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택도시기금 건설자금 운용관리체계 방안 연구

        신점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919

        주택도시기금은 재정이 취약한 서민을 대상으로 주택공급과 주거생활 향상을 위해 ‘국민주택자금’이란 명칭으로 1972년 건설자금의 안정적 조달 및 지원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이후, 1981년 4월 주택법을 개정하여 주택 공급지원을 위한 금융지원체계를 확립하였고, 2015년 주택도시기금(이하 기금)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용하고 있다. 기금 건설자금은 임대주택 230만호, 분양주택 200만호 등을 지원하며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한 바가 크다. 주택건설로 인한 건설경기의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원활한 자금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기금 건설자금은 금융조달 비용이 저렴하여 건설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나, 운용지원체계가 복잡하며, 평가기준이 현 실정과 맞지 않고, 대출심사 기준이 매우 엄격하여 건설사가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금 지원사업장의 자금 집행 시 공사 소요자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성고율이 현장의 소요시기와 맞지 않고 누락된 공종이 많아 자금지원을 제때 받지 못하고 있다. 많은 이용자가 기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운용지원체계의 간소화와 금리조정이 필요하며, 기금 취급승인의 기준이 되는 대출심사평가표의 평가항목을 현실에 맞도록 보완하고, 건설자금 지원 의 기준이 되는 기성고율을 현장 여건이 반영된 새로운 산정식이 수립되어야한다. 즉, 기금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운용관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금 건설자금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실태조사 및 전문가 면담조사를 진행하고, 현장의 사례조사를 통해 평가하여, 기금 건설자금 운용관리체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검증을 토대로 대출심사평가표의 항목과 배점 등을 조정하여 개선된 대출심사평가표를 시스템화 하였고 누락된 공종을 반영한 새로운 기성고율 산정식을 수립하여 자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즉, 취급기관과 보증기관 그리고 기금 이용자의 현실이 반영된 기금 건설자금 운용관리체계의 개선안을 검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금 운용체계의 지원업무의 개선을 위해 기금취급 시 조속한 기금지원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소요기일이 단축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취급기관과 보증기관의 유사업무를 통폐합하여 기존 11단계의 취급승인과정을 6단계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2) 현 기금이율은 자금종류 및 전용면적 규모에 따라 연 2.0%~4.5%로 차등 적용되고 있으나 공공성을 수반한 정책 자금의 본래 취지에 맞게 운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금은 시중 금리와 관계없이 저리의 고정 금리로 지정하고 이율은 분양자금은 3% 이내, 임대자금은 2% 이내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3) 기금이용자의 대출심사평가 시, 신용평가 점수비율이 너무 높게 책정되어 기금을 활용한 자금 조달이 용이하지 않아 이를 개선하고자 적정 배점 안을 제시하였다. 분양자금은 기존 25점에서 15점으로, 임대자금은 기존 35점에서 25점으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기금 건설자금 지원평가 시 사업성조사 대출심사평가표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수요자 요구가 반영된 항목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 평가항목 중 삭제되어야 할 항목은 부도사업장보유지역, 신인도, 기금대출의존도, 시공여유율 4개 항목이고 신설되어야 할 항목은 입지환경여건의 공항·항만 접근성, KTX역 접근성, 유치원, 고등학교, 대학교 인접거리등 5개 항목을 제시하였다. 5) 대출심사평가표의 항목에 따른 배점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어, 분양자금 배점항목 중 상향조정 10개, 하향조정 7개로 17개 항목이고 임대자금 중 조정항목은 13개 항목으로 상향 8개, 하향 5개 항목을 조정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6) 기금 자금관리 지원체계 업무 중 기성고율 산정 기준으로 사용하는 표준공정비율표에 미 반영된 기계설비 및 E/V설치공사, 전기공사, 통신설비공사, 소방설비공사. 부대토목 및 조경공사 7개 공종을 반영하고 미반영 된 소요공사비 26.37%를 기성고율 조사 시 안분하여 반영되어야 하며 현 지하층 공사를 완료하면 10%의 기성고율을 인정해주고 있으나 최근 공사형태를 반영하여 지하층 완료 공정률을 18%로 조정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7) 기금 기성고율 확인 업무 진행시 공종별 시공순서와 소요자금시기를 현장별 조건에 따라 지원될 수 있도록 조정하였고 기성고율 신청차수를 20회에서 6회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신청차수와 공종별 비율을 반영하여 새로운 기성고율 산정식을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8) 기금 건설자금의 효율적 개선을 위한 운용관리체계를 관련 전문가들에게 검증한 결과 만족도가 79%~97%로 나타나, 현재의 기금 운용관리체계에 비해 크게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기금 지원평가체계인 대출심사평가표의 항목과 항목별 배점을 조정하여 기금 지원평가시스템을 고안하여 제시하였고 건설자금 관리지원체계의 기성고율 제도를 보완한 새로운 기성고율 산정식을 수립하여 기금 자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건설현장 화재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수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건설현장은 다른 산업보다 근로자의 유동성이 높고 고용의 형태도 일용직등 비정규직 인원이 많아서 현장 안전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용접작업으로인한 불꽃비산등 안전관리 부주의로 인한 건설현장 화재사고는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가져오기 때문에 관리자, 근로자 모두 철저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실수를 줄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에 대한 대책이 강구되지 않고서는 건설현장 화재발생 건수를 줄이기 쉽지 않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화재안전교육 개선 및 강화로 건설현장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충분히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관리자 및 근로자에 대한 화재안전교육은 미흡한 실정이다.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 등 건설현장에서 적용되는 법적인 안전교육제도에 안전보건교육의 시간, 교육의 내용, 교육의 방법은 명시되어 있지만 화재안전교육관련 시간, 내용, 방법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고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중 특별교육 몇 개의 작업에서만 언급 되어있다. 그리고 화재예방에 대한 교육 또한 의무사항이 아니라 회사별, 현장별 자체기준이 있는곳에서만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미흡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건설현장에서 대형화재가 빈번히 발생하며 그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에 산업안전보건법에 안전보건교육과 관련하여 화재안전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련 내용과 시간, 방법등 화재예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기초안전보건교육등의 안전교육에서 화재안전교육을 이수할 수 있는 법규상의 제도적 규제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방법론적으로는 화재안전교육을 일률적인 강의식교육보다 실제 소화기등 소화시설의 작동법을 익히고, 비상소방훈련을 통하여 대피로 및 대피 시 주의 사항등을 체험해 보는 체험 교육을 진행하여 위급 상황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할수 있는 충분한 체험교육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화재안전교육 교재개발 및 모국어 화재안전교육제도도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화재발생시 초기에 진화할수 있는 소방훈련 및 비상대피 훈련을 주기적,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 It can be employed more efficiently than other industries on the construction site. Fire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due to negligence in safety management, such as spark scattering due to welding work, would have caused much human and legal damage. It can prevent fires caused by carelessness on the construction site. A solution to this can be taken. As a methodology for this, fires were caused by carelessness at the construction site due to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fire safety training. Fire prevention training is insufficient. Although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hour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re specified in the legal safety education system applied at construction sites, such as worker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education for managers in charg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fire safety education related Time, content, methods, etc. are not specifically specified, but are only mentioned in a few special trainings in worker safety and health training. And it is a reality that the fire prevention training is not mandatory, but only where the company has its own standards for each site. Due to these inadequate problems, large-scale fires are frequently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resulting in serious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fire safety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related contents, cycles, and methods, etc. should be specified, and fire safety education can be completed in safety education such as basic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stitutional regul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in terms of education, in case of emergency, the fire safety education is conducted through an emergency fire drill to learn how to operate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such as a real fire extinguisher and to experience evacuation routes and evacuation precautions through emergency fire drill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sufficient experience training to respond calmly without embarrassment, fire safety training materials for foreign workers, and fire safety training system in the native languag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hat requires periodic and mandatory fire drills and emergency evacuation drills that can be extinguished in the event of a fire.

