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최진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의 변화에 따라 교육방법이 책 중심, 언어중심이던 것에서 뉴미디어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새로운 미디어에 의한 교육은 많은 지식을 전달할 수는 있으나 인격적인 만남을 단절시키고 그로 인해 사람들은 소외감 속에 인격적인 만남과 변화를 갈망하고 있다. 여기에서 예수의 교육활동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교육의 본래 위치를 찾는데 시금석 역할을 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사역중 교사로서의 사역을 살펴서 예수의 교육방법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첫째, 교사로서의 예수와 예수의 교육내용을 고찰하며 둘째, 예수의 교육방법을 예수의 교훈에서 나타난 교수방법과 예수의 삶을 통한 교수방법에서 고찰하고 셋째, 예수의 교육사역 결과를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예수는 위대한 교사였다. 실제로 그는 전도자, 가르치는 자, 설교자, 봉사자로서 넓고 다양한 활동을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가르치는 사역이 우위였다. 예수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결국 변화되었다. 예수는 당시 전통적인 교사들과는 달리 가르침과 일치된 삶으로 가르쳤으며 권위있는 교사로 인정받았던 교사로 위치를 견고히 하고 있었다. 예수의 교육내용은 하나님 나라, 사랑, 구약성서 재해석등으로 살펴 볼 수 있는데 하나님 나라는 영원하고 정신적이며 현재와 미래성을 가진 나라로 전파되었고, 예수의 사랑은 그의 생애에 지속된 교육 내용으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었으며 훌륭한 교육의 결실을 맺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구약성서의 재해석은 자신의 복음 사역의 목적을 일치시켜 일관성 있는 언약과 성취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교육내용을 토대로 다양하고 설득력 있는 교육방법으로 제자 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완벽한 교육행위로써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예수는 자신의 교훈을 통하여 복음의 핵심을 가르쳤고, 제자들을 교육하는 일에 있어서 비유, 대화, 강화, 질문, 응답과 같은 교훈의 활용으로 효과적인 교육을 시도했으며, 학술적인 내용보다는 일상적 삶의 테두리에 잠재된 생활 속에 교육을 통해 상호관계를 형성해가고 대화를 가졌다. 또한 예수는 자신의 삶을 완전한 교육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예수는 제자들을 가르치는 과정 속에서 동화를 통한 인격적 동질성을 꾀하였으며 순종과 헌신을 보임으로써 자신의 생애를 지배하는 원리가 되도록 하였다. 그의 분여의 교육은 예수의 삶 전체를 제자들이 이웃을 위한 영역으로 확대하도록 하였고 소수제자들과의 동거는 실제적인 변화와 직접적인 복음전파 사역을 실행하는 중요한 교육방법 중의 하나였다. 예수의 모범과 시범은 가장 전인적인 산 교육이었으며 제자들에게 복음전파의 비전을 심어 준 후에 증인 공동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감독과 훈련을 통해서 제자들이 행한 것을 보고 받음으로써 그들의 행동의 수정과 함께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고 교육적 결실로써 열매를 계속적으로 생산해 내도록 고무하였다. 이와 같은 예수의 교육사역의 결과는 인격적 변화와 복음의 증인화를 가져왔다. 그는 약 2000년 전에 이 땅에 오셔서 교육을 하였지만 교육의 모범을 제시한 참 스승이라 할 수 있다. 현대의 교육자와 미래의 교육자들은 그의 행하신 교육방법을 더욱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충분히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덧셈·뺄셈의 오류유형 분석 및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최진숙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덧셈·뺄셈의 오류유형 및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첫째,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류에 대하여 학생들에게 피드백(feedback)을 줄 수 있으며, 둘째, 오류 파악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사고 과정의 결함을 발견함으로서 효율적인 교수 방법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덧셈·뺄셈에서 나타나는 오류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둘째, 덧셈·뺄셈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에 따른 교사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하는 B초등학교 3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G초등학교 120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여 4명을 선정하여 지도하였다. 검사지와 면담·관찰을 병행한 오류 유형 분석은 공통적인 경향을 근거로 오류의 유형을 범주화시켜 생각해보았을 때 대부분 자리값 의미와 기수체계, 연산 알고리즘 등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전형적인 오류를 보이는 학생을 덧셈과 뺄셈에서 각각 2명씩 선정하여 실제로 진단, 지도, 평가의 3단계를 거쳐 지도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오류의 유형은 덧셈의 경우, 받아올림의 오류, 자리값 혼동 오류, 알고리즘을 무시하는 오류, +, -의 혼용 오류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뺄셈의 오류는 받아내림 오류, 0처리 오류, 빼기 오류, 계산 순서를 무시하는 오류, +,- 혼용 오류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오류의 일반적인 경향을 분석하면 학생들이 덧셈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받아올림의 오류, +, - 의 혼용 오류, 알고리즘을 무시하는 오류, 자리값 혼동 오류순이었고 뺄셈에서의 오류 유형은 0처리 오류, 받아내림 오류, 빼기 오류, +,- 혼용 오류, 계산 순서를 무시한 오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받아내림이 여러번 있어도 0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를 비교적 잘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0이 많으면 오류도 많아진다는 것을 볼 수 있듯이 받아올림이나 0처리 오류 및 받아내림에 관한 각별한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오류의 유형별로 특성에 따른 각각의 지도요소를 생각해보았을 때, 대부분 자리값 의미와 기수체계, 연산 알고리즘 등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전형적인 오류를 보이는 학생을 덧셈과 뺄셈에서 각각 2명씩 선정하여 실제로 진단, 지도, 평가의 3단계를 거쳐 지도 결과 4명의 학생들이 지도 직후에는 100%의 성취도를 보였으며, 3주후에 이루어진 사후 검사에서도 모두 80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 100% 각각의 오류가 교정되었다. 