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혜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현대의 급속히 변화하는 주변의 악화로 점차 개인위주의 생활을 하고 학우간의 충돌로 인하여 무력감과 허탈감,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로 인해여 고통받고 있는 중학생들에게 무용교육을 통해 정서를 순화시킬 기회를 제공하여 신체의 움직임을 통한 긍정적인 사고력과 자유로운 창의력 그리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 발전시키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무용의 저변확대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일차적으로 무용교육의 의의와 청소년기의 특징, 그리고 사회성의 개념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다음으로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하위요인별 4가지인 활동성, 사려성, 성취감, 협동성으로 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은 강원도 지역 내의 정선중학교 남녀학생 각각 141, 149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자기평가기입법 으로 분석하였고, 특성별 신뢰도 측정은 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여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무용교육이 중학생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무용교육기간에 따른 중학생들의 사회성발달은 활동성, 사려성, 성취감, 협동성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기간 무용교육을 받은 남녀의 차이는 활동성을 제외한 나머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무용교육이 중학생들의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끊임없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aregettingisolatedfromeachotherintherapidlychangingmodernlifeandaresufferingfromafeelingofhelplessness,despondencyandunhappyrelationshipswiththeirfriend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hypothesis that dance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s of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uch a way that it refines the emotion of students as well as it helps them to improve sound mind, creativity and physical strength so that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justifying the needs of expanded dance education. First, relevant theoretical backgrounds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and the definition of sociality have been reviewed. The sociality of the subjects who are currently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posed to the dance education has been examined in four sub-criteria; activity, discretion, achievement and team spirit. 141 male and 149 femal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student population of Jeonsung middle school located in Kangwon province, Korea.Thesurveymethodconductedforthestudyisbasedon‘self-administratedmethod’andthereliabilitypereachcriterionhasbeenmeasuredbythecoefficientofinternal consistency. The methodology above used in the study has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hypothesis and provided the following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subjects have been affected in all sociality criteria, i.e. activity, discretion, achievement and team spirit during the dance educ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during the education term except for activity. There is a need for in-depth further work to identify the effects of danc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大氣汚染이 心筋梗塞과 腦卒中 早期 症狀 認知率에 미치는 影響要因

        최혜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기오염이 심근경색과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관리 근거 및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2020년 공개된 에어코리아, 통계청,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 자료를 수집하여 전국을 162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대기환경기준 물질인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오존, 이산화질소, 이산화황의 자료와 지역사회 건강조사 지역별 자료와 통계청 자료를 병합하여 심근경색조기증상인지율과 뇌졸중조기증상인지율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뇌졸중조기증상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초미세먼지(β=-0.107, p=0.027), 일산화탄소(β=0.092, p=0.002), 당뇨병 진단 경험률(β=0.108, p=0.001), 고혈압 진단 경험률(β=-0.078, p=0.029), 심근경색조기증상인지율(β=0.946, p=0.000)이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심근경색조기증상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산화탄소(β=-0.089, p=0.003), 당뇨병 진단 경험률(β=-0.117, p=0.001), 고혈압 진단 경험률(β=0.077, p=0.029), 뇌졸중조기증상인지율(β=0.934, p=0.000)이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하여 초미세먼지, 일산화탄소 등 대기오염 저감 대책과 고혈압 및 당뇨질환 관리와 조기증상 인지율 향상에 대해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percep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early symptoms of stroke, and to suggest polic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e data used was collected from national websites of Air Korea, the Statistics office, and the MDIS(MicroData Integrated Service) for the year 2020. This data classified the whole country into 162 regions, and contained atmospheric environmental substances including ultrafine particles, fine dust, carbon monoxide, ozone, nitrogen dioxide, and sulfur dioxide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Konyang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Health in February, 2023.In additi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region-specific data was analyzed for the factors influencing myocardial infarction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and stroke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stroke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were; the ultrafine dust (β=-0.107, p=0.027), carbon monoxide (β=0.092, p=0.002),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rate (β=0.108, p=0.001), hypertension diagnosis experience rate (β=-0.078, p=0.029), myocardial infarction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β=0.946, p=0.000). Furtherm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yocardial infarction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were; the carbon monoxide (β=-0.089), diabetes diagnosis experience rate (β=-0.117, p=0.001), hypertension diagnosis experience rate (β=0.077, p=0.029), and stroke early symptom awareness rate (β=0.934, p=0.000).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reduce air pollution such as ultrafine dust and carbon monoxid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diseases, and improve early symptom recognition rates.

