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현악곡 「천지창조」의 작곡 및 분석 연구

        한지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consists of the score of a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for orchestra composed by Ji-hee Han and its analysis conducted by the composer. The thesis refers the composer's analytic study on how the biblical contents of the Genesis (chapter 1 to chapter 2, verse 3) are transcribed into the above-mentioned orchestral program composition. The analytic study deals with the styles and contents, pitch materials, leit motif, orchestrations and dynamics, etc. of the compositio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is composed of two main parts and Coda that form the structural style of the composition; the first part containing section A, B and C, the second part containing section A', B' and D, and the final part (section E) serving as the Coda. The section A of the first part can be divided into the sub-section a which is intended to depict the light and the sub-section b which will serve to depict the darkness. The section B of the first part can be divided into the sub-section c, to depict the sea and the sub-section d, to depict the sky. The section C serves to depict the plants on the Earth. The section A' of the second part can be divided into the sub-section a', serving to depict the sun and the sub-section b 'to depict the moon and the stars. The section B' of the second part can be divided into the sub-section c', serving to depict fishes in the sea and the sub-section d', serving to depict birds in the sky. The section D is divided into the sub-section e which is intended to depict animals on the Earth, and the sub-section f which is intended to depict the human beings. The section E, serving as a coda, is intended to depict the Seventh Day as the final day of the Creation. The Pitch materials used in this composition include a G Lydian mode, harmonies of perfect fourth intervals which eventually form a melodic line, F major scale and C Phrygian mode and chromatic scales. In the composition of this orchestral program music, a few leading motives(Leit moif) are employed in order to associate with the light, the darkness, the sky and the water. The Leit motif for the light employs G Lydian mode, that are played by woodwind instruments and brass instruments in the section A, A' and C. The Leit motif for the darkness, that is composed of augmented fourth intervals, is also played by woodwind instruments and brass instruments in the section A and A'. The Leit motif for the sky, that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F major scale and C Phrygian mode, emerges in the section B, B' and E. The Leitmotif for the water, that is constructed on perfect fourth intervals, can be heard in the section B, C, B' and D respectively in different orchestrations. This thesis was written by the composer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on the basis of the composer's own analysis and study on what tools and compositional techniques had been employed in transcribing some of the biblical contents of the Genesis into the above mentioned orchestral program music. 이 논문은 한지희 작곡의 관현악곡 「천지창조」의 분석 및 총보로 구성되어 있다. 「천지창조」는 성경의 창세기 1장 1절에서 2장 3절까지의 내용을 주관적인 해석으로 표현한 표제적 관현악곡이다. 이 작품의 분석에서는 하나님께서 태초에 천지를 창조하신 사건을 첫째 날부터 일곱째 날까지 7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서 악곡 각 부분의 형식과 내용, 주요 음 재료, 주제, 리듬과 박자, 셈여림, 관현악법을 다루었다. 이 작품의 형식은 단락 A, B, C로 구성된 첫 번째 부분과 단락 A′, B′, C′로 구성된 두 번째 부분과 코다인 D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단락 A는 하위단락 a와 b로 구성되고, 단락 B는 하위단락 c와 d로 구성된다. 단락 A′는 하위단락 a′와 b′로 구성되고, 단락 B′는 하위단락 c′와 d′로 구성된다. 각 부분이 표현하는 내용마다 그에 상응하는 음악적 주제와 관현악법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내용이 나올 때 마다 그에 상응하는 주제가 곡 전체에서 출현하는 유도동기(Leit motif)를 사용하였다. 주로 사용한 음 소재로는 물을 상징하는 완전4도, 완전5도로 구성된 화성과 선율, F 장조 음계와 C 프리지안 선법, G 리디안 선법, 반음음계 등이 있다. 전체 악곡의 기본 박자는 4/4박자이다. 단락 B의 하위단락 c, 단락 B'의 하위단락 c', 단락 C'의 하위단락 g에서는 변박이 나타난다. 각 단락의 내용과 특징에 따라 빠르기가 변한다. 각 단락마다 특징 있는 관현악법을 사용하여 작품을 표현하였다.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타악기와 현악기의 사용이 비교적 분명히 나누어져 있다. 논문의 제1부에서는 관현악곡 「천지창조」를 분석하였고, 제2부에서는 총보를 제시하였다.

