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년초(Opuntia humifusa)에서 분리한 점질 다당의 면역활성과 구조적 특성

        최정호 京畿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천년초(Opuntia humifusa)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그들의 구조분석을 행하고 면역증진 활성을 평가하였다. 천년초의 조다당 CNC-0는 DEAE-Sepharose FF 및 Sephadex G-75를 이용한 두차례의 연속적 chromatography를 행하여 CNC-Ia으로 정제하고 이들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Ia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본 다당의 당쇄 결합양식을 규명하기 위해 methylation analysis를 행한 결과, CNC-Ia은 terminal Araf, 5-linked Araf, 4-linked Galp, terminal Xylp와를 포함한 총 18종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full branched Araf, 3,4,6-branched Galp 및 full branched Galp와 같은 3종의 CNC-Ia 고유의 특징적 결합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CNC-Ia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exo-α-L-arabinofuranosidase 와 endo-β-1,4-D-galactanase를 이용한 연속 가수분해 및 해석도 행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년초 유래 다당 CNC-Ia는 β-(1→4)-galactan 주쇄에 arabinose oligo당이 측쇄로 분지된 Type I arabinogalactan으로 판단되었으며 주쇄 및 측쇄 모두 고도로 분지된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rabinose로 구성된 측쇄가 비환원 말단 xylopyranose에 의해 고도로 치환된 특징도 소유하고 있었다. 천년초의 냉수 추출물로부터 알코올 침전에 의해 얻어진 조다당(CNC-C)과 점도를 낮출 목적으로 천년초를 시판 상업용 효소인 Rapidase/Viscozyme (1:3)으로 처리하고 다당만을 회수한 효소처리 다당(CNC-E)를 대상으로 각종 면역활성을 비교하였다. 조다당 CNC-C와 효소처리 획분 CNC-E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냈으며, CNC-E의 항보체 활성이 더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anti-human C3를 이용한 면역전기영동실험과 Ca++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 실험을 통해 천년초 유래 효소처리 다당 CNC-E는 고전경로(classical pathway)와 부경로(alternative pathway) 모두를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NC-C와 CNC-E는 공히 종양세포주 YAC-1과 B16BL6와 정상세포주인 마우스 macrophage에 대해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 CNC-E의 경우, 비장세포 유래 임파구에 대한 비교적 높은 증식활성을 보였다. CNC-C와 CNC-E는 선천 면역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macrophage를 자극하여 IL-6 및 IL-12 같은 cytokine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켰으나 그 활성은 CNC-E 획분이 상대적으로 훨씬 우수하였다. 또한, 종양 및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갖는 NK cell 활성 실험에 있어 CNC-E를 mouse에 정맥 주사한 후 얻어진 NK세포는 Yac-1 종양 세포주에 대한 높은 치사작용을 보였으며 B16BL6 melanoma를 이용한 폐암전이 실험모델에서도 CNC-E는 농도의존적으로 종양의 폐전이를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천년초에는 이제까지 알려진 건강에 유익한 성분 이외에도 고도로 분지된 Type I arabinogalactan 형태의 활성 다당을 함유하고 있으며, 천년초를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선 천년초의 점질 다당에 대한 효소처리 공정의 도입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To examine the new practical utilization of mucilages in Opuntia humifusa,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from O. humifusa and their structural analysis and immuno-stimulating characteristics were estimated. The main polysaccharide, CNC-Ia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CNC-0 by two successive column chromatographies using DEAE-Sepharose FF and Sephadex G-100 and its structure was characterized. Molecular mass of CNC-Ia was estimated to be 700 kDa and it mainly consisted of arabinose, galactose and xylose in addition to two minor sugars such as rhamnose and fucose. Methy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at CNC-Ia comprised at least 18 different glycosyl linkages such as terminal Araf, 5-linked Araf, 4-linked Galp and terminal Xylp in addition to three characteristic linkages such as full branched Araf, 3,4,6-branched Galp and full branched Galp. To analyze the fine structure of CNC-Ia, it was sequentially digested by exo-α-L-arabinofuranosidase and endo-β-1,4-D-galactanase and their resulting products were analy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NC-Ia belongs to be a highly branched Type I arabinogalactan which has a (1→4)-β-galactan backbone with arabinosyl oligosaccharide side chains. However, CNC-Ia possessed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which non-reducing terminal xylopyranosyl residues were substituted at the arabinosyl side chains. On the other hand, the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CNC-C) and polysaccharide fraction (CNC-E) treated with commercial enzyme (Rapidase:Viscozyme, 1:3) in order to reduce the viscosity were prepared from O. humifusa, and their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CNC-E showed a higher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an CNC-C in a does­dependent fashion. Results obtained by crossed immunoelectrophoresis using anti­human C3 and anti­complementary activity in the absence of Ca++ ion suggested complement activation by CNC-E from O. humifusa occur via both alternative and classical pathways. In an in vitro cytotoxicity analysis, CNC-C and CNC-E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eritoneal macrophages and cacer cell lines such as YAC-1 and B16BL6 cells. In contrast, CNC-E showed high splenocyte proliferation activity.