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산화 및 유기라디칼 반응에 의한 농약 분해에 관한 연구

        최종덕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중에서 pesticide의 구조에 따라 유기염소계 화합물질과 트리아진계 화합물질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물질을 Target compound로 하여 AOP공정중에서 UV/H_(2)O_(2)공정을 적용하여 분해를 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산화제로 사용된 H_(2)O_(2)이외에도 다른 촉진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Fenton 산화공정에서 촉진제로 사용되고 있는 옥살산염을 사용하여 분해효율을 비교함으로써 공정에 적용 가능성 유·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물질에 대한 적정 주입농도 및 영향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온도 및 pH에 의한 분해효율을 검토함으로써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Target compound는 유기염소계 물질인 Chlorothlonil과 트리아진계 화합물질인 Atrazine을 선택하였으며, 254nm 파장의 UV Lamp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부에서 직경 약 7cm의 반응조에 수용액 상태로 존재시켜 광산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UV를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 물질에 대한 자연상태에서의 Blank test를 한 결과, 두 가지물질 모두 자연상태에서 존재할 경우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반응 50분 경과후에도 거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산화제 및 촉진제로 사용된 H_(2)O_(2)와 옥살산염의 주입농도를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Chlorothalonil물질인 경우에는 최적 주입농도는 각각 100ppm과 1mM로 나타났으며 Atrazine의 경우에는 100ppm과 2mM로 나타났다. 옥살산염의 최적 주입농도를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Chlorothalonil 물질은 H_(2)O_(2)를 주입한 경우 반응속도 상수값(k)이 0.357로 나타난 반면에 옥살산염을 주입한 경우에는 0.612로 H_(2)O_(2)를 주입한 경우보다 약 1.7배 빠른 분해경향을 보였으며, Atrazine의 경우에는 반응속도 상수값(k)이 0.149로 나타났으나 H_(2)O_(2)만 단독 조사한경우에는 0.353으로 옥살산염의 단독주입으로 인한 효율증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H_(2)O_(2)와 옥살산염 혼합 첨가시 Chlorothalonil과 Atrazine 물질 모두 반응 속도 상수값(k)이 0.617, 0.376으로 효율 증대효과를 나타냈다. 광산화 반응에 있어서 영향인자로 작용할수 있는 pH(2, 4, 6, 8, 10, 10, 12)와 온도(10, 20, 30, 40℃)변화를 주었을 때 분해효율을 비교한 결과, 두가지 물질 모두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OH radical의 성성 및 유기 radical의 생성 촉진으로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pH 또한 산성이나 중성인 조건보다는 염기성 조건에서 반응이 빠르게 일어났으며 기존의 문헌의 내용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옥산산염의 구조와 유사한 물질에 따른 분해효율을 알아보기 위해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그리고 Lactic acid를 첨가한 결과, 두가지 물질 모두 기존 분해효율보다는 오히려 낮은 분해효율을 보였다. In this study, according to pesticides structure in the degradation of chlorothalonil(Tetrachloro-isophthalonitrilc) and atrazine (2-Chloro-4-ethylamino-6-iso-propylamino-1,3,5-triazine) was because do using much material by Target compound usually apply UV/H_(2)O_(2) process among AOP process. Also, wished to grapplication possibility existence and nothingness in process comparing efficiency using oxalate that is used for the photolysis at Fenton oxidation process to search application possibility of other photolysis to H_(2)O_(2) except that is used for oxidizing agent. And, optimum injected concentration for each material wished to draw most suitable driving condition examining efficiency by temperature that can interact by effect benevolence and pH. Target compound that is used in this experiment selected Atrazine and Chlorothlonil motived mine Fire because being existed in aqueous solution state to reaction trillion of diameter about 7cm in reactor interior using UV Lamp of 254nm wave length. Result that this research does Blank test in natural conditions for each material in state that do not investigate each UV, all two materials are considered that does not consist almost after reaction 50 minutes passage because is very stable structurally in case exist in natural conditions. In case is Chlorothalonil material as result that experiment changing pouring in density of H_(2)O_(2) and oxalate that is used for photolysis, most suitable pouring in density appeared by each 100ppm and 1mM and was expose by 100ppm and 2mM in Atrazines case. According to result that apply and experiment oxalate most suitable pouring in density, while reaction speed good hand value (k) of Chlorothalonil material appears when pour H_(2)O_(2) by 0.357, but looked about 1.7 times fast tendency than case that pour H_(2)O_(2) by 0.612 in case pour oxalate, and reaction speed good hand value (k) appeared by 0.149 in the case of Atrazine but efficiency enlargement by oxalate singleness pouring in did not show by 0.353 in singleness investigation case H_(2)O_(2). But, reaction velocity good hand value (k) displayed efficiency enlargement effect by 0.617, 0.376 both Chlorothalonil and Atrazine material at H_(2)O_(2) and oxalate mixing addition. When gave pH (2, 4, 6, 8, 10, 10, 12) and temperature (10, 20, 30, 40, ℃) change that can act by effect benevolence in reaction mine result that compare efficiency, reaction was gone fast by OH radical's congregation by temperature rise and organic matter radical's creation promotion both two materials, and base quick temper or reaction could occurred fast and confirm contents of existent literature than condition that is acidity or neutrality as well as pH. Result that oxalate and structure add Form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Lactic acid to search efficiency by change, all two materials showed low efficiency preferably than existing efficiency.

