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피부에 대한 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유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50대 여성 311명을 대상으로 피부에 대한 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피부인식을 중요도, 관심도, 만족도로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구매성향을 충동구매형, 브랜드의존형, 계획구매형 요인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피부인식에서 관심도가 높은 그룹이 세안시간이 길었으며 지식도가 낮은 그룹은 주변지인에서, 높은 그룹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인식, 피부지식도, 세안제 구매성향 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피부관심도와 충동구매형, 계획구매형이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피부관심도가 높은 여성들은 충동구매형과 계획구매형의 성향이 강하고 피부중요도가 높은 여성일수록 충동구매형의 성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피부인식이 세안제 구매행동 및 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it affect them what the effect of skin recognition on the purchasing behavior and propensity to buy facial cleanser in 311 women in their 20s and 50s. This study analyzed by importance,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skin recognition. and type of impulse buying, type of depending on brand, type of planning buying. The group with high interest in skin recognition had a long time to clean, the group with low knowledge had the information from nearby, and the group with high knowledge got information from intern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kin recognition, skin knowledge, and the propensity to buy a cleaner, there was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skin interest, type of impulse buying and type of planning buying. In addition, the women who are highly interested in the skin have a tendency of type of impulse buying and type of planning buying, and the women with high skin importance are less inclined to type of impulse buying. In conclusion, Skin recognition uses purchasing behavior and propensity to buy facial cleanser.

      • 엔지니어링 모델링 & 시뮬레이션 기술의 연구동향 및 기술수준 계량분석

        한유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설계역량 향상을 위해, 제조혁신수단으로서의 엔지니어링 모델링 & 시뮬레이션(Engineering Modeling & Simulation, Eng. M&S) 기술의 체계적인 기술육성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해당분야의 글로벌 연구동향 및 기술적 위치를 정량적 데이터 기반으로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계량분석을 수행할 때, 과학적 성과물은 논문정보를, 기술적 성과물은 특허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과학적 성과와 관련된 연구동향분석의 경우 논문정보를 활용하였으며, 기술수준평가의 경우, 논문 및 특허 정보에 추가로 시장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논문(Science), 특허(Technology), 시장(Market)으로 구성된 기술수준평가모형(STM TLE)을 정의하였다. Eng. M&S 분야에서 시장정보는 명확히 ‘CAD’, ‘CAE’로 분류되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기술분류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고, 시장에서의 달성된 경쟁위치는 해당국가/기업의 기술력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기에 보다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전제를 두었다. 데이터 수집의 경우, 특정 기술에 대한 명확한 서지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DB 내의 기술분류체계를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나, Eng. M&S와 같이 분명한 분류체계가 존재하기 않는 경우 키워드를 통해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Eng. M&S 기술을 ‘Geometry Modeling’, ‘Meshing’, ‘Solving’으로 구분하고 각 세부분류에 해당하는 기술을 도출하여 이를 검색식으로 활용하여 각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동향분석으로 ‘연구추이’, ‘국제연구협력현황’, ‘연구분야 체계’, ‘시기별/국가별 핵심연구주제’ 등을 살피기 위해 해당하는 필드정보를 사용하여 단어동시출현에 기반한 행렬을 구성하고, 이를 네트워크분석 및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기술수준평가를 위해 앞서 설명한 ‘STM TLE’ 모형에 대해 AHP 분석을 실시하여 지표별/세부모형별 가중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국가별, 기술별, 모형별 기술수준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모형 및 각 세부모형과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설명력을 통해 Eng. M&S 기술수준평가에 있어 본 평가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주요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 분야 및 기술수준이 모두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는 국내현황을 반영하여 국가적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홍보 및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 핵심 사업으로서 M&S 분야 육성사업을 설정하고, ‘M&S 활용률’ 등을 제조혁신 관련 지표로서 신설한다. 또한 높은 기술수준에 위치하며 다양한 연구주제를 아우르는 미국, 유럽국을 중심으로 공동연구체계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한 ‘Meshing’ 기술 분야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Eng. M&S의 궁극적인 활용지인 제조기업 M&S 활용 현황 파악을 통해 기업특성을 고려한 인식제고방안 및 기술지원 체계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global research trends and technological positions in Engineering Modeling & Simulation(Eng. M&S) by quantitative data bas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M&S technology to improve the domestic design capacity. When conducting such a quantitative analysis, it is common to use paper information as scientific results and patent information as technical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case of the research trend analysis related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the paper information is used. In the case of technology level evaluation, not only papers and patents information, but also the market information are considered. Thus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model is define as the ‘STM TLE’ and is composed of paper(Science), patent(Technology), and market(Market). In the field of Eng. M&S, the market information is clearly classified as 'CAD' and 'CAE'. Therefore, It is presupposed that the introduction of market information make it possible to make the assessment more accurate, since it complements the disadvantage that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echnology does not exist,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it reflects the competitive position achieved in the market. In the case of data collection, it is best to utilize the technical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DB to extract clear bibliographic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technology, but if there is no clear classification such as Eng. M&S, the data is extracted using the keyword. Therefore, by meeting with M&S experts, Eng. M&S technology is divided into ‘Geometry Modeling', ‘Meshing', and ‘Solving', and the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each subcategorization are derived. And each information is extracted by using the search-formula based on this technical tree. And for analysis of research trend, 'research tendency',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status','related research field', 'core research subject by time/country' are examined by network centrality results and visualized results using co-word network analysis of bibliographic data of papers. To evaluate the technology level,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M TLE' model described above to set weights for each indicator / sub-model, and the technical level of each country, technology class, and sub-model is evaluated.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his technological level evaluation model on the Eng. M&S is verified through the explanation power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e this model, the existing prior research model, and each detail model.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derived. It is necessary to have an active public relations and suppor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as reflecting the current status in Korea that the insufficient research field and low-level of technology on Eng. M&S. To this end, it is highly recommend to establish M&S field as one of core R&D businesses of the country, and set up ‘M&S utilization rate’ as an index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And the collaborative research system should expand centering around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located at a high level of technology and cover various research topic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deeper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shing' technology, which is absolutely weak in Korea. Finally,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method for awareness raising and technical support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y by examining the utilization status of M&S of manufacturing company which is the ultimate application place of Eng. M&S.

