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커피기구(ICO)의 창설 및 붕괴 과정 연구

        한승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레짐은 그 형성 시 매우 복잡하고도 상이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을 거쳐 창설된다. 그러나 이렇게 어려운 협의 과정과 창설 요건을 충족하여 형성된 국제레짐이라 하더라도, 몇몇 레짐은 쇠퇴하거나 해체하기에 이른다. 국제레짐은 형성될 당시 이해 당사국들 간의 합의 자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형성 그 자체로도 의미를 가지며, 이렇게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난 결과로 형성된 국제레짐은 쉽게 해체되지 않는다는 것이 기존 국제레짐의 변화에 관한 설명이었다. 1960년대에 창설되었지만 1980년대 후반에 일제히 해체된, 1차 산품을 다룬 국제 1차 산품 기구(international commodity organization)들 또한 여타 국제레짐들처럼 매우 어려운 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이들 기구는 1차 산품에 관련된 레짐이라는 점에서 특수성을 지니지만, 그 역시 일반적인 국제레짐과 같이 높은 협의 비용을 지불한 결과 창출되었으나 붕괴된 것이었다. 그 원인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국제레짐의 붕괴 요인만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없었으며, 다만 레짐에 관련된 다양한 내?외적 변화에 의해 레짐은 변화를 겪게 되고 극단적인 변화의 형태로 해체에까지 이를 수 있다는 추상적인 설명만이 있어 왔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 1차 산품 기구 중에서도 그 지속기간이나 영향력 면에서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되는 국제커피기구(ICO: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의 붕괴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차적으로는 ICO가 어떤 요인에 의해 붕괴하였는가를 밝히고, 이로써 궁극적으로 ICO의 사례와 같이 국제레짐이 왜 붕괴하는지 그 붕괴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ICO의 붕괴 사례를 분석하는 작업은, 지금까지 레짐 붕괴의 원인에 관해 추상적이었던 기존의 설명에 보다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국제레짐의 붕괴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독립적인 연구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또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주장은, 국제레짐의 형성과 관련하여 오란 영(Oran R. Young)이 제시한 여섯 가지 레짐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레짐창설 요건들이 ICO 내부의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외적 환경의 영향으로 변화해갔으며, 이 요건들의 변화가 ICO의 붕괴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연구 주제가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의 레짐창설이론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레짐형성을 위한 요건들을 살펴본다. 둘째, ICO 또한 영이 제시한 일반적인 레짐 형성 요건을 충족하여 창설되었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ICO의 형성 역시 용이하게 하였던 레짐창설을 위한 여섯 가지 조건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변화하는지 ICO의 붕괴 과정을 통해 분석한다. 넷째, 레짐창설을 위한 조건들의 변화가 곧 ICO의 붕괴를 가져왔으며, ICO는 커피를 다룬 특수한 레짐이기 때문에 지닐 수밖에 없는 추가적인 붕괴 요인을 규명한다. 즉, ICO는 ICO가 형성될 당시의 레짐 초기 창설 요건들이 변화된 결과 붕괴되었다. 이처럼 ICO의 사례와 같이, 국제레짐은 창설될 당시 그 성립을 가능하게 하였던 요건들이 변화하면 붕괴에 이르게 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regimes are created through many complex processes for mediating the various interests among participants. Although the regimes are established through difficult processes, some regimes get declined or broken up. The creation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is meaningful in itself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ince the arrival of the agreements for the international regimes are difficult. Moreover, the international regimes do not easily get collapsed due to the cost participants have paid for their establishment. However, the international commodity organizations which were established in 1960s almost collapsed in 1980s. Although these commodity regimes have their own particularity related with the special commodities, they are also kinds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and created by difficult negotiations like as other common international regimes. Therefore, one can ask as to why these regimes finally collapsed. Until now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Instead of direct explanation, there are some indirect explanation for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of international regimes; the various internal or external changes relating the regimes can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regimes and these changes can lead to the break up of the regimes. However, these explanations need to be complemented by other studies that examine more factors for the break up of regimes.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ICO) has been one of the most successful cases in the international commodity regimes, not only in terms of the length of its persistence but also due to its effectiveness. Although it was powerful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was broken up in 1989.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failure factors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by analyzing the case of establishment and collapse processes of ICO. There are two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one is of secondary and the other is ultimate. The first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s as to why ICO collapsed,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identify why the international regimes like as ICO break up. The analysis of the collapse of ICO is significant in its attempt to examine concrete reasons for the collapse of international regimes.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its independent attempt to provide factors associated to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regimes. To accomplish my research goals, I examine the ICO collapse case by Oran R. Young's theory of regime formation. In his research, Young has indicated several necessary conditions for international regime forma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According to his theory the change of the initial requirements for the regime formation leads to the collapse of regimes. There are several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the goals of the research : Firstly, what are the initial conditions for regime formations in Young's theory?; secondly, was ICO created by Young's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formation?; thirdly, how did the initial conditions for establishment of ICO change?; finally, how did the alteration of the initial conditions for regime formation affected the collapse of ICO, and what are additional conditions related to the collapse of the ICO, since it is the commodity regime dealing with coffee. In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international regimes including ICO has collapsed due to the change of the initial conditions for their formation.