      • 전라북도 형망어업에 관한 연구

        최종덕 군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전라북도의 형망어업은 1960년부터 성행하기 시작하여 동진강, 만경강 및 금강 하구의 천혜 자연 환경 속에서 다양한 종류의 패류를 어획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형망어업은 1970년대부터 각종 대규모 산업단지 건설과 새만금 간척사업의 영향으로 주 조업구역이 감소하고, 패류 생산량이 급감하여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 형망어업의 변천과 현 실태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라북도 형망어업은 2016년 기준 총 30건의 어업허가를 유지하며 조업 중이다. 새만금 방조제 건설 전 동죽, 개량조개, 큰구슬우렁이와 백합 등을 주로 어획하였고, 건설 후 키조개, 피뿔고둥과 피조개 등을 어획한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은 수위와 염분농도가 낮아 서식하던 대부분의 어종은 사라지고, 분사식 형망어구를 이용하여 바지락 치패를 어획하고 있다. 방조제 외측은 어종의 단순화로 키조개를 주 어획종으로 조업하며, 이 과정 중 변형 형망어구 사용으로 많은 마찰이 발생되고 있다. 시험 조업은 2010년 6월부터 11월까지(7월 제외) 5개월 동안 총 1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출현종은 총 49종으로 패류가 12종, 두족류가 4종, 어류가 28종, 새우류 및 게류가 5종이 어획되었다. 전체 어획 개체수는 3,403 개체, 중량은 532 ㎏으로 총 어획물 중 45.2%가 해상에 폐기된다. 자원밀도는 전체 평균 5.4 g/㎡으로 나타났고, 어종별 자원밀도는 어류가 2.6 g/㎡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새우류와 게류가 1.6 g/㎡, 패류가 0.9 g/㎡, 두족류가 0.4 g/㎡의 밀도를 나타났다. 주 어획종인 패류의 자원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주 조업대상 어종인 키조개는 11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어획하고 있었다. 형망어업으로 어획된 패류자원의 최대지속적생산량()은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어획량에 영향을 받지 않은 1990∼1999년까지는 7,250∼7,490 MT, 영향을 받기 시작한 2000∼2016년 중 연간 총 어획량이 1,000 MT 이상일 때는 1,716∼1,776 MT, 미만일 때는 289∼336 MT이었다.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인하여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은 방조제 건설 전의 약 4.2∼23.7%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생물학적허용어획량()은 연간 313∼1,532 MT으로 산정하였고, 이는 새만금방조제 건설 전과 비교하여 약 72.3∼94.3%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전라북도 형망어업은 키조개 자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어업관리를 위하여 척당 어획량을 51.0 MT/년 이하로 설정하고, 조업척수를 시급히 22척으로 감축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장기적으로 전라북도 키조개 자원의 채취 주기를 고려하여 현 조업척수를 절반 이하로 감축해야할 것이다. 또한 형망어업의 주조업 대상어종인 키조개 자원의 관리와 보호를 위하여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키조개가 대량 서식하는 지역을 관리수면으로 지정하여 연도별로 순환 조업하거나, 정밀 조사를 통하여 키조개 자원의 TAC 제도 시행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사용 중인 변형된 어구에 관하여 어구개량 정밀 조사 등을 통하여 현 어업 실정에 맞는 어구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shing dredge in Jeollabuk-do province began to become widespread in 1960s and has continued to catch various kinds of shellfish in the productive fishing grounds around Dongjin River, Mangyeong River and Geum River estuaries. Since the 1970s, the construction of various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and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have resulted in a decrease in main fishing areas and a sharp decline in shellfish production. As a result, dredge fishery has faced many difficulties. There is, however, no study on them.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problems based on the transition and status of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and to suggest a method for solving them.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is being carried out with a total of 30 fishing permits as of 2016. Surf clams, hen clams, bladder moon snails, and common orient clams were mainly caught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while comb pen shells, purple whelks and ark shells are mainly caught after that. Inside the Saemangeum dike, most fish species have disappeared due to low water level and low salinity, and littleneck clams are caught using a jet pump type of fishing dredge. Outside the dike, The diversity of shellfish species has been reduced; comb pen shells are being mainly caught. In this process, a lot of friction occurs due to the use of a reformatted dredge. Test fishing was carried out over 5 months from June to November 2010 (excluding July) on 19 occasions. 49 species of fish, shell, etc. appeared as follows: 12 species of shellfish, 4 species of cephalopods, 28 species of fish, and 5 species of shrimps and crabs. The total number of caught fish was 3,403, and their weight was 532 ㎏. 45.2% of the total catch was thrown into the sea. The total average of resource density was 5.4 g/㎡. When it comes to the resource densities by fish species, the density of fish was highest with 2.6 g/㎡, followed by shrimp and crab with 1.6 g/㎡, shellfish with 0.9 g/㎡, and cephalopod with 0.4 g/㎡. The resource density of shellfish, which were a mainly caught species, was low. Comb pen shells, which were mainly targeted shellfish, were caught for 5 months from November to March of the following year. The maximum sustained yield () of shellfish caught through dredge fishery was 7,250 to 7,490 MT from 1990 to 1999,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The MSY from 2000 to 2016,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ke, was 1,716 to 1,776 MT when the total annual fish catch was 1,000 MT or more, and 289 to 336 MT when it was less than 1,000 MT.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led to a decrease in the catch volume of the offshor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to 4.2 to 23.7% of that before its construction. The allowable biological catch () was estimated to be 313 to 1,532 MT per year, which was about 72.3 to 94.3% less than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Currently, th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relies on comb pen shells. For fishery management, the catch per vessel should be set at 51.0 MT/year or less, and the number of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22 as quickly as possible. Besides, in the long term, the number of current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less than half in consideration of the comb pen shell collecting period in Jeollabuk-do. A variety of efforts are needed to manage and protect the comb pen shell, which is a mainly targeted species of dredge fishe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different measures such as designating the area where comb pen shells live in large quantities as management water and carrying out annual circulation operation, or implementing TAC system for comb pen shells through a precise investigation. Furthermore, to improve reformatted fishing tools that are currently in u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ishing tools suitable for the actual fishery situation through a precise investigation.