      • 국제기준보다 강화된 SPS조치 시행을 위한 위해성 평가

        최혜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SPS협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위생조건 협상 및 캐나다산 쇠고기 수입금지에 대한 WTO에의 제소 등의 사건으로 SPS협정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향후에도 일본산 수산물의 안전성 문제를 비롯하여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등 다수의 SPS 관련 통상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SPS협정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국외적으로는 국내보다 앞서서 SPS협정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성장촉진 호르몬의 안전성 및 GMO식품에 대한 안전성 등의 문제로 EC와 미국·캐나다가 충돌하였다. SPS협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인간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는데, SPS협정이 바로 인간, 동물,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인 SPS조치를 제한하는 협정문이기 때문이다. WTO의 회원국으로서 정부는 위생검역권한을 행사함에 있어 SPS협정에서 정한 요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SPS협정은 위생검역분야에서 회원국의 위생검역권한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장하였지만, 위생검역권한의 남용을 방지하는 것만이 추구하는 주된 목적은 아니다. 제2조에서 확인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SPS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리를 회원국의 기본적인 권리로 보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협정은 여러 가지 의무와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회원국별 SPS조치간의 조화원칙, 동등성의 인정, 위해성 평가에 기초할 의무, 투명성 등이 그 내용인데, 그 중에서도 SPS조치를 과학적 증거에 근거하도록 하는 위해성 평가에 기초할 의무를 통하여 인간, 동물, 식물의 건강 또는 생명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회원국 정부의 위생검역권한을 합리적으로 제한하고자 하고 있다. WTO의 다른 협정들이 주로 국가 간 또는 국내·외 간의 부당한 차별을 금지하는데 힘을 쏟고 있는 반면, SPS협정이 특수하게 회원국의 의무를 과학과 연결시키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따라서 SPS협정에서 위해성 평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위해성 평가에 대한 조항인 제5조를 제대로 해석하는 문제가 중요하며, 위해성 평가에 대한 조항인 제5조의 내용이 위와 같은 임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SPS협정 제5조 및 부속서1의 네 번째 단락이 위해성 평가에 대한 조항이다. 제5조는 8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항부터 제3항까지가 위해성 평가에 대한 내용이고, 제4항부터 제6항은 위해성 관리에 대한 내용, 제7항은 잠정조치에 대한 내용이며, 제8항은 국제기준에 근거하지 않은 SPS조치에 대하여 해명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위해성 평가에 대한 정의는 부속서1의 네 번째 단락에서 규정하고 있다. 위해성 평가에 대한 조항이 제대로 해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쟁사례를 검토하여야 한다. 위해성 평가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로 EC – Hormones사건, EC – Biotech사건, Australia – Salmons사건, Japan – Apples사건이 있다. 관련사건의 패널 및 항소기구의 판단을 검토해본 결과 제5조에 대한 해석이 회원국 위생검역권한을 존중하기 보다는 위생검역권한을 제한하는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개연성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회원국 정부의 위해성 평가를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한 점, 위해성 평가와 구별되는 위해성 관리의 개념을 인정하지 않은 점, 명문의 근거가 없이 위해성 평가의 방법으로 특수성을 요구한 점, 제5조 제7항의 발동요건인 과학적 불충분성의 해석을 지나치게 엄격하게 한 점 등을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WTO 패널 및 항소기구가 합리성을 잃고 자의적인 판단을 하여 자유무역가치를 인간의 생명·건강 가치보다 우선시함으로써 자국민의 건강·생명 보호를 위한 회원국 정부의 위생검역권한을 침해하는 경우 결국 WTO에 대한 불신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성장촉진 호르몬의 안전성 및 GMO식품에 대한 안전성 문제에 대하여 WTO패널 및 항소기구의 판단이 내려졌지만, 그러한 판단에 EC는 승복하지 않았고 여전히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 중이다. 관련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위해성 평가의 주요내용에 대한 적절한 해석방안을 제5장 제2절부터 제4절에서 제시하였다. 개연성은 가능성과 유사한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고, 위해성 평가와 구별되는 위해성 관리의 개념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며, ‘여건에 따라 적절하게’라는 내용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어려움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내용 등이다. 과학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이 관련 과학적 증거가 불충분하여 발생한 경우에는 제5조 제7항을 발동할 수 있도록 해석해주고, 사전주의원칙을 별개의 원칙으로 인정하지 않는 대신에 제5조 제7항의 해석을 융통성을 가지고 하자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궁극적으로는 SPS협정의 개정을 통하여 위해성 평가와 관련하여 필요한 내용을 명확하게 규정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이 많은 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개선방안으로는 위해성 평가에 대한 정의조항을 SPS협정상의 위해성 평가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명확하게 수정하고, 위해성 평가의 유형을 재분류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다. 다음으로 위해성 평가 방법에 대한 규정을 두어 회원국 정부의 재량이 인정되는 범위와 재량이 제한되는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협정문의 내용이 추상적으로 되어 있어 WTO 패널 및 항소기구의 해석을 통해서 구체화되었으나, 위해성 평가와 관련된 의무로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들은 명문화할 필요가 있으며, 위해성 관리에 관한 조항은 불충분하므로 보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의 생명 또는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경우와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반덤핑협정과 같이 심사기준을 완화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혜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지각을 바탕으로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수준을 밝히고,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전문성 매개 효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전문성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나-1.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2.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3.