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최희정 작품전

        최희정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문은 석사학위 청구 논문을 대신하기 위해 진행한 본인의 개인전 도록에 대한 해설이다. 따라서 일반 학위 논문의 형식과는 다름을 밝힌다. 미술작품의 소재는 자연과 우리의 생활에 주변서 찾아진다. 그중에서도 대부분의 꽃을 통해서 미적 감정을 느끼고 그것을 예술로 표현하고자 하며 꽃을 소재로 하는 미술작품이 가장많을 것이다 특히 동양에서는 사군자라 하며 매·란·국·죽을 시나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사군자 중에서국화는 동양화에서 사군자의 하나로서 중국에서 11세기 중엽부터 묵화적 소재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본래 국화는 진(晋)의 전원시인(田園詩人) 도연명(陶淵明, 365-427)의 「귀거래사(歸去來辭)」라는 시로 문인들과 친숙해졌다고 할 수 있다. 그 시에서 도연명은 “?뜰 안의 세 갈래 길 잡초 무성하나, 나무와 국화는 아직도 있구나(三徑就荒, 松菊猶存).”라고 함으로써 국화에 대한 애틋함을 노래하였다. 그러나 도연명과 국화에 대한 강한 연상관계는 오히려 국화가 가장 늦게 사군자의 하나로 포함되게 된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조용진ㆍ배재영, 2002).

      • 1894년 固城의 농민봉기와 邑權主導를 둘러싼 갈등

        최희정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19세기 지방에서 일어난 일련의 농민봉기 가운데, 1894년 7월에 일어난 固城 농민봉기를 사례로 선택하여 연구한 것이다. 19세기말 근대 국민국가 건설 과정에서 중앙정부는 많은 재원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효율적인 부세제도를 시행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충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했다. 하지만 조선의 이념체계를 오랫동안 유지해온 유교이데올로기와 양반들의 반발 때문에 부세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개혁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미온적인 방책으로 三政외의 비정규적인 세금인 雜役稅를 지방에서 수시로 거두어들여 재원으로 삼는다. 이와 같은 중앙정부의 입장은 지방에서 대규모 농민봉기를 촉발시켰으며 固城 농민봉기도 그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19세기말 收稅 分配를 둘러싼 지역사회 인간집단의 이해와 갈등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둘째, 收稅 運營의 규범과 실제는 어떠했는가? 셋째, 國家는 收稅問題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방안을 가지고 있었으며, 國家 收稅 運營 방침 아래 地方 수령이 가질 수 있는 收稅 運營 재량 범위는 어느 정도인가? 이와 같은 의문 아래 이 연구는 열려진 지방정치 공간 사이로 권력구조에 새롭게 참여하기를 원했던 집단들의 경제적 이해와 사회적 갈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봉기에 관련된 인물들 각자의 시점에서 농민봉기의 전개과정을 상세히 기술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봉기는 1894년 음력 7월말에 固城의 北三面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19세기말 면단위의 공동납 상황아래, 양반 엘리뜨들이 다수 거주하는 이 지역에서 농민들은 이들의 免稅로 인해 다른 面보다 상대적으로 세금 부담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봉기 전개과정에서 거주지나 생업이 일정하지 않은 농민들은 鄕人과 吏胥의 집을 공격하는 과격한 행동을 한다. 반면 각 면의 농민들은 잡역세 과다 징수에 대한 조사라는 봉기 목적을 갖고 지방관과의 협상에 충실하는 태도를 취한다. 익명이 요구되지 않는 전근대 공동체 사회에서 피습당한 鄕人과 사회적 관계 여부에 따라, 봉기 전개과정에서 농민들의 행동유형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농민들의 참여와 더불어, 이 봉기에서는 鄕人과 吏胥와 같은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한 점이 흥미롭다. 봉기를 주모한 鄕人과 吏胥는 봉기에서 피습당한 인물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읍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던 인물들이다. 이들은 피습부류와의 요임직 경쟁에서 탈락된 인물들로 읍의 일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직임을 원한다. 한편 北三面에 거주한 咸安 李氏 家門과 읍의 재정적인 일에 주로 관여했던 吏胥들이 주로 피습당한다. 적어도 이들은 봉기 전 몇 년동안, 잡역세 의결기관인 鄕會와 官衙의 鄕任職을 장악하여 邑權을 主導한 인물들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부정부패 사건에 연루된 인물들이 상당수이다. 요컨대, 고성의 농민봉기는 農民, 吏胥, 鄕人과 같은 다양한 집단들의 이해관계 속에서 발생되었다. 즉 농민들의 경제적 이해와 지방 사회 의사 결정 구조에 편입되기를 원했던 봉기 주모자와 기존에 기득권을 누린 봉기 피습자간의 사회적 갈등이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Kosong people's uprising in July 1894 from among a series of rural residents' revolts in th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m state,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Choson dynasty needed a lot of finance. Owing to the deep-rooted Confucianist ideology and the strong opposition of the ruling nobility class, however, a radical and efficient reform of the taxation system couldn't bear a fruit. As a result, as the government irregularly collected various taxes in addition to the field, military and interest taxes, some massive mass uprisings followed one after another, including Kosong's. This research, therefore, deals with the following topics: The interests and conflicts of the regional community people about tax allotment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standards and practice of the taxation system, the state's measures to solve tax problems, and the power of the regional magistrates in managing the tax system. Also, this study examines in detail the economic interests and social conflicts of the groups of people who wanted to take part in the newly-opened power structure of regional politics. Kosong uprising took place at the end of lunar July in 1894, centered on three towns in the north of Kosong county. Compared with other areas, these regions had a higher percentage of local elites who were exempt from taxes. The farmers got angry with their more tax burdens and violently attacked the houses of the regional elites and clerks. They still maintained sincerity in the tables of negotiations with the local magistrates to probe for the reality of overcollecting taxes on the part of peasants. Quite interestingly, diverse classes of people took part in this revolt, including some regional elites and clerks who were prohibited from any real administration in the town business. Those elites and clerks who became the targets of the uprising were especially the Haman Yi clan and the active elite-clerk class who had long handled all the town business and been involved in innumerable injustice and corruption. So the riot-leading elites and clerks hoped to join the newly-budding political structure in the rapidly-changing 19th century. In conclusion, Kosong 's rural uprising was generated from the intricate interests of the people comprising farmers, elites and clerks. Namely, it was the crystallization of the social conflicts among the peasants whose economic interest was at stake, the elite-clerk leaders who desperately wanted the supreme power in local politics, and the established class who enjoyed vested rights.