      • 고객만족을 위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서비스 경영 전략 연구

        한유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문화상품’이라는 공연 예술을 제공하는 기본적 공간으로의 역할에서 현대 여가활용 및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 증대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역할의 다양화와 세분화된 고객의 욕구에 비해 아직은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연 관람을 위한 계층의 폭이 넓어지고 소비의 습관 및 제공되는 서비스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현대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복합 문화예술 공간은 과거의 수동적 제공자의 입장에서 변화에 맞추어 시장성을 갖추어야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바탕으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가장 관심을 두는 전략인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경영이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실천해야할 경영 목표로 방향을 정하는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고객만족이란 어떠한 상품을 구입함으로 만족감을 얻는 것을 넘어서 그로 인한 가치를 제공함으로 고객에게 기쁨과 감동을 주는 것이며 경영적 측면에 있어 일반적 마케팅의 개념보다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에 예술의전당, 성남아트센터와 같은 수도권 주요 복합 문화예술 공간에서는 서비스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백화점의 서비스를 벤치마킹하는 등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복합 문화예술 공간의 변화를 위한 시도를 바탕으로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경영 전략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첫 번째 전략으로 고객만족 프로세서 체계를 실천하여 종사원의 서비스 교육 체계를 마련, 고객접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참여를 유도함과 고객접점 종사원의 고객 니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여 반영할 수 있는 피드백을 활용하는 등 방문하는 고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서비스 경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위해 내부 종사원의 만족도가 높아야한다는 내부 고객 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함으로 모든 종사원의 목표를 설정해야하는 전략이 있다. 세 번째, 점차 다양해지는 고객만족 요소를 위해 시장 조사를 통한 세분화된 전략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 위와 같은 방안을 통해 기타의 여가문화 시설과 타 복합 문화예술 공간 간의 경쟁력을 갖춘 고유의 공간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해본다.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hat played the role of a basic space that provided performing arts called ‘culture products’ in the past has been playing diverse roles owing to the increased demand for utilization of modern leisure and culture and art. Efforts on the part of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should be made to meet the rapidly changing diversification of the roles and subdivided customer desires. Based on the modern consumption culture in which the audience classes of public performance have been broadening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provided services have been diversified, the multipurpose art and culture space needs to be equipped with marketability in line with change from its position of passive provider in the past. Based on such changes,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service management for ‘customer satisfaction’, a most touted strategy in current business management, aims to practice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has been forming. Customer satisfaction is not just obtaining satisfaction from purchasing goods but to provide customers with delight and deep impression, and from management aspects, it can be interpreted more broadly than general marketing concept. So, major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s in the capital area like Seoul Arts Center, Seongnam Arts Center are making efforts to benchmark the service of department stores that practice service managemen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efforts to change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I attempted to make a research on service management strategies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 first strateg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stomer contact points formed by practicing customer service process system and preparing the service training system for employees.. It presents the service management strategy to provide satisfaction for visiting customers by inducing customer participation and utilizing the feedback system to collect and reflect the opinions of employees at the customer contact points about customer needs Second, it is the goal for all employees to set the strategy to build service strategie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internal customer management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internal employees should be high to provide service for customers. Third, I present the strategy subdivided through market survey for increasingly diversified customer service factors. I expect the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o grow into the one equipped with competitive power of other leisure culture facilities and other multipurpose culture and art space through the above-mentioned sways.