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CNC-C and CNC-E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IL-6 and IL-12, but cytokine-induction activity of CNC-E was higher than that of CNC-C. In an assay for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i.v. administration of CNC-E significantly augmented NK cytotoxicity against YAC­1 tumor cells.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B16BL6 melanoma cells, prophylactically i.v. administration of CNC-E potently inhibited lung metastasis in a dose-dependant fashion. From these results, one can conclude that Korean pear cactus, O. humifusa contains polysaccharides in addition to healthy components, and these polysaccharides are mainly composed of highly branched Type I arabinogalactans. To develop as ingredients of fuctional foods beneficial to human health from O. humifus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nzyme-treated process for the mucilages of O. humifusa.

      • 중학교 체육 통합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최정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통합수업을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과 기대 및 관심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 연구 문제로 통합수업 적용을 통해 나타나는 연구 대상자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 변화와 체육교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의 변화를 알아보고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남학생 5명을 선정하여 총14주간의 통합수업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적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연구 대상자들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심층면담, 개인일지, 참여 관찰, VCR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삼각검증법에 의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과 체육교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의 변화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은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와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변화로 범주화하였다. 체육 수업에 대한 인식을 보면 그릇된 교육풍토와 사회 인식, 학습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말미암아 체육 수업은 학습이 아닌 비학습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통합수업에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과제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과 과제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은 올바른 학습에 대한 개념 인식은 물론 체육도 학습이라는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선호하지 않는 종목이나 모둠 구성원에 대한 불만으로 등의 이유로 수업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에서 교사 - 학생, 학생 - 학생간 상호작용의 증가와 퉁합수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의 증가로 체육 수업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체육의 가치에 대한 무지와 단순히 ‘신체적 가치’ 만을 알고 있던 상황에서 통합수업 적용 후 다양한 체육의 가치를 직접 경험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체육교과는 다양한 가치를 갖는 교과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변화를 보면 통합수업 적용 이전 사회적 인식과 외모 및 말투에서 오는 이미지로 운동만 할 수 있는 교사라고 인식하였으나 통합수업을 위해 영어 공부하는 체육교사의 모습과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구 및 기자재를 활용하는 모습은 체육교사가 열정적이고 만능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또한 무뚝뚝한 말투, 칭찬의 부족, 학생행동에 대한 반응 부족으로 인해 체육교사는 감정이 부족하고 긍정적 피드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나 통합수업 적용 이후 많은 칭찬의 양,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피드백 제공, 영어를 사용하면서 동등한 입장이라는 인식은 체육교사가 감정이 풍부하고 긍정적 피드백을 충분히 제공하는 교사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체육교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체육 수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 체육교사에 대한 기대와 관심으로 범주화하였다. 체육교과에 대한 기대와 관심으로는 통합수업 적용 이후 학습의 개념을 인식하고, 통합수업에 만족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과 배움으로서 체육 수업에 기대를 하게 되었다. 또한 체육의 다양한 가치를 경험하고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더 많은 체육의 가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수업에 대한 만족과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 경험을 통해 체육교과로 하여금 통합수업을 통해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였다. 체육교사에 대한 기대와 관심으로는 영어 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와의 통합능력과 통합수업에 열의가 있기를 기대하면서 다양한 통합수업에 능통한 체육교사를 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교과내용+α’가 가능한 체육교사 즉, 교과내용도 충실하면서 체육의 다양한 가치를 중요시 하고 학생들과 교감이 가능한 인간적인 체육교사를 원하고 있었다.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Hydampot bearing의 최적 설계

