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경도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한은숙 경기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사가 가져야 할 태도와 역할, 통합 교육내용을 경도 장애아 통합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상과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경도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교사의 변인별(교사유형/통합 교육경험유무/특수교육이수유무/연수경험유무)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경도장애유아 통합교육에 있어서 교사가 생각하는 방해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변인별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통합교육에 있어서 바람직한 교육내용의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응답자는 국. 공립 및 사립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310명이며, 장애아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교사의 역할과 교육내용에 관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 통합경험 유.무, 특수교육 관련학과 이수여부, 특수교육 관련 연수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순위를 부여한 문항에 대해서는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통해 인식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고, 통합교육을 경험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신변처리가 가능하고 간단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통합교육을 허용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특수교육 지식과 인내심, 원만한 인성을 교사의 자질로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통합교육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경험이 있는 교사가 특수교육지식이 있는 것을 교사의 자질로 꼽았다. 둘째, 통합교육 시 어려운 점은 일반유아 부모의 부정적인 인식을 가장 어려운 방해요인으로 답하였으며, 교사의 훈련경험과 지식부족, 학급당 교사 대 일반유아의 비율이 크기 때문에 장애아 통합교육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유아는 일반유아에게 조금 방해는 되지만 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통합에 필요한 환경이 국가정책이나 거의 모든 유아교육기관에 제대로 준비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통합교육과정을 익히려면 특수교육에 관련된 연수를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구성은 "일반활동 중심 교육과정에 장애유아를 위한 개별화 프로그램을 삽입"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답하였다. 이에 결론을 내리면, 일반학급의 유아교육 교사들은 장애아 통합교육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일반유아 부모의 부정적 인식과 장애아와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훈련경험이나 지식부족, 현재 교사 대 일반유아의 비율이 크며, 국가의 제도적 지원 부족, 현장의 통합교육프로그램의 부재 등의 방해요인으로 인해 통합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반아동의 부모의 부정인식 감소를 위한 부모프로그램을 활성화 해야 하고 특수교사나 보조교사의 지원과 함께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지식을 위한 방안, 일반학급에서의 통합교육 내용을 연구하는 것이 시급하다 하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a study of integrative eductude toward and their roles in integrative education in ordinary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tion for infants with light handicap in terms of teachers' atti The following are research problems based on the purpose above. 1. How does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ight handicap differ byvariable(teacher pattern/integrative-education career/special-education completion /training experience)? 2. What do teacher think prevent integrat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ight handicap? 3. How do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ive curriculum differ by teacher variable? 4. What are the desirable factors of integrative education? The survey indicates that teachers find it necessary to understand children with handicap and conduct integrative education, but that they limit such education to those who can take care of themselves with simple communications skills and no harm done to others, and that teachers exposed to integrative educatio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than teachers with no experienc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egative perception of parents with ordinary infants and lack of teachers' training and knowledge as well as a large number of infants compared to the number of teachers keep integrative from working properly, and that integrative edu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ordinary educational institutions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and that the subjects think it most desirable to insert individualized programs for handicapped infants into a curriculum focusing on ordinary activities.