이 연구로부터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리값 의미와 기수체계의 지도를 의미있게 하면 이러한 오류를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덧셈과 뺄셈의 오류도 비교적 쉽게 교정될 수 있으며, 수학 학습부진아의 지도에 있어서 교사는 오류를 보인 학생에 대해 개별적인 오류 유형 분석을 통해 정확한 오류 진단 및 그에 따른 개별화된 적절한 지도를 통해 오류를 교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사는 수학 학습부진아 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에 대해서 평소의 수업에서 가능한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이 수학을 의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조작물을 통해 연산과정에서 필요한 교환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시간을 배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0처리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피감수에 0이 있는 뺄셈 지도를 한 차시로 심도 있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thesis are 1) to reduce feedback about errors by finding the types and cause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and 2) to help establish effective teaching methods by finding defects in the process of student's though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First, what types of errors in addition and subtraction happen to elementary third graders? Second, what is educators' effective teaching method on the types of errors in addition and subtractio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300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nju, Chollabukdo. After the pre-test, the main 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subject of 120 students in G elementary school. After that, 4 students were selected and guided. The analysis of error types along with test paper, interview and observation was fulfilled profoundly by categorizing error types on the ground of common tendency. Given each teaching ele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error types, most error types are figure values, cardinal number systems, and operation algorithm. 2 students who made a typical error were selected respectively in addition and subtraction. They were diagnosed, guided, and appraised in three ste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addition, error types are 4 groups; errors of restructuring, figure confusion, ignorance of algorism, and mixture of plus and minus. In case of subtraction, error types are 5 groups; errors of regrouping, handling of number 0, subtraction, ignorance of calculation order, and mixture of plus and minus. Second, in case of addition, students show errors of restructuring, mixture of plus and minus, ignorance of algorism, figure confusion. In case of subtraction, students show errors of number 0 handling, regrouping, subtraction, mixture of plus and minus, and ignorance of calculation order. Especailly they solve problems relatively well in regrouping several times, but there isn't number zero. As the more zeros there are, the more errors in special directions about restructuring, number 0 handling errors, and regrouping are needed. Third, given each guidance element on error types, most types of errors are figure values, cardinal number systems, and operation algorithm. 2 students who made a typical error were selected respectively in addition and subtraction. They were diagnosed, guided, and appraised in three steps. Shortly after that, there was 100% improvement. In the post test done after 3 weeks, they gained more than 80 points. It means 100% revision of errors. The following teaching points can be suggested from this research. First, meaningful guidances of figure meanings and cardinal number systems can reduce errors and revise errors of addition and subtraction. In the guidance of students who are poor at math, teachers must diagnose errors through individual analysis and must revise errors through individual proper guidance. Second, tea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class attitudes of all the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who are poor at math. And they have to organize classes to help students learn math effectively and gain enough experience need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Also they should deal profoundly with subtraction having number 0 in the subtrahend to reduce errors of number 0 handling.