        최정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대규모의 지진피해로 인해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한반도의 지진 위험도는 일본, 중국, 대만 등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수년간 한반도에서도 규모는 작지만 지진 발생의 횟수가 증가하여 이들 대형 교량의 지진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심종성 외, 2005] 또한 구조물들에 대한 안전성 및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계기술이 발전하여 왔으나 구조물을 설계할 때 지진하중, 풍하중 및 충격하중 등의 동적하중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진동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타당한 설계하중의 산정은 물론이고 정확한 동적거동의 예측이 필수적이다. 특히 교량에 있어서는 설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진 하중에 대한 내진설계방법 및 성능평가 방법에 대한 기술의 향상이 요구 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2001] 이러한 배경에서, 미국, 일본, 유럽 등 지진위험도가 큰 국가에서는 여러 종류의 내진 및 면진 받침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수년전부터 Steel Damper Bearing, E-Shape 및 Lock Up Device(LUD), LRB(Lead Rubber Bearing), FPS(Friction Pendulum System) 등을 내진설계에서 채택하고 다양한 기초격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기초격리 장치 중의 하나인 Hydampot bearing을 이용한 면진장치의 최적 설계를 위해 GA(Genetic Algorithm)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진의 적용을 통해 지진에 따른 최적 설계 용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국방비 수준을 결정하는 영향요인에 대한 계량분석

        최정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북한의 안보위협이 계속되고,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주변국들의 잠재적인 위협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가의 안전보장을 위해 ‘경제적 수단’으로서의 국방비 지출이 중요함을 상정하고 국방비 수준 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비 수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설을 세워 실증적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국방비 규모를 크게 국방비 총액, 경상유지비, 방위력증강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내적 요인으로서 경제성장은 국방비 구성요소 중 어떤 분야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없다고 나타났으며, 국방비의 모든 요소에서 국방비의 규모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예산점증주의의 기조가 나타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대외적 요인으로서 안보위협은 주적인 북한의 실질적 위협을 문헌 연구를 통한 사건 조사를 바탕으로 계량화를 시도하였고, 북한의 명목 군사비 지출을 변수로 추가하였고, 주변의 잠재위협국으로 일본과 중국을 설정하여 마찰 및 외교문제를 중심으로 사건 조사하여 계량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실질적 위협’변수는 모든 국방비 구성요소와 양(+)의 관계가 있음이 실증적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의 명목 군사비 지출은 음(-)의 방향으로 통계적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었고, 잠재 위협국의 위협은 국방비 규모의 모든 요소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외적 요인으로서의 한·미 동맹의 견고성은 방위력개선비와 음(-)의 관계가 나타나 한·미 동맹의 관계에서 주한미군의 주둔이나 미국에서 우리나라로의 군사비 원조가 시행되어 우리나라는 국방력의 증대를 위해 국방비를 사용하기보다는 전력유지에 치중했음을 설명하였다. 안보를 제고하는 경제적 수단으로서의 국방비에 대한 예산 편성과정에서의 고려와 체계적인 집행, 그리고 실질적인 심의와 성과의 분석을 통해 적재적소에 국방비가 사용되었는지 살피고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study of finding factors to determine scale of defense expenditure, which is a economic means of maintaining national security. This research attempts to find factors to determine scale of defense expenditure by analyzing empirically presenting hypothesis. And the scale of defense expenditure is classified into total expenditure, operating expenditure and expenditure of improving defense. Economic growth, a part of domestic factors,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scale of defense expenditure and incremental budget appears in all part of defense expenditure. External factor is consist of security menace and robustness of alliance of ROK and USA.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Real threat of North Korea with investigation events which North Korea has threaten ROK by literature investigation. North Korea's nominal military expenditure is added to security menace and international potential menace is investigated and qualified by finding conflict of ROK and China or Japan. Real threat of North Korea has positive regression relation to all part of defense expenditure, North Korea's nominal military expenditure has negative regression relation, and International potential menace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defense expenditure. Robustness of alliance of ROK and USA has negative regression relation of 'Expenditure of improving defense,' So this study can explain ROK's behavior which defense spending was used operationally than evolutionary because of stationing of USFK or military aid of USA. Consideration of the budgeting process, systematic enforcement, substantial delibe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are needed to make decision of defence expenditure which is a economic mean to enhance national security. And feedback should be performed.