      • Combination of Biological P-removal and Denitrification in SBBR : SBBR공정에서 질소와 인의 생물학적 제거효율 연구 : 최희정

        최희정 관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aim of this dissertations was examined the influence of wastewater composition on denitrification and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in the sorption denitrification phosphorus removal process. Batch typ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four parts; various effects of different substrates, acetate concentration, dissolved and undissolved substrates, and effect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n the denitrification and biological P-removal from the wastewater in the S-DN-P process. The plant was operated based on the Sequencing-Batch-Biofilm-Reactor (SBBR) process. As microbial media, ca 9 mm Bio-Flow granules made from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ere used. For comparison of the various types of substrates on the rate of the p-elimination and denitrification, three tests were prepared; acetate as an easily degradable substance, starch as a barely degradable substance, and raw wastewater as a mixed substance. The p-elimination rate was determined to be 38% with the acetate preparation, while a p-elimination of 6% was obtained with the starch preparation. The wastewater preparation showed a p-elimination of 56%, which value was almost 18% more than the acetate preparation. Three preparations were made to compare the level of biological p-removal and denitrification. In comparison to the batch test, 42 mg/L (WW+ AC 30) and 84 mg/L (WW+ AC 60) of NaCH3COO were mixed with the 500mL of raw wastewater and the effect of the acetate concentration on the level of p-removal was monitored. A comparison of the data revealed the COD: NO3-N: AC: P ratio of the WW, WW + AC 30 and WW + AC 60 preparations to be 18.07: 2.90: 6.87: 1, 21.28: 2.45: 5.98: 1 and 15.95: 2.75: 6.18: 1, respectively.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6- 6.87 mg/L of acetate was present per 1 mg/L of p- removal. Three different wastewater fractions are obtained as: raw wastewater (WW), dissolved WW (obtained with filtration using 0.45 mm filter), and undissolved WW (i.e., infiltrate obtained by above filtration). The result of the P-removal obtained with S-DN-P proces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i.e., 36%, 34% and 30% for raw WW, dissolved WW and undissolved WW, respectively. The biological p-elimination and denitrification depend not only on the dissolved parts in the wastewater, but also on the undissolved content. In the final part,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wastewater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biological p-removal and Denitrification were discussed. The four wastewater fractions were obtained by sequential filtration using the filters with different pore sizes, 3, 0.45 and 0.1 ?m, which are denoted to be WW(3), WW(0.45) and WW(0.1) frac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e ratio COD: NO3-N: Acetate: P were 8.04: 1.93: 3.55: 1, 19.94: 2.82: 6.88: 1, 16.29: 3.26: 10.23: 1 and 13.50: 2.54: 7.41: 1 for the WW, WW(3), WW(0.45) and WW(0.1) fractions, respectively. Also,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3.5 mg/L of acetate was consumed per 1 mg/L of P-removal for WW fraction, and WW(3) and WW(0.1) fractions showed that about 7 mg/L of acetate was capable of 1 mg/L of P-removal; whereas about 10 mg/L of acetate can cause 1mg/L of P-removal with the WW(0.45) fraction. The P-removal decreased with decreasing pore size except WW(0.1) fraction. Technical procedures based on the S-DN-P principle are currently not yet available in sewage treatment plant. The S-DN-P proc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firmed up to this now only in the laboratory scale. In near future, the S-DN-P process should be examined and installed in sewage plant in Korea. Keywords: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Denitrification; Polyhydroxybutyrate (PHB); Sequencing-batch-biofilm reactor (SBBR); Sorption denitrification p-removal (S-DN-P)

      • 성인학습자의 음악교육 참가동기가 만족도 및 태도적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플루트 교육을 중심으로

        최희정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경제발전과 더불어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은 삶의 질적 가치 추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주 5일제 근무제는 사회생활의 변화가 개인에게 여가시간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여가생활로서의 음악의 가치는 인간이 성장해 나감에 있어 더욱 큰 의미를 지니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평생교육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교육 및 학습에 대한 욕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전과 노동시장의 인구학적인 변화, 시장의 세계화 평생학습사회의 보편화 등 환경변화들은 교육을 통한 조직성과 향상을 강조하며 교육에 있어 학습자 중심의 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여가 활동에 있어 예술은 여가를 이해하기 위한 최고의 예가 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음악 연주활동은 사회적 일탈이나 치유의 도구로 각광받고 있다. 음악은 인간의 생체적,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반응을 이끌어내며 음악의 리듬은 인간의 긴장된 심신을 이완시키고 체계적인 행동을 유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여가의 휴식적 기능, 기분 전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음악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은 지속적인 음악학습과 음악을 통한 문화의 이해에도 도움이 되며 나아가 음악적 능력이나 자아실현의 가능성과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된다. 