      • 유ㆍ소아 승객에 대한 기내서비스 품질과 사전지식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FSC/LCC 조절효과

        정란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919

        2020년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0.92명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런 극심한 저출산에도 키즈관련 시장은 지속적인 소비가 발생하고 있다. 한 아이에게 부모 뿐 아니라 조부모, 외조부모까지 아이를 위한 지출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들은 아이들의 견문을 넓히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위한 항공 여행을 선택한다. 관광정보지식시스템의 통계에 따르면 만 0세~10세까지의 출국자는 2019년에는 1,605,312명으로 10년전인 2009년에 비해 381% 확대 되었다. 3배를 훌쩍 뛰어 넘을 정도의 유ㆍ소아 여행 수요를 위한 항공사별 특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유ㆍ소아 승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요소와 동반 승객의 사전 지식이 항공사 브랜드 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항공사 유형 (FSC/LCC)에 조절 효과를 주어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에 최근 2년간 유ㆍ소아를 동반하여 항공 여행을 다녀온 지인 및 육아 카페를 통하여 200개의 설문을 수집 하였다. 회수한 설문지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분석, 중요도-만족도분석(IPA) 등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ㆍ소아를 위한 기내 서비스의 만족도와 사전 지식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의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ㆍ소아를 위한 서비스품질요소와 사전 지식은 고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서비스품질요소 중 인적 요소만이 항공사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항공사 이미지가 만족되면 고객 만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 이미지는 고객 행동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없으며 항공사 이미지는 고객 만족을 통해서만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의 조절 효과를 통한 조사 결과 항공사 유형별 차이는 없었지만 연구 모형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대형 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 모두 서비스 품질요소 중 인적 요소가 항공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공사 이미지가 고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 결과에 유일하게 차이를 보인 요소는 대형 항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물적요소가 항공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비용 항공사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저비용 항공사에 비해 다양한 서비스 품목 및 맞춤형 기내식이라는 요소 등 물적 요소의 차이로 인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저비용 항공사에서는 대형 항공사와 마찬가지로 유ㆍ소아 승객과 동반 승객을 도움이 필요한 승객으로 분류하고 대형 항공사와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점차 늘어나는 유·소아승객을 위한 항공사 유형별 기내서비스품질 제고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산 개질 허니컴 지지체 망간 촉매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상온 오존산화