      •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진숙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경제화에 따른 서비스 기업간의 경쟁우위를 좌우하고 서비스의 질을 대변하는 서비스 기업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관리가 업무의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하고 이로 인한 감정노동자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에서 요구하는 표현규칙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적 소진 및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 내의 사회적 지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고,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서비스 산업군 별로 3개의 기업을 선정하여 서울소재의 백화점에 근무하는 직원들과 서울과 충청지역의 자동차 서비스센터의 정비사, 그리고 충청지역의 제조회사에 영업과 판매를 담당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통계기법으로는 신뢰성 검증 (Cronbach's Alpha계수),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 수행방식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둘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수행방식에 따라 소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진다. 셋째,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와 내면행위의 수행방식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감정노동 수행 시 사회적인 지원 중 상사의 지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대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직무만족과는 관계에서는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모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서비스 종사자의 감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할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본 연구는 유용한 정보의 제공 및 활용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 하는 종사자들의 감정관리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항시 조절하도록 요구되는 감정노동으로 인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야기 시킨다는 사실을 실증분석을 통해 입증하였다. 셋째,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는 종사자의 감정노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무만족이나 직무성과의 향상을 위해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나 소진을 경감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넷째, 감정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가지는 자발적인 감정관리의 중요성과 감정노동과 상사의 지원과의 밀접한 연관성을 제시함으로 서비스 기업의 상사의 관심과 배려가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주요한 요소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ologically the fact of that service workers'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 economization of service, has become to decide the predominance of competition among companies and represents the quality of service ; to confirm that their emotion management is a crucial part of the work ;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display rules required by organization; then,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in organization on them. To practice them, this study deals with the the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ondition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s also dealt with over antecedent study examination.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ree Companies of service industry groups, including the staff in department store in Seoul, Carmen in Car Service Centers in Seoul and Choungchung-do Area, and the Sales Staff in manufacture Companies in Choungchung-do Area, were selected, surveyed and analyzed. The method of data analysis is over SPSSWIN 12.0 PROGRAM. authenticity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practic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etc are used for statistical technical.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important results on provable analysis in this study. Firstly, occupational stress has a static mutual relation depending on the performed method of the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Secondly, burnout has a static mutual relation depending on the performed method of the surface action and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Thirdly, job satisfaction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erformed method of the surface action and deep acting in emotional labor. Fourthly, in case of that the emotional labor is performed, Social