예술 매체로만 생각되었던 음악이 인간의 정서뿐만 아니라 사회, 인지, 언어, 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을 통해 음악은 일종의 총체적인 체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제는 평생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가 동기를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그 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려는 시도와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아직까지는 정확한 통계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플루트 음악교육 중심으로 성인학습자들의 교육 참가 동기 이론과 모형, 음악교육의 참가동기 및 동기와 개념의 정의를 알아보며 교육만족의 개념과 정의 및 이론과 모형, 태도적 충성도의 개념 및 유형을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참가동기와 만족도, 참가동기와 태도적 충성도, 만족도와 태도적 충성도의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 모형과 조사 설계를 하며 설문지를 구성하고 음악 교육 참가 동기, 음악 교육 만족도, 태도적 충성도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으로 실증 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가설설정결과 음악교육의 참가동기에 있어서 플루트 음악교육의 지적 동기, 능력-숙달동기, 사회적 동기, 자극회피 동기 모든 동기가 높은 수록 음악교육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태도적 충성도 수준을 평가하는 3가지 상표 충성도, 점포 충성도, 서비스 충성도 평가 항목 모두에서 위에서 말한 4가지 동기가 높을수록 충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음악 교육 만족도는 태도적 충성도에 긍정적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음악 교육 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 교육의 학습적인 목적은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능력을 통하여 창조적인 인간을 형성하고 미적 정서와 풍부한 인간성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플루트 교육 대상이 아동?#52397;소년기 학생중심에서 청?#51109;년층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플루트 교육이 전공 기술 습득의 차원에서 자기 개발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평생교육의 의미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인학습자들의 플루트 교육 참가는 우연이나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오랜 기간 학습자에게 내재되어 있던 학습 욕구가 실현된 것이기에 참가 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조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음악교육 참가동기가 평생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가르치는 일은 매우 중요하여 이것이 꾸준히 연결될 때 비로소 인간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ulture era of 21th century and along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s, improvement of standard of living of people has brought social demands for the pursuit of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5 working days a week policy today brought the increase in spare times in social life of individuals and the value of music as leisure activity come to have bigger meanings as human beings have been growing and based on these foundations, life time education has been tried. According to the current changes of the times, desires for education and learning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and its demand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as well. Additionally,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demographic changes in labor market, globalization of market and generalization of life time learning society are emphasizing the systemicity and improvement through education and regarding learning and education types, experiences-oriented learning have been emphasized. Arts in leisure activities could be the best example to understand the leisure and spare time and music performance activities among them receive spotlights as the tools for social deviation or treatments. Music draws physic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responses of human beings and music rhythms give the motivations in order that tense human body and minds could have relax and systematic activities, which means music has functions of relax and diversion. To obtain the knowledge about music could be a help to understand the cultures through consistent music learning and music itself and furthermore, it could expand the ranges of music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self -realization and the ranges of understanding of people? living. Music which was thought just as a media of arts could be a kind of comprehensive experience through various studies which are saying that music gives great influences not only to emotions of human beings but also to various areas of society, recognition, language and exercises and these prerequisites could be the reasons fo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sic as life time education. And therefore, participating motivations in life time education of adult participants are materialized and the trails and studie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have been executed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not exact statistics until now. In this study, theories and models about participating motivations of adult participants, participating motivations in music classes and the related concepts and definitions were examined. Through examining concept, definition, theory and model of education satisfaction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oncept and model of commitment, study model and research design were constructed through preceding studies of participating motiva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participating motivations and commitment and satisfaction levels and commitment and the hypothesis was empirically tes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ith variables of participating motivations in music lessons, satisfaction level of music education and related commitment. Regarding the results of hypothesis set-up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s, satisfaction levels of music classes are increasing as all