      • 협력적 네트워크(collaborative networks)가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 NGO가 수행한 국제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승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국제개발 분야에서 개발성과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1980년대 공여국들 사이에서 원조피로가 쌓이면서 원조액이 감소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원조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하여 개발성과를 향상시키자는 개발 효과성 논의에서 촉발되었다. 2003년 로마에서 시작된 원조 효과성을 위한 고위급 회담은 2011년 부산의 고위급 회담까지 총 네 차례 개최되면서 원조 효과성 혹은 개발 효과성에 대한 국제개발 사회의 관심은 지속되었고, 이는 2000년대 들어 국제개발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이고도 강력한 담론으로 자리잡았다. 이제 개발 효과성 담론은 개발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해답을 논의하기에 이르렀는데, 그 핵심적인 해답으로 국가 간 협력 형태인 남남협력과 삼각협력, 부문 간 협력 형태인 민관협력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협력 모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형태의 협력 방안들은 주로 국가 간 또는 부문 간 협력 자체에 집중하면서 ‘누구와 협력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국제개발사업의 단위에서 사업수행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보다 나은 사업성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답은 주지 못하고 있다. 즉, 개발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다양한 협력모델이 제안되었지만, 과연 협력을 어떻게 해야 개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던 것이다. 국제개발사업은 기본적으로 공여측과 수원측의 다양한 개발 주체들의 참여와 관계에 기초한 복잡한 협력적 네트워크(collaborative networks)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국제개발사업의 성과는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형성되는 협력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의해 중대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협력적 네트워크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국제개발사업에서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도, 그 동안 학술적인 탐구가 매우 부족했던 협력적 네트워크 요인에 주목하여, 국제개발사업의 수행과정에서 형성되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어떠한 특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제개발사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주체들 중에서도 특히 사업현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협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사업을 실행하고 있는 한국의 NGO가 수행한 국제개발사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최근 공공행정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논의들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국제개발분야에서 협력적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고, 이러한 협력적 네트워크의 특성과 사업성과 간의 관계를 탐구한 연구도 매우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공공행정 분야의 협력적 네트워크에 관한 논의를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세 가지 세부 연구질문이 설정되었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국제개발사업을 현장에서 수행하는 사업 관리자들이 협력과 협력 파트너의 개념적 의미를 무엇으로 이해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국제개발사업에서 형성되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특성과 사업성과 간의 관계를 탐구하기에 앞서, 과연 국제개발분야에서 협력의 의미는 무엇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개념적 속성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국제개발사업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사업 관리자들이 사업성과를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국제개발사업의 성과평가 지표로는 OECD DAC에서 제시한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 지속가능성, 영향력 등 5대 항목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와 같이 국제개발사업을 하나의 협력적 네트워크로 본다면 협력의 과정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과정 중심적인 성과 역시 제시될 수 있다. 공공행정 분야에서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효과성, 즉, 사업성과를 크게 결과 중심적 성과와 과정 중심적 성과로 구분하여 성과를 보다 다면적인 관점에서 측정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데, 국제개발분야에서도 사업의 성과가 다면적인 측면에서 도출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지금까지 거의 밝혀지지 않았던 국제개발사업에서의 과정 중심적 성과의 종류와 내용이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국제개발사업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속성들이 어떻게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속성들이 독립적으로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속성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합적 효과(conjunctural effect)를 규명하고자 한다. 앞의 세 가지 연구질문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조사 방법을 통한 질적연구와 설문조사 및 퍼지셋 질적비교연구방법(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의 2단계 분석법을 통합한 혼합 연구방법(Mixed-Methods Approach)을 적용하였다. 즉, 첫 번째 연구질문과 두 번째 연구질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사업 현장에서 1년 이상 체류하면서 다년도 사업을 관리해 본 경험이 있는 사업 관리자 14명을 심층면접조사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연구질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업 현장에서 1년 이상 체류하면서 다년도 사업을 관리해 본 사업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총 37개의 사업 사례에 관한 자료를 기초로 fsQCA 2단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fsQCA 2단계 분석법은 원인조건을 그 특성에 따라 원거리 변수와 근거리 변수로 구분하여, 각각의 변수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fsQCA 분석을 한 후, 두 변수들의 조합 결과를 합성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원거리 변수는 사업 관리자의 현장파견 경력, 총 사업비, 사업 관리자가 소속된 기관의 연간 국제개발사업비, 사업 현장에 역량있는 파트너 수의 풍부함 정도 등 네 가지 변수로 선정하였고, 근거리 변수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인 네트워크의 밀도와 중심성, 그리고 과정적 속성인 거버넌스(거버넌스 및 행정요소), 자율성, 규범(자원의존 및 신뢰요소) 등 다섯 가지 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연구결과에 대하여, 보다 풍부한 맥락적 해석과 이해를 위하여 1개의 대표사례에 대한 사례연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개발사업의 관리자들은 협력의 개념을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그 개념적 속성으로는 파트너들 간 신뢰와 자원공유, 자율성 존중, 공동의 의사결정과정과 갈등관리기제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협력의 개념적 속성이 발견되는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은 사례마다 달랐지만, 국제개발사업에서도 공공행정 분야에서 강조하는 협력의 개념적 속성들이 유사하게 발견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협력의 속성들은 사업성과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사업 관리자들은 사업성과를 비단 결과 중심적 성과뿐만 아니라,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시행착오와 기술습득과 같은 학습성과를 중요한 성과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공공행정 분야에서는 대표적인 과정 중심적 성과로 협력과정을 통해 파트너들 간 협력관계의 질이 개선되는 것과 같은 협력성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심층면접조사에서는 이러한 협력성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사업 관리자로서 체득한 학습성과는 사업 관리자 개인에게 머물러 있을 뿐, 한국 본부나 펀딩 및 모니터링 기관에까지 전파되지 못하는 ‘학습의 단절’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러한 학습의 단절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사업 관리자 개인뿐만 아니라 한국 본부, 펀딩 및 모니터링 기관이 학습성과의 공유와 전파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장이 마련되지 않는데 있었다. 