      • 슈만 「판타지 (Fantasie in C), Op. 17」에 관한 연구

        한지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슈만 (Robert Schumann, 1810-1856)은 낭만시대 대표 작곡가로 문학과의 연관성과 다양한 내적 감정 표현 등 그만의 어법이 뚜렷한 작곡가이다. 그의 작품 「판타지 (Fantasie in C), Op. 17」를 통해 클라라 슈만 (Clara Schumann, 1819-1896)과의 사랑,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을 향한 존경 등을 구체화했고, 판타지 장르의 특징인 자유로움을 담아냈다. 「Fantasie in C, Op. 17」는 총 3악장으로 되어있으며, 1악장은 알레그로 소나타(Allegro sonata) 형식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소나타와 비교하여 연결구 등의 삽입구가 많고, 조성의 모호성, 느린 발전부 등 형식적인 면에서의 자유로움이 두드러진다. 2악장은 행진곡 풍의 빠른 악장으로 연속적인 붓점 리듬과 고도의 테크닉적 요소 등이 분석되는 곡이다. 비슷한 모티브(motive)의 변형, 반복이 두드러지는 론도형식이다. 3악장은 느리고 서정적인 악장으로 잦은 전조와 자유로운 프레이즈, 교차리듬과 당김음에 의한 헤미올라(hemiola) 등 다양한 리듬 형이 쓰여 졌다. 형식적으로는 제시부와 재현부로 대칭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슈만의 작품 「Fantasie in C, Op. 17」은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나, 그의 내적 감정의 표현과 자유로운 판타지적 특징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슈만 고유의 작곡어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 영어교사 자질과 좋은 영어수업에 관한 교사 집단 간 인식 연구

        한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n the Qualities of Good English Teachers and Good English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awareness on qualities of good English teachers and good English lessons. To conduct this study, the qualities of English teacher were divided into 4 categories: technical knowledge, pedagogical skills, interpersonal skills and personal qualities.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41 items about detailed qualities of each category. For the other questionnaire, six English teacher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beliefs and perceptions on quality English lessons. Based on the results, a 54-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s data from 125 English teachers. The questionnaire about the qualities of English teachers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est to compar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compare public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rivate English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o the questionnair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getting detailed opinions on creating high quality English less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many ways, teachers have similar awareness of what makes to be a good English teacher. However, for some items, teachers had different views on the qualities of good English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imary school teachers put weights on the following items: intimat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using different methodologies, an organized instruction based on lesson plan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patience towards slower students,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something unexpected. On the other h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the fluent competence in speaking,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setting challenging tasks to outstanding students, and trying to promote professionalism as an English teacher. Second, teacher in public school setting considered the following things to be more important compared to private schools teachers: clear and easy to understand explanations about a lesson, warm hearted personality, dedication to students, and a positive attitude to students' needs. Lastly, the different group of teachers had the same views on good English lessons through the chi-square test. English teachers believed that other English teachers hold the beliefs that: They should respect and believe in learners, motivate students, and remain active in the classroom. Teachers also believe that the textbook should be restructured based on the ability of students in an authentic way an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should be stated clearly. Also, a good English lesson is full of student-centered activities encouraging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Upon analysis, some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expected to analyze not only teachers' awareness but explore into the actual class of teachers based on their awareness. Second, there has been prejudice about teachers in private setting. Therefore two groups of teachers, who work in both public or private sector, they might have role conflicts between their beliefs and requirements. It is also expect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study. Lastly,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what English teachers need in their actual classroom situation.

      • 프래그머티즘 철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sm philosophy to understand creativity in a philosophical way, and to apply the theme thus derived to art philosophy education. For that purpose, a new plan for teaching art philosophy education by way of "doing philosophy" was suggested, as well as a new direction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philosophical inquiry into human nature and the meaning of life, creativity is one of the key issues, in which the roles of our life and its significance need to be examined, and which can also be realized by doing philosophy. Pragmatism is a“way of thinking”about life’s problems, with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inquiry habit in a community. In pragmatism, knowledge is a means for human beings to adapt to the world. This is in line with the pragmatic view of the world as changing, and human beings as organisms, which is a reflection of Darwinian evolution. As creativity is needed to find a different solution from existing methods to overcome negative situations, it can be seen as a challenge to conquer of one’s environment. In this regard, creativity is connected to a pragmatic worldview.