motivations including intellectual motivation, motivations about competence and skills, social motivations and motivation of stimulus avoidance are increasing. In all three categories of brand commitment, shop commitment and service commitment where the categories of commitments are evaluated, the commitment is increasing as the above mentioned all 4 motivations are hig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music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has positive effect to commitment and at the same token, the commitment is increasing as satisfaction level in music classes is higher. Academic objectives of music class are to form creative human beings and to construct the aesthetic emotions and abundant humanity by feeling and expressing capabilities of the beauty of music. Subjects of flute class are changing from children and adolescent participants to adult and middle aged people, which means flute class is expanding its meaning to self-development and increase of self?atisfaction level as life time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flute class by adult participants is not an accidental or temporary phenomenon but a participating motivation which was identifi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research because such learning desires which have been existed in the participants for a long time have been realized. And therefore, participating motivation in music class is very important in life time education and consistent maintaining and educating the music are also very important and finally the participants could have rich life as a human being when these activities are consistently connected and continued.

      •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지각된 혜택 및 희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희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ly a value-based acceptance model to consumers with experience in airline mobile application to understand the perceived benefits and sacrifices of the app and its impact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ous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ortant insights can be seen concerning consumer behavior regarding airline mobile app services and the provision of useful data for the marketing strategies of companies that provide the service. This study used 225 effective samples for empirical analysis from Koreans with experience in using mobile app. For the research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one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 concepts. The results show that ease, economical factor, truthfulness and enjoyment of the airline mobile ap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that perceived value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reuse intention. Monetary risk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effect and the continuous reuse intention, regarding of sacrifices. However, it was found that useful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and non-monetary risks had no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s and continuous reuse intention. Key words Airline Mobile Application, Value based Adoption Model(VAM), Perceived benefit, Perceived Sacrifice, Perceived value, Continuous Reuse intention 전 세계 여행시장은 온라인 및 모바일을 중심으로 혁명과 같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전체 여행산업의 모바일 의존도는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여행산업 전반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이다. 항공업계 역시 모바일 기반의 판매 및 서비스 변화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개별여행객의 증가와 모바일 트렌드로 인해 항공사 직접 판매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온라인여행사(OTA)가 숙박시장의 생태계를 흔들었듯, 항공 분야 또한 새로운 변화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빠르게 흐름을 읽고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항공사 고유의 서비스를 최첨단의 기술과 접목하고,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여 경쟁력을 갖춰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에 대한 정보 및 구매를 할 수 있는 여러 채널 중,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주제를 구체적으로 선택하되, 기존의 기술의 긍정적 혜택 부분만을 고려했던 모형에서 나아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를 토대로 하여 지속사용의도롤 유도하는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의 선행변수로서 지각된 혜택과 희생의 요소를 세분화하여, 고객 관점에서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영향 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사용의도의 영향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스마트폰 보유 일반인 대상으로 2019년 11월 5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225부로,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혜택 중 편의성, 경제성, 신뢰성,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희생 중 재정적 위험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지각된 혜택 중 유용성과 지각된 희생 중 성과적 위험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을 정리해보면 첫째,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혜택 및 희생과 지각된 가치, 지속사용의도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통해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혜택에 해당되는 정보 시스템 품질과 만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으며,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으로 인한 혜택의 차원과 희생의 차원을 종합적으로 결합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한 사례는 없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후속 연구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둘째,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통해 제공받는 혜택으로서 유용성(유용한 정보)이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는 유사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이미 