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임 기능을 이용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설계

        한순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컴퓨터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리 구조와 프로토콜이 제시되었고, 표준화 작업 등도 병행하여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위임 모델은 OSI 네트워크 관리 모델에서 관리 정보 전송으로 인한 과도한 정보 전송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이 모델에서는 위임을 통하여 관리자의 부담을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위임을 위해서는 관리 행위를 순서대로 기술하여야 하는데, 이는 네트워크 관리 언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장애 감시 및 회복 조치, 통지 행위 등을 예측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관리 스크립트 언어를 설계하고, 컴파일러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번역기를 구현한다. 특히 관리 스크립트 언어 설계시 관리 객체의 주기적인 감시 및 관리 동작의 지연과 관리 동작을 반복하는 등의 시간 개념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성된 관리 스크립트는 네트워크 내의 정보 전송량이나 관리자 시스템의 부담 등을 고려하여 관리 스크립트 수행 권리를 피관리자 시스템에 위임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지원할 수 있으며, 관리 시스템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위임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크립트 관리를 위한 기능 및 서비스를 설정하고 실험적인 구현을 통하여 그 기능을 확인한다. 이러한 기능의 추가로 네트워크 운영자나 오퍼레이터 등의 부담이 감소됨은 물론 장애의 조속한 발견과 신속한 복구를 기대할 수 있다. The size and complexity of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s have been growing rapidly, thus network management has come to an important aspect of computer networks. Various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and protocols have been emerging. The standardization of network management is in progress by ISO and TSS(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Delegation model supports effective and reliable network management. It reduced the traffic overhead caused by the transmiss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In this model, management scripts can be composed by the designers of managers and these are delegated to agents. Therefore, various functions are needed to create and delegate management scripts. Most of the problems in computer networks are predictable and their solutions will be provided. Therefore, network management can be done by predictive methods. In this paper, we design simple management script language and implement script translator for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Especially, we adopt the concept of temporal control into management script language. It is convenient for us to describe management activities. Considering management traffic or manager's role, management script can be delegated to agent. Accordingly, the roles of management activities would be subdivided into managers and agents. Consequently, we define script management functions and present manager/agent models for script management supporting delegate functions. The methods employed for the implementation are also described. These functions not only reduce the burdens of network managers and operators, but also support rapid detection of network faults and recovery from faults.

      • Piano 학습이 음악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 2년이상 공부한 5, 6학년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순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音樂은 모든 音樂的 活動의 基本이며 音樂的 諸能力의 종합적 表現인 동시에 音樂的 成長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또한 音에 의한 표현과 수용의 풍부한 體驗으로써 音樂을 理解하며, 그 美에 동화할 수 있게 하는 음악의 기본적인 能力을 發展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경제 성장으로 문화 수준이 向上되면서, 父母들의 자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학교의 음악공부 외에 피아노 음악에 대한 교육열이 높아져 그 인구가 상승되고 있다. 本 硏究 피아노 敎育이 어린이들에게 음악적 諸能力을 발전시키는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피아노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과 학교 음악 교육만 받은 어린이들에게 있어서의 音樂的인 基本能力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大田市에서 피아노를 2年 이상 지도 받고 있는 국민학교 5, 6학년 어린이를 무작위로 50名을 선정하고, 피아노 지도를 전혀 받지 않은 국민학교 5, 6학년 어린이도 무작위로 50名을 선정하여, 두 집단을 대면 調査하여 보았다. 비교내용은 리듬감, 가락 보고 부르기와 듣고 가리기, 기악 연주능력, 화음감, 악곡형식의 파악 능력, 템포 및 강약에 대한 表現能力등 基本的인 音樂的 諸能力들이다. 調査分析된 結論은 피아노 敎育을 받은 어린이의 音樂的 能力이 피아노 敎育을 전혀 받지 않은 어린이들 보다도 훨씬 향상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피아노 敎育이 음악의 기본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므로, 학교 교실에서의 음악수업도 가창 지도에만 머물지 말고 基本的 能力을 向上시킬 수 있는 수업 계획의 새로운 조명이 필요하며, 지도교사의 자질 향상도 절실히 必要하다고 본다. Music is the basis of all the musical activities and the promoter of mus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collective expression of all the musical abilities. Therefore the abundant experience of the expression by the musical sound helps develop the basic abilities to understand music better and assimilate with its beauty. With the recent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parents take more interests than ever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in giving the additional opportunities for the piano lessons and the number of children having piano lessons is increasing. This essay is to see how much piano lessons help the young children with the development of their musical abilities and if the present programs of the school music education is desirable. This essay discusses the differences in basic musical abilities between those who have got the additional piano lessons and those who have got the music education only in schools, using the randomly selected 50 5th and 6th graders who have got piano lessons for more than two years and another 50 of the same kind who haven't. The compared factors are the basic musical abilities; following rythm, singing out the scores, telling the scores by listening, the performance of instruments, sorting chords, tempo, and stress. The conclusion is that the musical abilities of those who have got piano lessons are more greatly improved than those of the children who haven't had any instrumental lessons. As piano lessons have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asic abilities of music, we should add the lessons of some musical instruments to the present programs of school music education which have something to do with singing only and for that, we need the programs to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have some instrumental lessons.

