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행위, 아동학대 발생원인, 개선방안 인식 차이

        한소영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내 발생하는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행위, 아동학대 발생원인, 개선방안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서 2021년 12월에서 2022년 01월까지 경남 창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동권리, 아동학대 행위, 아동학대 발생원인, 아동학대 개선방안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차이,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차이, 아동권리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다. 둘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다. 셋째, 보육교사의 아동권리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학대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이 전반적으로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아동학대에 대한 올바른 교육, 제도적,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 원예치료 활동이 고등학생 유도부 선수들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소영 전북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선수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 함양에 효과적인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오감을 자극하여 정서적인 안정, 창조적인 자기표현, 자신감의 향상을 통해 유도부 선수들의 스트레스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의 00고등학교 유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진행 도구로는 간이 정신건강 척도, 스트레스 척도, 스트레스 대처법 척도 및 맥파측정기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이정신건강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M=1.62)에서 사후 평균(M=1.52)로 0.10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556,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M=2.00)에서 사후 평균(M=1.40)로 0.60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3.622, p<.05). 이 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치료 활동이 간이정신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원예치료 활동은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증, 우울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및 정신증 감소에 효과가 있다. 집단별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M=2.05)에서 사후 평균(M=2.18)로 0.13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772,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M=2.16)에서 사후 평균(M=2.57)로 0.41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3.573, p<.05). 정서 중심적 대처에 있어서는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M=1.94)에서 사후 평균(M=1.97)로 0.03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187,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M=1.98)에서 사후 평균(M=2.40)로 0.42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3.406, p<.05). 즉, 본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치료 활동이 스트레스 대처방법의 하위요인 중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 증가에 효과가 있다. 집단별 맥파검사(스트레스지수)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사전 평균(M=32.25)에서 중간 평균(M=29.88)으로 2.37 감소, 사후 평균(M=30.63)로 0.75 다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t=2.030, p>.05), 실험군의 경우 사전 평균(M=39.29)에서 중간 평균(M=29.88)으로 9.41 감소, 사후 평균(M=23.14)로 6.74 추가적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2.695, p<.05). 즉, 전체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치료 활동이 맥파검사(스트레스지수) 감소에 효과가 있다. 자율신경 리듬의 범위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한 결과 1차시 이후 지속적으로 스트레스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고등학생 유도부들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한 결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포츠현장의 선수들에게 원예치료프로그램을 통하여 오감자극과 정서적 안정, 창조적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며, 직접적으로 참여한 제작물을 보며 자신감과 자부심이 향상되고, 자연친화적인 생활로 유도함으로써 유도부 선수들의 스트레스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뷰티서비스 환경 영향요소가 고객충성도 및 고객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소영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 이후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 감염병 질환인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 위생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오프라인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뷰티산업은 대면서비스가 불가피한 산업으로 바이러스 확산에 따라 소비자의 대면에 대한 불안한 인식과 감정으로 인해 고전을 면하지 못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이러한 뷰티서비스 소비자가 느끼는 불안요소를 줄여 경쟁력 있는 뷰티샵이 되기 위해서는 뷰티서비스 환경의 변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뷰티서비스 환경 영향요소, 고객충성도, 고객이용의도에 대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이들 간의 상호영향관계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서울·전주지역 뷰티샵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가설검증 결과로 요약하였다. 첫째, 환경 영향요소, 충성도, 고객이용의도의 변수들 간 상관관계에서 청결성, 접근성, 쾌적성, 충성도, 고객이용의도와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환경 영향요소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으로는 환경 영향요소 중 청결성, 쾌적성, 접근성요인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영향력을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시대에 위생 개념이 강조된 결과 청결성에 대한 영향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되며 그 다음으로 내부 및 외부 소음에 대한 방음 부분이 쾌적성요인으로 작용하여 고객충성도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접근성에 있어 뷰티샵을 이용하기에 가까운 거리이거나 교통의 편리함이 고객 충성도에 영향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환경 영향요소가 고객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청결성 접근성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내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뷰티샵 이용고객은 샵이 위생적으로 청결할수록, 또한 접근성이 용이할수록 고객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충성도가 고객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단순회귀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미한 정적(+)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고객충성도는 뷰티샵에 대한 환경 영향요소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에 뷰티샵을 계속 이용하기 위해 고객의 마음 깊이 자리 잡고 있는 방문의지 여부를 의미하게 된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뷰티서비스 환경 영향요소가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지속적 고객 이용의도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환경변화에 따른 뷰티서비스 환경 영향요소가 고객충성도와 고객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고객 만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서비스 환경 개선 방향과 보다 효과적인 뷰티경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지휘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지휘자의 역할과 지휘도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소영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휘란 여러 명의 사람들이 함께 연주할 때 이들의 연주를 통합하고 정리하여 정확하게 작품이 지니는 가치를 해석해내고 재창조하는 작업이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의 근대적 지휘의 개념은 19세기에 들어와서야 확립되었고 직업적 지휘자와 지휘봉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도 이 무렵의 일이다. 