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李淸照 詞 韻律 硏究

        최진숙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李淸照(1084-1156)詞의 韻律에 대해 硏究하였다. 李淸照는 北宋末에서 南宋初에 이르는 격동기를 살았던 中國文學史上 가장 뛰어난 女流文人이었다. 그녀는 北宋과 南宋이 交替되는 歷史의 激變期에 社會的으로나 個人的으로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는데, 時代의 桎梏이 그녀의 文學 속에 여러 면으로 反映되었으며, 詞, 詩, 文, 書畵 등 여러 방면에 多才多能하였고, 작품 속에 感情이 풍부하게 녹아있으며, 婉約派의 宗主로서 韻律에도 뛰어나 詞를 지을 때 正確하게 하나하나 詞調에 맞게 창작하였다.그녀의 문학적 성취는, 前期에는 婉約派 詞人으로 韻律에 정통하였으며 婉約하고 抒情的이었고, 詞를 창작함에 있어서 詞譜의 격식이나 用韻에 엄격하였으며, 平仄의 用韻에서도 정해진 平仄律을 준수하였지만, 靖康之變으로 南度한 이후에는 時代的 背景으로 인하여 더 이상 韻律과 典故를 따질 사이 없이, 愛國詞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어, 그녀가 남도 이후에 지은 詞로 豪放派 대열에 오르게 되었다. 후대인들이 그녀의 詞에 “丈夫氣”가 있다고 했던 것은 개인적인 불행과 나라를 잃은 울분을 거침없는 필치로 대담하게 표현한 까닭이라고 생각된다.李淸照 詞의 韻律 분석에서는, 우선 韻律의 構成單位에서 詞韻, 詞律, 詞調, 詞牌, 詞譜, 詞樂 등 기본적인 개념을 규정하였다. 主題別 韻律分析에서는 相思. 醉, 夢, 鄕. 悔憶 등으로 분류하여 韻部에 맞는 詞調와 詞調에 맞는 韻을 분석함으로서 작품의 主題와 韻律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으며, 體裁別 韻律分析에서는 小令과 慢詞의 韻部와 平仄韻을 분석하여 體裁와 韻律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당시에는 詞韻書가 없어서 詩韻이나 실제 語音, 方言에 근거하여 塡詞하였으므로, 각 詞에 쓰인 韻字, 韻字가 속한 韻部, 平聲韻만 쓰도록 규정된 詞調, 仄聲韻만 쓰도록 규정된 詞調, 通協된 작품과 戈載가 분류한 19韻部를 근거로 韻部를 분석하였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李淸調 사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李淸照는 仄聲字가 連用된 部分에서 上聲과 去聲을 配合하여 詞의 音樂的 ?果를 增加시켰으며 겉으로 드러나는 拗句의 사용보다는 音樂的 효과를 거두는 上去聲의 운용에 유의했다. 그녀의 詞는 인생의 고독과 불안을 투시한 淸冽한 맛이 가미된 宋詞의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전체적으로 그녀의 詞의 특징은 修辭가 簡潔하고 抒情性이 뛰어나고 疊語를 훌륭하게 사용하였으며, 詞 본연의 婉約한 情調를 위주로 하였고, 각 詞調에 따른 韻律에도 엄격하고 정통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가들의 평어를 분석해 보면, 李淸照의 사는 詞語가 참신하고, 다양한 표현력을 보여주며, 여성스럽고 곱지만 丈夫의 기상이 있어,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있어, 중국문학사에서 일정한 지위를 지키고 있음을 알게 된다.本稿?究了李?照(1084-1156)?的?律。李?照是生活于北宋末至南宋初激?期的,中?文?史上最?出色的女性文人。?于北宋和南宋交替的?史激?期,李?照无??社??是?人的角度,都??了???的人生。?代的桎梏反映在?的文?作品的各?方面。?在詞、詩、文、書畵,等方面也才??溢。?的作品中?渗透着?富的感情。作?婉?派的宗主,?律方面出?的?,作??准?的一一?????行?作。文?成就方面,前期作?婉?派?人,精通?律,兼?婉??抒情。?的?作上,???格式和用???,平仄用?也?格遵守定下的平仄律。但是在靖康之?南度以后,由于?代背景的原因,再无暇?及?律和典故的?,展?了作????人的一面。因此?以南度以后?作的??入到豪放派的?列。后人之所以??的??有“丈夫?”, 我想那是因????人的不幸?亡?之痛以淋??致的?墨大?地表?出?的?故。本稿??律的重要性做了以下分析。在?律的?成?位中,?詞韻、詞律、詞調、詞牌、詞譜、詞樂等?行了分析。在分主??律分析的例子中,先分?成相思、醉、 夢、鄕、悔憶,然后分析??于?部的??和??于??的?,?而了解作品的?容和?律。在分?裁?律分析的例子中,分析小令和慢?的?部及平仄?,?而得知是如何????平仄的?部的。在李?照?特征中,通?修?的??性,卓越的抒情性,和??的使用,?了解?的??特色。由于???有???,是根据??或???音和方言??的,所以本稿根据各?中使用的?字,?字所?的?部,只能用平??的??,只能用仄??的??,通?的作品和戈截分的十九?部??部?行了分析。李?照通?在仄?字?用的部分配合上?和去?,?而增加了?的音?效果。比起外在??的拗句的使用,更注意具有音?效果的上去?的?用。?的?代表着添加了透?人生孤?和不安的?冽之味的宋?的最高水平。?整?上??,李?照?的特点是修???,擅?抒情和出?的??使用,以?原有的婉??情?主,?且精通各??的?律。以此可以??李?照是以?本身的婉?的情??主,又精通?抒情和?律的?人。特?是分析??究者?李?照的??可以看出-李?照的???新,表?力多?化,??美女性化,又具有大丈夫的?象,感人肺腑,在中?的文?史上占据着一定的地位.

      • 산모들의 우울과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특성 연구

        최진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 산모들의 EPDS 우울 수준과 PITR 그림에 나타난 반응 특성과의 관계 연구를 통해, PITR 그림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산후 우울을 진단하는 도구로서 PITR그림 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EPDS 측정과 PITR 그림검사를 통해 산후 조리원에 있는 산모들의 산후 우울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우울 정서를 보이는 산모와 우울 정서를 보이지 않는 산모의 PITR 그림검사 반응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EPDS의 우울 수준과 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우울 특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시 소재 3개 산후 조리원에 입원해 있는 산모들을 대상으로 EPDS 검사와 PITR 그림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179명의 자료 중 불성실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자료 21건을 제외하고 158명의 자료를 산모의 우울 수준에 따라 PITR 그림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PITR 그림 검사가 산후 우울을 진단하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EPDS와 PITR 그림과의 우울 특성의 관계에 대한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후조리원 산모들의 우울 수준이 일반 산모들의 우울 수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우울 특성은 13개 중 비의 양, 비의 세기, 비와 사람과의 관계, 얼굴모습, 얼굴표정(기분), 신체 부위의 생략, 음영, stroke, 보호물의 적절성, 구름의 수, 구름 면적 등 11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PDS의 우울 총점과 PITR 그림 전체 점수와의 상관은 r=.699, p < .01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산후 조리원 산모들의 우울에 대한 심리 치료적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PITR 그림 검사가 산모의 우울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산후 우울을 측정하는 도구로 이미 타당도를 인정받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EPDS의 우울과 PITR 그림의 우울 특성이 정적 상관이 높다는 것은, PITR 그림검사가 산후 우울을 진단하는 도구로서의 그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PITR 그림 검사를 통하여 산후 우울을 조기진단할 수 있으며, 산모들에게 산후 우울 예방 및 미술 치료적 조기 개입의 가능성을 여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일(Work)과 생활(Life)이 조화롭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워크 라이프 밸런스(Work and Life Balance)가 트랜드로 대두되면서 여가문화 활동들이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확보를 위해 여가문화에 대한 복지대책을 중요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으로 종사자들의 조직태도를 높이고 노동생산성증가와 이직률 등을 낮추어 우수한 인재확보와 서비스질 향상으로 미용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 부산·경남지역의 미용서비스 종사자 4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 유무에 따라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 지원을 받는 경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가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구성 개념들 간에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금껏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들은 직장인의 개인 여가활동과 집단 여가활동 등으로 다양한 부분에서 조사연구 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에서 여가활동을 지원하여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로써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영향관계가 검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그 의미가 있다. 