출시된 지 약 10년이 되는 서비스이며, 유사 정보 제공 채널이 많아진 환경에서, 항공사 앱의 유용성의 항목은 가치에는 영향을 줄 수 없고,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관련 연구에서 유용성을 제외하고 연구 모형을 수립하는 데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희생의 변수로서 재정적 위험은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성과적 위험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가격 검색 비교 사이트 등을 통한 모바일 상거래의 트렌드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으로, 향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지속사용의도는 지각된 혜택 중 즐거움의 요소가 가장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기술에 대한 연구는 기술의 유용성 및 용이성 등에 집중을 했으나, 이미 기술 발전의 수준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는 고객에게 정서적인 접근을 통해 즐거움, 긍정적인 감정을 제공했을 때 지속사용의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각된 혜택 중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는 유용성이 중요하지 않다는 의미가 아니며, 오히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채널간의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점을 시사한다. 항공사에서는 다른 채널이 제공할 수 없는 독자적인 서비스 제공 및 기술 발전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각된 희생으로 제시되었던 하위요인 중, 비금전적인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금전적인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권 시장도 치열한 가격 경쟁 환경 속에 놓여있음을 의미하는 만큼, 해당 항공사를 통해 구매하는 것의 특화된 장점을 제시하고, 해당 항공사 항공권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는 경우 최저가 보장을 하거나, 여타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금전적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 항공 및 여행업계는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항공사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판매와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각 항공사에서는 고객들의 니즈를 세심하게 파악하고, 항공사 애플리케이션만이 갖는 장점을 극대화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발전시키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항공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치기반수용모델, 지각된 혜택, 지각된 희생, 지각된 혜택, 지각된 가치, 지속사용의도

      •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희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보육교사의 수준에 따라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2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권수현(2014)의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홍수연(2017)의 보육교사 회복탄력성을 사용하였고, 홍화연(2015)의 연구에서 9점 척도를 5점 척도로 변경한 교사효능감을 도구를 김해리(2018)가 보육교사를 대상에 맞게 개발한 보육교사 대상 교사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정숙(2003)의 여러 평가척도 파일(APECP, NAEYC, NCAC,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척도, 한국교육개발원 평가기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측정 문항을 추출한 척도를 사용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이 높으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욱 활발히 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보육교사가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을 높게 지닐수록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을 보다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수준에 따라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의 학력 수준에 따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인 경력에 따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영유아간 상호작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질 높은 수준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 및 프로그램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affec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Based on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o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affec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Second, does capacity of child care teacher affec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ird, does background factor of child care teacher affec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is study was targeted to 225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Resilienc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adopted from Hong(2017), the edited version of Kwon(2014) used for preschool teachers. As for examining teacher efficacy, 5 scale tool of Kim(2018) was used, which was originally 9 scale in Hong(2015) and edited for child care teachers. Teacher-children interaction was examined by a certain types of questionnaire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used in Lee(2003) including a variety of rating scale tools such as APECP, NAEYC, NCAC, Infant Education Program Rating Scale, KEDI standar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its effect and difference in groups was tested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corelation between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e higher resilience of child care teachers is, the more activ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can be. Also, it showed high teacher efficacy can affect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a positive way. Consequently, as a child care teacher has higher resilience and efficacy, teachers and children can have more active and positive interaction. Second, it was proved that capacity of child care teacher affects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out that education of teachers could have meaningful effect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ird, the result showed career, the background factor of child care teacher, affecte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in a significant way. According to these results mentioned above,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resilience and efficacy of teachers should be suggested in order to make a positive and active teacher-children interaction.