      • 롬 7:14-25와 그리스도인의 성화

        최정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tries to study out one of the most esoteric problems in the Bible, identity of "I" in Rome 7:14-25. First, It looks into the history of hermeneutical aspect of the interpretation of "I" in Rome 7:14-25. Second, it provides brief analysis on the Rome 7:14-25 and gives one the diversity of scholars' opinions. Third, it concludes the identity of "I" in Rome 7:14-25 and adds one of good kind of directions for Christian's Sanctification. The identity of "I" in the text is the Christian who suffers for self-limitation in living by the Law. Sometimes, in some christian's life the inclination of following Jesus can be compatible with the wrong tendency of following emotional desire but it's also his christian life because all christian still have some contamination through sin. Battles against sin are the essential lifelong process for christian's sanctification. The text shows these kind of fight are desperate but finally will be concluded with unfailing victory.

      • 曲橋川水系內 汚染負荷量 削減 시나리오에 따른 下流水質예측

        최정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역관리체제하에서의 수질관리는 유역내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관건이다. 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량과 유입량에 의해 결정되며 오염물질의 유입량은 유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부하량과 유하과정에서의 물리․화학, 생물학적 작용에 의한 수계의 오염물질 자정작용에 의해 결정되므로 수질관리를 위하여 현재 오염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장래의 오염원을 예측하여 오염원이 장래 하천본류에 미칠 수질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곡교천 유역은 4대강 수계에 포함되지 않아 오염총량관리제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으나, 수도권 확장과 인구유입에 따라 유역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어 수질이 악화될 전망이다. 그에 따라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곡교천 유역의 주요 오염원을 토대로 현재의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을 산정․평가하고 장래의 오염원 변화에 따른 발생부하량 및 배출부하량을 예측해 볼 것이다. 또한 예측된 오염부하량을 수질개선을 위하여 오염원을 적절히 통제하고 이에 대한 처리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곡교천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을 줄여 「중권역별 수질 및 수생태계 목표기준과 달성기간」의 목표수질인 생활환경기준 Ⅲ등급(BOD : 5mg/L 이하)달성을 위하여 유역관리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예측하여 곡교천의 수질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 기성 노후산업단지 재생기준 선정에 관한 연구

        최정호 광운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1960, 70년대에 개발된 노후 산업단지가 증가하면서 시설의 낙후 및 녹지, 도로 등 기반시설의 부족, 도시팽창에 따른 산업단지의 도심편입에 따른 환경, 교통문제, 도시의 효율적 공간구조 형성 저해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재생을 통하여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특히, 노후산업단지가 도시를 재정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도시 계획적 도구로서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위한 시범단지가 지정되는 등 앞으로 기성 노후산업단지의 재생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으로 있어 재생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재생기준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아직 재생방안에 관한 일반적인 방향설정에 그치고 종합적인 재생기준 제시가 부족하며, 특히 노후산업단지 입주자와 정책담당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재생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지 아니한 기성 노후산업단지 재생기준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론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 제시하므로서 앞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될 산업단지 재생을 위해 필요한 범용적인 재생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첫째, FGI, 요인분석과 계층적 의사결정기법 등 다양한 실증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재생구성요소를 분석하므로서 재생기준의 객관화와 실용화를 도모하였다. 둘째, 기성 노후산업단지 재생기준을 산업단지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뿐만 아니라 도시경제, 환경, 명소성 등 산업단지 외적인 측면, 특히 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이슈인 갈등관리와 이해관계조절, 사업방식 등의 분야까지 분석범위를 넓혀 포괄적인 기성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셋째, 노후산업단지 재생에 관하여 현재까지 실증분석을 통한 일반적인 기준이 없다는 점과 산업단지 재생에 관련된 다양한 집단 간에 재생기준간 가중치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노후산업단지 재생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집단을 4개 집단(공무원, 민간전문가, 연구기관, 산업단지 입주자)으로 분류하고 재생기준의 중요도를 4개 집단 통합측면과 집단간 차이측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4개 집단을 통합한 재생기준의 가중치를 분석함으로써 본연구가 모든 산업단지 재생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아울러 4개 집단 간의 가중치 차이 분석을 통하여 개별 산업단지가 처한 여건에 맞춰 재생기준을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하였다. 본연구의 재생기준 선정 및 분석과정은 선행연구 및 재생사례분석, FGI, 설문조사, 요인분석, AHP분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선행연구에 제시된 재생구성요소와 국내외 재생사례에서 나타난 시사점 등을 토대로 61개의 재생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전문가 FGI를 통하여 41개로 압축한 후 산업단지 관련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요인분석과 AHP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설문은 25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를 SPSS 17.0 프로그램을 통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대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크론바하 알파계수와 배리맥스회전법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41개의 재생 구성요소안중에서 8개 항목을 통합하거나 요인부하량이 낮은 항목을 삭제하여 총 8개(융합성, 차별성, 접근성, 안전성, 경관성, 환경성, 사업성, 협력성)의 대항목과 33개 세부항목 재생요소(대항목별로 4-5개)로 정리하였다. 