      • 시니어 창의교육에 있어서 디자인씽킹의 역할 연구

        한유리 한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니어 창의교육에 있어서 디자인씽킹의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 인구 비율은 2019년에 14.9%였다. 이는 세계 9.1%의 비율보다 5.8% 높은 수치로 고령화 사회에 빠른 속도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현대 사회에서 의학기술의 발달로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퇴직 후 노후생활의 기간이 길어졌기에 시니어들이 어떠한 삶을 살아갈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시니어들을 더욱 고립되게 하고 뒤처지게 만든다. 시니어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는 인간을 위한,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인 디자인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그들의 굳어진 생각과 인식을 유연한 사고로 바꿀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창의교육이다. 교육에 적용된 디자인씽킹의 효과를 보면 여러 사람과 활동하면서 협동심을 기를 수 있고 상대방을 이해하면서 소통 능력도 향상된다. 또한 사회성도 높일 수 있으며 아이디어 발상으로 창의력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시니어 창의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기존 노인교육의 문제점과 노인 사회문제, 디자인씽킹의 특징 등에 대한 문헌, 논문을 조사하고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남녀 65세 이상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시니어들의 신체적, 정신적인 부분은 대체로 좋은 편이었고 특히 정신적인 부분이 매우 좋게 나왔다. 시니어 교육을 참여한 수는 적었으나 그들 대부분은 취미와 건강 관련 교육에 집중하였다.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시니어 창의교육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시니어가 많았는데, 이는 무관심이 가장 큰 이유였다. 그중 참여하는 시니어는 첫째, 정신적, 심리적인 건강을 위해, 둘째, 자기계발, 새로운 경험을 위해, 마지막으로 창업 또는 일자리 창출의 이유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니어 창의교육에 있어서 디자인씽킹의 역할로는 첫 번째 사람들과의 소통으로 공감과 이해하며, 상대방에게 감정이입 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자신에게만 집중되어 있던 생각과 마음이 문제 해결을 위해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두 번째 개인 활동이 아니라 협동과 협업 활동으로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는 함께함으로 자신의 의견과 상대방의 의견도 수용할 수 있게 되며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성 또한 증가한다. 세 번째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동시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므로 비슷하게 좌뇌와 우뇌도 활성화가 된다는 것이다. 좌뇌는 논리, 이성, 실용, 긍정 능력을, 우뇌는 그림, 음악 등 시각적이고 예술적이며 감각적인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결국 창의교육 활동을 통해 시니어의 학습 능력과 기억력 향상, 창의적인 요소 등을 키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비선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프로토타입이나 결과에 대한 부분을 빠르게 피드백하여 유연하게 수정 및 보완을 할 수 있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디자인씽킹을 시니어 창의교육에 적용하고 시니어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시니어는 정신적, 심리적인 건강과 학습능력 향상, 긍정적인 태도 변화, 생산적인 삶에 대한 도전 등의 좋은 영향을 받게 된다. 창조적인 생각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씽킹 교육을 통해 시니어는 기존 일자리를 다시 설계하거나 새로운 직업, 직종을 만들어내는 창업 활동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시니어의 사회적 인식 개선과 시니어 창의교육 구축, 사회적 지원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시니어가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디자인씽킹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시민이 대부분이었고 모바일로 이루어져 접근성이 어려웠고 이해도가 떨어졌다. 두 번째는 디자인씽킹을 실제 적용한 시니어 창의교육으로 검증 과정이 생략되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향후 연구 방향은 디자인씽킹을 적용한 시니어 창의교육을 통하여 검증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시니어의 창의교육에 도움이 되는 연구이길 바란다.