셋째, 국제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협력적 네트워크 특성들의 조합은 성과 별로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먼저, 결과 중심적 성과에 대한 원인조건 조합은 두 가지로 도출되었는데, 하나는 ‘사업 현장에 역량있는 파트너가 풍부하고, 협력 과정에서 파트너들 간 높은 규범과 낮은 자율성 침해, 높은 거버넌스의 상태’를 달성하는 경우, 그리고 ‘만약 사업 현장에 역량있는 파트너가 충분하지 않다면, 사업비 규모가 크고, 사업관리자의 파견근무 경력이 많고, 협력 과정에서 파트너들 간 높은 규범과 낮은 자율성 침해, 높은 거버넌스의 상태’일 때 결과 중심적 성과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협력성과에 대한 원인조건 조합은 세 가지로 도출되었는데, 원거리 변수들의 조합은 한 가지로 ‘해외사업비 규모가 적은 소형기관이고, 사업 관리자의 파견경력이 짧더라도, 사업 현장에 역량있는 파트너의 수가 충분할 경우’ 협력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근거리 변수들의 조합은 먼저, ‘협력 과정에서 파트너들 간 높은 규범과 낮은 자율성 침해, 높은 거버넌스의 상태’, 또한 ‘파트너들 간 높은 거버넌스 상태, 높은 중심성, 낮은 밀도’, 그리고 ‘높은 규범과 높은 거버넌스, 낮은 중심성, 높은 밀도’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세 가지 근거리 변수의 원인조건 조합들을 한 가지 원거리 변수들의 조합 결과와 합성하였을 때, 높은 협력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끝으로, 학습성과에 대한 원거리 변수와 근거리 변수의 조합 결과는 각기 한 가지로 나타났는데, ‘사업비 규모가 적더라도, 현지에 역량있는 파트너의 수가 풍부하고, 사업 관리자의 파견 경력이 많을 경우, 협력 과정의 규범 상태가 높고, 자율성 침해가 낮으며, 거버넌스 상태가 좋고, 중심성이 높을 때’ 성공적으로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성과 별 원인조건 조합의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성과 모두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거리 변수 중에서도 특히 사업 현장에 역량있는 파트너의 수가 충분한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현지 파트너의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근거리 변수 중에서는 협력의 구조적인 속성 보다는 과정적인 속성인 거버넌스, 자율성, 규범 요소가 동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협력적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성과 별로 원인조건 조합이 달랐던 만큼, 사업 관리자들은 각각의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원인조건들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가령, 학습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협력의 과정적 속성들에 더하여 협력적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높아야 하는데, 이는 사업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현장 사업팀이 협력의 과정적 요소들을 잘 관리하는 동시에 협력적 네트워크의 의사소통 역시 주도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국제개발사업 성과의 영향요인으로 거의 주목받지 못했던 협력적 네트워크의 특성들에 주목하여, 협력적 네트워크의 특성들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하여 사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는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관한 공공행정 분야의 실증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이론적 기여를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제개발사업에서 협력적 네트워크 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제개발사업의 성과를 결과 중심적 성과와 과정 중심적 성과로 구분하고, 그 동안 국제개발사업의 성과로서 거의 강조되지 않았던 과정 중심적 성과의 중요성을 재발견하였고, 그 중에서도 특히 학습성과가 국제개발사업에서 중요한 과정 중심적 성과의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는 국제개발사업에서 협력의 의미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연구의 시작점으로 삼음으로써, 그 동안 협력에 관한 논의가 담론 차원에 머물러 있었던 한계를 극복하고 협력이 보다 실천적인 차원에서 논의되고 연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의미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의 국제개발사업이라는 특수한 맥락에서 협력적 네트워크의 특성들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탐구한 탐색적 연구의 한계를 지닌다. Among the series of ‘The High-level Forum on Aid Effectiveness’ from 2003 in Rome to 2011 in Busan, international discussions to overcome so-called ‘aid fatigue’ have been focused on finding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aid effectiveness. Among the various ways for improving aid effectiveness,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agencies, for-profit organizations, and NGO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rea. Most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are ‘complex webs’ that are interconnected with donors, implementers, and beneficiaries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is not possible without close collaboration among them. For this reason, various types of cooperation, such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PPP), south-south cooperation, and triangular cooperation, were suggested as potentially effective means to enhance aid performance. However, the evidence of whether and how a collaborative network among various stakeholde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improve aid performance is still limited. In addition, it is not yet clearly known which attributes of the collaborative networks affect the results. In fact, previous literature and discussions about collaborative network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have been solely focusing on the issue of ‘who should we collaborate with’, and not paying sufficient attention to ‘how should we collaborate’ at the project level. Prev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practical methods for collaboration to improve aid performance, because they considered collaborative