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7차 개정 교과서상의 수학사 내용의 비교분석

        한아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학은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사물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여 해석하는 능력과 실생활의 문제를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현재 사회에서 수학은 자연과학, 우주과학, 컴퓨터 과학 등 첨단과학과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입시를 위한 수단의 하나로만 생각하고 그 중요성을 알지 못한다. 그건 수학을 가르치는 교육방법 개발의 부족함에도 문제가 있을 것이다. 학생들이 보다 의미 있고 충실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켜주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그중 하나로 본 논문은 교과서의 수학사적 내용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역사 발생적 원리가 어떤 이유로 발생되어 초기에 발달사의 변화과정과, 역사 발생적 원리로 학생들을 지도할 때의 이점을 볼 수 있고, 수학교육에서 수학사의 중요성, 수학사의 역할과 수학사를 도입함으로써 얻는 효과, 지도 방안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수학1의 1학기 교과서에서 학생들에게 학습동기를 줄 수 있는 수학사적 내용을 9종의 교과서를 단원별로 분석하고 비교하여 교과서외의 그 단원에 맞는 수학사 활용 내용을 제안하였다. 수업 중에 이런 수학사 활용 내용의 간단한 역사적 사실과 일화를 소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좀 더 수학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고 수학이 딱딱하고, 어렵기만 한 과목이 아니라 수학 그 속에서 무궁무진한 재미를 찾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학생들이 그런 재미를 느껴 수학을 좋아해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많은 노력과 교수방법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더 교과의 수학사적 내용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한강 소설에 나타난 주체와 타자 연구

        한아름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강 작품의 인물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소설’ 장르에서 인물이야말로 작품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까닭이다. 인물들 간의 갈등이 서사를 이루며 이를 통해 주제가 구현되고, 또한 작가의 세계관을 엿볼 수도 있다. 즉 작품을 전면적으로 연구함에 있어서 인물 탐색이야 말로 핵심을 이루는 중추인 것이다. 소설의 인물을 연구함으로써 주제와 작가의 사상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인물들의 고통의 이유와 실체를 꿰뚫어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는 인물에 초점을 맞추어 불행한 가족사, 동물적인 남성성, 이성적·논리적 담론으로 대변되는 이성적 주체와 이러한 폭력적인 현실에 고통스러워하며 잃어버린 타자를 추구하는 인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기존 연구를 보면 초기 작품에 대한 연구에 비해 근작(近作)인 『노랑무늬영원』에 대한 평가는 눈에 띄게 드물며 『채식주의자』와 다른 작가의 것을 연계한 논의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강의 전(全)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강 작품이 길들여진 인간 주체를 비판하고 어떻게 진정한 무의식적 욕망을 추구하며 인간다움을 지향하고 있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즉 1차적으로 소설 인물들이 처한 폭력적 현실과 그에 따른 상처 양상, 그리고 타자를 지향하며 합일을 이루고 그 타자로 다시 태어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살피고, 2차적으로 그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강 작품이 어떤 측면에서 인간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 국제회의 개최지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아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회의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형 첨단산업이며 종합서비스산업이다. 때문에 국제회의산업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두루 나타나며 그에 따라 지역발전에 기여하는바가 크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 각 국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측 면에서 국제회의산업 수용태세를 갖추고 경쟁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제는 서울 뿐 만 아니라 국제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보이고 있는 제주지역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회의 개최지 선택 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회의 기획가들이 회의 개최지 선택 시에 고려하는 선택속성을 통해 제주지역에 대한 만족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들은 주로 서울서 개최되는 국제회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그 만족도를 조사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향후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국제회의 개최지로서 발전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제주지역에 대한 만족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주지역에 대한 재방문 의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지역이 국제회의 개최지로서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접근성이라 보여졌고 그 다음이 중저가 숙박시설의 부족, 컨벤션 운영능력, 시설의 미비, 서비스 부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도시에서 개최되는 국제회의에 비해 멀리 나와야 한다는 개념 하에 생겨나는 문제점으로 이점을 오히려 장점으로 살릴 수 있는 대안이 모색되어진다. 둘째, 국제회의 개최지 속성 19개 변수를 요인분석 한 결과 관광요인, 시설요인, 위치/지리요인, 서비스요인, 경제요인, 개인안정성 요인으로 분류되어질 수 있었으며 이들 중 여가활동, 야간활동, 회의전후 관광활동, 시설 등이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반면 상대적으로 경제요인인 지역물가와 개인안전 요인 등은 국제회의 개최지로서의 만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최지 선택속성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가설에서 보여지는 관광요인, 시설요인, 위치/지리요인, 서비스요인, 주민 환대 및 경제요인 그리고 기후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주민환대 및 경제요인은 제주지역을 국제회의 개최지로 선정하는데 있어 크게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졌다. 마지막으로 재방문 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관광요인, 시설요인, 지리적 요인, 서비스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 알아본 국제회의개최지로서의 제주지역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대한 연구에도 한계가 존재하여 과제를 남기고 있다. 본 연구에서 채택되어진 선택속성 이외에도 제주지역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선택속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기존에 다루어진 선택속성들을 모두 채택할 수 없었으므로 보다 많은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정도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끝으로 설문 시에도 대상이 제주지역을 방문해 본 적이 있는 회의 기획가에 한정되어 있어서 많은 응답을 얻을 수가 없었다. 