이를 4개 집단에 대해 각 30명 총 120명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Expert Choice 200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결과 8개 대항목에 대한 가중치는 사업성이 모든 집단 에서 최고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업성이 재생사업의 최대 관건임이 확인되었다. 사업성 다음으로 협력성, 접근성, 융합성, 차별성, 안전성, 경관성, 환경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업단지 입주자간 이해관계조정과 도로, 주차장 등 부족한 교통시설 등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통의 1순위인 사업성 다음으로 2위와 3위를 보면 공무원 집단은 융합성과 접근성, 연구기관 집단은 차별성과 융합성, 민간전문가 집단은 협력성과 차별성, 해당이해관계자 집단의 경우는 접근성과 협력성 순으로 나타나 집단 간 특성에 따라 재생기준의 중요도가 달라짐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33개 하위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차이를 10 순위까지 살펴보면, 권리조정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복합용도, 물류체계, 용이한 주차, 협력추진, 갈등관리, 이해관계조절, 밀도, 단계별 추진, 단지경관 순으로 분석되었다. 하위구성요소 역시 집단 간 가중치의 차이를 보이가 있어 개별산업단지가 처한 여건과 당해 단지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심정도 등에 따라 개별산업단지에 적합한 재생기준이 선정되어야 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가 재생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산업단지의 생산기능뿐만 아니라 지원기능, 접근기능, 경관, 환경성 등의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함으로써 기성 산업단지가 재생과정에서 안고 있는 문제해결을 위한 기준을 최대한 망라하려고 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단지의 재생은 새로운 산업단지의 개발과는 달리 이해관계자가 명확하고 이해관계의 표출정도가 보다 직접적이고 강하다는 점에서 산업단지 재생사업을 위한 이해 집단 간 갈등관리와 이해관계조절 등에서의 구성요소를 도출함과 아울러 개발밀도, 추진방식, 재원조달 등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생기준에 대한 분석도 겸함으로써 재생기준의 실효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특히, FGI와 요인분석, 계층적 의사결정기법(AHP)을 통합, 적용함으로써 AHP의 한계인 구성요소에 대한 비논리성을 보완하여 보다 객관화된 재생기준을 산정하였다. 연구의 한계로서 본연구가 분석대상을 전문가만이 아니라 의사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단지 정책 담당공무원과 산업단지에 입주하고 있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다원화하고 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일반화되고 범용적인 재생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개별적인 산업단지의 여건과 특성을 모두 반영한 특수해를 위한 재생기준으로서의 역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위한 적정한 주체의 선정과 사업방식 선택 등과 같은 재생실현 수단에 관한 과제는 후속 연구과제로 다뤄져야 할 것이다. As the number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developed during 1960s and 1970s increases, especially such problems as environmental, traffic and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efficient urban space structure formation became exposed due to wearing out of facilities, shortage of foundational facilities such as green area, roads, and incorpo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to a city caused by urban expansion,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complexes through regeneration has been emerged as an urgent task. However, studies carried out hitherto stop at pointing a general direction regarding regeneration direction and fall short of providing integrated regeneration standards. Accordingl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lect criterion for regeneration of existing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to be activated soon through scientific and objective methodologies.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ttempt has been made to analyze constituting factors of regeneration through empir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decision-making techniques. Second, in selecting regeneration standards for existing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efforts are made to include not onl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an industrial complex in question. Third, in view of the facts that there is no general standard. the groups that affect the regeneration process of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are divided into four (4) groups (government officials, civilian experts, research institutes, and residents of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importance of regeneration standards are analyzed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selection of regeneration standards and the process of analysis fo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eceding studies, analysis of regeneration examples, FGI, questionnaire survey, factor analysis, and AHP analysis. First, on the basis of constituting factors of regeneration that have been presented in preceding studies and implications that were revealed in the regeneration examples. a total of 61 draft regeneration standards are derived. In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259 persons were selected as target for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SPSS 17.0 Program. And of 41 draft constituting factors of regeneration, 8 items were either integrated or deleted whose factor loading is low, to rearrange them to a total of 8 factors (convergence, discrimination, access, safety, scenery, environment, business prospects, cooperation) and 33 regeneration factors. With these, an AHP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20 persons as target (30 persons chosen from each of the four groups), the result was analyzed using Expert