        조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03

        특정대기유해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생활 주변의 다양한 배출원에서 발생하여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800℃ 이상의 높은 열에너지가 필요하며, 촉매를 적용해도 300℃의 온도 범위에서 산화된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배출원의 특성상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어 기술의 성능이 저조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산화제와 금속산화물 촉매를 함께 사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망간 촉매와 오존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상온에서 완전히 산화시키는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망간 촉매의 이론적인 오존산화 메커니즘은 건조한 조건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도 상대습도의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배출 시설은 고습도 조건이 많으므로 물 분자의 경쟁 반응이 오존산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망간 촉매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상온 오존산화 효율을 평가하였으며, 특히 촉매의 표면 특성과 오존 유입 농도, 상대습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망간 촉매의 표면 특성과 오존 활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상대습도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망간 촉매의 표면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비활성화되는 촉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물 분자의 경쟁 반응을 활용할 수 있을지에 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압력손실에 유리한 허니컴 형태의 세라믹 지지체를 선정하여 강산으로 표면을 전처리하였으며, 비표면적을 높여 망간산화물을 넓게 분산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지체의 표면에 메조 기공이 형성되면서 망간산화물의 분산도가 증가하였으며, 망간 촉매의 비표면적과 기공 부피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강산 전처리로 불안정해진 세라믹 지지체는 망간 촉매의 표면에 산소 공석을 만들어 주었으며, 그 결과 망간 촉매의 수소 환원 특성이 바뀌어 수소 환원량과 수분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강산으로 세라믹 지지체의 표면을 전처리하여 비표면적과 산소 공석이 많아진 망간 촉매일수록 오존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율과 CO2 선택성이 증가했다. 상대습도가 증가하면 망간 촉매 표면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오존이 물 분자와 경쟁 반응을 일으키면서 전반적으로 효율이 감소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건에서도 비표면적과 산소 공석의 비율이 증가한 촉매일수록 높은 오존 활성도를 유지하였으며, 물 분자의 경쟁 반응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율의 변동 폭이 작았다. 특히 비표면적과 산소 공석의 비율이 증가한 망간 촉매일수록 습윤한 조건에서도 부산물이 많이 산화되었으며, 그로 인해 부산물의 연쇄반응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된 촉매를 오존으로 재생하였으며, 그때 배출되는 부산물의 배출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물 분자의 경쟁 반응은 망간 촉매 표면에 쌓여있던 부산물을 탈착시켰으며, 그로 인해 재생 과정에서 CO2로 산화되는 탄소화합물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오존으로 재생하는 경우 표면의 탄소화합물을 CO2로 완전히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강산 전처리는 압력에 유리한 허니컴 형태의 세라믹 지지체에 망간산화물이 분산도 높게 담지되도록 도와주었으며, 그 결과 망간 촉매의 활성도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때 비표면적과 산소 공석의 비율이 증가한 망간 촉매는 오존 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물 분자의 경쟁 반응에 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율 감소 현상을 막아주었다. 그러므로 강산 전처리한 허니컴 형태의 세라믹 지지체에 망간산화물을 담지한 촉매는 상대습도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유입 부하가 심하고 압력손실이 고려되는 현장에 적용하는 경우 유리할 것이다. 그리고 비활성화된 촉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건조한 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탄소화합물을 CO2로 완전히 산화시키는데 유리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알데하이드 계열의 물질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망간 촉매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비활성화 촉매를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수리논술평가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성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903

        The Mathematical essay appeared as a tool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ut th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is based solely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e essay must be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mathematics assessment relating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mathematical essay couldn't have discussed still because of it's genetic background. To make matters worse, the terminology 'mathematical essay' does not united on the community. So, before everything else, mathematical essay must be defined it's identity. On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mathematical essay and mathematics assessment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draw implications of mathematical essay as an assessment of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This paper consists of 5 chapters. The chapter I, introduction, presen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paper, definitions of terms, research method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a summary of the full study captured information. In the chapter II, we investigate mathematics assessment theoretically.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1990s, has trouble with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because assessment does not match with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While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o pursue a constructive approach, mathematics assessment behavioral oriented. Accordingly, alternative assessment has been appeared such as performance assessment, authentic assessment and portfolio assessment. So we can consider that these kinds of assessments reveal the pursuit of ever pursued in the assessment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al essay also must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In the chapter III, mathematical essay assessment, there ar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mathematical essay. Mathematical essay can be apprehended in the formal aspects by comparing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essay type questions. From this we could catch the necessities of mathematical essay. In the content, mathematics ability should be evaluated with based on knowledge in context. Based on the knowledge in context, the availability of mathematics should be evaluated. In the chapter IV, practice of mathematical essay, we include practices of mathematical essay. For this, we choose three essay questions and than implemented it in the three high school. Using these, we discus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essay assessment. In the chapter V,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included.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mathematical essay must not be evaluated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but should be supplementary assessment. 수리논술은 대학입시제도의 도구로써 등장하였지만, 평가의 기준은 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 전적으로 근거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리논술은 중․고등학교의 수학교수학습평가와 관련되어져야만 한다. 그렇지만, 수리논술의 발생적 배경으로 인하여 수리논술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되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리논술이라는 용어자체도 통일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수리논술의 정체성을 밝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시급한 일은, 수리논술이 수학교수학습과의 관련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리논술평가가 수학교수학습평가로서 어떠한 정체성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모두 V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I장에서는 서론부분으로, 논문의 필요성과 목적, 용어의 정의, 연구방법, 연구의 제한점과 전체 연구내용의 요약을 담았다. 제 II장에서는 수학교육평가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1990년대 이후로 수학교육평가에 대한 논점들의 원인은, 수학교수학습과정과 수학교육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것에 가장 큰 원인으로 본다. 수학교수학습과정에서는 구성주의적인 방법을 추구하는 반면에 수학교육평가에서는 행동주의적 양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행평가, 참평가, 포토폴리오평가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들이 나타났다고 본다. 이러한 대안적평가가 추구하는 바가 수학교육평가에서 추구하는 관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리논술평가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제 III장에서는 수리논술평가에 대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한다. 수리논술평가는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선다형과 논술형문항의 비교를 통하여 그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리논술평가의 필요성을 알 수 있게 된다. 내용적으로는 수학적 지식의 맥락성을 바탕으로 하여, 수학실력이 평가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NCTM의 규준, PISA 2003에서의 수학능력, TIMSS-R의 행동능력, Schoenfeld의 수학실력 그리고 NRC의 수학실력을 바탕으로 수리논술에서 평가되어야 할 수학실력으로, 개념적이해, 절차적지식, 문제해결능력, 수학적의사소통으로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이론연구를 통하여 수리논술문항점검표를 제안한다. 수리논술문항점검표를 토대로 제 IV장에서 문항을 분석한다. 그리고 수리논술을 통하여 평가되어야 할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채점기준표를 제안하였다. 이 일반적인 채점기준표를 바탕으로 각 수리논술문항에서는 구체적인 개별 채점기준표를 구성한다. 이의 실제를 IV장에서 보여준다. 제 IV장에서는 수리논술의 실제를 담았다. 이 장에서 수리논술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 개의 수리논술 문항을 선택하여, 일선학교에서 모의평가를 실시하였다. 모의평가 문항을 5명의 교직경력 10 년 이상 고등학교 교사들이 문항을 점검하고, 각 문항 당 3매의 답안지를 선택하여 채점하였다. 이 장에서는 교사들의 문항점검과 채점에 대한 결과를 담았으며, 그 결과를 이용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통하여 채점의 객관성과 문항의 타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 V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을 실었다. 앞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수리논술은 수학교수 학습평가여야 하며, 이는 수학능력시험의 대안적인 평가가 아니라, 보완적 평가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리논술문항을 점검하는 틀이 마련되어져 있어야 하며, 이 틀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제시하는 배타적 원리가 아닌 포괄적 원리로서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수리논술은 객관식 지필고사가 담보하지 못하는 내용에 대한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제언으로써, 수리논술을 평범하고 보편적인 평가수단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장치가 요구된다. 수리논술을 교수학습의 평가가 아니라 교수학습과정의 수리논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간학문적 평가의 실제로서, 수학적인 가치뿐만이 아니라 관련된 학문의 가치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평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수리논술에 대한 연구는 수학교육공동체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 금속 나노 입자 기둥을 도입한 고용량 나트륨 이차 전지용 2차원 확장 흑연 음극 소재