networks as merely an invisible process or with changeable factors which are difficult to be measured. With this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and how collaborative networks among participan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affect project performanc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using qualitative interviews with 14 project managers who had project management experience in the field for over 1-year, and a quantitative survey method with 37 project cases using the two-step approach of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Firstly,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ual attributes of collaboration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s. Because there are few findings of conceptual attributes from previous research that fits with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tex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 with project manag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in development projects. Secondly,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he same project manager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mong public management literature, there are two kinds of performance related with collaborative networks: one is results-oriented performance, which indicates the measurable and objective outcomes of projects, and the other is process-oriented performance, which can be achiev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for example improving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or building trust among collaborative partners. However, among international development literature,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process-oriented performance. If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 is defined as a collaborative network like in this study, then process-oriented performances could be discovered and achieved as well as a result-oriented performance. For this reason, the kinds and contents of performances need to be explo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s. Third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project managers and examined the set-relation between combinations of attributes of collaborative networks and project performances using the two-step approach of fsQCA. Although the empirical tests on relations between collaborative networks and its performanc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most research were based on a simple linear model or on case studies. However, in reality, each network attribute does not independently affect the performance; they conjointly affect the result. For this reason, a fsQCA method is effective in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combinations of network attributes on performance and can provide a more reasonable explanation about the causes of the network effectiveness. This study also used a two-step approach for overcoming the ‘limited diversity’ problem in a fsQCA method by separating causal conditions into two groups of ‘remote factors’ and ‘proximate factor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main variables were carefully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s. Five dimensions of collaborative network in terms of network density, centrality, governance, autonomy, and norms were selected as the main causal conditions and proximate factors; four dimensions of other factors for successful development projects in terms of field management experience of project manager, project budget, agency budge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capacity were selected as remote factors. Since remote factors in this study are relatively far from the project performance in time and space, proximate factors, such as network attributes, are relatively near the outcomes. In addition, there are two dimensions for outcome variables; one is the results-oriented performance in terms of relevance, effectiveness,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beneficiaries’ satisfaction, and the other is the process-oriented performance including the collaboration performance and the learning performance. Briefly,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st of all, the project managers perceived the concept of collaboration not as a fixed structure, but as a changeable process. This means that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can be made and improved in a better way through the efforts of participants in the collaboration. In addition, project managers perceived the attributes of collaboration in terms of a trustful relationship and resource-sharing with partners (norms dimension), respect for autonomy of individual agency (autonomy dimension), and a common decision-making process and a system of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governance dimension). Although the specific context and background of each conceptual dimension were different among the cases, the conceptual attributes of collaboration emphasized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were similarly foun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Secondly, the project managers perceived the project performances as not only results-oriented performance, but also as a learning performance, such as through the acquisition of various skills in the implementing process of the project. The learning performance, which