      • 지식기반 교수활동 정립을 위한 지적장애학생 교수현황 연구

        한순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식기반 교수활동 정립을 위해 지적장애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의 교과내용 현황, 교수법 현황, 교육상황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 근무하며 지적장애학생을 담임하고 있거나 담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과내용 교수현황에서는 교과에 대한 지식과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학습매체 개발 및 기능적 교육과정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교수법 현황에서는 다양한 대인기술 과 지적장애학생 지도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상황 교수현황에서는 주의집중과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다양한 전략 및 탐구교수를 위한 다양한 자료준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teaching for student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setting of a knowledge-base teaching activity. The goal of this study search for subject contents situation, teaching methods and skills sit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employed 103 teachers who works mental retarded special school and charge of mental retarded student, experienced taught of mental retarded students which located in Seoul, Inchon, Gyu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s necessary subject contents knowledge and various studying medium development for communication and functional curriculum of study structure in subject contents situation. Second, It's necessary various interpersonal skills and the study for teaching method of the student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eaching methods and skills situation. Third, It's necessary various strategy for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tudying motivation, and various material preparation for inquiry activity in educational environment condition.

      • 의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 역할기대와 환자 만족도 조사

        한순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doctors' role expectation and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referral centers to get necessary basic data which is needed to decide the exact role of the referral centers in order to manage them effectively. There were 495 subjects in this study. 245 of them were doctors working in the 397 clinics and hospitals which have made contracts with the referral center in 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J city, and 250 wer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it.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or which I, the author of this paper, complemented and revised the following measuring tools to be fi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ch as the nursing service measuring tool of referral centers developed by Song, Hyae Jeong(2004), the measuring tool of doctorrs' satisfaction after consultation by Kim, Dong Il(2002), and the measuring tool of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consulted clinics and hospitals by Lee, Young Mi(2000). Questionnaires from practitione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postal service, and those from patients through a self-reporting method from Sep. 25 to Oct. 21, in 2006. Data analysis was processed with SPSS/WIN 14.0 electronically. Main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1) Doctors have concluded treaties with 2 or 3 clinics and hospitals which they can trus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over 81.6% of doctors recognize that the conclusion of the treatment treaty is helpful. Most of them request their patients by their own judgment to the referral centers with letter of consultation, 80% of whom have been requested to the treatment-concluded referral centers. However, over half of the practitioners only have a quarter of their patients back. Concluding cooperative treaties with other clinics and hospitals, practitioners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treatment quality of patients who need intensive care, second, the increase of patients' satisfaction and lastly the decrease of investment on the purchase of expensive equipment. When they choose the consulting institutes, they usually consider if their would-be partners have state-of-the-art equipment, if their diagnostic level is reliable, and their consulting procedures are simple enough. 2) The score of practitioners' role expectation on referral centers records an average of 2.93±40 out of 4. High role expectation items are as follows: treatment reservation service (3.46±.58), test reservation service (3.33±.61), prompt service for emergency patients (3.33±.67), choice of medical treatment (3.21±.47), improvement of patients' satisfaction (3.21±.58), medical treatment counseling (3.20±.58), management of patients by their seriousness (3.12±.61), and one-stop service (3.11±.76). Doctors' satisfaction with the referral centers is 3.27±.53 of 5, and the kindness of staff gets the highest score (3.79±.77). The next ones are quick reservation and treatment service (3.70±.82), easy admission to the hospital (3.42±.81), use of medical equipment (3.40±.78), notice of treatment results (3.33±1.01), moderate fee of the treatment (3.28±(.78), consulting of medical knowledge (2.96±.78), re-request (2.86±(1.01), and free use of a medical information network (2.78±0.78). 3)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expext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groups of higher role expectation has a weak mutual relation (r=.223, p=.014), but that in the other groups of lower role expectation, there is an ordinary level of quantitative relationship (r=.580, p=.000). 4) Satisfaction scores of patients who use referral centers are very high record an average of 4.10±.49 out of 5, and satisfaction of an easy location of the referral centers scores the highest (4.63.