      • 전거근 약화를 동반한 견관절 통증에 대한 7주 전거근 근력 강화 운동의 효과

        최종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전거근은 견갑상완리듬에 의한 견갑골의 상방회전 움직임을 통해 역동적 안정성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거근의 상대적 근력 약화 또는 근육간의 불균형적 활성화 패턴은 이차적인 견관절 충돌 증후근의 중요한 유발 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 전거근 약화로 인한 경증도의 견관절 통증 및 기능저하 환자군과 정상군을 대상으로 환자군의 특징을 임상적 평가와 근전도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둘째, 선별된 전거근 약화 환자군을 대상으로 7주간의 선택적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를 적용한 후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상대적 전거근 약화를 가지고 있고 상지 거상과 관련된 스포츠 관련 활동에 참여하여 견관절에 경증도의 기능 저하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15명을 환자군으로 선별하였다. 주관적인 통증과 기능 측정의 수정 로우 검사(modified Rowe test)와 통증역치를 기본적인 임상적 증상 비교를 위한 측정 항목으로 선택하였다. 휴대용 근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삼각근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전거근과 상승모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동일한 방식으로 정량화된 전거근과 상승모근의 근 활성도값도 분석되었다. 전거근의 상대적 근 수축 개시시간도 근전도의 분석에서 비교되었다. 전거근 강화를 위한 닫힌 사슬 운동치료로 3가지 다른 형태의 푸쉬업 운동인 푸쉬업 플러스(push-up plus), 네발기기 푸쉬업 플러스(knee push-up plus) 그리고 벽 푸쉬업 플러스(wall push-up plus)를 제공하였다.환자군과 정상군의 비교를 통한 결과 1) 일상생활 동작과 유사한 상지 거상의 근전도 분석에서 전거근 활성도는 정상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고 상승모근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2) 안정성의 기능을 추정하는 전거근의 상대적 근수축 개시시간은 정상군보다 환자군에서 동원의 지연이 있었다(p<0.05). 7주간의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에 따른 전, 후 비교의 결과는 3) 환자군의 전거근은 최대 평균 근력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증역치 상승과 수정 로우 점수의 증가로 전반적인 견관절 통증 감소와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4) 근전도 분석을 통해 상지 거상동작 시 상승모근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전거근의 활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전거근의 상대적 근 수축 개시시간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증상 완화를 위한 7주간의 선택적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적용을 통해 전거근의 근력향상 효과가 나타났고 통증의 감소와 기능의 향상, 그리고 근전도 분석에서의 운동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전거근 약화를 원인으로 하고, 견관절 통증 및 기능저하, 비정상적인 운동조절 패턴의 환자에게 선택적인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rratus anterior plays a key roll during the upward rotation of scapula. The weakness and delayed recruitment of serratus anterior can be the causes of secondary impingement syndrome altering motor control.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shoulder pain, serratus anterior muscle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pattern using by EMG analysis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shoulder pain and serratus anterior weaknes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7-week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exercise in subjects with shoulder pain and serratus anterior weakness. Fifteen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shoulder pain with serratus anterior weakness after taking part in sports activity were selected as patients group. Modified Rowe test and pain threshold were used to evaluate subjective pain and functional limitation. Hand-held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relative muscular strength of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to anterior deltoid, and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normalize serratus anterior and upper trapezius muscle activation. Relative muscle onset time of serratus anterior was determined as well. The closed chain strengthening exercise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push-ups: push-up plus, knee push-up plus, and wall push-up pl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ctivation of serratus anterior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tient group compared with healthy group during arm elevation in daily activities (p<0.05). 2) The onset time of serratus anterior in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layed compared with healthy group (p<0.05). 3) The strength of serratus anterio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scores of modified Rowe test and pain threshol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7-weak strengthening program (p<0.05). 4) The activation of serratus anterio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arm elevation after 7-weak strengthening program (p<0.05). 5) The onset time of serratus anter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With 7-week exercise program for selective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and reducing shoulder pain, the muscle strength of serratus anterior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houlder pai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demonstrating improved motor control. Therefore, 7-week serratus anterior strengthe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can be recommended for persons with shoulder pain and serratus anterior weakness.

      • 單一 및 多性能特性値에 관한 安定性 設計

        최종덕 東亞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8639

        Robust parameter design is an important quality engineering method for improving product quality, manufacturability and reliability at lew cost, developed by Japanese quality expert Genichi Taguchi. It aims at reducing the influence of sources of variation to hard-to-control in product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Because robust parameter design uses experimentation for products and processes to determine the best settings of controllable parameters (control factors) that make the products and processes robust to uncontrollable parameters (noise factors), it is a cost-effective technique for improving Product and process quality. This thesis studies parameter design problems with single and multip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s followings. First of all, the statistical methods for Planning and analyzing robust design experiments with the single performance characteristic are reviewed and discussed. Secondly, We also apply the concepts of robust design by which the best settings of the various product and process variabl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in industrial research to mathematical models that find values of decision variables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under some diverse constraints such that it can be insensitive to imprecise estimation of parameters of the model. This study presents the algorithms for two models, i.e., target value problem and (Q,r) inventory model, and computer-aided numerical experiments are conducted. Finally, Taguchi's proposed robust design methodology focused only on one performance characteristic or response, but the quality of a product is seldom defined by a single characteristic, and is rather the composite of a family of characteristics which are often interrelated and nearly always measured in a variety of units.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product and process design variables on all the importa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jointly since every manufactured product has mere than one important characteristic of quality. Therefore, the multipl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problem is how to compromise the conflicts among the selected levels of the design parameters for each individual performance characteristic. The modified desirability function using SN ratio which can be optimized by univariate technique is proposed and an algorithm to achieve the best balance among several different response variables is developed. This algorithm consists of four major steps, (i.e., optimization compromise, adjustment and finish steps) and classifies the control parameters with seven categories by statistical significance, pattern of conflict phenomena and type of quality characteristics. We reanalyze two existing case studies by the proposed method and compare these results with ones by the sum of SN ratios and the expected weighted loss.