      • Document Object Detection을 위한 비용-효율적 Active Transfer Learning 프레임워크

        한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제조기업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하여 설계 및 계약 문서들의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 고객과의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계약 문서인 Invitation-To-Bid(ITB) 문서에는 Form, Table, Text가 존재하는데 한 장의 문서를 직접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하면 누락되는 글자가 종종 발생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글자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OCR 전에 문서 내부의 객체(Form, Table, Text)를 Document Object Detection(DOD)으로 사전 검출하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기존 ITB 문서로 학습된 DOD 모형을 다른 분야의 ITB 문서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 TL) 및 능동학습(Active Learning: AL)을 통합 적용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전이학습은 소스(source) 도메인으로 학습시킨 모델의 가중치를 타겟(target) 도메인을 위한 모델의 초기 가중치로 설정하여 모델을 추가학습(fine-tuning)을 시키는 방법이다. 소스 도메인으로부터 학습된 모델에 전이학습을 사용함으로써 타겟 도메인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추가학습에 필요한 타겟 도메인의 데이터를 다시 수집하고 수동 라벨링을 해야 하는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여기에 능동학습을 적용하면 모델 학습에 효과가 더 높은 데이터를 우선으로 선택 후 라벨링하므로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DOD 모형을 타겟 도메인 ITB 문서 데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비용-효율적인 학습 프레임워크로 새로운 능동전이학습(Active Transfer Learning: ATL)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전이학습을 위하여 신규 학습 문서를 선택하는 데 사용하는 샘플 평가 척도로 entropy, average uncertainty, ambiguity, difficulty, sparsity를 제시하였다. Entropy는 전이학습에서 자주 사용되는 샘플 평가 척도이며 단일 평가 척도 중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Entropy와 ambiguity, 또는 entropy와 sparsity를 결합한 척도는 두 가지 척도 사이의 보완 작용으로 인하여 entropy보다 적은 수의 샘플로도 우수한 성능의 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샘플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적은 수의 샘플로 정확도가 높은 모델 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라벨링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면서 더 효율적인 전이학습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Manufacturing companies are trying to digitize their design and contract documents for digital transformation. Forms, Tables, and Texts exist in an Invitation-To-Bid (ITB) document, which is a contract document of a plant engineering company. Missing characters often appear when a document image is optically recognized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echnology. In this research, to increase the accuracy of character recognition, three types of objects in a document image, Form, Table, and Text, are first extracted using the Document Object Detection (DOD) model before OCR is performed. Transfer Learning (TL) is a method to apply the deep learning model learned from a source domain to a new target domain in other fields. Using TL, one can effectively reuse model pretrained in the source domain. Herein, additional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trained model, and it causes additional time and money because new data must be collected and labeled manually again. For cost-efficient sampling and labeling, the Active Learning (AL) technique can be applied to choose the sample data that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for model fine-tuning. In this study, a new framework for Active Transfer Learning (ATL) to apply the pretrained DOD model for ITB document data to a target domain in a new field in a cost-effective way. This study presents five sample evaluation measures for ATL: entropy, average uncertainty, ambiguity, difficulty, and sparsity. Entropy, which is often used as a sample evaluation measure in AL, showed the best performance among the five single evaluation measures. Moreover, two combined measures, entropy and ambiguity, and entropy and sparsity, could obtained better models with fewer samples than the entropy because of the synergy between the two measures. Using such sample evaluation measures, the trained models with higher accuracy could be obtained using smaller number of samples, and transfer learning could be performed faster with less cost and effort on labeling.

      • 지역 설화를 활용한 한국 춤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진주검무·밀양검무를 중심으로