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cal response of pragmatism to unstable and uncertain environments provides a meaningful viewpoint for exam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so far have had little interest in creativit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ity has been studied mainly by psychologists and pedagogists. This paper i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in which creativity encompasses self-realization and converges on newness and appropriateness. It accepts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 of creativity as stemming from creative persons, knowledge level, and environment. At the center of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creativity, there lies a creative process in which thinking and experience as a creative habit as well as self-awareness are made. In other words, the creativity study in pragmatist philosophy is a study about the process of creativity expression and the nature of humanity as the basis. According to Charles Sanders Peirce(1839–1914), the father of pragmatism, inquiry is“a struggle to attain a state of belief,”which is initiated by the feeling of doubt. For Peirce,“abduction” in the form of“if…then”is the representative inference of the scientific method. As abduction is used to discover hypotheses through unbounded imagination, Peirce regarded it as the only reasoning that can produce new ideas in science. While Peirce’s abductive recognition belongs to the realm of science, the integration of qualitative and reflective thinking in John Dewey (1859–1952) refers to artists’aesthetic recognition. Aesthetic experience as one complete experience occurs when creativity is see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intellectual and practical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aesthetic feeling” about creative things in general is the same as Dewey’s aesthetic experience. Creativity is an aesthetic experience about an“original truth” that solves a problem and is realized through the whole experience completed. Next, the autobiographical perception of Richard Shusterman (1949- ) is about reflective thought and its reproduction, which is achieved through one's body. Everything creative reveals “I,” and implies a desire to express and settle“I” in a community. In other words,“style”consists of various dimensions of mind and body, the real and the ideal self, the personal and the social self. Accordingly, a unique style is the totality of self-control, improvement, and expression, which is produced by those elements reflecting social trends and influences in harmony with one another. My own style is my accomplishment recognized by others; it is the realization of“I”beyond the existing self. This is the creation of the “I.” Thus, creativity in pragmatism can be summarized as“continuity of meaning,”“sociality of alternative,”and“expansion of possibility.”We want to maintain the continuity between ignorance and knowledge, between aesthetic experience and other experiences, and between the real/ideal“I” and the personal/social“I”to achieve what it means to be better than me. Such a meaningful result can be obtained by social alternatives like inquiry and communication in a community and a style of self-expression, and if meaning is achieved and becomes continuous, it expands the possibility for a given reality. In short, the continuity of meaning, the sociality of alternatives, and the expansion of possibility are basic features of creativity, which are found in creative outcomes, and also are the main modes of realizing creativity in pragmatism. The art philosophy education suggested by the author was designed as a process to develop and express the creativity of pragmatism. Art philosophy class is taught in conjunction with the fundamental form of philosophy education theory of Matthew Lipman (1923-2010). Lipman's study community pursues philosophy by pursuing and "doing" philosophical knowledge through dialogues that utilize multi-dimensional thinking such as critique, caring, and creative thinking. Similarly, members of the art philosophy class try to solve problems in various art situations by appreciating artworks and discussing philosophical themes in them. When the investigator finally finds a solution, the class ends after expressing it as a text or a picture. When the study is completed, the art philosophy class taught in such a curriculum is comparable to an aesthetic experience as "one experience," so it becomes a reality that embodies the concept of creativity that this study pursued. 본 연구의 목적은‘창의성’의 개념을 프래그머티즘(pragmatism) 철학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창의성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고 그에 따른 주제를 예술철학교육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철학함’(doing philosophy)을 통한 예술철학교육 수업 기획안을 새롭게 제안하면서 창의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창의성은 인간의 본질과 삶의 의미를 묻는 철학에서 그것이 우리 삶에서 행하는 역할과 그 의의를 탐구하고, 철학함을 통해 실천해야 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삶의 문제에 대한‘사유의 방식’인 프래그머티즘은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하는 탐구와 지속적인 탐구의 습관을 강조하는데, 이때 지식은 인간이 세계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다. 변화하는 세상과 유기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다윈의 진화론을 수용한 결과다. 한편 기존의 방법과 다른 해결책을 모색하여 부정적인 문제 상황을 극복하는 창의성은 환경에 대한 도전과 극복이라는 점에서 프래그머티즘의 세계 이해와 관련을 맺는다. 