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22개 학교 3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사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14문항, 교사전문성과 관련된 11문항, 직무성과와 관련된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배경변인별 수준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측정오차와 구조 오차를 고려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수준은 모두 높았으며 배경변인인 교직경력이 높으면 모든 변인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세 변인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만이 세 변인에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성별, 보직여부, 교직경력, 학교 규모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 임파워먼트는 직무성과, 교사전문성 각 변인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교사전문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전문성은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중 약 50.7% 정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는 약 59.7%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은 교사에게 적극적으로 권한을 부여하고 교사가 영향력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하여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인식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동시에 교사 스스로도 교사 임파워먼트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전문성은 실제 전문성 보유 수준의 영향이 크지만 이는 각종 교육경험의 누적과 연수 참여, 대학원 진학 등의 교사전문성의 질을 높이려는 시도의 결과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성 개발을 장려하고 공유하는 교직 문화를 구축하고, 각종 지원책 마련과 연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교직경력은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경력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장과 교사 모두 노력하고 지원해야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연구하여 학교장이 어떠한 영역에서 어느 정도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교사 임파워먼트 인식 신장에 효과적인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학교장의 권한 부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전문성이 교육 지식, 교수 기술, 인간관계, 환경 조성 능력 등과 교사 자질과 관련된 개인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도록 교사전문성 영역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업성취도와 같은 교육 결과와 심리적인 만족감과 동일시 등을 포함한 학생과 밀접하게 관련된 교사의 직무 성과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주요어 :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 본 논문은 2015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to the duty result through the teacher professionalism.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How is the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that the elementary teachers are aware of? b. In the effect of the empowerment that elementary teachers are aware of to the duty result, how is the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b-1.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duty result? b-2.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teacher professionalism? b-3.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duty result that is carried by teacher professionalism? To solve the problems, I have done a research targeting Seoul 22 elementary school’s 330 teachers. The survey constitute teacher empowerment related question 14, teacher professionalism related question 11, duty result related question 10. To acknowledge the level difference from background variable, I've done t/F test, and to analyze each variable relationship, I've don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To inquire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at considers the error of research model goodness and structure error, I've don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the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that teachers are aware of were all high, and if the teaching career, which is background variable, was high, all the variables standard was high. Secon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3 variables which were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had statically significant matter. Only the teaching career from the background variable had significant matter to 3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nforcing regression analysis which has gender, appointment, teaching career, size of the school as control factors, teacher empower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to duty resul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variable. By ha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diator variable and don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t showe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mediate teacher empowerment and duty result about 50.7%. From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settled research model had shown suitable and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59.7%. By the above results of research, I’ve made conclusions. First, principal has to put effort in to make teacher’s empowerment cognitive level high, by giving authority aggressively to the teacher and let them feel influential. At the same time, teachers themselves have to put effort in to increase teacher empowerment. Second, teacher professionalism has big influence about the amount of professionalism retention level, but this is the result of trying to increase quality of teacher professionalism by teacher career accumulation, catch training program, graduate school advancement. So there needs to be continuing effort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lso we need to encourage developing professionalism, construct teacher culture of sharing, preparing support measures, and developing training program. Third, teaching career has significant influence to all variables, so to increase standard of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principal and teachers all have to put effort in it as support it. By the research result and the conclusion, these are the proposal for follow-up study. First, by researching where the teacher empowerment awareness starts, and need to research what area and how much authority of principal will help apprehend teacher empowerment expand recognition. Second, we need to research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art to put together teacher qualification related individual aspects syntagmatically such as education knowledge, technique of teacher, human relations, and ability of environment development to teacher professionalism. Third, there needs to be additional research of teachers duty result that has close relation with students, including study achievement and mental satisfaction. Keyword : Teachers'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Duty Result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말하기ㆍ듣기 영역의 교육과정 변천 과정 연구