        한유리 상명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Folk tale involv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eople complexly and the narrative structure completed through oral tradition for a long time holds interesting elements. The folk tale has a creative competence and its potential is found through fusion and reproduction with various fields. Also, folk tale is utilized as contents for various contents by repeating expansion toward the other industrial fields. In rapidly changing trends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e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based on such folk tale takes a role as contents suitable for the globalization requiring the most universal and Korean style. Also, the history and cultural arts are enjoyed as a national growth engine in actualizing the past by combining culture, art, space, emotion, and mood instead of repeating the history and tradition. Furthermore, the folk tale-based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have potential to globalize Korean contents and create profits. However, in development of the folk tale-based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industry, only events are flooding due to unorganized performance process and lack of purpose. In addition, Korean dances hold the history and emotions of each ethnic group or region and they have the driving force to develop into the global contents as non-verbal arts. Nevertheles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dances as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are slow under the nam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and tradition.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local festivals utilizing local folk tales and cases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in other field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as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Then,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cases in Korean dances focusing on Jinju Sword Dance and Miryang Sword Dance and suggested utilization method for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in Korean dances. First of all, it’s necessary to find local folk tales with interesting topics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folk tales and enhancing the pride. Secondly, the Korean dances needs to be made as extensive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instead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by combining the folk tales, tangible cultural arts, intangible cultural arts, and contents involving trend and sociality through fusion with other industries adequately. Third, there should be cooperation with tourism industry applied with cultural heritages holding geographic strength of beautiful natural sceneries. As the specialized personnel from the national dance companies in each region cooperate with tourism industry and cities as the subject of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they would contribute in the globalization as continuous history and cultural contents. Korean dances are non-verbal and composite arts holding ethnicity and history. As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with locality, the dances hold high possibility in expanding the potentials of the ethic group’s cultural arts.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in constructing the organized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system for Korean dances and revitalizing the industries related to cultural arts including Korean dances. Keywords : Local Folk Tale, Korean Dance, History and Culture Contents, Jinju Sword Dance, Miryang Sword Dance 설화 안에는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오랜 시간 구전을 통해 완성된 서사적구조로 흥미요소를 내포한다. 창조적인 역량을 지니고 있는 설화는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과 재구현을 통해 잠재력을 발견하고 타산업 분야로의 팽창을 거듭하면서 다방면에서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화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문화콘텐츠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 하는 현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전 속에서 세계적이면서도 가장 한국적인 것을 요구하는 세계화에 적합한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역사와 전통의 답습이 아닌 문화와 예술, 공간, 감성, 정취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과거의 현재화를 구현 한다는 데에 있어서 국가 성장의 동력으로서 역사와 문화예술을 향유하게 한다. 더불어 우리 것의 세계화와 그로 인한 이익창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설화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역사문화콘텐츠 산업의 전개에 있어서 이행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목적성이 결여되면서 이벤트성 행사가 범람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춤은 민족 또는 각 지역의 역사성과 정서를 가지며 비언어 예술로서 세계적인 콘텐츠로 성장 할 수 있는 원동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형과 전통의 보존이라는 명목 하에 역사문화콘텐츠로서의 연구와 개발이 더딘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역설화를 활용한 지역축제와 타 분야의 역사문화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여 역사문화콘텐츠로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진주검무와 밀양검무를 중심으로 한국 춤의 역사문화콘텐츠 사례를 조사하여 한국춤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흥미있는 소재들을 가진 지역설화에 대한 발굴과 더불어 설화를 이해하고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한국춤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다. 두 번째, 타 산업과의 융합으로서 현 시대의 흐름과 사회성을 내포한 콘텐츠와 설화, 그리고 유무형의 문화·예술이 적절하게 결합된 원형보존 차원에서 확장된 한국 춤의 역사문화콘텐츠로의 제작이다. 세 번째,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진 지리적 이점과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산들을 활용한 역사·관광도시와의 협력이다. 각 지역 국공립 무용단체의 전문인력이 역사문화콘텐츠의 주체로 역사·관광도시와 협력을 이루면서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역사문화콘텐츠로서 세계화에 이바지 할 수 있다. 한국 춤은 민족성과 역사성이 내재되어 있는 비언어·종합예술이라는 이점을 활용하여 정체성을 응축시킨 역사문화콘텐츠로서, 민족이 가진 문화예술의 잠재력을 팽창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 진다. 본고의 결과가 체계적인 한국 춤의 역사문화콘텐츠 시스템 구축과 한국 춤을 비롯한 문화예술 관련 산업 활성화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 주제어: 지역설화, 한국춤, 역사문화콘텐츠, 진주검무, 밀양검무

      • 한국 성인 남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에너지 급원 영양소 및 식품의 분포: 도시기반코호트 자료를 기반으로