support, especially boss' support, influences on conditioning effect for occupational stress and the burnout. Similarly, boss' and Colleagues' support also influence on the effect of conditioning in relation to job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implication over the verified analysi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ly, this study,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the necessity of efficient emotional control of the service workers who perform emotional labor, is expected to offer useful information and to support to utilized it. Secondly, this study proved that because the Workers' emotion management is always requir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 the emotional labor causes occupational stress and burnout. Third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service companies are suppos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workers' emotional labor, and to have an interest in the way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and exhaustion according to emotional labo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results. Fourthly, by showing that the importance of voluntary emotion management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oss' support and emotional labor affect on occupational 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s that Boss' interest and consideration in service companies are crucial elem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 李淸照 詞 韻律 硏究

        최진숙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李淸照(1084-1156)詞의 韻律에 대해 硏究하였다. 李淸照는 北宋末에서 南宋初에 이르는 격동기를 살았던 中國文學史上 가장 뛰어난 女流文人이었다. 그녀는 北宋과 南宋이 交替되는 歷史의 激變期에 社會的으로나 個人的으로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는데, 時代의 桎梏이 그녀의 文學 속에 여러 면으로 反映되었으며, 詞, 詩, 文, 書畵 등 여러 방면에 多才多能하였고, 작품 속에 感情이 풍부하게 녹아있으며, 婉約派의 宗主로서 韻律에도 뛰어나 詞를 지을 때 正確하게 하나하나 詞調에 맞게 창작하였다.그녀의 문학적 성취는, 前期에는 婉約派 詞人으로 韻律에 정통하였으며 婉約하고 抒情的이었고, 詞를 창작함에 있어서 詞譜의 격식이나 用韻에 엄격하였으며, 平仄의 用韻에서도 정해진 平仄律을 준수하였지만, 靖康之變으로 南度한 이후에는 時代的 背景으로 인하여 더 이상 韻律과 典故를 따질 사이 없이, 愛國詞人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어, 그녀가 남도 이후에 지은 詞로 豪放派 대열에 오르게 되었다. 후대인들이 그녀의 詞에 “丈夫氣”가 있다고 했던 것은 개인적인 불행과 나라를 잃은 울분을 거침없는 필치로 대담하게 표현한 까닭이라고 생각된다.李淸照 詞의 韻律 분석에서는, 우선 韻律의 構成單位에서 詞韻, 詞律, 詞調, 詞牌, 詞譜, 詞樂 등 기본적인 개념을 규정하였다. 主題別 韻律分析에서는 相思. 醉, 夢, 鄕. 悔憶 등으로 분류하여 韻部에 맞는 詞調와 詞調에 맞는 韻을 분석함으로서 작품의 主題와 韻律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으며, 體裁別 韻律分析에서는 小令과 慢詞의 韻部와 平仄韻을 분석하여 體裁와 韻律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당시에는 詞韻書가 없어서 詩韻이나 실제 語音, 方言에 근거하여 塡詞하였으므로, 각 詞에 쓰인 韻字, 韻字가 속한 韻部, 平聲韻만 쓰도록 규정된 詞調, 仄聲韻만 쓰도록 규정된 詞調, 通協된 작품과 戈載가 분류한 19韻部를 근거로 韻部를 분석하였다.이러한 분석을 통해 李淸調 사의 두드러진 특징은 다음과 같다. 李淸照는 仄聲字가 連用된 部分에서 上聲과 去聲을 配合하여 詞의 音樂的 ?果를 增加시켰으며 겉으로 드러나는 拗句의 사용보다는 音樂的 효과를 거두는 上去聲의 운용에 유의했다. 그녀의 詞는 인생의 고독과 불안을 투시한 淸冽한 맛이 가미된 宋詞의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전체적으로 그녀의 詞의 특징은 修辭가 簡潔하고 抒情性이 뛰어나고 疊語를 훌륭하게 사용하였으며, 詞 본연의 婉約한 情調를 위주로 하였고, 각 詞調에 따른 韻律에도 엄격하고 정통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가들의 평어를 분석해 보면, 李淸照의 사는 詞語가 참신하고, 다양한 표현력을 보여주며, 여성스럽고 곱지만 丈夫의 기상이 있어, 사람들을 감동시키고 있어, 중국문학사에서 일정한 지위를 지키고 있음을 알게 된다.本稿?究了李?照(1084-1156)?的?律。李?照是生活于北宋末至南宋初激?期的,中?文?史上最?出色的女性文人。?于北宋和南宋交替的?史激?期,李?照无??社??是?人的角度,都??了???的人生。?代的桎梏反映在?的文?作品的各?方面。?在詞、詩、文、書畵,等方面也才??溢。?的作品中?渗透着?富的感情。作?婉?派的宗主,?律方面出?的?,作??准?的一一?????行?作。文?成就方面,前期作?婉?派?人,精通?律,兼?婉??抒情。?的?作上,???格式和用???,平仄用?也?格遵守定下的平仄律。但是在靖康之?南度以后,由于?代背景的原因,再无暇?及?律和典故的?,展?了作????人的一面。因此?以南度以后?作的??入到豪放派的?列。后人之所以??的??有“丈夫?”, 我想那是因????人的不幸?亡?之痛以淋??致的?墨大?地表?出?的?故。本稿??律的重要性做了以下分析。在?律的?成?位中,?詞韻、詞律、詞調、詞牌、詞譜、詞樂等?行了分析。在分主??律分析的例子中,先分?成相思、醉、 夢、鄕、悔憶,然后分析??于?部的??和??于??的?,?而了解作品的?容和?律。在分?裁?律分析的例子中,分析小令和慢?的?部及平仄?,?而得知是如何????平仄的?部的。在李?照?特征中,通?修?的??性,卓越的抒情性,和??的使用,?了解?的??特色。由于???有???,是根据??或???音和方言??的,所以本稿根据各?中使用的?字,?字所?的?部,只能用平??的??,只能用仄??的??,通?的作品和戈截分的十九?部??部?行了分析。李?照通?在仄?字?用的部分配合上?和去?,?而增加了?的音?效果。比起外在??的拗句的使用,更注意具有音?效果的上去?的?用。?的?代表着添加了透?人生孤?和不安的?冽之味的宋?的最高水平。?整?上??,李?照?的特点是修???,擅?抒情和出?的??使用,以?原有的婉??情?主,?且精通各??的?律。以此可以??李?照是以?本身的婉?的情??主,又精通?抒情和?律的?人。特?是分析??究者?李?照的??可以看出-李?照的???新,表?力多?化,??美女性化,又具有大丈夫的?象,感人肺腑,在中?的文?史上占据着一定的地位.