후에 다양한 지역을 중심으로 한 국제회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vention industry has been develop with extending a tourism. Conventio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field to increase the tourism income these day and to make a cultural exchange internation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eting planner satisfaction of JeJu Convention convention environments belong to selecting factors and understanding the possibility of JeJu convention industry. The meeting planner is one of the effective way of attracting customer as communication tool between JeJu convention and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hich was related to meeting planner's choice and satisfaction of choice factors, in JeJu. It is also research how to improve weak point and develope the strength point of JeJu convention management. 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JeJu convention industry must try to build a competition position of advantage in the world because it has a lot of chance factors to be great convention held place.

      •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의사소통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verall tendency of communication perceived by parents and teachers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and the effect of communication perceived by parents and teachers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 aged 4 and 5 years old who are funded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Daejeon. As for the questionnaire,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ere distributed, and 248 copies for teachers and 242 copies for parents were collected, showing 99.2% and 96.8%, respectively. double It was used to analyze 240 copies for parents and 240 for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verage lack of attention that composes the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was 1.64 on average, the average lack of self-control was 1.40, the average lack of tantrum inhibition was 1.57, the average of severe aggression was 1.45, and the lack of social stress was on average 1.30. It was the highest, and the lack of tantrum inhibition was relatively hig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teachers was an average of 3.75 on a scale ranging from 1 to 5 points, and the information sharing that constitutes it was an average of 3.93, information seeking an average of 3.74, and adult relations with an average of 3.55. Information seeking followed by adult relations.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parents was an average of 2.92 on a scale ranging from 1 to 5 points, and information sharing was 2.95 on average, information seeking was 3.20 on average, and adult relations on average 2.71. Information sharing followed by adult relations. Overall, parent-teacher communication thought by parents was relatively lower than parent-teacher communication thought by teachers.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teacher,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and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parents. 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domains, the lack of attention of the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formation sharing and adult relations perceived by the teacher. The lack of self-control of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relations perceived by teachers. The lack of antagonism suppression of anger and aggressive problem behavior in infa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relations perceived by teachers,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seeking perceived by parents. The severe aggression of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dult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teacher. The lack of social adaptation of infant anger and aggressive problem behavi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sharing perceived by teacher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relations, and information sharing perceived by parents. Secon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regression coefficients for each sub-area of ​​parent-teacher communication perceived by parents, information sharing (β=.253, p<.01), information seeking (β=.186, p<.01), adult relations (β=.273, p<.001) were all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ttention deficit of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each communication sub-area perceived by the teacher, it was found that adult relations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β=.58, p<.001).