        한유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특정 영양소 섭취와 질병 발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었지만, 영양소는 단독으로 소비되지 않고 다른 영양소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영양소 섭취는 식품으로 인한 것이므로 영양소 섭취에 기여하는 식품의 종류와 다양성은 중요하며, 식품의 섭취는 인구학적 또는 사회경제학적 특성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식품의 특성에 대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기반코호트 기반조사 참여 대상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결혼상태, 월 평균 가정수입 변수를 이용하였고, 영양소는 에너지 및 에너지 급원 영양소에 대해 보았다. 134,847명(남성 45,507명, 여성 89,34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별 영양소 섭취 분포를 확인하고, 영양소 섭취 주요 급원식품으로 인한 영양소 섭취량과 기여도를 산출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령대 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해 층화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높거나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그룹은 탄수화물 섭취가 높고, 단백질 및 지방 섭취가 낮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또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밥류의 기여도가 뚜렷하게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단백질 섭취에 식물성 식품 기여도가 높았다. 각 특성 별 밥을 제외한 급원식품으로 인한 영양소 섭취량과 기여도를 비교하면, 남성은 연령과 상관없이 라면과 칼국수로 인한 에너지 및 탄수화물 섭취량과 기여도 모두 높은 반면에 50대 및 60대 여성은 라면(또는 칼국수)로 인한 에너지(또는 탄수화물) 섭취량은 높지만 실제 기여하는 정도는 중간 수준이었다. 여성의 대학 이상 그룹은 돼지고기와 삼겹살로 인한 단백질 섭취량은 중간 수준이지만 기여도는 높았다. 남성은 사무직 및 비사무직 종사자 모두 자장면/짬뽕으로 인한 지방 섭취량은 낮고, 기여도는 중간 수준이었다. 결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영양소 섭취에 주요 급원식품 기여도를 확인하였으며, 영양역학 연구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d: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and disease risk, but nutrients interact with other nutrients than single ones. Nutrient intake is through food intake, so the types and diversity of foods that contribute to nutrient intake are important. Food intake is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of food that contributes to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health examinees study (HEXA), a population-based prospective cohort study that is part of a larger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Only base line information from the HEXA study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d age, educational level, job, marital statu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nutrients included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134,847 (male 45,507, female 89,340), we assessed the nutrient intake from major food sources and the contribution of food to total nutrient intake. In addition, stratific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age group to consider the effect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older group and the lower socioeconomic status group had higher carbohydrate intake and lower protein and fat intake. The older the age or the lower the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the contribution of rice. In particular,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s to protein intake was high among female. Comparing the nutrient intake and contribution from food sources (excluding rice) for each characteristic, males had higher energy and carbohydrate intake and contribution from ramen and kalguksu in all age groups. On the other hand, among women in their 50s and 60s, energy (or carbohydrate) intake from ramen (or kalguksu) was high, but the contribution was moderate. Among female, the protein intake from pork and pork belly was moderate, but the contribution was high in ≥college group. Among male, the fat intake from Jajangmyeon/Jjamppong was low, but the contribution was moderate level in office and non-office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contribution major food sources to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nutritional epidemiologic studies.

      • 한국인 성인의 고혈압 발병에 있어 식이 패턴의 효과 : 전향적 코호트 연구

        한유리 강원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인 성인의 고혈압 발병에 식이 패턴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질병관리분부 한국인 유전체 코호트 자료 중 안산.안성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였다. 총 10,038명의 대상자 중 연령 40세 미만 및 69세 초과 (n=39), 혈압 수치 결측 (n=16), 고혈압 과거력 및 혈압약 복용 (n=1,612명), 당뇨, 심혈관계 질환 및 고지혈증 그리고 암 등의 과거력 (n=753), 에너지 섭취 이상 (n=446), follow-up이 이루어 지지 않은 대상자 (n=630), 수축기 혈압 140 이상 및 이완기 혈압 90 이상에 해당하는 대상자 (n=1,388)를 제외하여 최종 5,15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5,154명 중 10년의 추적기간 동안에 1,331명이 고혈압이 발생하였다. 고혈압 발생 위험도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BMI (body mass index), 허리둘레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추출 된 식이섭취패턴은 Fruit pattern, Vegetable pattern, Fat pattern, Coffee pattern, Rice pattern으로 총 5가지 패턴이 추출되었다. 5개의 식이섭취패턴 중 Rice pattern의 가장 낮은 스코어에 비해 가장 높은 스코어의 HR은 1.26 (95% CI:1.03-1.53)으로 Rice pattern을 많이 섭취할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BMI 수치에 따라 23미만 그룹, 23이상~25미만 그룹, 25이상 그룹으로 구분하여 본 결과, 23이상~25미만 그룹과 25이상 그룹에서 Rice pattern의 가장 낮은 스코어에 비해 가장 높은 스코어의 HR은 각각 1.62 (95% CI:1.08-2.45), 1.64 (95% CI:1.25-2.17)으로 Rice pattern을 많이 섭취할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식이섭취 패턴 5분위수에 따른 baseline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를 본 결과, Rice pattern 스코어가 증가할 때 마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혈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인 정제된 Rice의 섭취가 고혈압 발생 위험도를 높인다는 것으로 고탄수화물 식사로 인한 중성지방의 증가에 따른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질병을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退溪 書藝의 敬畏美學的 硏究