project managers achieved only among individual managers, was hardly transferred among the headquarters of Korean NGOs, funding agencies, and monitoring agencies. In other words, the ‘disconnection of learning transfer phenomenon’ was spread out in the field of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This is because managers, Korean headquarters, funding, and monitoring agencies we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sharing and spreading learning outcomes, and therefore there were no formal or informal chances to share the learn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two-step approach of fsQC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with causal configurations of each performance. Capital letters indicate the existence of condition, and small letters indicate the absence of condition. Firstly, there are two causal combinations of the results-oriented performance: 1) ENVIRONMENT * NORM * autonomy * GOVERNANCE: This combination means that results-oriente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hen the collaborative network has these four attribute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competent local partners who implement projects (high local capacity), collaborative partners who actively share their resources and build trust with one another (high norms), partners who do not impede one another’s individual ideals and independence (high autonomy), and partners who have regular common decision-making meetings, clear role attributions, and effective conflict prevention system (high governance). 2) environment * PROJECT * INDIVIDUAL * NORM * autonomy * GOVERNANCE: It means that although there were a small number of competent local partners, a small project budget, and long-term local assignments for project managers, if there is trust and active resource-sharing among partners, respect for autonomy of each partner, and a smooth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en the results-oriented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Secondly, although there are three causal combinations of the collaboration performance, it can be summarized into one critical combination as follows: 1) ENVIRONMENT * GOVERNANCE: it means that an improved collaboration performance can be achieved in combination with many competent local partners and a governance attribute in terms of common decision-making process and efficient administration. Lastly, there is one causal combination of the learning performance: 1) Environment * project * INDIVIDUAL * NORM * autonomy * GOVERNANCE * CENTRALITY: it means that plenty of competent local partners in the field can lead to a high level of learning performance in combination with a low level of project budget, high level of individual long-term experiences, high level of trust and resource-sharing among partners, low level of violation of autonomy, high level of common decision making, and finally a high level of centrality among partners. From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interviews and fsQCA, this study suggests several recommendations for better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Above all, not only the headquarters of NGOs but also funding and monitoring agencies must try to learn and transfer the knowledge and skills of individual project managers to prevent repeating mistakes in development projects. Although it is hard to measure and capture the learning performance by objective indicators,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s because sustainable development can only be achieved by learning transfer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In addition, regarding the analysis of proximate factors, the combination of the procedural attributes of governance, autonomy, and norms of collaborative networks were analyzed as a common causal combination in achieving both the results-oriented performance and the process-oriented performance. Although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network density and centrality are the main causal factors for results-oriented performance, these structural attributes only combine with procedural attributes in the process-oriented outcome. This means that the procedural attributes of collaboration, which indicates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intimate collaboration among partners, might be more important in improving project performance than structural attributes like density or centrality. Lastly, regarding the analysis of remote factors, the results-oriented performance and process-oriente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if there are many skillful local partners despite little financial and managerial resourc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rengthening local capacity is very important and is a sufficient condition for improving the multifaceted performance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project managers and policymake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must consider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for better performance. Also, they must make an effort to learn and develop adequate management skill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collabo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rust-building, sharing resources, respecting each organizations’ autonomy, and governance rules for better development effectiveness.