미용서비스 산업은 기계의 힘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인적자원의 산업으로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하나의 상품이 되므로 종사자의 직무에 대한 직무태도는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하여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가 높아져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the need for a leisure culture that helps maintain a work-life balance, social consensus about activities that pursue a higher quality of life has been formed. Under these circumstances, businesses have used a welfare policy regarding leisure culture as a means to stay competitive for the purpose of securing competent personne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smetology service industry through the acquisition of competent personnel and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by enhancing employees’ organizational attitude,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nd lowering turnover rates after supporting leisure activities at work.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total of 430 cosmetology service workers in Seoul (Gyeonggi Area) and Busan (Gyeongnam Area). Excluding poorly answered ones, 377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When support of leisure activities is provid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 In the absence of such support, on the contrary, turnover intention was high.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relevance among all constructs.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on employe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found that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is, previous studies on leisure activities have covered various aspects such as personal leisure activities and group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showed that support of leisure activities at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Henc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cqui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on organizational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in cosmetology service workers. Cosmetology service is a human service industry in which machinery is rarely used. The techniques and services provided to customers are a product, and job attitude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s. In s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s after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increases the employee happiness index with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 특수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최진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s material which can predict effect of support to the handicapped children. This study is intended for preliminary teachers. To present suggestion of a educational university and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s role, compare recognition regarding terms of education for handicapped and realize integrated education successfully. To analyze recognition about 10 general terms, 10 general terms of education, 20 terms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10 slangs about disabled people, question research was implemented to 237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149 students in studying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measure is 5. Analyzed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rm, schools and grade. To find interaction between schools and grade, use dual quantitative analysis. The recognition was positive in same item regarding general terms, general education terms and slangs about disabled people. But interaction between schools and grade was not same statistically. The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for handicapped was positive in different item. But school was same statistically.

      •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와 수학적 성향 및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 원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plore that how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that is created by using fairy tales and applied to four-year-old Children, influences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mathematical tendency, and mathematical ability of them. In addi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the effective ways of the probable education for children. The main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purpose. 1.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 tale math affect the concept of probability of 4-year-old children? 2.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 tale math influence on mathematical tendency of 4-year-old-children? 3.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tale math induces mathematical ability of 4-year-old-children?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4-year-children derived from two daycare centers that are located in G city of North Cheonla province. Both daycare centers have approximately 80 children and are placed nearby.