      •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의 일(Work)과 생활(Life)이 조화롭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워크 라이프 밸런스(Work and Life Balance)가 트랜드로 대두되면서 여가문화 활동들이 사회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이 우수한 인재확보를 위해 여가문화에 대한 복지대책을 중요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으로 종사자들의 조직태도를 높이고 노동생산성증가와 이직률 등을 낮추어 우수한 인재확보와 서비스질 향상으로 미용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경기, 부산·경남지역의 미용서비스 종사자 4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77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 유무에 따라 조직태도와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여가활동 지원을 받는 경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을 받지 않는 경우가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구성 개념들 간에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여가활동 지원만족은 이직의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만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지금껏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들은 직장인의 개인 여가활동과 집단 여가활동 등으로 다양한 부분에서 조사연구 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장 내에서 여가활동을 지원하여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이로써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이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영향관계가 검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에 그 의미가 있다. 미용서비스 산업은 기계의 힘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인적자원의 산업으로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의하여 고객에게 제공되는 기술과 서비스 수준이 하나의 상품이 되므로 종사자의 직무에 대한 직무태도는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직장 내 여가활동 지원을 통하여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지수가 높아져 고객만족과 경영성과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the need for a leisure culture that helps maintain a work-life balance, social consensus about activities that pursue a higher quality of life has been formed. Under these circumstances, businesses have used a welfare policy regarding leisure culture as a means to stay competitive for the purpose of securing competent personnel.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smetology service industry through the acquisition of competent personnel and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by enhancing employees’ organizational attitude,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nd lowering turnover rates after supporting leisure activities at work.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a total of 430 cosmetology service workers in Seoul (Gyeonggi Area) and Busan (Gyeongnam Area). Excluding poorly answered ones, 377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When support of leisure activities is provid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 In the absence of such support, on the contrary, turnover intention was high.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relevance among all constructs.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on employe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found that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is, previous studies on leisure activities have covered various aspects such as personal leisure activities and group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showed that support of leisure activities at work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Henc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cqui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on organizational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in cosmetology service workers. Cosmetology service is a human service industry in which machinery is rarely used. The techniques and services provided to customers are a product, and job attitude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s. In s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s after leisure activity support at work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increases the employee happiness index with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 특수교육 관련 용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최진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s material which can predict effect of support to the handicapped children. This study is intended for preliminary teachers. To present suggestion of a educational university and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s role, compare recognition regarding terms of education for handicapped and realize integrated education successfully. To analyze recognition about 10 general terms, 10 general terms of education, 20 terms of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10 slangs about disabled people, question research was implemented to 237 educational university students and 149 students in studying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measure is 5. Analyzed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rm, schools and grade. To find interaction between schools and grade, use dual quantitative analysis. The recognition was positive in same item regarding general terms, general education terms and slangs about disabled people. But interaction between schools and grade was not same statistically. The recognition regarding education for handicapped was positive in different item. But school was same statistically.