      • RISK-BASED GO/NO-GO DECISION MAKING MODEL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 THE CROSS-IMPACT ANALYSIS APPROACH

        한승헌 University of Colorado 1999 해외박사

        RANK : 247631

        세계경제가 글로벌화 되면서 해외건설시장의 진입장벽도 점차 제거되어 2000년대에는 해외건설 시장규모가 앞으로 약 4,380억 달러 (약 52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 건설업체의 최근 해외건설시장 수주실적이 년간 50억 내지 100억불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새로운 시장 잠재성은 많은 건설업체에게 재도약의 기회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해외건설공사는 국내공사와는 달리 정치, 경제, 문화적인 불확실성·이질성과 더불어 기술적인 복잡성(이를 통상 "리스크"라고 지칭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회와 위험』에 같이 직면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특성은 해외건설공사의 수익성 저하는 물론, 건설업체의 적극적인 해외진출을 가로막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면, 매년 세계 225대의 유수한 건설업체중 무려 16%가 해외건설사업에서 손실을 입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해외 발주처의 지급불이행,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동, 물가상승, 그리고 계약서 해석에 따른 각종 클레임등으로 해외건설시장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례가 많다. 해외시장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400대 건설업체중 70여개 업체만이 실제 해외건설공사에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해외건설시장 진출에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해외건설 공사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건설업체는 임직원의 개인적인 직관이나 과거의 경험에 기초하여 해외건설공사 입찰참가여부를 매우 낙관적으로 결정하고 있다. 여러 문헌 조사에 의하면 이러한 의사결정은 실제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지 못하고 여러가지 편견에 의해 잘못된 결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령 그 업체로서는 참가하여서는 안될 공사를 무리하게 수주한 결과, 그 회사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는 사례가 많이 조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외에 진출하려는 건설업체가 해외진출에 따른 리스크 분석을 통하여 올바른 "참가/불참가(Go/No-Go)"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사결정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모델은 기본적으로 해외건설공사에 관련된 다양한 리스크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특정 공사의 입찰에 참가할 것인지?』를 가려주는 역할을 지원하고 있다. 이 모델은 실제 중.대형 건설업체의 임직원 56명을 대상으로 해외건설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한 결과, 동 모델을 이용한 의사결정자들이 단순경험에 의존하는 경우에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일관성 등이 향상된 의사결정을 내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계분석결과, 모델을 이용할 경우 정확성·신뢰성등이 약 30%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리스크 관리에 익숙지 못한 건설업체가 해외에 새로이 진출하거나 신규 프로젝트를 선정함에 있어 "일기예보를 하듯이" 미래의 불확실성을 감안한 해외건설공사 프로젝트의 사업수익성등을 알려줌으로써 건설업체가 보다 성공적으로 해외건설사업의 진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폐철도역 이전적지의 활성화를 위한 재생방안에 관한 연구 : 여수시 미평역을 중심으로

        한승헌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present an analysis of the decline and regeneration direction, focusing on the abandoned historical area in Mipyeong-dong. In the process of urban transformation in Korea, industrial support infrastructure as infrastructure such as railways, roads, and port facilities became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urban structure. In particular, railroad facilities as large-scale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logistics movement and passenger transportation, played a large part in the structure of urban space as they were relatively close to the city center. It is undeniable that the (former) Mipyeong Station station located in Mipyeong-dong, Yeosu-si and the Jeolla Line railroad prevented the expansion of Mipyeong-dong's urban space, but it became a center in the formation of Mipyeong-dong's urban space and functioned as a base for movement. In the meantime, there have been various issues surrounding the research target. Urban problems in Mipyeong-dong, such as traffic congestion, pedestrian safety, and idle space in the railroad relocation site, are accelerating the slum trans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Yeosu City is making self-help efforts such as demolition of viaducts, conversion of abandoned railway lines into parks, promotion of opening of crossing roads, and attempts to introduce functions into abandoned station spaces. there is a year In this regard, this researcher conceived an urban regeneration plan suitable for the region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and the col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Through a diagnosis of decline based on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basic policy and a review of whether or not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 for basic living infrastructure was satis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area was capable of promot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that it was an area that lacked basic living infrastructure.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upper and related plans,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revitalization coincided with the upper level plan and there was a demand for culture of the local resident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erefore, as an urban regeneration technique, the researcher proposes the creation of a complex community center that provides cultural functions for the former Mipyeong Station railway relocation site, and its connection with related plans and surrounding areas.