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parent-teacher communication must be improved, so parental educ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promote various communication. And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also try to communicate with parents. Keywords: Child problem behavior, Infant anger aggressive problem behavior, Parent-Teacher Commun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의사소통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전반적인 경향과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의사소통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대전 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5세 유아의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부모용 설문지와 교사용 설문지를 각각 250부를 배포하였으며 학부모용 242부, 교사용 248부가 회수되어 각각 96.8%과 99.2%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 중 학부모용과 교사용 각각 240부룰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가 인지한 부모-교사 의사소통이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울화 억제력 부족에 대한 회귀모형의 적합도는 유의수준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F=5.64, p<.05). 그리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2%로 나타났다. 교사가 인지한 부모-교사 의사소통이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회귀모형의 적합도는 유의수준 5%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회귀모형의 설명력을 보면,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 전체는 3%, 주의력 부족은 4%, 울화 억제력 부족은 2%, 심한 공격성은 2%, 사회 적응력 부족은 4%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첫째,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을 구성하는 주의력 부족은 평균 1.64, 자제력 부족은 평균 1.40, 울화억제력 부족은 평균 1.57, 심한 공격성은 평균 1.45, 사회적응력 부족은 평균 1.30으로 나타나, 주의력 부족이 가장 높았고 울화억제력 부족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사가 인지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은 1-5점 범위의 척도에서 평균 3.75로 나타났고, 이를 구성하는 정보공유는 평균 3.93, 정보추구는 평균 3.74, 성인관계는 평균 3.55로 나타나, 정보공유, 정보추구, 성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인지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은 1-5점 범위의 척도에서 평균 2.92로 나타났고, 이를 구성하는 정보공유는 평균 2.95, 정보추구는 평균 3.20, 성인관계는 평균 2.71로 나타나, 정보추구, 정보공유, 성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사가 생각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보다는 부모가 생각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은 교사가 인지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과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과 부모가 인지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하위영역 간 상관관계를 보면,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주의력 부족은 교사가 인지하는 정보공유, 성인관계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자제력 부족은 교사가 인지하는 성인관계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울화억제력 부족은 교사가 인지하는 성인관계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가 인지하는 정보공유, 정보추구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심한 공격성은 교사가 인지하는 성인관계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사회적응력 부족은 교사가 인지하는 정보공유, 성인관계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 부모가 인지하는 정보공유와 유의한 정적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가 인지하는 부모-교사 의사소통 하위영역별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정보공유(β=.253, p<.01), 정보추구(β=.186, p<.01), 성인관계(β=.273, p<.001)는 모두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의 주의력 부족에 유의한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교사가 지각하는 의사소통 하위영역별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성인관계 의사소통은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에 유의한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8, p<.001). 결론적으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부모-교사의 의사소통이 증진되어야하므로 다양한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행되어야겠다. 그리고 교사들도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할 것을 제안한다. 키워드: 유아문제행동 , 유아 분노 공격적 문제행동, 부모-교사 의사소통

      • 유산소운동이 체지방수준에 따른 노인여성의 혈중 지질과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아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유산소운동이 체지방수준에 따른 노인여성의 혈중 지질(총 콜레스테롤, 고 밀도 지단 백 콜레스테롤, 저 밀도 지 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성장호르몬(성장호르몬, 인슐린유사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여성의 노화지연 및 지질대사 개선을 위한 운동의 적용 가능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대상자는 S시 G구 노인복지회관에 다니는 65세 이상 노인여성 13명(69.8±2.8세)으로 하였으며, 일반그룹 7명(체지방률: 29.8±4.2%)과 비만그룹 6명(체지방률: 39.9±2.9%)으로 나누어 유산소운동을 12주간 주 3회 60분씩 실시한 후 혈중 지질과 성장호르몬 분비량의 변화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이원변량 반복측정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중 지질의 경우, 그룹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운동 전・후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내 유산소운동 시기별 비교에서 두 그룹 모두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고 밀도 지단 백 콜레스테롤 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총 콜레스테롤, 고 밀도 지단 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저 밀 지 단백콜레스테롤은 12주 유산소운동 전(120.8±103.4 ㎎/㎗)・후(103.4±29.2 ㎎/㎗) 비만 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성장호르몬의 경우, 그룹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운동 전・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룹 내 유산소운동 시기별 비교에서 성장호르몬 분비량은 12주 유산소운동 전(0.523±.337 ㎎/㎗)・후(0.816±0.394 ㎎/㎗) 비만 군 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슐린유사성장인자의 분비량은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65세 이상 비만노인여성에게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은 성장호르몬과 저 밀도 지 단백콜레스테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성장호르몬의 증가와 함께 저 밀도 지 단백콜레스테롤의 감소에 영향을 미쳐 체지방형성을 억제 함으로서 비만개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aerobic exercise on blood lipid(total cholesterol; T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triglyceride; TG) and growth hormone(growth hormone; GH, insulin like growth factor-Ⅰ; IGF-Ⅰ)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body fat levels, an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exercise for improving elderly women's aging and lipid metabolism. Thirteen elderly women (69.8±2.8yrs) above the age of 65 who attend the senior welfare center located in G-gu, S-city were chosen as the target sample.