      • 서울지역 일부 초등학생의 영양 보충제 섭취 실태 및 섭취 관련 요인 분석

        최희정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성북구 지역의 초등학교를 다니는 자녀(만 7~12세, 1~6학년)를 둔 어머니 270명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생의 영양보충제 복용 실태를 분석하고, 섭취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신체적 특징·건강 관련 요인·식행동 차이와 조사대상 아동 어머니의 영양보충제 인식도 및 영양지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양한 영양보충제가 보급되고 있는 현 실정에서 현황을 진단하고 영양보충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함께 어린이 영양보충제 섭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1.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성별 비율은 군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는 섭취자가 101명(60.5%)으로 비섭취자의 39명(54.9%)에 비해 높았고, 여자는 비섭취자가 32명(45.1%)으로 섭취자의 66명(39.5%)에 비해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아버지 직업은 군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어머니 직업은 ‘판매 서비스직’과 ‘주부’는 섭취자가 각각 5명(3.0%), 92명(55.1%)으로 비섭취자의 1명(1.4%), 22명(31.0%)에 비해 비율이 높았고, ‘전문행정 관리직’, ‘자영업자’, ‘기타’는 비섭취자가 각각 35명(49.3%), 10명(14.1%), 3명(4.2%)으로 섭취자의 47명(28.1%), 23명(13.8%), 0명(0.0%)에 비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3.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가족의 영양보충제 섭취 여부는 섭취자는 가족의 영양보충제 섭취 경험이 있는 경우가 128명(76.6%)으로 비섭취자의 21명(29.6%)에 비해 높았고, 가족의 영양보충제 섭취 경험이 없는 경우는 비섭취자가 50명(70.4%)으로 섭취자가 39명(23.4%)에 비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4.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자녀의 건강관련 설문 조사 결과. 자녀의 키는 ‘매우 작다’와 ‘작다’의 합과 ‘보통이다’는 섭취자가 각각 50명(29.9%), 81명(48.5%)으로 비섭취자의 15명(21.1%), 25명(35.2%)에 비해 높았고, ‘크다’와 ‘매우 크다’의 합은 비섭취자가 31명(43.6%)으로, 섭취자의 36명(21.6%)에 비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신체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신장은 섭취자(135.80±0.58cm)에 비해 비섭취자(140.23±12.06cm)가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체중 역시 섭취자(32.95±8.84kg)에 비해 비섭취자(37.53±10.00kg)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6. 영양보충제 섭취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영양보충제에 대한 인식 정도는 총 10개 문항으로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의 5단계 Likert 척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 중 6개 문항에서 섭취자가 비섭취자에 비해 영양보충제에 대한 인식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총점에서도 섭취자가 28.85±3.87점으로 비섭취자의 26.45±3.98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보충제 섭취자가 비섭취자에 비해 영양보충제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7. 조사대상 아동의 영양보충제 섭취율과 종류 조사 결과, 영양보충제 경험이 있는 경우는 167명(70.2%), 없는 경우는 71명(29.8%)으로 나타났으며, 섭취 종류로는 ‘비타민 및 무기질류’가 115명(45.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약초 및 한약류’ 92명(35.2%), ‘건강보조식품’ 41명(16.1%), ‘특수영양식품’ 4명(1.6%), ‘보신식품’ 2명(0.8%) 순으로 나타났다. 8. 조사대상 아동의 영양보충제 섭취 이유에서 ‘성장과 발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가 90명(53.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건강증진’ 28명(16.8%),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27명(16.2%), ‘질병치료와 예방을 위해서’ 11명(6.6%), ‘피로회복’ 6명(3.6%), ‘체질개선’ 3명(1.8%), ‘기타’ 2명(1.2%)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섭취를 할 것인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예’가 155명(92.8%)으로 대부분이 앞으로도 자녀에게 영양보충제를 먹이겠다고 대답하였다. 9. 영양보충제에 대한 정보 급원에 대해서는 ‘의사, 약사’가 47명(28.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친구, 가족’ 42명(25.1%), ‘인터넷’ 26명(15.6%), ‘TV, 라디오’ 25명(15.0%), ‘신문, 잡지’ 17명(10.2%), ‘기타’ 6명(3.6%), ‘영양사’와 ‘판매원’이 각각 2명(1.2%) 순으로 나타났다. 15. 영양보충제 구입장소에 대해서는 ‘약국, 한의원’이 80명(47.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건강식품 판매원’ 26명(15.6%), ‘백화점’ 18명(10.08%), ‘인터넷, 홈쇼핑’ 16명(9.6%), ‘판매원’ 11명(6.6%), ‘기타’ 6명(3.6%), ‘선물받음’과 ‘집에서 만듦’이 각각 5명(3.0%) 순으로 나타났다. 10. 영양보충제 미복용 이유는 ‘식사로도 충분해서’가 39명(54.9%)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아이가 건강해서’ 19명(26.8%), ‘보충제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서’ 8명(11.3%), ‘기타’ 5명(7.0%), ‘경제적 부담 때문’ 0명(0.0%)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섭취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아니오’가 47명(66.2%)으로 절반 이상이 향후 섭취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비만도, 식생활 실천지침, 영양보충제 인식 정도, 영양지식 간의 상관관계 측정 결과, 식생활 실천지침과 영양보충제 인식 정도 간에 r=0.178(p<0.01)의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식생활이 좋을수록 영양보충제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영양보충제 섭취비율이 높고, 어머니가 직업이 ‘주부’ 일수록 섭취비율이 높았다. 또한 가족의 영양보충제 섭취 여부가 아동의 영양보충제 섭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아동의 키가 작고 몸무게가 적게 나갈수록 영양보충제의 섭취비율이 높았는데, 영양보충제를 섭취하는 아동들 이 영양보충제의 목적을 ‘성장발육에 도움을 준다’라는 설문결과와 일치한다. 영양보충제 미복용 이유로는 ‘식사로도 충분해서’와 ‘아이가 건강해서’ 복용하지 않는다는 이유가 높았다. 영양보충제를 섭취하는 아동들은 성장발육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섭취를 하고 영양보충제를 섭취하지 않는 아동들은 현재 건강하기 때문에 섭취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영양보충제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동기 아동의 부족한 영양소의 섭취와 건강증진을 위하여 영양보충제에 의존하기보다는 영양교육을 통하여 균형 잡힌 식사와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서울 성북구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농어촌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의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agnose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tudent for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students as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factor related with health difference of eating behavior and awareness rate and nutrition knowledge for mothers of children investigated. To do this, Questionnaires was surveyed for 270 mothers of elementary student who live in Sungbook-gu Seoul. To verify