±53). The satisfaction ranking order for using referral centers is as follows: kindness of the staff (4.57±.54), treatment reservation (4.44±.67), doctor's satisfying explanation (4.28±.68), consultation of treatment (4.26±.65), solution of patients' inconvenience (4.22±.73), test reservation (4.09±.72), management of patients by their seriousness (4.09±.72), decision of treatment department (4.05±.81), providing one-stop service (3.91±.97), reduction of waiting time for treatment (3.85±1.16), evasion of repetitive tests (2.78±1.12). Conclusively, doctors understand that the conclusion of cooperative treatment between themselves is helpful, so they request over 80% of their patients to the treatment-concluded medical institutes. Now it is desirable that they should expand more request treaties with other clinics and hospitals community areas. Referral centers should provide various services totally and actively which reflect the role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practitioners and patients altogether who are the users of referral centers with positive inner cooperation to manage properly practitioners' highly expected factors such as treatment and test reservation service, prompt service for emergency patients, one stop service without patients' low-satisfaction factors such as repetitive tests, waiting time, and proper management of patients' seriousness. 본 연구는 의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 역할기대와 환자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의료협력센터의 역할정립과 효과적인 의료협력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소재 Y종합병원과 진료협약을 체결한 397개의 병·의원에 있는 의사 245명과 J시 소재 Y개 종합병원의 의료협력센터를 이용한 환자 250명으로 총 495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송혜정(2004)이 개발한 의료협력센터 간호서비스 측정도구, 김동일(2002)이 개발한 진료의뢰 후 개원의 만족도 측정도구, 이영미(2000)가 개발한 진료의뢰센터 이용자의 병원 만족도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부 수정·보완한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은 개원의는 우편 설문지법으로, 환자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9월 25일에서 10월21까지 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4.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원의들은 2-3개 병원과 진료협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81.6%이상이 진료협약 체결이 진료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환자를 의뢰할 때 대부분 의사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협진의뢰서 등 서신을 이용하여 환자를 의뢰하고 이중 약 80%를 진료협약이 체결된 의료기관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반 이상이 약 1/4정도 밖에 환자를 되의뢰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원의가 협력관계를 체결함으로써 기대하는 것은 중증환자의 진료의 질 상승, 환자 만족도 상승, 고가장비에 대한 투자절감 효과 등이며, 진료의뢰 기관을 선정할 때는 첨단 의료장비 보유 여부, 의료진의 진료수준, 진료의뢰 절차의 간편성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의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의 역할기대 점수는 4점 만점에 평균 2.93±.40점 이었으며, 역할기대가 높은 항목은 진료예약 서비스(3.46±.58점), 검사예약 서비스(3.33±.61점),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3.33±.67점), 진료과 선별(3.21±.47점), 환자만족도 향상(3.21±.58점), 진료상담(3.20±.58점), 중증도에 따른 환자관리(3.12±.61점), 원 스톱 서비스(3.11±.76점)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7±.53점 이었으며, 직원의 친절도(3.79±.77점)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신속한 예약 및 진료(3.70±.82점), 원만한 입원(3.42±.81점), 의료장비의 이용(3.40±.78점), 진료결과의 회신(3.33±1.01점), 진료비의 적절성(3.28±.78점), 의학적 지식의 자문(2.96±.78점), 되의뢰(2.86±1.01점), 의학 정보망의 자유로운 개방(2.78±0.78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의료협력센터에 대한 개원의의 역할기대가 높은 집단에서의 역할기대와 만족도와의 관계는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23, p=.014). 역할기대가 낮은 집단에서의 역할기대와 만족도와의 관계는 보통의 양적 상관관계를 가졌으나(r=.580, p=.000), 높은 역할기대를 갖은 경우 만족도가 낮고 오히려 낮은 역할기대를 갖은 경우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의료협력센터를 이용하는 환자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10±.49점으로 나타났으며, 의료협력센터 접근 용이(4.63.±53점)가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의료협력센터 직원의 친절도(4.57±.54점), 진료 예약서비스(4.44±.67점), 의사의 충분한 설명(4.28±.68점), 진료 상담(4.26±.65점), 환자 불편사항 해결(4.22±.73점), 검사 예약서비스(4.09±.72점), 중증도에 따른 환자관리(4.09±.72점), 진료과 결정(4.05±.81점), 원 스톱 서비스 제공(3.91±.97점), 진료대기시간 단축(3.85±1.16점), 중복검사 방지(2.78±1.12점)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원의들은 진료협약 체결이 환자 진료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의뢰환자의 80%이상을 진료협약을 체결한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 있으므로 더욱 많은 지역사회 병·의원들과 진료협약을 체결해야 할 것이다. 개원의들의 기대가 높은 진료 및 검사예약 서비스, 응급환자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 원 스톱 서비스 제공과 환자의 만족도가 낮은 중복검사, 대기시간, 중증도에 따른 적절한 환자관리를 위해 내부의 협조를 바탕으로 의료협력센터 이용자인 개원의와 환자의 역할기대 및 만족도를 반영한 다양한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이식자의 적응 경험

        한순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on the adatation experience of permanent pacemaker recipients. The question for the study was "what is the experience of adaptation in people who have received permanent pacemakers?" The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Participants were 13 adults patients who received a permanent pacemaker within the last yea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16 to March 2017.