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group (N=7, body fat rate: 29.8±4.2%) and obesity group (N=6, body fat rate: 39.9±2.9%). Aerobic exercise was carried out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he differences in blood lipid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quantity were analyzed.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were executed to process the data.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blood lipid,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period for two groups pre and post exercise. However, both groups displayed tendencies of decreasing TC and increasing HDL-C in intra-group aerobic exercise time-periodic comparison, bu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C, HDL-C, TG.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obesity group's LDL-C pre(120.8±103.4 ㎎/㎗) and post(103.4±29.2 ㎎/㎗)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Second, in growth hormone,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 and time-period for two groups pre and post exercise. However, in intra-group aerobic exercise time-periodic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GH secretion quantity in the obesity group pre(.523±.337 ㎎/㎗) and post(.816±.394 ㎎/㎗) 12 weeks of aerobic exercise. Both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GF-Ⅰ secretion quantity. In conclusion, the regular aerobic exercise of elderly women over the age of 65 was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GH and LDL-C of the obesity group. Precisely, if obese elderly women carry out regular aerobic exercise as a method of increasing growth hormone, it will have influences on reducing LDL-C and repressing adiposity, resulting in effectively improving obesity.

      • 펠드먼(E.B.Feldman) 미술비평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관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한아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펠드먼(E.B.Feldman) 미술비평 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관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E. B. Feldman's Theory of Art Criticism 아동미술학과 한 아 름 지 도 교 수 한 장 원 미술교육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과중심미술교육 DBAE로 전개되고, 우리의 사회 속에서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이에 제 7차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교육영역으로 나누어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추세지만, 표현활동에 치우친 구성으로 교육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감상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감상의 방법에 있어서 펠드먼 미술비평이론의 4단계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현실적인 한계성을 인식하고 그의 방안으로 미술관을 선택해 교육적인 가치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술비평을 이용한 감상 프로그램을 제시함과 동시에 미적안목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바람직한 미술교육과 미술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감상교육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Ⅱ장 에서는 미술비평의 감상교육을 미술교육의 내용으로 적극 포함시키고자 하였던 DBAE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펠드먼 미술비평이론에 대한 4단계를 심도 있게 알아본다. 감상교육에 있어서 미술관 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론적 배경을 통해 알아보고,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해 본다. Ⅲ장 에서는 펠드먼 미술비평의 이론을 활용한 감상교육의 방안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미술관 감상 프로그램을 사전, 현장, 사후 학습의 총 3단계로 나누어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감상활동에 펠드먼의 비평단계를 접목하면서 체계적인 감상교육이 진행되었다. 둘째, Work-Sheet의 활용이 동기유발 및, 감상교육에 큰 도움이 되었다. 셋째, 감상을 위한 미술관의 제시는 큰 흥미와 함께, 원작을 가까이 함으로써 감상하며 느끼는 감동과 생각의 차이를 알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결과와 함께 미술관 감상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위해 감상교육의 장소를 다양하게 선별하고, 감상 작품을 회화 작품만이 아니라 판화 및 조소 등 다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며, 수준별 비평 감상교육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주요어 : DBAE, 펠드먼 미술비평, 미술감상, 미술관, Work-Sheet