Choice 2000 Program. When the results of AHP analysis are divided into 8 main items and 33 sub-item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weight analysis on 8 main items, business prospect turned out to be the top priority for all groups, proving empirically that business prospect i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regeneration projects. Next to the business prospect, importance of other constituting factors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cooperation, access, convergence, discrimination, safety, scenery, and environment. When weight difference was examined between regeneration standards and groups, importance of regeneration standards was analy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oups after the top priority business prospect. Convergence and access ranked on top for government official group, to be followed by discrimination and convergence for research institute group, cooperation and discrimination for civilian expert group, and access and cooperation for the interested parties group concerned. When difference in importance is examined for evaluation factors on the lower level up to rank #10, adjustment of rights turned out to be on top, to be followed by mixed-use, logistics system, easy parking, promotion of cooperation, conflict management, adjustment of interests, density, step-by-step promotion, and scenery of the complex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The present research covered all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existing deteriorated industrial complexes in considering constituting factors and standard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regener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regeneration of existing complexes is different from developing new industrial complexes in the fact that the interested parties are clearly visible and the degree of interest relationship is more direct. and by conducting concurrent analyses on development density, promotion method, procurement of resources, and securing of business prospects for regeneration standards. Especially, this research has calculated more objectified regeneration standards by complementing illogicalness of constituting factors employed by AHP through integrated application of FGI,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techniques (AHP).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esented more generalized regeneration standards by diversifying targets of analysis to include not just experts but also policy ma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affect greatly on the decision making as well as interested parties who are the residents of industrial complexes concerned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 십오통활 집단상담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체험 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최정호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들이 십오통활 집단상담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체험을 하며, 이들의 체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이다. 예비 면담을 통해 확정된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2016년 10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청소년 6명을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Smith(2008)가 제시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IPA: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십오통활 집단상담 체험은 “새로운 어른을 만나다”, “몸과 마음으로 친구를 겪어보다”, “일상과 다른 공간에서 살다”, “조금씩 자라나다”의 주제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들은 삶의 의미와 실존 방식을 가르치며 인간이라는 존재의 본보기가 되어주었던 집단 상담자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어른을 만난”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리더의 품과 시선, 말투 등에서 전해지는 따뜻함을 체험하였고, 필요에 따라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리더의 권위 속에서 자유롭고 안정감 있게 집단상담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자신에 대해 스스로 탐색하면서도 믿을 수 있는 어른의 가치와 생각에 영향을 받으며 내적인 세계가 확장되는 체험을 하였다. 다음으로 참여자들은 십오통활 집단상담의 체험 과정에서 피상적이고 기능적이었던 친구들과의 관계를 넘어 “친구들을 몸과 마음으로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집단원들인 친구들과 언어나 신체를 통해 서로 부대끼며 관계를 잘 유지해나가기 위해 필요한 개념들을 몸으로 터득하였고, 발화(發話)의 행위와 이에 대한 집단원들의 반응을 겪으며 대화의 의미를 배웠다. 또한 집단상담의 활동에서 직접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내거나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순간에도 집단원들의 모습과 행동을 지켜보며 스스로 변화를 촉진하는 내적 과정을 겼었다. 