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total 40 children that consist of experimental group from A daycare center which is 20 children(male 9, female, 11) and controlled group from B daycare center which is 20 children(male 7, female 13).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has been conducted in experimental group for eight weeks. In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ability(Kim, Misook, 2011) is employed to measure the concept of probability as a tool. The test of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consists of four elements: the sample space of the concept of probability, the probability of incidents, comparison of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To measure mathematical tendency, Yoon Seyeun’s Mathematical Tendency Rating Scale(2011) is used. Mathematical tendency rating scale deals with six elements: adaptability, confidence, continuity, self-examination, application, and interesting. In order to check mathematical ability, Kim, Jiyoung’s Testing Tool for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2004) is employed. This tool contains five elements: number, arithmetic, algebra, geometry, and analysis of data.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SPSS 18.0 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shows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positive difference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 reveals that the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of sample spa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ability of incidents, the comparison of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Second,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reveals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al tendenc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meaningful positive difference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meaningful difference are derived from each area such as: adaptability, confidence, continuity, self-examination, application, and interesting. Third,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exposes the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al abilit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meaningful dissimilaritie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more meaningful dissimilarities are extracted from each area: number, arithmetic, algebra, geometry, and analysis of data.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in order for 4-year-old children to more easily understand probability and providing the evidence so as to encourage 4-year-old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the area of probability. The activity of probability of sample space from this study can be employed to educate probability for 4-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고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확률적 사고, 수학적 성향, 수학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확률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로 연구대상기관은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고 80인 이상의 정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비슷한 규모의 어린이집이다. 대상 유아는 실험집단 A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0명(남 9명, 여 11명)과 통제집단 B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0명(남 7명, 여 13명)으로 총 40명이었고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8주 동안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유아의 확률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김미숙(2011)의 확률이해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확률이해 검사는 확률적 사고를 나타내는 표본공간, 사건의 확률, 확률비교, 조건부 확률의 4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알아보는 도구로는 윤세은(2011)이 개발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학적 성향 평정척도는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 흥미성의 6요소로 구성되어져 있다. 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지영(2004)이 개발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는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 자료 분석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확률적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표본공간에 대한 확률 이해가 사건의 확률, 확률비교, 조건부 확률의 확률 이해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 흥미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수학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대수, 자료 분석과 확률 영역이 측정, 기하 영역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동화와 연계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고안함으로써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확률적 맥락을 제시하였고 유아들이 보다 흥미롭게 확률 영역에 관심을 갖게 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표본공간 확률활동이 유아의 확률교육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삶 연구