      • 愛玩犬産業의 實態分析 및 發展方向

        최종덕 한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문명이 발전하고 공업화와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다. 이를 토대로 한 여가시간의 증대 및 핵가족화, 저출산, 인구의 노령화는 인간적인 소외감과 정서적인 결핍을 유발시켰으며 애완동물의 폭발적인 인기와 대중화 시대를 열었다. 애교가 많고 늘 인간만 바라보며 충성심을 보이는 애완견이야말로 시대적인 여건과 맞아떨어진 것이다. 이러한 애완견과 애완동물 애호가의 갑작스런 증가는 사회, 경제, 문화 등 국가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즉 사회적으로는 유기견의 증가, 애완견 및 사람과 가축이 공통으로 감염되는 전염병, 사람 밀집지역에서의 애완견관리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경제적으로는 애완견 및 애완견 관련 용품과 사료를 상당부분 외국에서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문화적으로는 애완견을 자신의 소유물로 보는 잘못된 인식과 애완견을 키우면서 이웃을 배려하지 않는 도덕성의 상실 등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애완견 산업의 현황 및 실태와 애완견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전제조건을 제시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애완견을 하나의 생명체를 갖은 동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유물로 인식하여 귀여운 것만 찾는 소비자들과 팔고 보자는 판매업자들의 행태 등의 애완견에 대한 편견과 불합리한 유통구조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애완동물 수입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제는 품종개발, 우수품종 생산 및 사육기술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애완동물 수출국으로 발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외에도 애완동물 관련용품으로 약품, 사료, 사료 첨가제, 용품, 옷, 악세 사리 등 다양한 많은 종류가 있는데 거의 외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애완동물 관련 산업의 육성을 통하여 애완동물에 관련된 상품의 국내 수요충족과 외국으로의 수출을 통하여 애완동물 산업을 더욱더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아울러 애완견 관련산업의 사업모델인 애완견 Theme공원, Cyber 애완견 Theme공원, 애완동물 관련 산업단지의 조성모형을 제시하여 애완동물 산업의 발전가능성을 모색하여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자 한다.

      • 정상인에서 골반경사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에 미치는 영향

        최종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다른 자세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할 때 운동형상학적 변화와, 근육 활동 패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첫째는 대상자 본인이 선택한 편안한 자세로 일어서는 동작, 둘째는 움직임에 문제가 있는 일어서기와 유사한 후방 골반경사를 유지하면서 일어서는 동작, 셋째는 일반적인 재활치료 접근과 유사한 동작인 전방 골반경사를 유지하면서 일어서기를 통해 운동형상학적 변화와 근육 작용 패턴을 측정하였고, 개별적인 분석과 기본적인 통합 분석을 하였다. 또한 새로운 기능적 통합 분석인 기능적 연결 분석(functional linkage analysis)과 주동근 및 자세 조절근을 구분하는 분석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운동형상학적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인 CMS70P를 사용하였고,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 가자미근의 근수축 개시점을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 MP100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정규화와 동기화 되어진 두 시스템의 자료들은 상대적 시간 개념인 백분율(%)의 평균 자료값들로 정리되었고, 세 가지 동작에서의 비교를 위해 일요인 분산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급간내상관계수를 이용한 기능적 연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형상학적 변화는 엉덩관절을 제외한 무릎관절, 발목관절, 대퇴부 떼기에서 세 가지 동작간의 차이가 있었고 동작내에서 관절들의 신전동작 변화 순서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근육 활동 패턴의 변화는 가쪽넓은근에서 동작간의 차이가 있었고 가쪽넓은근을 제외한 다른 근육들의 동원되는 순서에는 변화가 없었다. 