        최혜선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자를 읽고 쓰는 기초 기능을 넘어서 학습자들에게 사고(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고, 또 언어를 통해서 사고(생각)를 이해하는 고등 정신 기능을 신장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생들의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는 것은 말 또는 글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잘 표현하고 남의 생각과 느낌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뜻한다. 원만한 사회 생활을 위해서는 의사 소통이 필수적이며 생활은 그 자체가 언어 사용의 연속이다. 그래서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국어 교육의 하나이다. 그 중에서 말하기․듣기 교육은 언어 활동의 4영역 가운데서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한 교육으로 실생활에서의 실용성이 가장 높고, 문자 언어 교육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현대 사회에서 음성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각종 매체를 통해 무제한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정보와 지식의 획득이 빈번해짐에 따라 실제로 말하고 듣는 활동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말하기․듣기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듣기 지도의 기본적인 지침과 방향을 담고 있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검토하여 각 시기별로 제시하고 있는 말하기․듣기 지도의 목표와 지도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말하기․듣기 교육의 바람직한 지도 방향을 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말하기․듣기 교육의 지침이 되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말하기․듣기 영역의 교육적 체계가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를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말하기․듣기 교육은 무엇보다 학습자의 실제적 말하기․듣기 능력 배양이라는 과제를 목표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 학생들의 언어 사용 발달 단계를 지속적으로 관찰․연구하여 말하기․듣기 교육 내용을 언어 발달 단계에 따라 위계화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학습자 중심, 과정 중심의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방안 등에 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들이 이루어져 교육 현장을 견인할 수 있는 실용적인 말하기․듣기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aim of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is to improve the high level of ability to express one's thought and understand the other's thought through language. It means to grow ability produces one's thought and feeling, and understand those of others.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in harmonious social life, and life is the continuous using of language itself. So,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e the language using skil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Speaking and Listening performed by spoken language are considered more useful in everyday life and are the cornerstones of written language learning. Lately,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grows than before as the volum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given through mass media increases very quick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desirable direction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fiel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In first chapter, the purpose, boundary, and the method of study is expressed. In second chapter, the changes of Korean Subject which is the guideline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hird chapter, the changes of the structure of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ystem was expressed chronically. The aim of Speaking and Listening should be the one which practically improves that ability. And teachers must fit the content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hrough checking the level of language using ability of each learners. Furthermore, practical Speaking and Listening curriculum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the deepened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learner's needs mainly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field.

      • 초등학생의 실용영어능력 신장을 위한 다중지능이론의 적용 : The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mprove Practical English Ability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최혜선 우송대학교 TESOL-MALL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I English clas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as it pertains to subjects’ practical English abilities and motivation in English. As a result of diagnosis, achievement tests and of performance-based assessments given to subjects, subjects were shown to have improved to some degree their practical English abilities. A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showed that students’ engagement in studying English had increased after taking the MI class. As Armstrong (2003) claimed, even low achieved students started to engage in English class and have confidence in their ability in some intelligences. To establish which MI activities had enhanced subjects’ engagement in studying English, the researcher tracked students’ engagement with individual MI activities in each unit and asked a question relating to this in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questionnaire showed that subjects preferred fun SGA activities. Actually, subjects were not all that concerned whether an activity was consistent with their preferred intelligences or not. If an activity was fun and easy, subjects tried it out eagerly. This indicates that when teachers implement MI English activities to motiv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un involved in the learning task and the ease with which that task can be accomplished should be particularly underscored.