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As a result 54 concepts, 21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deduc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adaptation experience appeared in this study were 'encountered implantation', 'being constrained by the machine', and 'attachment to life'. The central phenomenon was 'attempt to accept as part of my body'. The contextual conditions affecting this phenomenon were 'restoring vitality' and 'unresolved physical discomfort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 was ‘support system'. The 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phenomenon were 'making effort for health care', 'seeking information', 'preparing for an emergency', and 'pursu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e result was 'living in line with the new body'. The core category indicating the essence of the adaptation experience was shown to be ‘accepting the pacemaker as part of my body and living in line with it’the experience consisted of three stages appering in the passage of time such as, ‘resuscitation period',‘recession period', and 'accepting period'. When the relationships repeatedly appearing between categories were checked while continuously comparing data, two types of adatation experience were emerged; they were 'expanding type' and 'complacent typ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erms of nursing is that the experience of permanent pacemaker recipients were understood deeply from the internal viewpoints of participants. In terms of nurs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guidelines or interventios for those with permanent pacemaker. In terms of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as evidentiary materials. In terms of nursing studies and theories, this study presented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process for adaptation to the permanent pacemak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body of nursing knowledge.

      •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순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hypothesis developed here is that verifying the medium role of the emotional dysregulation in two phases of th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can lay the foundation for obtaining useful basic data so that counselors in the field can provide specific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clients suffering from the difficulty of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them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does the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 the effect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To solve the study questions, the paper employs the following study procedur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475 adult located in Icheon, Cheongju. And the article utilized the adult attachment scale, the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Except for Missing data, or research which is not subject, 422 data were used for analysis on the resulting data. Regarding the result analysis went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medium of the emotional dysregulation,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s examined though the Sobel Test. The research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factor showed that the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 had a positive impact to both the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emotional dysregul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emotional dysregulation had a positive impact to smartphone addiction. Third, it was shown that he the emotional dysregulation ha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attachment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at the adult attachment of adult(man, woman)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smartphone addiction had the mediation effect in the emotional dysregulation from empirical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result, adult have help from the intervention of emotional regulation to able to make a healthy relationship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ollow-up of the actual proposals fo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에서의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안을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따랐다. 연구대상은 이천, 청주 지역의 직장인, 대학생, 주부로서 성인애착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스마트폰 중독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475부 중 422부의 자료를 해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애착불안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정서조절곤란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성인애착이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학교시설 유지관리 민간위탁 개선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초·중·고등학교 실태조사·분석 중심으로

        한순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시설을 효율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민간위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시설이 대규모화되고 복잡·전문화됨에 따라 비전문가인 학교 소속 일반직원들의 역량으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21c의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과 쾌적한 교육환경 필요성에 의한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학교시설 관리의 체계적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면담조사,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학교시설 관리에 대해 불만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현재의 관리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 시설환경이 교육활동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로 쾌적한 교육환경을 지속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 시설물 관리를 위해 민간위탁의 필요성에 대해 거의 대부분의 학교가 동의하고 있다. 민간위탁이 필요한 분야는 전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시설물 유지관리가 가장 많았으며 학교 내 청소, 방역 및 위생관리, 조경관리 순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시설 유지관리를 민간위탁 하는데 가장 어려운 문제에 대해 적정예산 확보와 관리자들의 인식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 방안이 민간 위탁을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학교시설 유지관리를 민간위탁 하는 찬성 이유에 대해 학교시설 관리 중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로 나타나고 있는 학교 내 청소 상태가 개선되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여러 학교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순회하면서 공동 관리하는 방식이 시설물 유지관리에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민간위탁 대상 그룹에 대해 현재의 시범 운영 방식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학교위치나 학급규모를 고려하여 초·중·고등학교를 근거리별로 같이 지정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민간위탁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 범위에 대해 학생 사고 예방과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해서 전기 안전검사, 건축 구조물 안전검사, 가스 안전검사, 체육교구 안전검사 등 다양한 분야까지 확대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일곱째, 민간위탁 후 시설 관리에 소요되는 예산에 대해 대부분의 학교에서 예산절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학교로 확대 실시한다면 절감한 교육 예산을 교육활동 지원에 재투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덟째, 학교가 위탁업체에 제공하는 업무 중 가장 힘든 분야에 대해 대부분의 학교에서 업무처리 조정을 가장 힘들어하고 있다. 