셋째, 일어서기 변화의 중요 기점인 대퇴부 떼기를 기준으로 할 때 동원되는 근육 활동 패턴은 일어서기 동작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작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넷째, 기능적 연결 분석을 통해서 대퇴부 떼기와 가쪽넓은근, 대퇴부 떼기와 넙다리곧은근이 독립적인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작용하였다고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일어서기 동작에서 주동근은 가쪽넓은근과 넙다리곧은근이었고, 자세 조절 요구와 비례하는 자세 조절근의 수는 후방 골반경사, 전방 골반경사, 편하게 골반경사 일어서기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이 일어서기 동작에 대한 평가적, 치료적 접근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비정상적인 일어서기의 평가 시, 치료사는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신전 동작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넙다리두갈래근, 가자미근의 활동 패턴 변화와, 가쪽넓은근과 넙다리곧은근의 동원되는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또한 자세 조절을 위해 불필요한 부가적 근육의 패턴들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비정상적인 일어서기의 치료적 접근 시, 전방 골반경사로의 움직임 패턴 유도는 움직임의 효율성과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전방 골반경사 일어서기는 근육 활동 패턴을 변화시키고 기능적 연결 정도 차이와 추가적인 자세 조절근들의 생성을 만들어냄으로써 정상적인 운동조절 패턴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s on sit-to-stand activities and suggested a new therapeutic approach for movement reeducation in patients who have sit-to-stand difficulty. The three different pelvic tilts were: (1) comfortable (CPT), (2) posterior (PPT), and (3) anterior (APT) pelvic tilt sit-to-stand (STS). To determine the onset time of muscle contraction, surface electrodes were applied to the 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biceps femoris (BF), tibialis anterior (TA), gastrocnemius (GCM), and soleus (SOL) muscles. One-way ANOVA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CCs was used for functional linkag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knee joint, ankle joint, and thigh-off among the three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L muscle activation pattern among the three activities. Third, the functional integrated analysis revealed that the musle recruitmen pattern changed when thigh-off was viewed as a reference point. Fourth, there were independent functional units between thigh-off and VL, and between thigh-off and RF in the functional linkage analysis. The VL and RF acted as the prime-mover muscles, and additional postural-adjustment muscles were recruited as the demand for postural muscle control increased (PPT STS > APT STS > CPT ST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evaluative and therapeutic approach for STS activity: (1) Changes in the knee and ankle joints are prioritized, recruitment order differences in the VL and RF, changes in the activation pattern of BF, SOL, and additional muscle recruitment patterns can be generated to accomplish abnormal STS activities. (2) APT STS can be introduced for movement efficiency and functional advantage when treating abnormal STS. However, excessive APT changes the recruitment pattern of the BF and SOL, and requires additional postural muscle control.