고대 원시시대의 지휘는 손이나 발로 시작을 알리는 행위 정도였으며, 중세시대에는 손으로 단선율 성가를 지휘했다. 9세기 이후 다성 음악이 시작되면서 악보나 막대를 사용하여 박을 맞추었다. 17세기 바로크 시대에 들어서서는 통주저음 악기가 필수적인 것으로 됨에 따라 건반주자가 지휘의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하였으며 기악이 발달하고 오케스트라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수석 바이올린 주자가 활로서 연주와 지휘를 함께 하게 되었다. 17세기 후반 오페라가 공연 될 때에는 건반주자와 수석 바이올린 주자의 2중 지휘가 성행하기도 하였다. 18세기 후반 통주저음 악기가 사라지게 되면서 건반주자의 지휘는 점차 사라지고 수석 바이올린 주자가 지휘를 전담하게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오면서 관현악법이 발달하게 되고 규모가 커지고 음악적 요소가 발전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작품을 깊이 있게 해석하고 통합해야 할 필요가 생겨나면서 지휘자의 역할은 근본적인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또한 복잡해지고 정교해진 리듬을 지휘할 필요에 따라 지휘봉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20세기에는 지휘자의 영향력이 더욱 커지면서 스타 지휘자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지휘의 역사 속에서 각 시기별 지휘자의 역할과 그 시기에 사용된 지휘의 도구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맨손지휘와 지휘봉 사용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적절한 사용의 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지금 시대의 올바른 지휘자의 역할과 지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고민해 보고자 한다.

      • 개별 문제 해결 접근에 기반한 상지 치료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소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 문제 해결 접근에 기반한 상지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의 연구 기간 동안 경기도에 위치한 B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개별 문제 해결 접근에 기반한 상지 치료군 13명, 일반적 작업치료군 12명으로 나누어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손뻗기 동작의 평균 속도, 상지 기능, 직업 복귀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중재는 주 3회, 1일 30분, 4주간 실시하였고, 중재 후에 동일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두 집단간의 중재 전 동질성 확보를 하였고, 집단내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전·후 자료에 대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으로 집단간 변화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세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재 전·후 마비측 손뻗기 평균 속도는 개별 문제 해결 상지 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일반적 작업치료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중재 전·후 상지 기능은 개별 문제 해결 상지 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일반적 작업치료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셋째, 중재 전·후 직업 복귀 만족도는 개별 문제 해결 상지 치료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일반적 작업치료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넷째, 중재 후 집단간 변화량 검사에서 손뻗기 평균 속도와 상지 기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5), 직업 복귀 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다섯째, 손뻗기 평균 속도, 상지 기능 및 직업 복귀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손뻗기 평균속도와 상지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1), 손뻗기 평균 속도와 직업 복귀 만족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5), 상지 기능과 직업 복귀 만족도 간에서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다음의 결과를 통해, 개별 문제 해결 접근에 기반한 상지 치료가 집단내 모든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고, 집단간 검사에서는 손뻗기 평균 속도와 상지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지만 직업 복귀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대상자의 수와 충분한 중재 기간 확보, 발병 시기에 따른 중재 효과, 추적 연구, 동작 분석 요소의 다각화를 통한 개별 문제 해결 접근에 기반한 상지 치료의 효과 입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pper limb treatment based on individual problem solving approach o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in terms of average speed of reaching motion of more affected side upper extremity,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as compa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Twenty-five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B hospital in Gyeonggi-do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7 were divided into 13 upper limb treatment group based on individual problem solving approach and 12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The average speed of reaching motion, upper limb function and work ability before intervention were evaluated. Intervention wa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one day 30 minutes, and four weeks, and the same evaluation was performed after intervention. The paired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 of data pre and post test after treatment, and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lso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tests.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data was .05,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individual problem solving upper limb treatment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p>.05). Secondly,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individual problem solving upper limb treatment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p>.05). Thirdly,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individual problem solving upper limb treatment group,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p>.05). Fourth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s (p>.05),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s (p<.05). Fifth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upper limb function and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and upper limb function was significant (p<.01),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and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was also significant (p<.0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was also significant (p<.01)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the tests in the upper limb treatment group based on the individual problem solving approach.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speed of the reaching motion and upper limb fun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return to work.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o prove the effect of upper limb treatment based on individual problem solving approach through increased number of subjects, sufficient 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effect according to the onset stage, addition follow-up study, diversification of movement analysis.