        성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진은 알루미늄 기둥기를 합하여 차세대 이차전지인 나트륨 이차전지와 리튬 이차전지의 전극소재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솔루션 용액합성법으로 알루미늄 이온 기둥기를 산화 그래핀 분산액에 첨가하여 negatively charged된 GO와 positively charged된 Al3+가 자가조립이 가능하여 ordering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restacking이 된다. 자가적층된 Al이 인터컬레이션된 GO가 만들어지게 되면 여기에 환원제를 넣어 anion기가 줄어들며 층사이에 Al 기둥이 첨가된 Al-rGO 파우더가 만들어지게 된다. 그리고 합성된 AlrGO 전극에 대해서 SEM, TGA, XPS, RAMAN 등의 분석을 통해 결정구조와 표면 형상 및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알루미늄 기둥기는 (1) 솔루션 기반의 합성법에 의하여 쉽고 간편하게 합성하였으며 (2) 금속 이온을 이용한 산화 그라핀 / 금속 이온 복합체의 제조를 통하여 파우더를 만들었으며 (3) 금속 이온 복합체의 환원에 의한 금속 기둥 구조를 갖는 흑연 층간 물질을 합성하여 흑연 층간거리를 넓히는 데 주력하였다. 2-D 층간 알루미늄 기둥기를 나트륨 이온 이차전지 음극재로 적용하였을 때 하드카본 대비 2 배 가량 높은 780 mAhg-1의 방전용량과, 고율 충방전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ex-situ 분석을 통해 알루미늄 기둥기를 나트륨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시 충방전 거동에 따른 전극의 표면 향상 및 결정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트륨 이온이 음극 활물질 내로 삽입반응 (Insertion reaction)과 탈리반응 (extraction reaction)을 통해 가역적인 반응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진은 bragg’s law에 의하여 기존의 0.34nm의 층간거리를 가진 흑연을 0.681nm의 매우 큰 격자간격을 갖는 Al-삽입된 확장흑연을 합성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충방전 사이클 후 13% 부피변화가 있으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performance를 가진 전극을 만들었다. 또한 AlrGO 전극은 100회 충방전 후 2번째 방전용량대비 69%의 용량을 유지하는 우수한 capacity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연구진은 나트륨 이차전지에서 AlrGO를 음극활물질로 도입시 우수한 산화 환원 반응 거동을 살펴보고자 순환전압전류 분석(cyclic voltammetry)를 수행하였으며 전극 표면의 화학적 결합상태를 알아보고자 XPS 분석을 진행, 파장에 따른 결합 에너지를 보고자 Raman spectroscopy를 수행하였다. Recent developing trend for sodium-ion batteries have further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suitable electrode materials because larger Na ions (1.02 Å) often show low capacity and sluggish intercalation kinetics compared to that of Li ions (0.76 Å). For example, graphite materials as representative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does not deliver sufficient capacity in sodium ion cells. In this work, we suggest a facile and effective way to synthesize extremely expanded graphite anode materials for sodium ion battery by employing Al3+ cation pillar ions. Negatively charged graphene oxide layers can be self-assembled each other by making bridge using positive charged Al3+ ion species in the dispersing solution of graphene oxide sheets. Repeated self-assembly of negative (GO)-positive (Al3+ ions)-negative (GO) enable to form long range ordered structure of GO layers and enhance the structural and mechanical stability of expanded graphite materials. We controlled interlayer distance of expanded graphite by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 Al pillar ion species in GO dispersed solution. We evaluat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expanded graphite anodes with different Al pillar amounts. The expanded graphite (Al15-rGO) show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of 780 mAhg-1 compared to other expanded graphite anodes. The Al15-rGO showed good cycle performance (370 mAhg-1 after 100 cycles). Structural benefit of the expanded graphite employing Al ion pillars is investigated using ex-situ characterizations. Our synthetic strategy enlarging graphite interlayer by introducing metal pillar ions provide a new direction to develop graphitic carbon anode materials for sodium ion batteries.