한마디로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프래그머티즘 철학의 사상적 대응은 창의성 개념의 탐구에 있어서 의미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철학에서 창의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었다. 창의성 계발이나 그 현실적 적용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심리학과 교육학에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적 인물과 지식수준, 환경 등에 따른 창의성의 분류와 자아실현 등에 이르기까지 창의성이 새로움(newness)과 적합성(appropriateness)으로 수렴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진행한다. 창의성의 철학적 접근은 창의적 습관으로서 사유와 경험 그리고 자기인식이 이루어지는 창의적 실행 과정이 중심이 된다. 즉 프래그머티즘 철학에서의 창의성 연구는 창의성이 발현되는 과정과 그 기저에 있는 인간과 삶의 본질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프래그머티즘 철학을 창시한 퍼스(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에게 탐구(inquiry)는‘의심의 자극이 믿음의 상태를 획득하려는 투쟁’인데, 지식을 얻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의 대표적인 추론은‘만약(If)... 그렇다면(then)’을 형식으로 하는 ‘가추법’(abduction)이다. 퍼스에 의하면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휘하여 가설을 발견하는 가추법은 과학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단 하나의 추론이다. 퍼스의 가추적 인식이 과학자의 사유라면,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질적 사고와 반성적 사고의 통합은 예술가의 심미적 인식에 해당한다. 완전한 하나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은 예술뿐만 아니라 지적 경험과 실천적 경험에서도 창의성을 예견할 때 발생한다. 즉 창의적인 것 전반에 대해 느끼는 '미감'(美感)은 듀이의 미적 경험과 동일하다. 창의성은 문제를 해결하는‘독창적인 진리’에 대한 미적 경험이고, 완결된 경험 전반에서 발현된다. 이어서 슈스터만(Richard Shusterman, 1949∼)의 자전적 인식은 반성적 사유와 재현에 관한 것인데 나의 몸을 통해 이루어진다. 모든 창의적인 것에는 내가 드러나는데, 거기에는 나를 표현하고 나를 공동체에 자리매김하고 싶은 열망이 들어있다. 즉‘스타일’에는 몸과 마음, 개인적인 나와 사회적인 나, 그리고 현재의 나와 바람직한 나의 차원이 있다. 따라서 나의 개성적인 스타일은 이상의‘나’들이 조화를 이루며 사회의 흐름과 그 영향을 반영하는 자기통제와 개선, 그리고 표현의 총체이다. 나의 고유한 스타일은 다른 이들에게 인정받는 나의 완성을 의미하며, 또한 기존의 나를 넘어서는 나의 실현으로서 나를 창조하는 일이다. 이상으로 프래그머티즘에서의 창의성을‘의미의 연속성’과‘대안의 사회성’, 그리고‘가능성의 확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풀이하면, 우리가‘무지(無知)와 지(知)’,‘미적 경험과 그 외의 경험,’그리고‘지금의 나와 사회적, 이상적 나’로 연속성을 이어가려는 것은‘앎’과‘아름다움’, 그리고‘보다 나은 나다운 나’라는 의미 있는 것을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유의미한 결과는 공동체의 탐구와 의사소통, 그리고 나를 표현하는 스타일이라는 사회적인 성격의 대안에 의한 것이며, 의미를 성취하여 그것이 연속되게 한다면, 그것은 주어진 현실에 대한 가능성을 확장하는 일이다. 요컨대 의미의 연속성과 대안의 사회성, 가능성의 확장은 창의성의 기본 특성이면서 동시에 프래그머티즘에서 창의성이 발현되는 주된 양상이다. 논자가 제안하는 예술철학교육은 프래그머티즘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예술철학교실은 립맨(M. Lipman, 1923-2010)이 주창한 철학교육론의 근본 형식과 방향성을 같이 하여 진행된다. 립맨의 탐구공동체는 비판적 사고와 배려적 사고, 그리고 창의적 사고의 다차원적 사고를 활용한 대화를 통해 철학적 앎을 추구하고, 이를‘행함’으로써 철학을 한다. 마찬가지로 예술철학 교실의 구성원들은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철학적 주제를 토론함으로써 다양한 예술 상황에서 일어나는 문제의 해결을 시도한다. 마침내 탐구자가 해결책을 도출하면 이를 글이나 그림 등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수업은 마무리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 철학교실의 수업은 그 탐구가 완결될 때‘하나의 경험’으로서 미적 경험과 같은 것이 되므로 본 연구가 진행한 창의성의 개념을 구현시킨 실제가 되는 것이다.

      • 국내 수입브랜드의 특성과 현지화전략과의 관계연구

        한지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of IT communications including global network channel unified the market and Korean fashion industry faced the competition with all brands in the world, not with national brands and it is concerned about the global marketing, but there are a few studies about tha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imported brands in Korean market on the basis of 4P strategy,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 characteristics and localization strategy, 3) to study the case about localization strategy of the brand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rand (licensee, agent, and branch).The survey research was employ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Sixty-nine brands selected for this study were eleven branches, thirty-four agents, and twenty-four licensees.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 one-way ANOVA, and multiple-regression were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performing localization strategy in detail, the interview with the person who works in the each kind of company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localization strategy is effected the type of brand, proportion of garments, and price zone. Secondly, among the brand characteristics, type of brand, proportion of garments, price zone, launching time, number of shop are related with localization strategy, but turn-over and number of the staff are not. Thirdly, license brand has the characteristics like as national brand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ranch and the agent is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dquarters and the local company (branch, agent). The basic elements of localization are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and branch is better than agent because they have more confidence and fast communication channel. But most of branches are Luxury brands, and they need to integrate the brand image, so they’re likely to select globalization strategy rather than localization strategy.In Korean fashion market, the proportion of imported Brands is 40.6% and the market share of this is extended every year. According to decrease of economy situation and launching of the national brands, distribution channels prefer to open the brand that is verified in other market. For future of national brands, they need to strengthen the brand power and select the marketing strategy in the view of global marketing. This study can help those brands to refer the localization strategy, when they enter the foreign market.This study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localization strategy in Imported brands in Korean fashion market, and help to activate the studies about the global marketing. 인터넷이나 CNN, M-net과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 채널 등의 다양한 정보통신의 발달은 전 세계 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시키고 있다. 