      • 스트레스 지수 알고리즘 설계 및 분석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한승헌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Humans invariably experience stress in multifarious environments. Due to this stress, various physical, mental and environmental diseases occur, and with the growing general interest in health, the interest in stress is increasing as well. Consequently, this interest has led to a growth in health care systems which make self-measurement possible before you visit a clinic or hospital and which are convenient to use with portable instruments. When measuring stress in hospitals, doctors commonly us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o analyze stress measurements, but this program is difficult for lay persons to understand and use. Therefore, for the self-care system, a measurement system that is simple and convenient is required. Research topics on stress measurement are mainly categorized into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s are psychological, consisting of inquiries about occurrences in everyday life and all the factors that can come into play in any group. The measuring instrument can be easily obtained, thus making the measurement simple. However, since most of the instruments for psychological measurement are made up of questions, the results are strongly subjective. That is wh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impact of physical stres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scientific data can be validated by analyzing physiological signals, thus, making it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But in the case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s it is not easy to obtain measurements and not possible to know what kind of environmental stress a person is und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tress on the physical body. Likewise, since stress measurement is separated into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level of stres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method for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using both instruments. The present paper, as a first step towards ubiquitous healthcare, considers a method of analysis that makes it possible for an individual to manage without the help of doctors. Further, it suggests an integrated stress index that takes into account subjectivity,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This paper considers a new method of analysis where the stress index is derived from the integration and translation of the measurements made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clinics and hospitals. Each different measuring instrument has a measurement of a different range and normally, depending on the range, is divided into 3-5 stages. This paper suggests the designing of an integrated standard index algorithm by indicating the stages as index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ress. For the new standard index, this algorithm is used when the stages of two measuring instruments are the same. Unlike the standard index that uses two measuring instruments, it suggests designing an index algorithm that obtains a modified index, applying factors and particular groups. It is applied with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of stress that can occur in particular groups. But since instrument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are largely objective, depending on the questions given, different interpretations can occur. In the case of the instrumen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obtained data can be the result of inherent causes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multi-index analytical expression technique that analyzes the stability and balance between the measurements when using several measuring instruments. The standard index is the most commonly used, and it is used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stress in bo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terms. And in the case of a modification index, it not only determines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mpacts, but analyzes inherent factors and the impact of stress which occurs in particular groups. And in the case of multi-index, as a method for expanding the standard index, although it cannot use the factors that are applied in the modification index, or the particular group index, it is convenient to check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impacts and helps in analyzing and managing the change in the level of stress. 우 리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스트레스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스 트레스로 인해 여러 가지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환경적 질병 등이 발생하고 있으 며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트레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를 중심으로 특정기관이나 병원 등에 방문하기 전에 개인적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헬스 케어 시스템이 점점 늘어가고 있다. 주로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스트레스의 측정은 전문의가 통계 분석 시스템(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 SPSS)을 이용하여 정보를 얻는데, 이것은 일반인 이 이해하기 어렵고 사용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셀프케어 시스템을 위해서는 사용 이 간편하고 편리한 측정 시스템이 구성되어야 한다. 스트레스 측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심리적 측정과 생체적 측정으로 분류되는데, 심리 측정의 경우에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로써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과 어떤 집단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바탕으로 내용이 이루어 져 있다. 측정도구는 주변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서 간단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심리적 측정도구가 질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관성이 강 하게 나타난다. 그러다 보니 육체적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해서 파악하기 어렵다. 반 면에 생체 측정의 경우에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서 과학성과 객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생체 측정의 경우에는 측정기기 를 구하기가 쉽지 않고, 어떤 환경적 요인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알 수 없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힘들다. 이토록 스트 레스 측정은 심리적 측정과 생체적 측정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스트레 스 정도에 대한 분석이 쉽지가 않다. 그래서 두 측정도구를 이용한 통합된 방법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에 적용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써, 전문의의 도움 없이 개인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방법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주관성, 객관성, 그리고 과학성을 모두 고려한 통합된 스트레스 지수를 제안하였다. 스트레 스 지수는 특정기관이나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측정된 값을 간단한 지수로 표현하여 혼합함으로써 새로운 분석방법을 고려하였다. 측정도구마 다 서로 다른 범위의 값을 갖는데, 보통 범위에 따라 3~5단계로 구분된다. 그 단계 를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간단한 지수로 나타내어 통합된 표준지수 알고리즘 설계 를 제안하였다. 이 때 통합된 표준지수를 위해서는 두 측정도구의 단계가 같은 경 우끼리 사용한다. 그리고 두 측정도구만을 이용한 표준지수와는 달리 요인과 특정 집단을 적용하여 변형된 지수를 얻는 변형지수 알고리즘 설계를 제안하였다. 특정 집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하지만 심리적 측정 도구는 주관성이 강하기 때문에 주어진 질문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생체적 측정도구인 경우에도 선천적인 원인이나 다른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측정도구를 각각 여러 개 사용할 경우에 측정결과에 대한 안정성 과 균형성을 분석하는 멀티지수 분석 표현기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표 준지수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정신적 영향과 육체적 영향 을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변형지수인 경우에는 단순히 정신적?육체적 영향 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 요인과 특정집단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멀티지수인 경우에는 표준지수를 확대한 방법으로써, 변형 지수에서 적용되었던 요인이나 특정집단지수를 이용하지는 못하지만, 정신적?육체 적 영향에 대해서 더욱 확인하기 편리하고, 스트레스의 상황 변화를 분석하고 관리 하는데 도움이 된다.