      • 청소년수련시설장의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 : 사회적 교환관계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혜선 중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청소년수련시설장에 대한 다중지표다중요인 모형의 리더역량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교환관계(리더-구성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사회적 교환관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 7월 26일에서 10월 29일까지 서울과 수원, 용인, 성남, 대전, 충남․북 지역 소재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통계분석은 사회 과학 통계패키지 SPSS 24.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위해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의 신뢰도(Cronbach's α) 및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신뢰도(Reliablilty Analysis Method)와 탐색적 요인분석(Experimental Factor Analysis Method) 및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역량과 사회적 교환관계 및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리더역량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리더역량은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에서 MIMIC모형의 경우, 가치역량이 리더역량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이는 가운데, MIMIC모형의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IMIC모형에 기반한 사회적 교환관계의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 공동에서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매개변인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 사회적 교환관계의 다중매개효과에서 완전매개모형의 경우에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는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역량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높이며,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분매개모형의 경우에 리더역량과 조직성과 간에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역량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높이며,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를 간접적으로 높이지만, 팀-구성원 교환관계는 조직성과를 간접적으로 높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완전매개모형의 리더역량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다중 매개하여 조직성과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분매개모형의 리더역량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하여 조직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팀-구성원 교환관계를 매개하여 조직성과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설장의 리더역량을 가치역량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사회적 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분위기와 제도 및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청소년수련시설장의 리더역량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완전매개효과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교환관계(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및 팀-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청소년수련시설장의 리더역량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리더역량과 조직성과의 관계 및 사회적 교환관계의 중요성이 실증된 만큼 리더역량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교환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이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각 시도별 청소년수련시설과 교육지원청, 민간기구 등 다양한 청소년 유관 기관들의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청소년수련시설장의 리더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수련시설의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측정변수인 리더역량은 군간부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을 본 연구대상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것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하는 리더역량 평가척도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리더역량과 조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리더십과 성과 측면에서의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리더십과 리더역량을 동일차원으로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교환관계의 매개효과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 대한 효과적인 검증과 광범위하고 다각적인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을 위한 질적 연구방법을 후속 연구에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교직과정이 설치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 교사의 자질 관점으로

        최혜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관련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원확보율을 조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인격적인 교사, 전문적인 교사, 선도적인 교사로 분류하고.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을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비교 ·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용과목 교사상 중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이 내용에 맞게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24개학교 26개학과 중 5개 학과(19.23%)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4개 학과(15.4%)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이해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1개 학과(42.3%)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공동체 협력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8개 학과(69.2%)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의 평균 개설수는 4과목으로 평균 이상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총 13(50%)개 학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은 피부교과목이 2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목이 24%, 화장품과 메이크업 교과목이 22.7%, 교과교육론 교과목이 9.5%, 네일미용 교과목이 5.8%, 미용학개론 교과목이 4.9%, 공중보건학 교과목이 4.3%, 해부학 교과목이 3.2%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는 기본이수과목 중 일부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었고, 중등임용시험에 필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선도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을 비교 · 분석한 결과 국제화 영역에서는 호원대학교 뷰티미용학과를 제외한 25개(96.2%) 학과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정보화 영역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과는 총 13개(50%) 학과로 나타났다. 산학연계 영역에서는 12개(46.2%)학과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교직이수가 설치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체로 미용교사상에 맞게 잘 편성되어 있으나 특정 대학교에서는 임용시험에 대비한 몇몇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어 미용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 편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분석을 병행하지 못했으며 앞으로는 학교별 교과목들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at 4-year beauty schoo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f it is properly operated to train qualified teachers. This is done th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ecuring percentage of teachers at beauty related high schools, and also categorizing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to three of respectful, professional, and initiative according t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Univercity opened properly for the whole personal teachers training are 5 out of 24(26 Departm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t Konyang University has the most related. Vocational ethics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4 departments (15.4%) and Student understanding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11 departments (42.3%). Also, Collaborative learning courses are not set in 18 departments (69.2%). The number of Departments majors for the respectful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average 4 courses, and about 13 departments (50%) have the courses more than average. Second, major course for the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has the most skin courses of 25.6%, and also 22.7% of cosmetic and makeup courses, 9.5% of education courses, 5.8% of nail beauty courses, 4.9%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s, 4.3% of Public Health courses, and 3.2% of anatomy courses. Especially, department of cosmetics pharmacology at Daegu Hanui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ic science at Jungbu Univeristy and at Chungun University had only few of required courses and did not have others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courses to pass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beauty teachers. Third, subject matters for the pacessetting teachers training, 25 departments (96.2%) except the department of Beauty at Howon Univeristy have internationalization courses, and 13 departments (50%) did not have informatization courses. For school-work links courses, 12 departments (46.2%) did not have. Most of univercity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re forming proper class for the beauty teachers qualification, but some specific universities has only few class for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They need to improve this by opening more required class. Also,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subject table of organization so that could not cover the analysis of actual education class or contents. Hopefully, further study on the more details of the class and contents of each school should be compos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