this research materials, statistical data was summarized with significance level which is p<0.001, p<0.01, p<0.05 using SPSS ver12.0 program. Post-hoc analysis is also done through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or children’s anthropometric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the result of survey is follows. Children’s height among students who are taking (the sum of very small and small and the sum of is 50 persons (29.9%), and the ordinary is 81 persons (48.5%)) is higher compare with students who are not taking (15 persons (21.1%), 25persons (35.2%)). For the sum of tall and very tall, Students who are not taking (31persons (43.6%)) is higher rate than students who are not taking (36persons (21.6%)). This say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er each group (p<0.01). The review result of physical characteristic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is that for the height, students who are not taking (140.23±12.06cm) a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taking (135.80±0.58cm) significantly (p<0.01). For the weight, students who are not taking (37.53±10.00kg) are also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taking (32.95±8.84kg) significantly (p<0.001). For Mothers understanding level on nutritional supplement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understanding rate of students who are taking is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not taking significantly (p<0.001). For the result of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investigated-related factors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Regularity of meal tim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er each group but, for the like clockwork, students who are not taking (62persons (87.3%)) are also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taking (142 persons (85%)) and for the irregularity of meal time, students who are taking (25 persons (15%)) are also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not taking (9 persons (12.7%)). For the result of Difference of obesity index, diet behaviors, understanding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and knowledge on nutrition,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y r=0.178(p<0.01) significantly between diet behaviors and understanding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which means the better diet behaviors is the higher understanding by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In this paper, the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rate of elementary students is high. For the reason, the response which is promoting the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s top level. In addition, in case that person has experience of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there is an intension to take it continuously. As the rate of the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become high, there is possibility of health risks from over taking. Therefore nutrition training program might be needed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 조선시대 흉배 문양을 응용한 자수 표현 연구

        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로부터 우리 조상은 자연의 서정과 아름다움을 문양으로 형상화하여 생활의 곳곳을 장식함은 물론이고, 각각의 문양에 이상적인 삶에 대한 현실적인 소망과 염원의 의미를 더하여 상징화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흉 배는 관복에 수놓은 천을 부착하여 일차적으로 계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문양의 아름다움과 장식성을 강조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흉 배는 지위와 신분을 표시하는 실용성, 문양의 상징성, 의복의 장식성을 통해 독창적인 예술성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흉배 모양의 연구는 조선시대의 미의식과 그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현대에 계승, 발전시키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는 흉배 모양의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을 재해석, 재창조하여 흉배 모양의 현대적 조형미를 표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흉배의 제정과 발전, 그리고 흉배의 종류와 특징을 문헌과 보존 유물의 실증적 자료를 통해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흉배 문양의 특성을 고찰하여 주문양과 배경문양의 분류하고 그 종류와 상징적인 의미를 연구하였다. 셋째, 전통자수와 현대자수에서 나타난 흉 배 문양의 표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작품제작에 응용하였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평수, 자련 수, 올 수, 징금 수, 이음 수, 매듭 수 등의 자수 기법을 사용하였고, 재료는 섬세하게 직조 된 문단(紋鍛)과 여러 가지 색깔의 견사, 부분적으로 금사와 은사를 사용하였고, 입체 표현을 하기 위해 면사를 속수로 사용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흉배 모양의 조형성을 토대로, 전통미를 현대적 조형미로 재창조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의 현대화 과정은 전통적인 외형상의 형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즉, 이제까지 흉배 모양으로 쓰이지 않았던 문양을 사용하거나, 주문양과 배경문양의 대소 차이가 없거나, 흉배의 크기가 커지고 여백을 강조한 회화적 구도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연구하였다. 셋째, 흉배 문양이 지니는 실용적, 상징적, 장식적 특성 등의 전통적인 내용을 더욱 강조하여 길상적(吉祥的)인 의미를 최대로 표현하였다. 넷째, 자수기법의 장식적 조형 미를 강조하여 표현하기 위해 자수 기법과 문단(紋緞), 견사, 금사 등을 사용하였다. 근래에 우리 나라 전통문화의 독창성이 대내외적으로 널리 알려져 많은 관심과 폭 넓은 이해를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전통 문화를 꾸준히 유지, 발전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더욱더 요구된다. 