      • 수주생산 기업의 ERP 커스터마이징 사례 연구

        최종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ERP, as known as revolution of business processing, is a tasking system that manages resources efficiently by combining all parts of business internal activities. However, ERP cannot be operated, as the same format, on every company. When it is optimized for company by proper customizing, efficiency of ERP can be maximized because each company is in different business environment and management method.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be aware of what the key performance in MTO company is, and how to customize ERP to achieve the key performance. To achieve this, I defined key performance and required functions of ERP in MTO companies, compared practically customized ERP functions through case study,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based on the customized ERP functions. In conclusion, strengthening general task efficiency and business management capacity were clearly carried out through ERP customizing, such as adopting PS module, GPD/LTP, computerized EAC and intensified production monitoring to accomplish the key performance which was defined as on-time delivery and cost management by project. Companies, which have already planned to adopt ERP, are able to set u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very successfully, if they are aware of their business environmental condition, problems of process, and customize properly within the range of not disrupting the best practice of original ERP.

      • 초등 체육과 수준별 교구의 현장 활용을 통한 자기 주도적 게임수행 능력 신장 방안

        최종덕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맞게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뉴스포츠를 도입하여 게임수행능력 신장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뉴스포츠를 현장에 도입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1학급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하여 뉴스포츠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게임수행능력을 평가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장 방방안을 제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포츠의 수준별 교구는 기존 체육수업과는 다르게 학생들의 수준의 차이,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체육수업이다. 기존의 체육수업은 기능위주의 수업내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여학생의 소외 등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되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뉴스포츠는 현장 수업에 도입 될 수 있다. 뉴스포츠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체육수업을 가르칠 수 있으며, 뉴스포츠 특성상 경기 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교사의 선택으로 규칙 변형이 유연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 스스로 주도적인 게임운영을 할 수 있어 자기주도적인 게임 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전통적인 스포츠의 경우 학생들 교육에 부적합함이 있기에 뉴스포츠 활용을 통한 체육수업이 필요하다. 뉴스포츠의 정규체육수업 적용에는 제한점 및 미흡함이 있지만 교사의 자발적인 노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내에서 지속적으로 실시되는 연수 등의 참여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에 대한 내용들을 제공하여, 교사가 학생들이 경험하지 않은 게임을 통한 신체적 능력 향상과 협동심 같은 자기 주도적 수행 능력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들이 뉴스포츠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는 가운데 뉴스포츠 종목 중에서 영역별 해당하는 종목의 교내 리그전을 통해 팀원간 협동심과 스포츠맨십을 유도할 수 있으며, 홈페이지의 활용을 통해 관련 정보 및 영상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학생들에게 뉴 스포츠에 대한 각각의 임무 및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게임에 대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역할 및 임무를 계획서에 작성하는 방법으로 학생들의 게임 참여도 및 자기 주도적 게임 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본인의 목표를 설정한 후 자기평가를 통해 목표 달성에 대한 성취감을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