      •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와 수학적 성향 및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진숙 원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plore that how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that is created by using fairy tales and applied to four-year-old Children, influences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mathematical tendency, and mathematical ability of them. In addi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the effective ways of the probable education for children. The main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purpose. 1.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 tale math affect the concept of probability of 4-year-old children? 2.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 tale math influence on mathematical tendency of 4-year-old-children? 3. To what extent does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by employing fairytale math induces mathematical ability of 4-year-old-children?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4-year-children derived from two daycare centers that are located in G city of North Cheonla province. Both daycare centers have approximately 80 children and are placed nearby.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total 40 children that consist of experimental group from A daycare center which is 20 children(male 9, female, 11) and controlled group from B daycare center which is 20 children(male 7, female 13). The probable activity of sample space has been conducted in experimental group for eight weeks. In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ability(Kim, Misook, 2011) is employed to measure the concept of probability as a tool. The test of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consists of four elements: the sample space of the concept of probability, the probability of incidents, comparison of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To measure mathematical tendency, Yoon Seyeun’s Mathematical Tendency Rating Scale(2011) is used. Mathematical tendency rating scale deals with six elements: adaptability, confidence, continuity, self-examination, application, and interesting. In order to check mathematical ability, Kim, Jiyoung’s Testing Tool for Mathematical Ability of Children(2004) is employed. This tool contains five elements: number, arithmetic, algebra, geometry, and analysis of data.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SPSS 18.0 Windo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shows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concept of probabilit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positive difference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 reveals that the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of sample space is more effective tha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ability of incidents, the comparison of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Second,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reveals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al tendenc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meaningful positive difference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meaningful difference are derived from each area such as: adaptability, confidence, continuity, self-examination, application, and interesting. Third,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run by fairy tale math exposes the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al ability of 4-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more meaningful dissimilaritie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e more meaningful dissimilarities are extracted from each area: number, arithmetic, algebra, geometry, and analysis of data.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activity of probable of sample space in order for 4-year-old children to more easily understand probability and providing the evidence so as to encourage 4-year-old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the area of probability. The activity of probability of sample space from this study can be employed to educate probability for 4-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고안하여 적용함으로써 유아의 확률적 사고, 수학적 성향, 수학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유아확률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관련 확률활동이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로 연구대상기관은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고 80인 이상의 정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비슷한 규모의 어린이집이다. 대상 유아는 실험집단 A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0명(남 9명, 여 11명)과 통제집단 B 어린이집 만 4세 유아 20명(남 7명, 여 13명)으로 총 40명이었고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8주 동안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유아의 확률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김미숙(2011)의 확률이해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확률이해 검사는 확률적 사고를 나타내는 표본공간, 사건의 확률, 확률비교, 조건부 확률의 4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알아보는 도구로는 윤세은(2011)이 개발한 유아의 수학적 성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학적 성향 평정척도는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 흥미성의 6요소로 구성되어져 있다. 