따라서 업무처리 한계를 상세히 명시한 매뉴얼을 제작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홉째, 학교 시설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민간위탁 운영하려면 교육시설관리사업소에서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지역교육청과 연계하여 학교를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열째, 학교시설 유지관리 민간위탁 운영업무 중 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해 현재의 대상그룹에서 성실하게 운영하는 업체는 경쟁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 방식으로 재계약의 기회를 주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열한째, 인력 팀의 운영방식 만족도에서 현재 매일 대상학교를 순회하면서 많은 이동 시간이 소요되어 서비스 지연으로 이어져 불만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운영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열둘째, 순회 인력 팀과 상주 인원의 적정 구성원 수에 대해서 그룹별 학교위치, 학급규모, 학생 수 등을 고려하여 차등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충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력 증원을 시사하고 있으나 전문가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열셋째, 민간위탁 운영 개선 못지않게 사용자의 인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들에게 시설물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서비스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민간 위탁에 필요한 적정 예산 확보 방안이 강구되어야 민간위탁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improving contracting out to effectively manage school facilities. It is the reality that as school facilities become more large-scale, complicated and specialized, it is getting harder to achieve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due to the limited ability of ordinary school staffs who are not experts. Nevertheless, a more systematic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is need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that complies with various requirements of the 21th century such as varied educational process operation and pleasant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various study methods that involve record investigation, interviews, current status investigation and a survey. The conclusion was draw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many complaints about school facility management and therefore, the current management method required improvement. Additionally, it revealed that school facility environment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normal oper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Consequently,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a systematic management was necessary to ensure pleasant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almost most schools agreed with the necessity to contract out school facility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area that needed to be contracted out was the facility maintenance and repair which requir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and was followed by cleaning in the school, disinfection and sanitary manage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management. Third,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contracting out school facility maintenance and repair service was securing appropriate budget and managers' perception. Solving these problems was a very important aspect to consider, to put in place contracting out. Fourth, the reason why the respondents agreed with contracting out of school facility management was because they expected the cleaning status that was the most poorly managed area in the school to be improved, helping maintaining a pleasant environment. Additionally, they recognized that manpower could be more effectively used in facility maintenance by designating several schools as one group and performing a joint management at rotating schools. Fifth, with regard to the school groups for contracting out, there was no big different opinion from the method of the currently undergoing test operation. However, it was assumed that it would be efficient to designat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distance depending on their location and class size. Sixth, with regard to the scope of contracting out,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should also be done in various areas such as electric safety inspection, construction structure safety inspection, gas safety inspection, and athletic education tool safety inspec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perform a proper education. Seventh, the result shows that contracting out facility management would have a high budget-saving efficiency at most schools. It is assumed that if it is expanded to all schools, the reduced educational budget can be reinvested in supporting educational activities. Eighth, most schools considered work arrangement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in contracting out. Accordingly, a manual that specifically defines the scope of work needs to be created and distributed. Nin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 in which the educational facilities management office oversees the related affairs and provides support to schools in connection with local education offices. Tenth, with respect to things to be improved in the affairs of contracting out, the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rivate contract instead of competitive bidding when signing a recontract with the companies which have