        최진숙 목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 studied the old ages in the short stories of Park Wan-seo. I divided the study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I dealt with the environment of the old ages. In the second part, their reaction. In the chapter 2, I discussed the environment where the old ages are. The environment includes economical, emotional,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old ages. First, modernization effected them. The development of Korean economy made the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some stories, there were two types of the old ages, some rich old and some poor old. Even they did not share their idea, also the rich discriminated the poor. Second, family selfishness made the old ages unhappy. With the western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system of nuclear family, they were isolated from their own family. Thus, they felt lonely extremely. Third, the old ages got some disease. As getting older, they faced the possibility of having disease and being dead. In the chapter 3, I discussed the reactions of the old ages to the situation mentioned above. There were several types of the reactions. First, some old ages showed their grateful and peaceful attitude about their own lives. They found their own identities in their family and own social positions. Second, they were still keeping their own believes in changed social mood. Some showed their traditional belief on religion, but others forced others to listen their will like their previous generation did before. Third, some old ages showed respects and trusts to others. They showed the love over the boundaries of age, race, and gender so they made humanism over the world. Most characters on short stories of Park showed positive mind about their lives. Even they were stocked in bad situation, but they did not give up their lives. They struggled to keep their lives. 이 글에서는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노년의 삶을 다룬 작품을 다루고 그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노년의 현실과 그 대응양상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노인들에게 보이는 노년의 현실을 살펴보았다. 노년이 맞이하는 현실은 여러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산업화로 물신주의가 노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재화의 소유 정도에 따라 타인을 차별하는 노인이 있고 그 차별을 겪는 노인이 있다. 둘째, 산업화와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가족 이기주의가 생활 속에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가족들 사이에서 가족과 단절된 노인은 소외를 겪는다. 셋째,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인은 질병과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과 죽음에 초연하거나 투병하는 노인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는 사회변화의 측면과 그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가 주된 요인이 된다. 다음으로 박완서 단편소설에 나타난 현실 대응양상을 다루었다. 같은 현실에도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는 노인들이 있고, 다른 상황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노인이 존재한다. 첫째, 자신과 가족 등의 안위를 위해 자신의 위치를 찾고 당당하게 살아가는 노인의 형태가 있었다. 둘째, 변화한 사회 상황에서도 기존의 가치관을 유지하면서 전통적인 기복신앙을 유지하거나, 인습적인 남아선호사상이나 시집살이를 강요하는 형태의 노인들이 있었다. 셋째, 의리와 인정을 보여주면서 인간애를 실천하는 노인이 있다. 박완서 소설의 노년 인물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괴로운 현실에 비관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자신을 내팽겨 치려고 하지 않고 삶을 지속해 나간다는 점이다. 이는 곧 현실을 바라보는 작가 자신의 시선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작가의 미래 모습 또한 예측해 볼 수 있다.

      • 중학생 영어 어휘지도를 위한 효과적인 연습문제 유형 분석

        최진숙 慶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s of exercises affecting vocabulary acquisition based on the learners’ proficiency and to be aware how critical it is to learn vocabulary and for school teachers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ways to teach learners vocabulary. In Chapter 2, an introduction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vocabulary acquisition is shown following memory-theory on what and how to teach vocabulary. Three different methods are shown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explicit method of vocabulary acquisition, along with two contrasting types to acquire vocabulary are detailed. In Chapter 3,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concerning the way school teachers teach vocabulary and how learners understand vocabulary learning is presented. Nine classes of ninth grader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Masan were tested for this study. These nine classes, divided into 3 groups with 3 classes each,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 the Association, Comprehension, Generation type ―. Each type is designed to represent a different level of mental processing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classification. In Chapter 4, hypotheses one to five show that the Association type for short-term memory is the most effective and short-term memory within advanced learners is the highest. As far as long-term memory is concerne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exercises and the proficiency with vocabulary within learners. The result is that the Generation and the Comprehension type for the advanced learners and the Generation type for the beginners and the intermediate learners are effective. The Generation type followed by the Comprehension and the Association is the most effective in terms of vocabulary retention. Furthermore, to improve vocabulary retention, it is more effective to bring in the Generation and the Comprehension types for the advanced and the intermediate learners, whereas it is more effective to try the Generation type alone for the beginners. Lastly, the Generation type in terms of improving vocabulary test scores is the most effective. Improvement vocabulary test scores among beginners i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level of vocabulary. After having studied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s through the questionnaires, one finds that learners prefer exercise types suitable for their proficiency in terms of preference and effectiveness. The affective aspect, however, has a positive change through the application to exercises in context regardless of the level of learners’ vocabulary. I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Generation processing requiring the deeper mental processing is the most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in accord with the study done by Stahl(1985). Teachers should take it for granted that vocabulary class using exercises will make learners more motiv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many creative ways that will take advantage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around us.