      • 동화역할극이 다문화 가정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은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화역할극이 다문화 가정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의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이야기 이해력를 연구문제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충북 D군에 위치한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다니는 유아 중 연구 대상자는 포테이지, PRES 검사 후 수용언어나 표현언어가 12개월 이상 지체된 유아를 선정하여 사전-사후-유지단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백분율로 비교분석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유아 주변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동화역할극을 선정하여 주 2회씩 총 16회기 동안 제공되었으며, 한 회기는 40분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화역할극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언어발달지체 유아 대상자 3명 모두의 수용어휘력, 표현어휘력, 이야기이해력 등의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발적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동기가 부족하고 또래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되는 어휘의 수가 제한적이며 습득된 어휘를 일반화하고 자연스럽게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인 다문화 가정 언어발달지체 유아에게 동화역할극를 활용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role plays to linguistic skills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earch listed linguistic acceptance, linguistic expression, and story understanding abilities. Children in the study were attending preschool in B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Chung Buk D. Children with 12 month or mor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by Portage, PRES examination and monitored throughout pre-post-maintenance phase.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graphs for comparative analysis in percentage. Familiar fairy tales were selected to be used for role plays 2 times every week, in total of 16. One role play was 40 minutes long.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Language programs with role plays showed positive influences in linguistic acceptance, linguistic expression, and story understanding abilities for all 3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은숙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G시 D구에 소재한 D어린이집과 E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4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협동미술활동은 2014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주 2회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검사하기 위해서 김영옥(2003)이 개발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미술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리기 표상능력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버전 2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 둘째,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미술표현력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미술표현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협동미술활동은 성장기 유아들에게 중요한 활동으로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식물심기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은숙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panting on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s for the research method, we sampled 16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liv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divided them into a control group (n=8) and an experimental group (n=8).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ed various types of containers including shoes, stone pots, bark, moss, milk pack, and recycled goods, and chose highly viable, prolific and easily manageable plants. In planting, various horticultural techniques were used in order to stimulate the subjects?f interest and to help them acquire new horticultural knowledge and skill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executed at U Development Disorder Exercise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May 2 to August 10, 2010, on Tuesday each week, 90 minutes from 10:00 to 11:30 am per session, and a total of 15 sessions. In articular, Session 3, 6 and 10 were held outside. The subjects?f stres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a stress scale for parents with a disabled child. The stress scale surveyed problems in the parents and family, the parents?f pessimistic attitude, the child?fs physical disability and characteristics, etc.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subjects?f parenting efficacy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using a parenting efficacy scal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 of stress in parents with a disabled child, the control group?fs score of problems in the parents and family increased from 3.38 before the program to 6.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72). On the contrary, the experimental group?f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2.75 before the program to 0.88 after (p=0.002). In addition, the control group?fs score of pessimistic attitude decreased slightly from 11.00 before the program to 10.00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55). The experimental group?fs score also decreased from 12.88 to 9.38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96). The control group?fs score of the disabled child?fs physical disability and characteristics was constant at 9.63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ut the experimental group?f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88 to 6.63 (p=0.021). For parenting efficacy, a high score means high parenting efficacy.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 decreased from 31.38 before the program to 30.00 after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enting efficacy was improved from 29.75 b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o 31.75 afte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63). As presented above, whe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mothers with disabled child who were stressed by practical difficulties 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ir peculiar situation different from ordinary families, horticultural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their stress and enhancing their parenting efficacy, which indicates efficiency in their performance of their role as parent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horticultural therapy focusing on the planting of various kinds of plants on different forms of containers reduces stress i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nd improves their parenting efficacy, and consequently,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 영어 이야기 만들기와 다시 말하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력 향상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은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FL상황에서 초등영어학습자들은 어휘를 대할 때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로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암기해야하는 부담스러운 것으로 느낀다. 