      • 가야금산조 중중모리의 강산제 연구 : 김죽파, 김윤덕, 강태홍, 김병호류 중심으로

        한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commonness and differences among Jungjungmori, classified into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in Gayageum Sanjo and composed with Kangsanje. First, appeared notes in Kangsanje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are between 6 and 14 notes. Composed notes of these types are one set of d, e, g, a, c and the other set of d, e, g, a and the most occurring main note is a set of d, e, g, a, c. The main formation of main scale in Jungjungmori, type of ‘Juk-pa Kim’ is ‘d, g, a, b♭’ and the main scale in the type of ‘Yun-deok Kim’ is ‘d, g, a’ and the main scale in the type of ‘Byeong-ho Kim’ is ‘d, f, g, a, c or d, g, a, c’. Second, the set of d, e, g, a, c, the most occurring formation of composed notes in 4 types, is Pyoengjo scale, and thus, Pyoengjo can be considered as Jungjungmori’s principal scale. However, Chapter (1)-1 in the type of ‘Juk-pa Kim’ is composed of Gyemyeonjo Scale, a set of d, g, a, b♭. It shows that Kangsanje partly features Gyemyeonjo, mostly Pyoengjo though. Third, basic melody of ending type has two forms. The one form, A type, is 2 steps down going progressive form a→g→g→g . The other form, B type, is same sound in an octave progressive form g→G→g→g. Both A type and B type appear in the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but in the type of ‘Byeong-ho Kim’ only A type appears. If four types of ‘Yun-deok Kim’ ‘Tae-hong Kang’ ‘Juk-pa Kim’ and ‘Byeong-ho Kim’ which are arranged by occurring frequency. Fourth, if four types are arranged by occurring frequency of same similar scale, the order is ‘Yun-deok Kim’ ‘Tae-hong Kang’ ‘Juk-pa Kim’ and ‘Byeong-ho Kim’. Higher frequency in ‘Yun-deok Kim’ and ‘Tae-hong Kang’ indicates that two types affected much each other. The type of ‘Byeong-ho Kim’ which has few similar scale with the rest types indicates that, with no affection of the rest, type of ‘Byeong-ho Kim’ was developed into original Kangsanje. In this way, Jungjungmori, classified into types of ‘Juk-pa Kim’, Yun-deok Kim’, ‘Tae-hong Kang’ and ‘Byeong-ho Kim’, in Gayageum sanjo and composed with Kangsanje, share a common genealogy and have similarity with one another in composed notes and scale. However, each of them also has originality: various composed notes appear respectively in each of those types. Also, they create and develop their own scale that is given much weight. 본 논문은 가야금 산조 중 중중모리 전체가 강산제로 이루어진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의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첫째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중중모리 강산제의 출현음은 적게는 6음에서 많게는 14음 나타나고, 각 유파의 공통적인 주요 구성음은 d, e, g, a, c 와 d, e, g, a 이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요 구성음은 d, e, g, a, c 이다. 김죽파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 형태는 d, g, a, b♭이고, 김윤덕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은 d, g, a 이며 김병호류 중중모리에만 등장하는 주요 구성음은 d, f, g, a, c 와 d, g, a, c 로 나타났다. 둘째 네 유파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주요 구성음 형태인 d, e, g, a, c 는 평조음계로 중중모리 강산제는 평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김죽파류 (1)-1장은 d, g, a, b♭으로 구성된 계면조 음계인 것으로 보아 강산제는 대부분 평조로 이루어져있지만 부분적으로 계면조가 나타나기도 한다. 셋째 종지형의 기본 선율은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A형은 a→g→g→g 로 이루어진 2도 하행 진행형이고, B형은 g→G→g→g 로 이루어진 동음옥타브 진행형이다.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는 두 가지 선율형이 모두 나타나고 김병호류는 A형 선율만 나타난다. 종지선율의 출현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죽파류, 김병호류이다. 넷째 네 유파를 동일∙유사선율의 출현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죽파류, 김병호류 이다. 김윤덕류와 강태홍류의 동일∙유사선율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유파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여 지고 김병호류는 나머지 세 유파와의 유사선율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다른 유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독창적인 강산제로 발전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이 김죽파류, 김윤덕류, 강태홍류, 김병호류 중중모리 강산제는 같은 계보를 가진 산조로써 주요 구성음과 선율의 형태에서 유사성을 지녔다. 하지만 각 유파마다 다양한 주요 구성음이 나타나고 독자적으로 창작∙발전해 온 선율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고유성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