이제 패션업계는 내셔널브랜드 간의 경쟁이 아닌 전세계 브랜드와의 경쟁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국내패션산업의 현황에서 국제마케팅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고 있으나, 패션산업관점에서의 국제마케팅 관련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 수입브랜드를 대상으로 마케팅전략(4P MIX전략)관점에서의 현지화전략의 실행수준을 알아보고, 둘째, 현지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특성을 파악하고, 브랜드특성과 현지화전략과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현지화전략의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 브랜드의 현지화 현황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 의류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는 국내 수입브랜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직진출브랜드 11부, 직수입브랜드 34부, 라이센스브랜드 24부, 총 69부의 설문지가 회수 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기술통계(빈도수, %),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좀 더 구체적인 현황파악을 위하여 각각의 전개형태별로 한 개의 브랜드를 선정,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현지화현황을 살펴보았다.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로, 현지화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특성을 보면, 브랜드 전개형태, 의류상품 비중, 가격대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브랜드특성에 따른 현지화전략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개형태, 의류상품비중, 가격대, 운영기간, 매장 수는 현지화전략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매출액은 다른 특성요인에 비해서 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종업원 수와 현지화수준과의 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개형태와 의류상품비중이 현지화전략과 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기간의 경우에는 수입브랜드의 국내 시장진출이 어려웠던 시기의 현지화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고, 그 시기를 제외하면 브랜드의 운영기간이 오래될수록 현지화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로, 각각의 진출형태별로 각각 한 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여 진행한 심층면접조사결과, 라이센스브랜드의 경우는 브랜드 자체에서 자신의 브랜드를 수입브랜드라고 인식하기 보다는 해외브랜드의 브랜드 명을 사용하고 있는 내셔널브랜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직수입브랜드와 직진출브랜드의 가장 큰 차이는 본사와 현지업체와의 신뢰도와 커뮤니케이션의 원활한 정도라고 할 수 있으며, 본사와의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이 바탕이 되어야 현지화전략을 구체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브랜드의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브랜드의 경우에는 브랜드의 이미지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현지화전략을 전개하는 데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수입브랜드는 라이센스 브랜드를 포함할 경우,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브랜드 중 40.6%에 달하고 있으며, 수입시장의 규모는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또한 국내경기 침체와 함께 내셔널브랜드의 신규전개는 축소되고, 백화점은 고급화라는 이름으로, 할인점은 매출 증대를 이유로 검증된 수입브랜드를 전개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브랜드가 살아 남기 위해서는 브랜드력을 증대하면서, 국내시장만이 아닌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을 전개해야만 한다.본 연구는 국내 패션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수입브랜드의 현지화전략을 분석, 국내브랜드의 해외시장 진출 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의 표본수가 적다고 하더라도,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하여 국내 수입브랜드의 현지화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패션마케팅에서의 국제마케팅이 활성화 되는데 작은 밑받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중국어 교육의 실태 조사 및 그 결과에 따른 행정적 개선방안 연구 : 전라북도 완주군 중심으로

        한지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영어는 물론이고, 제2외국어로 또 다른 언어를 구사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 중 중국어는 전 세계적으로 배움의 열풍을 일으키는 언어로 인식되고 있다. 경제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면서, 세계적으로 막강한 정치력까지 갖춘 중국이라는 나라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 중국어를 반드시 배워야 하는 것이다. 중국어 학습과 관련하여 영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크다. 현재 한국에서는 연령을 막론하고 중국어를 습득하기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많은 초등학교에서 사교육비 절감과 교육 평등을 위해 운영되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교육을 통해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많은 학교에서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만큼, 많은 강사들의 다양한 중국어 교수법 및 다채로운 교재가 사용된다.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5년 전부터 시행하고 있는 초등 방과후학교 중국어 수업과정의 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여 강사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 하였다. 취합한 의견을 분석하여 중국어 강사와 학생 모두 즐기면서 중국어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더 나아가 질 높은 수업을 위해 행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면과 강사들의 상호 교류 방법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In this Internationalization Era, English is surely essential to us. But we also still need to learn another foreign language. Chinese is regarded as a popular language in the world. Since China has developed rapidly on economics, its political influence is larger worldwide. So in order to know more about China, it is necessary to learn Chinese. People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Chinese as the same as English. In Korea, people make efforts to learn Chinese, no matter how old they are. Especially, in order to decrease the cost of the private education and persue the equal education, Chinese is taught to students on After School Chines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so many school, teachers teach Chinese with various ways and different books. Around chollabuk-do wanju-gun carried out the After School five years ago. To understand the real condition of the elementary school's After-school Chinese education, I did a survey and collected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 have analyzed their opinions and found many ways that students can learn Chinese joyfully with their teachers. Further m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ass by the administrational ways, I had an idea that how to make teach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 will talk about this way in this essay.