이에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처음 접하게 되는 학생들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의미 있는 학습을 통해 어휘의 의미와 읽기를 즐겁게 느껴, 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필요성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초급 영어학습자들은 주로 파닉스(phonics)를 통해서 읽기 지도를 받고, 혹은 막연히 외우다가 보면 읽기도 되고 뜻도 알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으나 본 실험에 앞선 Pilot 연구를 통해 파닉스(phonics)만을 지도받는다고 해도 읽기가 쉽지 않고, 또 명시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지도받는다고 하더라고 단·장기적으로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실험연구를 위해 먼저 파닉스접근법과 총체적 언어접근법을 접목시킨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통해 수업 모형을 모색하였다. 수립된 수업 모형을 수업에 직접 실시함으로 초등 영어학습자들이 명시적인 지도와 더불어 스스로 의미 있는 이야기를 만들고, 만들어진 이야기를 다시 그림으로 표현해 보는 과제 수행을 통해 받아들여진 정보를 단기기억에서 심상적 부호, 어의적 부호로 정교화하고 조직화함으로 장시간 기억하게 함으로 궁극적으로는 영구 기억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 등의 대도시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방과 후에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어떤 경로를 통해 학생들이 어휘를 습득하는지에 대해 명확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을 전혀 받지 않는 충남 S 초등학교의 3, 4 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야기 만들기와 다시 말하기 과제를 활용한 어휘수업을 한 달여간 실시하였다. 이때 학생들은 파닉스 지도법에 따라 교사로부터 어휘를 지도 받고 지도받은 어휘를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따라 이야기를 만들어 노트에 써볼 수 있도록 과제수행을 하였다. 학생들은 모두 초급과정이기 때문에 모국어를 제한하지 않고, 필요하다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은 총 10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10차시 수업 사이에 2회 어휘의 단기 기억 평가를 실시하고 10차시 후 어휘의 장기 기억 평가를 위한 지필고사를 실시하여, 이야기 만들기와 다시 말하기 수업이 어휘력 향상을 위해 효과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의 단, 장기 기억에 있어 이야기 만들기와 다시 말하기 활동이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Pilot 연구에서 파닉스 지도법을 받았을 때와 달리 학생들은 어휘를 자신이 만들었던 이야기를 토대로 효과적으로 기억 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제시되었던 어휘와 그 의미를 이야기를 만들고 다시 말하기 활동을 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고 발음하게 되었다. 학생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허용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야기 만들기 과제에서 모국어 사용을 줄여 나가고 영어 단어를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나아가서는 문장 형태에 대한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읽기 부분에 있어서는 Pilot연구에서 파닉스지도법을 통해 지도를 받았을 때도 규칙을 발견하여 읽기가 쉽지 않았고, 본 연구의 균형적 접근법을 통한 수업을 통해서도 읽기가 쉽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전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어휘란 외워야 하는 것이라 생각을 했었지만, 수업 후에는 성적이 낮은 학생들도 자연스럽게 장기적으로 기억을 할 수 있는 이야기 만들기 방법을 통해 쉽게 어휘를 접근할 수 있다고 느끼게 되어, 어휘 학습뿐 아니라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영어이야기 만들기와 다시 말하기는 영어학습자의 어휘력 향상 및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실험 기간이 다소 짧아 장기적인 변화를 더 살펴보지 못하는 제안점이 있다. 이에 장기적으로 이 과제를 수행했을 때 초급 학생들의 읽기를 포함한 어휘습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중급학습자와 고급 학습자의 어휘학습시 적용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환경관련 영어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은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지구적인 환경문제는 결코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국제적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제로 세계 곳곳에서 이를 위한 활발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단지 환경문제뿐만이 아니라 경제, 문화, 정치 등 모든 방면에 있어서의 세계화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 미래사회를 위한 환경교육과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영어교과 환경교과의 목표, 내용을 분석하여 융합 목표를 도출하였으며 교수법으로는 양쪽 과목 모두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스토리텔링을 주 교수법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연구자 근무교의 4학년 아동을 실험,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양적 연구를 실시해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2. 연구문제는 첫째, 환경관련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고 둘째, 환경관련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효과로 나타난 환경소양 수준을 측정하며 셋째, 환경관련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효과로 나타난 영어 의사소통능력 수준을 측정한 뒤 넷째, 환경관련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3.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어와 환경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문헌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관련 영어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첫째, 초등 영어와 초등 환경의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하여 두 과목의 목표를 동시에 성취할 수 있는 융합목표를 만들었다. 5. 둘째,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영어교과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관련 영어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6.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총 8회에 걸쳐 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의 점수가 수업 실시 전보다 환경소양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결론적으로 환경관련 영어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은 아동의 환경소양의 증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can not be solved by only one single country.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Nowadays green projects are taking place worldwide. Not only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economy, culture, goverment and many other fields are becoming more and more globalized with the help of technology. In addition to this growth, the global community is becoming more aware of the increasingly apparent problem of the environments con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ed for environmental English education for a sustainable future for the world. After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and environment curriculum and contents, set a merged goal of this program. Storytelling is a teaching method that is very effective in Both English and environment education. A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evided int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pre-and post-test of the 2 groups shows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The foci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development of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environment. Secondly, measuring the environmental groups change in level of literacy with a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environment. Third, measuring English communication with a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environment. Lastly, analyzing the influence of a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environ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analyzing English and environmental curriculum and goal resulted in a confusion goal that makes both goals. Secondly, the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environment was developed for 4th grade during English clas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ested 8 times and showed a reasonabl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In concusion, an English storytelling program about the environment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in environmental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