operated their service faithfully. Eleventh,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operation style needs to be improved. The service by rotating schools everyday took longer traveling time and resulted in delay in service, which was a common complaint. Ttwelfth, the appropriate number of rotating service personnel and residing personnel needs to be differently regula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class size, and number of students of schools in each group. Additionally, the result suggests that even though increase in the number of service staff was requested, it is desirable that this matter is reviewed through careful analysis of experts. Thirteenth, besides improving contracting out, the users' perception also needs to be improved and therefore, constant education on proper use of facilities should be performed for students. It is assumed that securing appropriate budget is the key to success of contracting out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 대학생의 역경경험이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과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이중순차 매개효과

        한순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Tedechi와 Calhoun(2004)의 역경 후 성장 모형에 근거하여 역경 경험이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이중 순차 매개효과를 통합 모형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역경 경험,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 역경 후 성장,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역경 경험과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역경 경험과 역경 후 성장의 관계에서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역경 경험을 보고한 대학생이 역경 경험 당시 고통이 보통 수준 이상을 포함한 3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edechi와 Calhoun(2004)의 역경 후 성장 모형의 이론과 경험적 선행연구를 기초로 한 측정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고, 연구 모형과 경쟁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한 모형의 간명화 과정을 거쳐 최종 연구모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경 경험은 역경 후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역경 경험이 자기노출과 의도반추의 이중 순차 매개로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 역경 후 성장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기노출을 통해서 의도반추가 촉진되어 역경 후 성장을 증진시키며, 동시에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을 증가시키는 자기노출과 의도반추의 시간 차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노출이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을 감소시키면서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킬 수 있는 통합적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역경 경험이 자기노출, 의도반추 변인을 매개로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과 역경 후 성장의 두 변인은 독립적 차원으로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Tedechi와 Calhoun(2004)의 모형에 기반을 두고 역경 경험에서 자기노출, 의도반추의 이중 순차 매개효과로서,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과 역경 후 성장 두 변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합모형에서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역경의 고통을 호소하는 내담자가 사건의 내용과 감정에 대한 자기인식을 할 수 있도록 안정감 있는 치료적 관계에서 ‘자기노출’에 초점을 둔 상담 전략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 과정으로 의도반추를 촉진하여 역경 후 성장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때 내담자가 역경 후 성장의 과정에 이르더라도 또다시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 감소와 역경 후 성장 촉진을 위한 상담에서 내담자가 사건에 대한 직면을 할 수 있는 안정적인 치료개입을 통해 자기노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중요하며, 자기노출 이후 발생하는 의도반추는 역경 후 성장을 증가시키지만 역경 후 스트레스 증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담과정에서 이 점을 예상하고 내담자의 상태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s abou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growth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that causes psychological distress and shock. Because traumatic experience is psychological progress accompanying stress and growth,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growth in one model. Also,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positive and negative process of trauma, based on Calhoun & Tedeschi's model of PTG(2006).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rehensivel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path from trauma-experience to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growth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this study is proposed the hypothetic al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applying two-step approach, the goodness-of-fit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As a result of model comparison, the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Participants were 337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rauma and whose subjective moderate of the traumatic experienc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uma-experience has no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has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directly. Second, trauma-experience has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growth by sequentially mediated self-disclosure and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rd, trauma-experience has differen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growth through same routes and the conceptual and structural dimension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posttraumatic growth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was verified alternative model for integr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nge of the trauma. And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ounseling model, that makes clients high in trauma-experience promote self-disclosure and increase deliberate rumination, so that counselors help clinets to minimiz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and reach the higher level of growth after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