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은 구두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도 포함하는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언어학습은 어휘에 대한 지식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교사들이 어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어휘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어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어휘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면서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문맥을 기반으로 영어 어휘를 학습한 중학생 학습자들에게 각기 다른 정신적 처리과정을 요구하는 세 가지 유형의 연습문제를 적용시켜, 학습자의 어휘수준에 따라 효과적인 연습문제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어휘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어휘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전 기초연구는 기초조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통해 어휘학습의 실태를 교사와 학생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마산에 소재하고 있는 M여자 중학교 3학년 9학급을 대상으로 해서 실시하였다. 9학급을 세 가지 연습문제 유형 ― 연상유형, 이해유형, 생성유형 ― 에 따라 3반씩 배정한 후, 각 세 그룹을 어휘수준별로 상ㆍ중ㆍ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습문제 유형은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정되었으며, 각 유형은 문맥을 통한 연습문제 활동으로 Exercise 3단계에서 각기 다른 정신적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고안되었다.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살펴본 가설 1∼4의 결과 단기 어휘력은 연상유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상위수준 학생들의 단기 어휘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위수준 학생들은 연습문제 유형과 관계없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중ㆍ하위수준에게는 연상유형이 단기 어휘력에 효과적이었다. 장기 어휘력은 생성유형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상위수준 학생들의 장기 어휘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습문제 유형과 어휘수준의 상호효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상위수준은 생성유형과 이해유형이, 중ㆍ하위수준은 생성유형이 장기 어휘력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어휘 보유력 측면에서도 생성유형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다음으로 이해유형, 연상유형 순이었다. 어휘 보유력을 높이는데 있어 상ㆍ중간수준 학생들은 생성과 이해유형이 효과적이었으며, 하위수준 학생들에게는 생성유형이 효과적이었다. 어휘 향상점수 또한 생성유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수준에 따라 하위수준 학생의 어휘 향상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설문지를 통하여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을 살펴본 가설 5의 결과, 인지적 측면의 분석 결과와는 달리 선호도와 효용성 영역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어휘수준에 맞는 연습문제 유형을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문맥을 통한 연습문제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의 어휘수준에 관계없이 정의적 측면에서 어휘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중시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의 적용에 있어 정신적 처리과정을 깊게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이며, 특히 하위수준 학생들에게는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어휘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그룹의 어휘점수가 향상된 결과는 어휘지도에 있어서 무계획적이고 즉흥적으로 어휘의 의미만 전하는 기존의 학습법을 지양하고 계획적으로 일정한 시간을 할애하여 지도한다면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인 어휘력을 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는 연습문제를 적용한 어휘수업이 학습자들에게 영어 어휘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이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중학생의 음악적 취향과 학교음악교육에 관한 조사연구

        최진숙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Almost students enjoy a popular music than a textbook music that they have learned in school. They like 'dance music' the best of them. And the reasons is that they can have an experience of emotional changes to be joyful and to get a power to do something through this music. More half of every students don't sing textbook songs except a test in school as well as outside. The reason is because they think that the words of textbook songs are childly and the rhythms are simple. The degree of interest in music class is up to teaching way of music teacher. Students have negative mind about music class that need not for the test to enter university. They just prefer a easy and comfortable music and a helpful one to reduce stress. Many students hope that they can learn and sing a popular music to express own individual character and original character in school. Music have a power to revival healthy sensibility of students in itself and give peace to them. We need to remember this fact, for this is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We must teach them with this purpose. Therefore we need to make new music education plans for teenagers. Teacher must attempt various teaching ways to give interest and opened classes that students make the time of themselves. And Music teachers and musician have responsibility to transmit right view and knowledge about popular music to the people. For that, they must do their best to develop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try to assort and accept good popular musics out of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