      • 자살관련 여성우울증세의 젠더 불평등 원인에 관한 연구 :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지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gender inequality as a cause behind depression symptoms in women in their 20s with a focus on suicide rates. The suicide rate among Korean women in their 20s is on the rise recently. Korea’s high rate of women in their 20s committing suicide is an unusual phenomenon worldwide. The average suicide rate for women in OECD member countries is 5.4 per 100,000 population. In Korea, the figure is more than double the average at 11.1, the highest among OECD members. Comparing suicide rat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ir 20s, Korea, Norway and Hungary are the only countries where the ratio of female to male suicide cases is similar or higher. The number of women in their 20s committing suicide is half of male suicides in a majority of OECD member countries. Although female depression and suicides are growing exponentially every year, depression symptoms among women in their 20srelated to suicidal behavior are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female gender’s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dependent nature, and emotional tendencies. The depression symptoms are considered to be an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a disorder that one has to cure by oneself. Female depression symptoms and related suicide accidents were unable to get the spotlight socially, and thus, lack much-needed research.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esearch with a feminist approach to suicide-related depression symptoms among women, especially those in their 20s, is nonexistent.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highly-educated women in their 20s who have thought about or attempted suicide due to serious depression symptoms. Based on the interviews, the author looks into gender inequality as a cause behind suicidal depression symptoms among women in their 20s. In Part Ⅰ, the author explain the purpose of study on gender inequality as a cause behind depression symptoms in women in their 20s, why it is necessary, and how the research is carried out. Part Ⅱ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symptoms and suicide cases and suicidal depression symptoms among women in their 20s. The author outlines a general conceptual understanding of depression symptoms and suicide, and analyzes depression and suicide rates in Korea with a focus on gender. Part Ⅲ presents several theoretical arguments (patriarchy, gender role, normal family ideology, feminization of poverty) that back gender equality as a cause of suicidal depression symptom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women’s position in a patriarchal society, rather than as individuals. Part Ⅳ is an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en women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given in Part Ⅱ and Part Ⅲ. Today’s Korean women in their 20s take Part Ⅰn the labor market, grow up in a patriarchal family system, live in a body-worshipping culture, and find themselves lost in love. The author analyzes depression symptoms of these women in depth. In Part Ⅴ,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a number of social factors, such a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patriarchal parents, feminization of poverty, deprivation of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lookism, are throwing women in their 20s into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ir depression symptoms mirror social inequalities and represent a resistance to gender discrimination. Depression in women exposed to a depressive social environment is without doubt an individual problem. However, an analysis of individual factors indicate the root of the problem is in patriarchy, which dominates the individuals’daily life as well as the society overall in terms of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gender role of women is defined by traditional image of women and norms set by men. This is why today’s women suffer depression symptom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icidal depression symptoms among women in their 20s fundamentally, medical treatment and mental stabilization are not enough. The society needs to take continuous interest and come up with solutions. The author recommends several realizable and practical measures that will prevent suicide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The recommendations are: establishing a suicide prevention system; taking a media effort; forming a social consensus; and conducting research. In order to prevent female depression and suicide more effectively, it is recommended that in-depth research is carried out on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education levels, professions, and so on, in addition to the study on highly-educated women in their 20s. 본 연구는 '20대 여성의 우울증세가 실제 자살과 연결되는 현상'에 주목하며 '자살 관련 20대 여성우울증세의 젠더 불평등 원인'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최근 한국의 20대 여성 자살률은 증가 추세이다. 한국이 유독 20대 여성의 자살 비율이 높은 것은 세계적으로도 특이한 현상이다. OECD회원국의 평균 여성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5.4명인데 반해 한국의 여성 자살률은 11.1명으로 2배를 넘어서면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20대 남녀 자살자를 살펴보면 여성 자살자의 비율이 남성과 비슷하거나 많은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노르웨이와 헝가리 정도이며 대부분의 OECD 회원국의 20대 여성 자살자는 남성 자살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해마다 20대 여성의 우울증세와 그로 인한 자살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특히 20대 여성의 자살관련 우울증세는 '심신이 미약하고 유약하며 의존적이고 감상적인 성향 탓'에 생기는 지극히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현상으로 그저 개인 스스로 풀어내야 할 가벼운 혼란 정도로 치부되어왔다. 