        한유리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조선성리학의 기틀을 세운 宗匠인 退溪 李滉의 예술세계, 그 중에서도 敬사상을 바탕으로 한 그의 書藝精神과 審美意識을 연구하여 참다운 인생경계를 체현하는 서예의 본질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16세기 초․중엽으로 들어서는 朝鮮中期는 정치와 사상사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을 맞이하는 시기이다. 서예에서는 조선 초 安平大君을 중심으로 유행한 姸媚之態의 松雪體가 기피당하고 사림들 사이에서 단정하면서도 유려한 王羲之體를 따르기 시작하니, 이러한 서풍 변화의 중심에 바로 퇴계 이황이 있다. 그는 학문과 사상뿐만 아니라 문장과 글씨에도 一家를 이루어 예술적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퇴계는 왕희지를 종주로 삼아 正法으로 따르되 그대로 묵수한 것은 아니고, 여러 서체를 취하여 嚴正하면서도 端重한 자신의 삶을 그대로 담아내는 서예세계를 펼쳤다. 이 같은 서예관은 無過不及의 正法을 추구한 전형적인 道學者的 서예관이며 여기에는 도덕적 성격이 강한 敬畏 정신이 내재되어 있다. 퇴계의 핵심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敬’은 공경하고 삼가는 마음으로 엄숙하게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것을 말한다. 그에게 있어 敬이란 인간의 모든 일에서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 삶의 가장 중요한 태도이며, 이것은 예술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였다. 퇴계는 性情을 淨化시키는 문예의 작용에 대해 긍정하고 예술의 활동 또한 道學 실현의 수단으로 보았다. 鍾繇와 王羲之를 正法으로 삼고, 趙孟頫와 張弼 서체의 폐단을 지적한 퇴계의 시 <習書>에는 人品과 藝品을 동일시한 儒家的 사유의 미의식이 바탕에 있다. 이것은 작품에 있어서 형식의 아름다움이나 기교보다 내면의 정신과 마음에서 우러난 정취를 중시한 결과이다. 이러한 서예심미관을 퇴계의 理氣論에 적용해보면 神似적 차원의 理를 절대적으로 중시하면서, 形似적 차원의 氣를 權道的으로 강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퇴계는 ‘敬’으로써 人欲을 초월한 天人合一의 예술경계를 체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퇴계의 書藝觀은 그의 서예 작품에서 敬畏美, 正法美, 枯淡美로 드러난다. 성리학적 사유 틀 속에서 法度와 古法의 정신에 어긋나는 미적 가치를 부정했던 퇴계는 예술의 감흥도 중시하였지만 지나치게 격정적이거나 절도에서 벗어난 작품에 대해서는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퇴계의 中和체현 의식은 敬사상의 일환인 修己의 방법이 그 글씨에 드러난 것이다. 敬畏美는 해서와 편액 등의 大字書 뿐만 아니라 퇴계의 모든 글씨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공통점이다. 그는 王法을 따르되 왕희지보다 더 정중한 글씨를 구사하였다. 퇴계의 행초서를 보면 해서의 단정한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用墨과 筆速의 妙를 극대화하여 정감을 적절하게 표출시킨 正法美가 느껴진다. 枯淡이란 질박하고 담박한 것 같지만 실로 농후하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퇴계 서예에서의 枯淡美는 그의 인격을 그대로 담아낸 심후한 예술 경지로서 만년의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특징이다. 이처럼 당시 서예는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도덕적이고 철학적이며 나아가 사회적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품격 높은 심미이상으로 서예의 예술정신을 한 단계 이끌어 올린 퇴계는 玉洞 李漵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로 이어지는 후학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고, 현대에 이르러서까지 法古 중시의 서예 사유와 창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書藝審美를 고찰해보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