다라서 흉 배의 전통미를 현대적 조형미로 나타낼 때 흉 배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은 흉배가 갖고 있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계승,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The designs and patterns appearing in Korea hyoongbae originated mainly from the natural surroundings and everyday items used by Koreans and were expressed in a fashion that emitted a strong and simple sense of their true, indigenous Korean nature. The patterns were based on the religion, faith, legends, and true stories about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old Korea. Many of them were derived particularly from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 patterns were widely used in various roles throughout every facet of old Korean society and were based on designs from nature, plants, animals, geometrical forms, symbols of luck and prosperity, astronomical phenomena, natural phenomena,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ne´s figures and patterns invented by hum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hyoongbae and express modern beauty by recreating and reconstructing tradition.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documents and gathering ancient costumes, many hyoongbae-the symbols of rank worn on breast and back of the official costume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produced new discoveri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hyoongbae by examining actual remains, references, and then classifies hyoongbae into main-patterns and sub-patterns, and finally, adapts this to the produced embroidery. Technically, this study uses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s-weaved fabrics with traditional patterns-to express elegant and delicate hyoongbae patterns; various colored silk strings, gold and silver colored string for decoration of the hyoongbae patterns; and cotton strings for cubic delineation. This study creates and analyzes four works by expressing hyoongbea patterns through the recreation modern beauty, and makes several conclusions applicable to modern embroidery. First, based on th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hyoongbae, it is possible to recreate and modernize traditional beauty. Second, in order to modernize traditional hyoonbae patterns, new patterns instead of one ones, pictorial composition, enlargement of hyoongbae are used, and no difference appears between main-pattern and sub-pattern. Third, it is possible to emphasize the practical, symbolic, and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hyoongbae pattern and express blessing contained within the patterns. Fourth, it is possible to use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 traditionally weaved, patterned fabrics, colored silk strings and gold-colored strings. This work will be of value to future studies. With the increasing passage of time, we fall in danger of neglecting or improperly using the treasures of our past. By foregoing mere imitation and using traditional embroider technique to fit us and our needs, we maintain its beauty for ages to come and for our descendants to marvel at the beauty created through our, and ancestor's endless exertions.

      •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최희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자기존중감의 수준과 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자기존중감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2.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는 성차가 있는가? 3.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공립유치원, 7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59명(남아: 92명, 여아: 67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76개월(남아: 76개월, 여아: 76개월)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와 Pike(1984)의 유아용 자기존중감 척도(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기존중감에 대한 연구에서 김미경(2004)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이혜원(2005)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중에서 1개 문항을 제외하고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연구 문제에 따라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성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존중감 점수를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자기존중감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하고 있으며, 유아 자신의 수행 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는 인지 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이 신체 능력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는 어머니 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이 또래 수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존중감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수행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는 인지 능력에 대한 자기지각에서 성차를 보이고 있었으며(인지 능력: p< .01), 사회적 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에서는 또래 수용과 어머니 수용에 대한 자기지각에서 성차를 보이고 있었다(또래 수용: p< .001, 어머니 수용: p< .001).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문항별 평균은 3.65로 문항의 내용에 따라 「보통이다」와 「그렇다」사이에서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요인 문항별 평균은 사회적 규범 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서성, 정서 조절, 또래관계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수준의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요인 중 정서 조절과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남아보다 여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성차가 나타났다(정서 조절: p< .05, 사회적 규범 이해: p< .01) 셋째,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자기존중감 수준의 주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p< .01), 성별의 주효과와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요인 중 정서 조절,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에서 자기존중감 수준의 주효과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p< .01), 성별의 주효과와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