      • 폴리머 코팅된 피라미드-바늘 구조의 초소수성 표면

        대승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71

        최근 소수성(Hydrophobic)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나노미터 크기의 물체를 관찰하거나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게 되자 비로서 우리는 주변에 나노 기술에 바탕을 둔 자연 현상이 존재한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자연 속에 있는 여러 나노 현상 중에서 연꽃잎(Lotus)을 예로 들면 연꽃잎에 떨어진 물방울이나 이슬은 잎을 적시지 못하고 동그랗게 뭉쳐져 있다. 연꽃잎이 가진 이런 특징을 학술적으로 ‘연꽃잎 효과’(Lotus effect)라 한다. 연꽃잎이 물에 젖지 않는 것은 바로 표면이 소수성(Hydrophobic)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연꽃잎 표면을 관찰해보면, 단순히 표면장력에 의한 것이 아니고, 잎의 표면이 나노 크기의 작은 돌기(Bump)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연꽃잎은 육안으로는 매끄럽게 보이는데, 나노 크기를 볼 수 있을 만큼 확대하면 나노 크기의 작은 돌기들이 표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표면이 미세한 돌기가 있으면, 조그만 흔들림에도 물방울이 굴러 떨어질 정도로 소수성을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 웨이퍼 보다 가격이 저렴한 태양전지용 Bare 웨이퍼를 이용하여 공정을 진행하였다. KOH, IPA, DI를 이용하여 피라미드 구조를 제작하였으며, RIE (Reactive Ion Etching)를 이용하여 바늘 구조 제작 하였다. 바늘 구조가 소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결정 실리콘 기판 표면을 RIE를 이용하여 SF6/O2 가스, 압력, 공정 시간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바늘 구조를 제작하였다. 구조 제작 후 SAMs (Self-Assembled Monolayers) 공정, Sputter 장비를 이용하여 PTFE (Poly Tetra Fluoro Ethylene)를 증착하였다.

      • 중간놀이 시간 운영의 제약요인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수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straints and problem situations that teachers perceive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recess play time. to grasp their policy and administrative needs to overcome them, and ultimately to help the effective operation of recess play time.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is the overall operation situation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recess play time? Second, what are some of the constraints and response strateg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re revealed during recess play time operation process? Third, what is the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by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for effective recess play time oper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homeroom teachers from differen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ho are currently running recess play tim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st schools were choosing to leave it to students voluntarily rather than run certain programs. There were many negative views about recess play time program, which was led by the entire studen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teacher, but there were also cases of success if autonomy was given to the way it was operated. Meanwhile, even if the school was not properly equipped with play conditions or there were playgrounds or gymnasium, most of the recess play time was taking place in the "classroom" due to various problems. Second, it turned out that homeroom teachers generall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f recess play time. Teachers were mostly agreeing on the positive aspects of recess play time, but they were also aware that there were insufficient and worrisome parts. Third, the constraints that make it difficult to operate recess play time effectivel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our parts. Related to conditions and support systems were made up of factors such as lack of physical,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eachers in operating recess play time, and there were constraints such as unsystematic operation due to hasty introduction of the system and insufficient delivery of its operational policies, absolute shortage of play parish budget. Conflict with regular school class consists of factors related to disruption of existing class hours due to recess play time or the difficulty of block-time classes to secure recess play time. Teacher-related issues consist of factors such as teacher characteristics or lack of effort and willingness to operate the recess play time, including lack of communication with childre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recess play time, and attitudes toward neglecting children. Students are involved in various incidents and factors caused by lack of willingness to play or ignorance in the course of students' play, and these include difficulties in living guidance due to frequent conflicts among students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students' violent and careless behavior. Fourth, regarding the constraints in the recess play time operation process, teachers were using various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and prevent them in advance. The response strategies used by teachers can be examined in response to the aforementioned constraints. Fifth, the administrative support requi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effective recess play time operation can also be divided into four parts. Regarding the conditions and support system,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the phased introduction of the policy after establishing the policy identity and operation manual, and the expansion of the budget for amusement parishioners are required. Regarding conflicts with regular school class, administrative support is required such as support for smooth progress of block-time classes, and preliminary bell-kicking five minutes before the end of recess play time and establishing school-level punctuality rules. Regarding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is required such as securing a duty of time to activate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recess play tim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xpanding support for teachers' cooperative attitude toward recess play time, reducing teachers' work and guaranteeing the right to rest. Regarding students,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expanding support to minimize conflicts among students and isolation phenomenon and providing students with ideas for play and self-participating play programs is required.