      • 훈민정음이미지를 이용한 섬유조형에 관한 연구

        한승헌 강릉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의 각 나라는 오랜 세월의 변화를 거쳐 그 나라만의 글자를 구성하거나 다른 나라의 문자를 빌려 글자를 만들기도 한다. 그림과 형상으로써 시작된 문자는 인류의 노력으로 체계화 되었으며, 인류는 문자를 표현하는 도구로 발전시켰다. 이러한 문자 일반의 체계화와 발전은 인류가 그 기능성과 경제성, 그리고 조형성의 가치를 인식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글은 그 형태가 독창적이면서 간결하며 합리적이고 과학적이기 때문에 그 우수성1)을 세계가 인정하고 있다. 21세기 세계화 시대, 우리나라는 외국문물과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일부에서는 외국문화보다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를 개발,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는 창조적이고 독창적인 우리나라의 문화를 세계에 알려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세계화에 맞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한글은 기초배합 등 효율적인 면에서 특히 돋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문자라는 극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한글을 섬유 조형에 이용하여 한국적이면서도 독창적인 작품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훈민정음의 조형성을 자연이 주는 여러 매개체를 통해 한지 캐스팅기법을 사용하여 조형물로 나타내었으며, 한지의 특성을 살려 훈민정음을 형상화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예술작품으로서의 조형작품으로 재구성하였다. 서론에서는 위와 같은 논지와 연구목적을 밝혔으며, 연구방법은 선행된 한글 활자디자인과 한지 그리고 조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글의 기초개념과 훈민정음의 조형성, 국내·외에 발표된 전문서적을 통한 한글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한지의 역사와 특징을 연구하여 작품의 기초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방법적 연구로는 한지를 물에 풀어 도구를 이용한 찍기와 다양한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조형물로 재해석해보았다. 훈민정음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이번 작품은, 오늘날 다양한 물질성과 표현성을 갖는 현대미술의 영역 안에서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소재인 한지를 가지고 작업과 연계하여 창의적인 연구를 통한 자연스러운 문화를 한지조형작품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Every country in the world has their own characters. Most of the character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omplicated changes for a long time or made by borrowing other countries' characters. However, Hangul has been acknowledged by all over the world, because Hangul, the Korean character, has a unique and simple formation. Since twenty-first century as the turning point, Korea has been developed and globalized by accepting other countries' cultures to accomplish the economic growth today. However, there are some movements arising that try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unique culture more than other countries'. It means that superiority of creative and unique Korean culture has to be admitted to increase competitive power in the globalized world. Hangul, one of the Korean cultures, has been already acknowledged its superiority. It is said that Hangul is creative, outstanding in the sense of basic configuration and efficiency, and the most rational character in the world. The researcher thinks that a creative and Korean taste work of design using Hangul for fiber modeling is needed.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 of Hoon Min Jung Eum(another name of Hangul), the researcher represented Hoon Min Jung Eum as formative art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casting method through many ways by nature. Also, I reorganized Hoon Min Jung Eum into formative art which has a sense of importance for korean native culture using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researcher researched basic concept and formation of Hangul. In addition, the researcher studied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Hangul, then settled characteristic of Hangul into shape of work getting information from papers which has been printed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researcher represented Hangul as formative arts using printing method and various expression. The works which has been used Korean traditional paper as a main material according to present image of Hoon Min Jung Eum, are used materials that we can see easily around us. Today in the field of modern art, which has various corporeity and expressivity,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natural culture as Korean traditional paper formative arts through the creative study and using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

      • 백색광을 이용한 파장가변형 SPR 센서

        한승헌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 this paper, it was developed a wavelength modulation type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using a white light source and OSA (optical spectrum analyzer). This experiments were made in sucrose solution and refractive index solutions. This sensor has the high sensitivity which was varied 3.5 nm wavelength shift at 0.001 refractive index change. The second experiments were made in salmonnela antibody - antigen reaction on Au chip and penicillinase and penicillin solution reaction. The result of these bio materials test, it was available real time processing the shift of resonance wavelength. This fabricated SPR sensor is expected to apply high sensitivity in biosensor and wide sensing range by using a white light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