composition. Recognized as a classical Romantic composer, he has composed numerous outstanding works in various genres, including symphonies, chamber music, piano music, and songs. Chamber music, in particular,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mong Brahms' works, and he left behind a number of 24 pieces in the field of chamber music, of which cello sonatas were composed of two songs, No. 1 Op. 38 and No. 2 Op. 99. Cello Sonata No. 1 Op. 38 is generally dark and sentimental, but No. 2 Op. 99 is bright and passionate. The two cello sonatas show different aspects in many ways, including style and technique. This paper studies Brahma's life and music world, and furthermore, explores Brahms' cello sonata No. 1 Madanjo Op. 38' work background which is typical romantic music but also values strict classical forms. In conclusion, through musical analysis, I would like to understand Brahms' unique compositional method and put its significance and purpose to play in line with the composer's intention.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국어과 중심의 융합교육 방안 연구 : <봉산탈춤>을 대상으로

        한혜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어졌으며,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많은 역량 중 창의성과 인성이 21세기 학교 교육의 핵심과제로 강조됨에 따라 교육부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인성 교육의 실천성을 강조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였지만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결과 중등교육에서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또다시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 인재 육성을 강조였으나, 교사의 과다한 업무와 학생들의 과중한 학업 부담 속에선 여전히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창의·인성 교육이 교육과정에서 계속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과 연계의 창의·인성 교육을 통해 교육 전반에 고착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은 국어 활동을 통해 자아를 인식하고, 타인과 소통하며, 타인의 다양한 관점과 다양한 사고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인성 교육에 매우 적합한 학문이다. 이런 국어교육의 특성에 기인하여 다른 교과와의 융합교육으로 많이 활용됐다. 그러나 정작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인성을 위한 융합교육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전 희곡작품인 <봉산탈춤>을 대상으로 드레이크의 간 학문적 융합을 사용하여 국어과를 중점으로 도덕, 사회 교과와의 융합교육 방안을 구안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성과 인성, 창의·인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역량을 요소를 탐색하여 창의·인성 용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창의·인성 교육과 융합교육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미래 핵심 역량 교육으로써의 창의·인성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융합교육이 수반되어야 함을 밝혔다. 3장에서는 고등학교의 2009,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문헌을 연구하여 문학교육에서는 ‘소통’과 ‘자기성찰’을 함양하도록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극 상연을 전제로 하는 극문학을 가르치는 희곡교육은 국어교육에서 요구하고 있는 ‘자아개념’과 ‘자기표현’, 대인관계 능력 등의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게다가 학습자가 연극 과목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보임에 따라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영역으로 희곡교육을 선택하였다. 이에 3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희곡교육 현황을 알아본 결과 <봉산탈춤>은 유일하게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꾸준히 수록된 작품이라는 사실에서 <봉산탈춤>이 희곡 갈래를 대표하는 작품이며,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는 <봉산탈춤>의 갈래적 특성과 언어 관습적 특성에 국한된 학습활동만 수록되어 <봉산탈춤>의 다양한 가치를 탐색하기에는 학습 활동이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4장에서는 <봉산탈춤>의 다양한 가치를 탐구할 수 있도록 국어, 도덕, 사회 교과를 융합하여 5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구안 과정에서 중학교에서 현대 희곡작품을 대상으로 국어, 도덕교과의 융합교육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지도안에 반영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구안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학교 현장에서 10년 이상 재직 중이신 국어교사 두 분에게 검토를 받은 후, 검토 받은 지도안의 문제점을 수정하여 최종으로 완성하였다. 융합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기 위해 교과 시간표 조정과 교과 간의 수많은 논의 과정이 필요함에 따라 많은 제약이 예상되지만, 본 연구를 시작으로 고등학교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국어과 중심의 융합 교육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논의되어 많은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in a fast changing society, in order to have an unpredictable future, diverse abilities are required for students. As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the many abilities required of the students are emphasized as the core tasks of 21st-century school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pursued a variety of policies that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but as a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that was not implemented in Secondary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d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Convergent Talent with the desirable character again, there are more likely to go unfulfilled by the over- work of the teacher and the heavy school work load of the students. Therefor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needs to be attached to education in general through education of subject collaboration in order for the curriculum to practice on a continuous basi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cognizes the self through Korean language activities, communicates with others, accepting various accidents in various perspectives in the academic field, which is very suitable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Due to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convergence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However, the study of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nadequate in area. In this study, an aim to develop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ability to cultivate toughness 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moral and social subjects, focusing o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by the academic application during the drama work "the traditional Korean Bongsan masked dance " I would like to propose a convergence education pla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s of creativity, personality,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explore the competence element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addition, we showed that th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as the future core competency education. In Chapter 3, I studied the 2009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2015 high school curriculum. In literary education, it is required to cultivate 'self - reflection', 'communication'. Drama education that teaches dramaturgy based on theater plays can bring educational effects such as 'self concept', 'self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ability which are requi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since the learner has a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drama, he or she can invite the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Therefore, the drama education is selected as the education area for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develop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drama education from the third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 the fact that < the traditional Korean Bongsan masked dance> is the only work that is consistently recorded in the textbooks shows that it is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value. However, in most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limited to the forbidden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customs of <Bongsan Mask Dance> were not suitable for exploring various values of <Bongsan Mask Dance>. Therefore, in Chapter 4, I take the 5th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plan by integrating Korean language, morality, and social studies in order to explore various values of <Bongsan Mask Dance>. In the course of the study process, it was possible to obtain a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 by conducting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moral subject with modern drama works in junior high school. In addition,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reviewed by two Korean teachers who have been in the school field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n the problems of the reviewed teaching plan were revised and finalized. Alth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at the school site due to the need for coordination of the curriculum timetable an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various researche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subjects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of high school will be discussed starting from this research.