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criticisms that could be raised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e should put the children's complete play first rather than the problems that accompany the expansion of the recess play time, and strive to achieve him first. Second, running a teacher-led recess play program goes against the purpose of the recess play because it takes away students' choice of activities, and it can not only lead to a decrease in creativity but also undermine children's interest and satisfaction. Third, children can play a more meaningful game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experience of thinking and planning what to do in advance during the recess play time, and ultimately help them achieve outstanding educational value. Fourth, the teacher's inability to show an active and cooperative attitude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recess play was caused by the lack of a consensus on the purpose of the recess play or the complete creation of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focusing on the recess play. Fifth, many teachers are still gathering opinions on administrative support from school and education authorities.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ctive and cooperative attitudes of school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are needed. Second, teachers should also take an interest in the recess play time and give deep consideration. Third, various solutions for students should be provide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recess play time. Fourth, support related to block-time classes is required to reduce the conflict between the existing regular class hours and recess play tim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support for teachers who take advantage of given conditions to devise strategies to cope with recess play constraints.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to further supplement and develop research on constraints in the operation of the recess play time in elementary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at a macro level should be supported beyond micro-level research on some teachers in Seoul. Second, not only teachers but also students, parents and managers should be studied on the perception of the constrai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간놀이 운영 과정에서 인식하는 제약요인과 문제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그들의 정책적이고 행정적인 요구를 파악해 궁극적으로 중간놀이의 효과적 운영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중간놀이 운영 실태 및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중간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간놀이 운영 과정 중에 드러나는 제약요인 및 대응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효과적인 중간놀이 운영을 위해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요구하는 행정적인 지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중간놀이를 운영하고 있는 서로 다른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의 담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에서 운영 중인 중간놀이의 운영 방식을 살펴보면 대부분 특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보다는 학생들에게 자율적으로 맡기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교사 주도 하에 학생 전체가 함께하는 중간놀이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으나, 운영 방식에 자율성이 전제될 경우 성공하는 사례도 볼 수 있었다. 한편, 학교에 놀이 여건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운동장이나 강당 등이 있더라도 여러 문제로 대부분의 중간놀이는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중간놀이에 대해 담임교사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중간놀이가 가져다주는 긍정적 부분들에 대부분 동의를 하고 있었으나, 미흡하고 우려스러운 부분이 있다는 것 또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중간놀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방해가 되거나 이를 어렵게 하는 제약요인들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여건 및 지원 체계 관련은 교사들이 중간놀이 시간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 물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의 부재 등으로 인한 요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도의 성급한 도입 및 운영 방침의 미흡한 전달로 체계가 없는 운영, 놀이 교구 예산의 절대적 부족 등의 제약요인이 존재했다. 정규 수업과의 상충 관련은 중간놀이 시간으로 인해 기존의 수업 시간이 지장을 받거나 중간놀이 시간 확보를 위해 이루어지는 블록타임 수업으로 인한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들로 이루어져 있다. 교사 관련은 교사의 특성이나 중간놀이 시간 운영에 대한 노력과 의지의 부족 등으로 인한 요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아이들과의 중간놀이 운영 관련 의사소통 부재, 아이들을 방치해버리는 태도 등이 속한다. 학생 관련은 학생들의 놀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사고 및 놀이에 대한 의지 부족이나 무지 등으로 인한 요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학생들 간의 잦은 갈등으로 인한 생활지도의 어려움, 학생들의 격하고 부주의한 행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등이 속한다. 넷째, 중간놀이 운영 과정에서의 제약요인에 대해 교사들은 저마다 문제 상황들을 해결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활용한 대응전략은 앞서 언급한 제약요인과 대응해서 살펴볼 수 있다. 다섯째, 효과적 중간놀이 운영을 위해 초등 담임교사들이 요구하는 행정적 지원 역시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여건 및 지원 체계 관련해서는 정책의 정체성 및 운영 매뉴얼 확립 후 교육 현장을 고려한 단계적 도입, 놀이 교구 예산 확대 등의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정규 수업과의 상충 관련해서는 블록타임 수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지원, 중간놀이 시간 종료 5분 전 예비종치기 및 학교 단위의 시간 엄수 규칙 확립 등의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교사 관련해서는 교사와 학생 간 중간놀이 운영 관련 의사소통 활성화 시간 의무 확보, 중간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협조적 태도를 위한 지원 확대, 교사 업무 감축 및 쉴 권리 보장 등의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학생 관련해서는 학생 간 갈등 및 소외 현상 최소화를 위한 지원 확대, 학생 대상 놀이 아이디어 및 자율 참여형 놀이 프로그램 제공 등의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해 제기할 수 있는 비판점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첫째, 중간놀이 시간을 확대했을 때 동반되는 문제보다도 아이들의 완성도 있는 놀이에 두고 그를 최우선적으로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사 주도의 중간놀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학생들의 활동 선택권을 앗는 것이므로 중간놀이의 취지에 어긋나는 것이며, 창의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이들의 흥미와 만족도를 저해할 수 있다. 셋째, 중간놀이 시간에 아이들이 미리 어떤 것을 할지 생각하고 계획해 본 경험을 발판삼아 좀 더 의미 있는 놀이를 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눈에 띄는 교육적인 가치를 획득하게 도울 수 있다. 넷째, 교사가 중간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적극적이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지 못했던 것은 중간놀이 취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중간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및 환경의 조성이 온전히 되어있지 않은 것으로부터 야기된 것이다. 다섯째, 현재에도 많은 교사들은 학교 및 교육 당국의 행정적인 지원 요구에 입을 모으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와 교육 당국의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 역시 중간놀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깊은 고찰을 해야 한다. 셋째, 중간놀이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학생 대상의 다양한 해결책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중간놀이가 기존의 수업 시간과 상충되는 면을 줄이기 위해 블록타임 수업과 관련된 지원이 요구된다. 다섯째, 주어진 조건을 활용해 중간놀이 제약요인에 대한 대응전략을 강구하는 교사들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끝으로 초등학교 중간놀이 시간 운영에서의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를 더욱 보완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의 일부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미시적 차원의 연구를 넘어 거시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뿐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 및 관리자 등 학교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들을 대상으로 한 제약요인 관련 인식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 췌장암 및 전립선암 환자 소변의 표면 증강 라만 산란 스펙트럼 분석 연구