유아의 수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지영(2004)이 개발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는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 자료 분석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만 4세 유아의 확률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확률적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표본공간에 대한 확률 이해가 사건의 확률, 확률비교, 조건부 확률의 확률 이해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용성, 흥미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수학동화를 활용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수학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대수, 자료 분석과 확률 영역이 측정, 기하 영역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수학동화와 연계한 표본공간 확률활동을 고안함으로써 유아가 이해하기 쉬운 확률적 맥락을 제시하였고 유아들이 보다 흥미롭게 확률 영역에 관심을 갖게 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표본공간 확률활동이 유아의 확률교육을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 풍경에 나타난 야생화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최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ature of humans where we live together we obtain a continuous inspiration to explore our selves to express work as art. Nature is the foundation of our lives and arranges to give, to feel the beauty and artistic inspiration and creative desires raises. Humans are born in nature and in nature we return. In other words, the natural environment to verify their existence and vitality is to feel the psychological sense of self security . In addition, the nature of artistic activity, interest in the womb is a human life to become the new home you can feel the beauty and infinite targets is presented. Those of the Korean tradition we worship the root of nature. From ancient times to the Koreans for peace enjoyed tasteful and loved the mountains in the wild and enjoy nature, and poetry grown to a song, a long winter or spring, the cherry blossoms come out of the mountains in the fall wildflowers Summer listen to your heart's natural smell was roses. Such is the natural unity of Korea and the wild life as a single vacancy in the blend. Therefore, wild nature and the rustic look has a soft blend creates a beautiful scenery. In a vague modern society, deadly to the modern psychological comfort can afford to retreat, and the space needed in an increasingly bigger role in nature is going. This community-wide phenomenon of 'health' on the contemporary material flow according to the nature of a research trend is increasing. The present study pushed the industry to develop increasingly deadly, but fragile in the drain at the same time that modern society has strong vitality South Korea is a beautiful wildflower images were selected as design motif. " Beautiful is the nature we see through pictures" munsunhwa plot by introducing the work of this research, especially in fields and mountains collectively form a natural blend of wildflowers that were in the target image. As such the image of wild nature in the works seemed to express the transferred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was used for the base, the incidence of wildflowers image was used to make the embroidery technique. Wildflower images such as landscapes and still forms to express a simple silhouette and chose the costumes, colors, the colors of wildflowers in which the nature of human vision can come closer to a more comfortable transition saturation suchlike mounted, the sky was blue, the color transitions to a warm family. Beading, ribbon stitch, felt, hot fixes, knots wildflower embroidery techniques, applied at a flat image of the highlighted image DTP has added a rich texture effects. South Korea ’s mountains there is a study that the collectively form the motif of a wild image a s with the DTP and embroidery techniques to enrich the image of clothing put on the nature of the design while it presents a new expression to the worl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well-placed as to its purpose. The first examination is, a wildflower native to Korea about concepts and categories to learn about wildflowers, South Korea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flowers of the Wildflowers of South Korea, and to just about anyone can know what the overall content and nature of the genus Korea can be seen in wild type and in accordance with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and has See. In addition, wild and natural attributes of the color system (NCS) and analyzed based on the lateral and looked. Second, the work for creating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sign motif for the flowers and costume design can be expressed in the flower image to a representation of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of information to learn about the flower image and the image of a flower design and application of author of works of art of design practices through the release of the photos presented have dealt with that way.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image of a flower costume design practices around the collection of flowers and shapes depending on how the representation of each share was analyzed. Techniques include in productions of Korea expressed a feeling of wild nature in the blend to represent the most abundant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and the' surrender 'technique was selec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r native country’s wild flower in the mountains has not a smooth DTP technique with the pure natural beauty in costume, when introduced to a wide landscape could give the same image. Secondly, after analyzing the color of wild flowers, most of the bright and vivid series Warm colors were added. It also got the green background and the sky looks for a strong color contrast