여성의 우울증세와 그로인한 자살사고는 사회적으로 주목받지 못했고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에만 머무르면서 해당 과제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 역시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 자살관련 우울증세의 원인에 관한 여성학적 연구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극심한 우울증세로 인해 자살을 생각했거나,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20대 고학력 여성 10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들의 자살관련 우울증세의 젠더 불평등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자살관련 여성우울증세의 젠더 불평등 원인에 관한 연구’의 목적과 그 필요성을 밝히며 본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우울증세와 실제 자살의 상관성 및 20대 여성의 자살관련 우울증세를 살펴보고, 우울증세와 자살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적 이해와 우리나라의 우울증세 및 자살 현황을 분석하며 자살관련 우울증세의 젠더적 분석을 시도했다. Ⅲ장에서는 자살관련 여성우울증세의 젠더 불평등 원인을 제시하기 위해 여성 개인이 아닌 가부장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 전체 집단의 사회적 위치를 살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몇 가지 이론적 논의들(가부장제, 성역할,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빈곤의 여성화)을 고찰한다. Ⅳ장에서는 Ⅱ, Ⅲ장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연구 참여자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분석한다. 노동시장 안에서의 여성과 가부장적으로 고착된 가족 안에서의 여성, 몸 숭배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 그리고 사랑 안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우리 시대 20대 여성들의 우울증세에 관해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했다. Ⅴ장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가부장적인 부모, 빈곤의 여성화, 성적자기결정권의 박탈, 외모 지상주의 등 형태만 달리 했을 뿐 암묵적인 동의하에 이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각종 사회적 요소들은 이 시대의 20대 여성들을 우울감에 빠지게 만든다. 이러한 20대 여성들의 우울증세는 역으로 불평등한 우리 사회의 병폐를 보여주는 거울이 되는 동시에 젠더 차별적인 사회에 대한 여성의 저항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여성을 생애주기별로 우울하게 만드는 동일한 사회적 환경에 노출된 여성의 우울증세는 여성 개개인에게는 분명 개인적인 문제지만, 그 개인적인 요인들을 분석해보면 결국 근본 원인은 일상을 비롯한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공적 가부장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성들의 이해를 중심으로 정해지는 전통적인 여성상과 규범으로 강요되는 여성의 성역할은 우리 시대의 여성들을 우울증세에 시달리게 만든다. 20대 여성들의 자살관련 우울증세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의학적인 치료나 개개인의 정신적 안정이 아닌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20대 여성의 자살률과 우울증세를 예방하기 위해 실행 가능성이 높은 현실적인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자살관련 예방 시스템의 구축, 미디어의 노력, 국민적 공감대 형성, 관련 연구의 시행 등이 바로 그것이다. 여성의 우울증세와 자살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된 20대 고학력 여성의 자살관련 우울증세 뿐만 아니라 좀더 다양한 차이(연령대, 학력, 직업군 등)를 지닌 여성들을 중심으로 심화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사르트르 ‘자기기만’에 근거한 성인의식현상 분석 :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중심으로

        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이 행하는 사고나 행동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지 않는다. 무한경쟁의 사회에서 나를 돌아보고 반성한다는 것은 타인과의 경쟁에서 그만큼 시간을 허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물질중심주의적, 소비지향적인 사회에서는 물질의 획득과 소비에 의해 행복이 손쉽게 결정된다. 사람들은 획득한 재화를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고 우월함을 느끼면서 그것이 곧 행복이라고 믿게 된다(Fromm, 1976). 그러나 실존철학은 물질적 충족에도 불구하고 알 수 없는 불안, 무의미와 같은 정신적 공허감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원치 않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상황들 속에서 우리는 당황하고 불안해하며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때론 그 상황에 대해 화로써 반응하거나, 회피하는 등의 반응으로 상황을 모면하고자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모순적인 감정과 행동을 사르트르(Jean Paul Sartre, 1905~1980)의 ‘자유’를 포기한 ‘자기기만’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해 보았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인간은 자유롭도록 운명 지어졌으며, 그 운명을 거부할 자유는 없다. 그만큼 인간이 자유로운 존재라는 것은 절대적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외부로부터 부여받은 본질 혹은 본성이 없기 때문에 스스로를 자유롭게 창조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그 과정에 있어 인간은 자신의 선택과 결과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자가 된다. 사르트르에 의하면 인간은 설사 자신의 자유를 억압받는다고 여겨지는 상황에서조차 그것을 발판으로 삼아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다(이대희, 2009). 그 어떤 상황이라도 그것을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전적으로 부여된 자유에 부담을 느낀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의 선택에 있어 그 어떤 외부적 잣대에 기댈 수 없으며, 상황은 항상 예측할 수 없이 유동적이고, 또한 나의 선택이 전 인류의 가치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은 실존적 고독과 긴장의 상황을 모면하고자 ‘자기기만적 태도를 선택’한다. 자기기만은 자신의 자유를 포기함으로써 실존적 삶의 주체가 아닌 수동적 객체로 전락하는 태도를 말한다. 자기기만은 특정한 가치나 이상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혹은 자신의 업무나 역할에 매몰되어서, 혹은 이러한 상황은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며 타인이나 외부적 상황을 탓하는 등의 존재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스스로를 선택에 대한 책임으로부터 달아나게 만든다. 이와 같은 사르트르 이론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르트르의 이론과 교육적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관련한 사례로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반 일리치의 작품에 나타난 인물들은 스스로가 의식하지 못하는 자기기만적 행위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르트르의 관점에서 분석해보자면 이들의 자기기만은 인간 존재가 자유하다는 성찰로 나아가지 못한 데에서 연유한 것이었다. 따라서 선택에 대한 불안을 지닌 채 상황을 회피하거나 화를 내는 식의 반응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타인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자기 자신을 소외시키게 되었다. 특히 분석은 사르트르가 자기만의 예로서 제시한 다양한 사례들 중에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 가지 사례를 범주화하여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 묘사된 다양한 상황들 중 각각의 범주에 속하는 사례를 검토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사회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가치나 도덕규범에 맹목적으로 의지하는 것을 사르트르는 자기기만으로 보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주인공 이반 일리치가 옳다고 믿는 행복한 삶의 기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온 삶의 기준으로서 작용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사르트르는 특정한 지위나 역할에 자신을 매몰시킴으로써 스스로 권리나 의무를 강요하는 태도를 자기기만으로 보았는데, 이는 작품 속 등장인물들이 주어진 직분에 자신을 일치시킴으로써 모두를 소외시킨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불행의 원인을 타인이나 외부적 환경의 탓으로 돌리는 것과 관련하여, 이반 일리치와 가족이 서로의 탓을 하며 비난함으로써 관계를 단절시킨다는 점을 검토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르트르의 이론에 의거하여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분석한 결과 ‘자기기만’적 삶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유’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적 접근은 성인에 대한 ‘의식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진정한 변화는 개개인의 의식의 변화에서 비롯하기 때문이다(Krishnamurti, 1950~1984). 