        정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췌장암 환자 소변, 전립선암 환자 소변, 건강한 사람(대조군)의 소변을 표면 증강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비표지 방식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암환자가 대조군과 구별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소변 분석에 활용할 표면증강라만산란 기판은 유리 섬유 필터에 은 나노와이어를 진공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소변 검체는 췌장암 환자 소변 22개, 전립선암 환자 소변 20개, 건강한 사람(대조군)의 소변 22개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소변 내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분리하였고, 은 나노와이어에 대한 소변 내 대사 물질의 물리화학적 흡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분리된 소변에 질산 칼슘을 첨가한 후 표면증강라만산란 스펙트럼을 얻었다. 그 결과, 췌장암 환자의 소변과 전립선암 환자의 소변은 건강한 사람의 소변과 비교하여 527, 699, 888, 1000, 1151 cm-1에서 표면증강라만 신호가 크게 감소하였고, 1298 와 1683 cm-1에서 표면증강라만산란 신호가 크게 향상되었다. 표면증강라만 스펙트럼의 다변량 분석을 위해 주성분 분석과 직교부분최소제곱 판별분석(OPLS-DA)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췌장암 환자 및 전립선암 환자를 포함한 암 환자는 건강한 사람 소변에 대해 민감도 90.9 %(20/22), 특이도 90.9 %(40/42) 및 정확도 90 %(60/64)로 구별되었다. 암 종류별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는, 췌장암 환자의 소변은 건강한 사람의 소변과는 민감도 90.9 %(20/22), 특이도 90.9 %(20/22) 및 정확도 90 %(40/44)로 구별되었고, 전립선암 환자의 소변은 건강한 사람의 소변과 민감도 90.9 %(20/22), 특이도 90 %(18/20), 정확도 90.4 %(38/42)로 구별되었다. 또한, 췌장암 환자의 소변은 전립선암 환자의 소변과 민감도 75 %(18/24), 특이도 88 %(16/18), 정확도 80.9 %(34/42)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은 나노와이어가 적층된 유리 섬유 기판 기반 표면증강라만산란 스펙트럼 분석은 췌장암 환자 및 전립선암 환자의 소변을 건강한 사람의 소변에 대해 높은 수준으로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분석에서 췌장암 환자의 소변과 전립선 암 환자의 소변을 구별하는 것은 다소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 郭店楚墓竹簡의 《唐虞之道