phenomenon, including wild plants and colors of the image by switching costumes also applied to more natural and visual comfort could be granted. Third, the simple form of When applied to clothing design motifs contained in the wild nature of the images and that they were effectively highlighted. Fourth, the motif representation in partially translucent materials using the results of three-dimensional spatial representation could. Fifth, with the flat printed images with DTP on the flowers images we can bidding, structuring , knot, ribbon embroidery stitches and techniques by applying complex texture to express vibrancy and therefore are subject to the incidence could be as effective. In this study, particularly South Korea's wild flowers and making costumes as some variation of the image in South Korea's natural beauty combined with modern fashion, while it presents a new expression through the world of moder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o implement. The wildlife is simply due to the uniqueness directly, there's been limited to the visual experience the unique taste of wild brighten incorporation of a variety of techniques designed to maximize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s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하면서 그 속에서 끊임없이 자아를 탐구하여 얻어지는 감흥을 예술작품으로 표현해 왔다. 자연은 우리에게 삶의 기반을 마련해 주고,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예술적 영감과 창작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서 자연으로 돌아간다. 즉, 자연환경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과 생명력을 확인하고, 심리적 안점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자연에 대한 관심은 예술적 활동의 모태가 되고, 인간에게 생활의 터전이 되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무한한 대상을 제시한다. 그 중 한국인의 전통적인 유교 사상은 그 뿌리 깊으며 자연을 숭배하고 경애하며 살아왔다. 한국인은 예로부터 평화를 사랑하고 풍류를 즐겼으며 들과 산에 핀 자연속의 야생화를 감상하며 시를 읊고 노래를 불렀으며, 긴 겨울이 지나 봄이 오면 산과 들에 나와 꽃놀이를 하고 가을에는 야생화 향기를 마음껏 맡으며 자연을 감상하였다. 이렇듯 한국의 야생화는 자연합일과 무위 속에서 하나의 생명체로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야생화는 구속되어져 있지 않은 생명력과 함께 자유분방함 속에서도 질서와 조화를 지닌 존재이며, 인간의 일상 속에서 정신적 위안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야생화는 소박하면서 은은한 모습으로 자연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낸다. 삭막해져가는 현대 사회는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위안을 줄 수 있는 휴식처와 같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데 있어서 자연의 역할은 점점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전반의 현상들은 '웰빙'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자연을 소재로 한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 개발에 밀려 점차 삭막해져가는 현대 사회 속에 연약해 보이지만 동시에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는 아름다운 한국의 야생화 이미지를 디자인의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사진으로 보는 아름다운 우리산하" 문순화 작의 사진집 이미지를 본 연구의 작품에 도입하여, 특히 산야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집단적으로 서식하는 야생화의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렇듯 야생화의 이미지를 자연을 옮겨온 듯 작품에 표현하기 위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을 기본으로 이용하였고, 야생화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자수기법을 활용하였다. 풍경화와 같은 야생화 이미지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하여 단순한 실루엣과 형태의 의상을 선택하였고, 색채는 야생화가 담겨있는 자연의 색채에서 인간의 시각에 좀 더 편안하게 다가 올 수 있도록 채도를 저채도로 전환 시켰고, 하늘의 파란색은 따뜻한 계열로 색상 전환 하였다. 비딩, 리본스티치, 펠트, 핫픽스, 매듭수등 자수기법을 적용해 야생화의 이미지를 강조해 주는 동시에 평면적인 DTP이미지에 풍부한 질감 효과를 부가 시켰다. 본 연구는 한국 산야에 집단적으로 서식하는 야생화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DTP및 자수기법을 통해 의상에 자연의 이미지를 풍부하게 담아 디자인의 새로운 표현 세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심리적 웰빙을 구현함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한국에 자생하는 야생화에 관한 고찰로 야생화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알아보고, 한국 야생화의 생태적 특징과 누구나 쉽게 한국의 야생화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는 전반적인 내용과 한국의 자연 속에서 볼 수 있는 야생화의 종류와 계절별에 따른 분류 및 특징 등을 파악하였다. 또한, 야생화의 색채특성을 자연색체계(NCS)를 기반으로 측색하고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작품 제작을 위한 디자인 모티브의 이해를 위해 꽃과 디자인으로 의상에서 표현 될 수 있는 꽃 이미지의 표현방법 중 사실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 꽃 이미지와 디자인으로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디자인 사례들을 작가들의 예술 작품들을 통하여 자료사진을 제시하여 그 방법을 다루었다. 또한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사례들은 컬렉션을 중심으로 꽃의 각각의 표현 방법과 형태 등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표현기법으로는 한국의 자연 속에 어우러진 야생화의 느낌을 최대한 풍부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기법과 '자수'기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산야에 자생하는 야생화의 다듬어지지 않은 순수한 자연미를 DTP기법을 통해 의상에 도입 했을 때 한 폭의 풍경화 같은 이미지를 줄 수 있었다. 둘째, 야생화의 색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Warm계열의 밝고 선명한 색채를 띠고 있었다. 또한 이는 그린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강렬한 색채대비 현상을 보이는데 하늘과 초목을 포함한 야생화 이미지의 색채를 저채도로 전환시켜 의상에 적용한 결과 더욱 자연스럽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부여할 수 있었다. 셋째, 단순한 형태의 의상디자인에 모티브를 적용 했을 때 자연 속에 담겨진 야생화의 이미지가 효과적으로 부각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모티프 표현에 있어서 반투명 소재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결과 입체적 공간감을 표현 할 수 있었다. 다섯째, DTP로 출력한 평면적인 꽃의 이미지에 비딩, 펠팅, 매듭수, 리본 스티치 등 자수기법을 응용하여 부조적 질감과 그에 따른 생동감을 표현할 수 있어 주제를 효과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꽃 중에서도 한국의 야생화 이미지를 응용한 의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한국적인 자연의 미를 현대 패션에 접목하여 새로운 표현 세계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현대인들의 심리적 웰빙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야생화란 특수성 때문에 직접적 시각체험에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며 야생화의 독특한 멋을 다양한 기법으로 디자인에 접목하여 표현의 세계를 확대시키는 후속연구가 계속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