      • 비생물학적 진화 개념과 생물학적 진화 개념의 차이에 대한 연구

        한혜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비생물학에서 사용하는 진화 개념과 생물학에서 사용하는 진화 개념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차이로 인해 학생들이 갖게 되는 생물학적 진화 개념 형성의 특성을 알아본 것이다. 그러기 위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과 같은 비생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진화 개념을 조사하여 생물학적 진화 개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현직 중고등학교 교사와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비생물학에서 사용하는 진화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자연계열 고등학생들이 진화 단원을 배울 때 비생물학 분야의 진화 개념과의 차이로 인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설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생물학과 비생물학에서 모두 진화를 과정상의 변화로 생각하며, 변이와 선택을 통해 진화가 일어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그러나 비생물학에서는 생물학적 진화 개념과 다르게 일정한 방향으로 진화한다고 보며, 그 속도가 생물학적 진화보다 빠르고, 인위 선택에 의해 일어나며, 획득형질이 유전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비생물학 분야별로 진화 개념을 해석할 때 나타나는 특징을 용어의 의미와 진화의 대상, 시간성, 방향성 면에서 살펴본 결과 주로 발전, 진보 등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집단 전체가 필요에 의해 의도된 목표를 향해 단계적으로 진화한다는 해석이 많았다. 셋째, 비생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진화 용어로 인해 생물학적 진화를 설명할 때 내부 의지와 필요에 의한 진화가 일어난다는 라마르크 단계의 진화 개념이 고착될 수 있다. 또 개체 내에서의 획득형질의 결과로 인한 변신이나 성장을 진화로 해석할 수도 있으며, 퇴화를 진화의 한 과정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비생물학적 진화 개념과 생물학적 진화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 주는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이 생물학에서의 진화 개념을 보다 잘 이해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evolution concepts used in non-biological and biological fields. The effects of non-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on students' conceptualization of 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After analyzing the nature of evolution concepts used in non-biological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ology, culture, and technology, those concepts were compared with the evolution concepts used in biological fields.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ere also asked about how they understand the evolution concepts used in non-biological field through questionnaires. The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how the non-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affected their conceptualization of evolution concepts when they were studying evolution in biology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gard evolution as changes in the course of process and also as something that takes place through variation and selection in both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fields. However, the teachers and students think that the non-biological evolution takes place in comparatively shorter time, and it has certain fixed directions. Also, it is thought that evolution is caused by artificial selection and acquired traits are delivered to the next generations. Second, the evolution concepts were mainly used to indicate development or advance. It is also interpreted to evolve by needs step by step towards the intended goal by the whole group. Third, it is also found that, due to differences between non-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and 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Larmarkian stage evolution concept, which tells that there is certain fixed directions such as internal will or goals when evolution takes place, can be fossilized. And one could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r growth caused by acquired traits within each individual as an evolution or couldn't understand degeneration as a part of evolution. Therefore, if the students are given a lecture that tells them clear differences between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evolution concepts,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s of evolution in biology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