        전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唐虞之道》中见到的假借字有别于通假字,应另设一类。 假借字有‘(牙)’, ‘(歖)’, ‘(眚)’, ‘(虖)’, ‘(弋)’, ‘(蟡)’, ‘(堣)’, ‘(新)’和 ‘()’, ‘(后)’和 ‘(後)’, ‘(辠)’,通假字有‘(巟)’。 现把见于《唐虞之道》的異體字整理如下:異體字中的異構字是在转抄他国著作时产生的。異構字 ‘’, ‘’, ‘’, ‘’(聖)中的(聖),颇具晉、燕、秦之风。 现把異體字中的異寫字整理如下:对出现在《唐虞之道》的異寫字进行分类: 首先,根据‘简化笔画’进行分类,属‘裝飾性筆劃簡化’的有‘‘(正)’和‘(正)’。‘’带有楚国文字的特征,‘’带有齊、晉、中山國文字的特征,因之而产生了異寫字。由‘(→)和(→)’可以推断,因书写者个人的习惯,强调了某一装饰性笔画,而产生了異寫字。 属于‘筆劃形態簡化(直線化)’的有‘()’和‘()’,这些字从‘’演变到‘’,可看作‘虫’的筆劃形態簡化(直線化)。‘(后)’和‘(后)’从‘’演变至‘’,同属筆劃形態簡化(直線化)。属于‘省減筆劃’的有‘()’和‘()’,根据简化字形记录的需要进行了省略。属于‘假用筆劃’的有‘()’和‘()’,‘’的下部偏旁使用了‘壬’,‘’的下部偏旁借用了‘止’,即书写者借用了与之相似的笔画。属于‘形似小篆’的有‘(天)’和‘(天)’、‘()’和‘()’、‘(寞)’和‘(寞)’。在‘()’和‘()’看来,‘’写作‘’,形似《说文解字》中的小篆‘’。在‘()和()’看来,‘’写作‘’,‘’的偏旁‘宀’,酷似‘说文’中的小篆‘’。‘(寞)’和‘(寞)’同属这类,‘’写作‘’,‘’的偏旁‘宀’近似于(《說文》小篆)。 其次,根据‘簡化偏旁’进行分类,属于‘省略偏旁’的有‘()’和‘()’、‘(尊)’和‘(尊)’。从‘()’和‘()’看来,‘’为‘’,‘糸’中的‘小’在不影响整体意思的范围内省略了偏旁的一部分。从‘(尊)’和‘(尊)’看来,‘’变成‘’,这是书写者在不影响字义的范围内省略了偏旁中的‘阝’。 再其次,根据‘合文和重文’进行分类,属于‘一般合文’的有‘(五十)’,它是(五)(《郭店楚墓竹簡》《五行》1简和‘(十)’(《郭店楚墓竹簡》《緇衣》47简)的合文,字的下部可以见到合文标志‘=’。‘(七十)’属于‘筆劃假用合文’,它是‘(七)’(《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一》《孔子詩論》27简)和‘(十)’(《郭店楚墓竹簡》《緇衣》47简)的合文,也就是说,七字加点形成了合文,在其下部可以见到合文标志‘=’。‘(身窮)’、‘(艸茅)’属于‘形體假用合文’,‘(身窮)’为‘(身)’(《郭店楚墓竹簡》《太一生水》11简)和‘(竆)’的合文,也就是说,通过‘(竆)’的下部添加‘=’标志,同时标记了‘身’字。‘(艸茅)’中通过其下部的‘=’标志,同时标记了‘草’字。 最后,是‘纪录过程的误传’,在、、、 (), , (者)中略见一斑。 《唐虞之道》中可以看出诸国文字特征的字样,如楚国文字特征有‘(正)’字,齐国文字特征有‘()’字,‘晋’系文字特征有‘(新)’和‘(後)’字,晋、燕、秦国文字特征有‘(后)’字,晋、燕、中山、秦国文字特征有‘(聖)’字以及中山,秦国文字特征有‘(艸茅)’字。 可见《唐虞之道》中已隸變类似于『說文解字』小篆的景象,如、 ‘(秉)’-‘’, ‘(右)’-‘’, ‘(牙)’-‘’, ‘(后)’-‘’, ‘(辠)’-‘’, ‘(巟)-’, ‘(天)’-‘’ ,‘(君)’-‘’, ‘(正)’-‘’ ,‘()世’-‘’, ‘(用)’-‘’, ‘(咎)’-‘’, ‘(卒)’-‘’, ‘(老)’-‘’, ‘(涇)’-‘’, ‘(川)’-‘’共16字似于说文的小篆。由此可以推定这时期有很多字被隸變,而且还能推定秦国的李斯把这些隸變的字体汇聚后称做小篆。由此可以推断,这一时期的许多字应为隸變的雏形。 《唐虞之道》에 보이는 假借字는 通假字와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假借字는 ‘(牙)’, ‘(歖)’, ‘(眚)’, ‘(虖)’, ‘(弋)’, ‘(蟡)’, ‘(堣)’, ‘(新)’과 ‘()’, ‘(后)’와 ‘(後)’, ‘(辠)’등이 있다. 通假字는 ‘(巟)’등이 있다. 《唐虞之道》에 보이는 異體字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異體字중 異構字의 발생원인은 다른 나라에서 저작된 것을 전하여 베껴 쓰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다. 異構字 ‘’, ‘’, ‘’, ‘’(聖)에 대해서 晉, 燕, 秦國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字는 (聖)이다. 異體字중 異寫字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唐虞之道》에서 보이는 異寫字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먼저 ‘筆劃簡化’측면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裝飾性 筆劃의 簡化’는 ‘(正)’와 ‘(正)’ 이다. ‘’은 초국 문자, ‘’은 齊, 晉, 中山國의 문자의 특징들로 異寫字가 발생했다. ‘(→)와 (→)’은 필사자의 개인적 습관에 의한 장식성 필획을 강조한 것으로 발생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筆劃形態簡化(直線化)’는 ‘()’와 ‘()’, 이다. 이 字들은 ‘’에서 으로 ‘虫’이 筆劃形態簡化(直線化)된 것을 볼 수 있다. ‘(后)’와 ‘(后)’는 ‘’에서 ‘’으로 筆劃形態簡化(直線化)된 것을 볼 수 있다. ‘省減筆劃’는 ‘()’와 ‘()’이다. 문자의 형태를 좀 더 간략하게 기록하게 필요성으로 인해 생략이 되었다. ‘假用筆劃’는 ‘()’와 ‘()’이다. ‘’의 아래 偏旁은 ‘壬’이 사용되었고, ‘’의 아래 偏旁 ‘止’으로 차용했다. 즉 필사자가 근접해 있는 필획을 차용하여 썼다. ‘小篆과 유사’는 ‘(天)’와 ‘(天)’, ‘()’와 ‘()’, ‘(寞)’와 ‘(寞)’이다. ‘’와 ‘’에서 ‘’은 ‘’으로 쓰여 ‘’《說文解字》小篆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와 ()’에서 ‘’은 ‘’으로 쓰여 ‘’의 ‘宀’ 偏旁이 (《說文》小篆)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寞)’와 ‘(寞) 역시 ‘’은 ‘’으로 쓰여 ‘’의 ‘宀’偏旁이 (《說文》小篆)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偏旁簡化’ 측면에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偏旁省略’은 ‘()’와 ‘()’, ‘(尊)’와 ‘(尊)’이다. ‘()’와 ‘()’에서 ‘’은 ‘’으로 ‘糸’의 ‘小’가 전체적으로 의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방의 일부를 생략되었다. ‘(尊)’와 ‘(尊)’에서 ‘’에서 으로 필사자에 의해서 의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편방의 일부 ‘阝’를 생략하였다. 셋째, ‘合文과 重文’ 측면에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一般合文’은 ‘(五十)’이다. (五)(《郭店楚墓竹簡》《五行》1간), 와 (十)(《郭店楚墓竹簡》《緇衣》47간)의 합문이다. 字 아랫부분에 합문 표시 ‘=’를 볼 수 있다. ‘筆劃假用合文’은 ‘(七十)’이다. ‘(七)’(《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一》《孔子詩論》27간)와 ‘(十)’(《郭店楚墓竹簡》《緇衣》47간)의 합문이다. 즉 七字자에 점을 찍어 합문을 만든 것을 볼 수 있다. 아랫부분에 합문 표시 ‘=’를 볼 수 있다. ‘形體假用合文’은 ‘(身窮)’,‘(艸茅)’이다. ‘(身窮)’에서 ‘(身)’(《郭店楚墓竹簡》《太一生水》11간)과 ‘(竆)’의 합문이다. 즉 ‘(竆)’ 아랫부분에 ‘=’표시를 통해 ‘身’字도 함께 표기한 것이다. ‘(艸茅)’에서 아랫부분에 ‘=’표시를 통해 ‘草’字도 함께 표기한 것이다. 넷째, ‘기록하는 과정에서 와전되는 경우’이다. ‘’, ‘’, ‘’, ‘’ (), ‘’, ‘’(者)에서 볼 수 있다. ‘’, ‘’, ‘’, ‘’ ()는 전하여 베껴 쓰는 과정에서 필사자의 개인적 습관에 의한 서법으로 인해 와전된 경우이다. ‘’, ‘’(者)는 《唐虞之道》가 저작되었던 나라인 齊國文字의 특징인 字 ‘’(者)와 필사자의 개인적 습관에 의한 서법으로 인해 생겨난 ‘’(者)이다. 《唐虞之道》중에 楚國 文字의 특징을 볼 수 있는 것은 ‘(正)’이다. 齊國文字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이다. ‘晉’系 문자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新)’, ‘(後)’이다. 晉, 燕, 秦國 문자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后)’이다. 晉, 燕, 中山, 秦國 문자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聖)’이다. 齊, 晉, 中山國 문자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正)’이다. 中山, 秦國 문자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자는 ‘(艸茅)’이다. 《唐虞之道》의 문자 중에는 『說文解字』小篆과 이미 유사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秉)’-‘’, ‘(右)’-‘’, ‘(牙)’-‘’, ‘(后)’-‘’, ‘(辠)’-‘’, ‘(巟)-’, ‘(天)’-‘’ ,‘(君)’-‘’, ‘(正)’-‘’,‘(世)’-‘’, ‘(用)’-‘’, ‘(咎)’-‘’, ‘(卒)’-‘’, ‘(老)’-‘’, ‘(涇)’-‘’, ‘(川)’-‘’의 字는 《說文解字》의 小篆과 매우 유사하다. 이를 볼 때 추정할 수 있는 것은 이 시기에 많은 字들이 隸變의 초기적인 형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