청소년기는 자기기만적 행동양식을 형성하는 시기로서, 그것은 주로 성인들의 가치와 행동을 습득하면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때 청소년 스스로가 자신의 자기기만 행위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부모나 교사 교육의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해보았다. 또한 성인기에는 이미 청소년기에 시작된 자기기만적 태도가 습관으로 고착화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 의식에 대한 보다 깊은 차원의 교육적 접근이 고려되어야 되며, 성인교육으로써 자기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의식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freedom’ and ‘bad faith’ of Jean Paul Sartre for the life of existant. That means people should make their lives with subjectivity. It is indicated that people often feel the sense of meaningless, anxiety, alienation even though they enjoy material affluence. For the reason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addiction, violence, suicide happen these days, so existential philosopher focus on what human being is and how we should live. According to Jean Paul Sartre, who calls atheistic existentialist himself , people have boundless freedom and they can choose themselves in every condition. Although facing the limited situation, we can choose new possibility from the situation, since situation depends on the way of constructing and accepting. But people are reluctant to actualize their ‘freedom’ because they have total responsibility for the result, moreover they are situated on uncertainty. Eventually, people choose ‘bad faith’ which means people define their nature of existence as passivity, relinquishing their ‘freedom’. People who believe in ‘bad faith’ escape from the possibility, accepting conventional values unquestioningly, hiding behind their status and role, and blaming others for unhappiness. In this sense, the various appearances of ‘bad faith’analyzed the death of Ivan Ilych written by Leo Tolstoy on the base of Sartre’s theory. In result, almost characters in the work chose ‘bad faith’ so that they made failed relationship and human alienation. Therefore, with a view to quit choosing ‘bad fai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artre’s ‘freedom’.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alize what people choose ‘bad faith’ by oneself, so it is required to find educational approach. To realize a goal of escaping ‘bad faith’,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character of object such as adolescence and adult. First, we can infer how ‘bad faith’ can be chosen from observing the adolescence of Ivan Ilych. In youth, adults like parents, teacher instruct and impose conventional values and manners. As a result, students learn those values unconditionally.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 must provid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student can use their thought and behavior freely. Second, in adult, ‘bad faith’ tends towards a sort of habit. To stop perpetuating ‘bad faith’, it is important to approach in terms of self education. For penetrating ‘bad faith’, we should study the meaning of ‘freedom’, then, we can always create our lives actively.

      •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까지의 Flute Sonata에 대한 비교연구 : G.P.Telemann, W.A.Mozart, C.Reinecke, P.Hindemith의 Flute Sonata를 중심으로

        한지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의 역사는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 속에서 설명할 수 있다. 시대별 음악 특징은 각 시대의 시대적 배경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변화와 모험의 시대였던 바로크 시대에는 음악을 더욱 더 발전시키고 새로운 장르들을 확립시킨다. 이성,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고전시대에는 음악 또한 단순명료하고 음악적 형식이 중요시 되어 악장마다 형식을 갖추는 등 보다 선명한 음악을 추구하였다. 개인 자신의 표현을 중요시하는 낭만시대에는 음악도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식이었다. 정치적, 사회적, 과학적, 문학적으로 적지 않은 영향을 준 현대에 이르러 음악은 초 보수적인 것부터 전위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실로 넓은 범위에 이르고 있으며, 기법에 관한 다양성과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선 시대의 흐름에 맞춰 음악의 변화, 발전함을 설명하기 위해 각 시대의 Flute Sonata를 연구하여 그 시대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적 배경 및 특징에 대해 비교 연구한다. Understanding music history of each period is built upon the recognition of social or cultural streams of the each period as the historical background greatly affects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during the era. The Baroque Era was represented as the period of venture and change, so the music had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and solidifying new genres of music. The Classical Era was represented as the era of reason and objectivity, so the music emphasized simple and clear formats that can be understood from anyone. The Romantic Era, in the contrary to the Classical Era,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s, so the music became diverse in forms and styles. The music of Modern Era is influenced by various histor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social, scientific, literary, etc. As a result, the boundary of modern music covers from the extreme conservatism to the most progressivism, and forms and styles of the music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ex. This paper conducted a research on flute sonatas of each era to explain the periodic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music consequently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music in each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