      •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여가소비자의 정서표현성, 여가만족도, 감정적충성도 및 재구매의도의 관계 : Group Exercise(G·X)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아름 동덕여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Group exercise program is a critical factor enhancing human beings' quality of life. It is one of beneficial leisure activity contributing to their happiness as well as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expressivity, leisure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repurchasing intention for adult participants in group exercise programs. The sample consisted of 419 participants from six s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Korea.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Ver 19.0 and AMOS 19.0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The questionnaire incorporated measures of emotional expressivity, leisure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as well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on a five-point Likert scal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s,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ith oblique rotation was performed.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utgoing expression subcomponent in the emotional expressivity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background factors such as variables program pattern, age,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ational emotion, program pattern, participation durat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emotional eruption subcomponent in the emotional expressivity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duration, and participation frequency. Fourt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ubcomponents in the leisure satisfaction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time. Health satisfaction subcomponent in the leisure satisfaction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background factors such as variables program pattern, ag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time. Fifth, environmental satisfaction subcomponent in the leisure satisfaction construct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difference participation time. Six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purchasing intention other background factors such as variables program pattern, age, participation duratio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time. Finally, there w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expressivity, leisure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repurchasing intention. 여가 활동의 한 유형인 피트니스 센터 내 G·X프로그램은 건강과 질 높은 삶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스포츠 활동이다(문화체육관광부, 2010b). 본 연구의 주목적은 G·X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성, 여가만족도, 감정적충성도, 재구매의도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또한, 여가만족도와 감정적충성도의 매개변인으로써의 역할을 알아보고, G·X프로그램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X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여가스포츠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2012년 1월 서울시내에 소재한 여섯 개의 피트니스 센터를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최종 4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WIN 19.0과 AMO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구조방정식 모형(SEM)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정서표현성의 하위요인 중 외향적표현은 프로그램 영역, 연령, 참가기간, 참가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계정서는 프로그램 영역, 참가기간, 참가빈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표출력은 참가기간, 참가빈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가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교육적만족과 사회적만족은 프로그램 영역,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만족은 프로그램 영역, 연령, 참가빈도, 참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환경적만족은 참가시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감정적충성도와 재구매의도는 모든 배경변인(프로그램 영역, 연령, 참가기간, 참가빈도, 참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표현성, 여가만족도, 감정적충성도 및 재구매의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진로 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자료 개발

        한아름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육의 목표는 배울 수 있는 교육을 자신의 진로와 삶을 연계하여 진로와 삶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는 것이다. 즉, 단순히 입시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직업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수학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수학과 진로교육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교재를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설문지와 면담지를 통하여 수학적 신념에 대해서 분석하여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교과와 연계된 직업을 탐구하여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다. 2) 개발한 교수 학습 자료를 적용한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본다.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교재에 선행연구 논문의 제언을 받아들여 인문계열의 직업에 대해서 개발하였으며, 또한 4차 산업혁명에 강조되는 영역 중에서 고등학교 수학과 연계하여 소개할 수 있는 직업 4개를 선발하였다. 개발된 자료개발은 직업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서 설명하며 직업에서 사용된 수학을 고둥학교 수준으로 낮추어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직업들은 ‘지진학자’,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심리학자’, ‘빅데이터 전문가’ 이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교재를 적용한 후 수학적 신념의 영역에서 하위 3단계를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수학 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학습에 대한 신념, 자아 개념에 대한 신념에 대한 설문지와 면담지를 동일 집단에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영역에서 t-검정을 하였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수학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가치의 변화에 대해서도 80%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과 진로 연계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지도할 경우 수학적 신념이나 학생들의 수학적 흥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