이와 함께 참여자들은 십오통활 집단상담의 체험 과정에서 일상적으로 살아오던 학교라는 공간을 “일상과 다른 공간”으로 체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 내 생활 공간에 적응되어 있던 참여자들은 사물들의 배치를 달리하거나 감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활용된 십오통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자기 내부로 연착륙하여 내면을 천천히 들여다볼 시공간적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는 일상의 공간이 집단상담 시간 중에 비일상의 공간으로 변환되는 체험이었으며, 그 공간 속에서 참여자들은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일 수 있는 활동들에 참여하며 채워진 것들을 비워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것들을 채워 넣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십오통활 속에서 어른, 친구, 공간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며 “조금씩 자라는” 체험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믿을 수 있는 어른 및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내 안의 나를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 자기를 성장시키는 가치를 발견하는 체험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동안 자기 내·외부의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채 흘러가는 시간에 등 떠밀리듯 사춘기를 보내던 삶에서 벗어나 십오통활 집단상담 체험 과정 중에 발견한 배움의 씨앗을 현실로 옮겨 심으며 심리적·사회적으로 성장하는 체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춘기라는 생애전환기를 맞이한 청소년들이 십오통활이라는 장(場) 속에서 자신을 둘러싼 어른, 친구, 공간이라는 타자와 관계를 맺으며 어떻게 실존적 성장과 변화를 체험하는지 보여 줌과 동시에, 선행 연구에서 함축적으로 명명하여 제시된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들이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체험되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중학생 청소년들의 집단상담 체험 내용을 입체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노력이 집단상담을 체험하는 청소년들의 성장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해상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입도조정골재 다짐말뚝의 구근 형성과 점토 혼입 현상 연구

        최정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marine controlled aggregate compaction pile (MACP)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sand compaction pile (SCP). The SCP method has been applied in the field as a conventional method to improve bearing capacity of soft ground. However, due to the supply shortage of good quality marine sand along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SCP installation, granular compaction pile (GCP) using crushed stones or gravels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issues. However, GCP is limited in onshore remediation because of difficult proper pile formation and clogging phenomenon at the marine soft ground. Thus the marine controlled aggregate compaction pile in newly proposed to solve both limitations of SCP and GCP.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ntrolled aggregate using a series of small scale model tests to investigate its potential to substitute san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above-listed issues. This study consists of two experimental schems. The first, experiment was to simulate the bulb formation of compaction piles with controlled aggregates. This experiment is essential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is new method, since there is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Thu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compare the MACP with SCP through measuring bulb shape and compaction load of compaction piles which simulates in-situ construction procedure. Then a series of miniature cone penetrometer tests were employed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compaction pile) to characterize the increase in soil resistance profile. The parameters considered are compaction pile aggregates and ground conditions. As a result, the bulb size and shape between the conventional SCP and the proposed MACP are deemed comparable. In addition, clogging of clay into the pile was not observed in the cut section. The enlarged diameter of the compaction pile bulb was similar to the design diameter, and MACP had a little larger diameter than SCP, and the softer the ground strength, the larger it was. In the case of compaction load, MACP showed a tendency to be larger than that of SCP. This means that MACP has greater strength than SCP and has a greater friction angle, so it will exert greater bearing capacity than SCP. The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on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compacted pile. Clogging phenomenon is known to occur in compaction piles using a large particle size aggregate, which is known exist that clogging is effect on drainage function decrease base on previous studie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ogging phenomenon occurring in compaction piles. MACP and GCP were compar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permeability and the clogging mechanism according to pressure condition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clogging depth measured at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increased as the pressure increased, and it showed a tendency to converge after a dramatically increase (at pressure value of greater than 300 kPa). Also the measured clogging depths at the cross section shows about 95% of the clogging depth measured at the outer wall in the case of GCP. MACP was measur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ntainer, whereas almost internal clogging was not observed. It is noteworthy that clogging mechanisms of compaction piles in this study, were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blinding, blocking, and infiltrating. It was found out that blinding, blocking, and infiltrating were all observed in GCP, while in the case of MACP, blinding phenomenon is formed on the thin layer at the clay boundary. The clogging ratio was calculated to normalize the substitution ratio decreased by clogging. Under the pressure condition of 930 kPa, the clogging ratio of GCP was 0.82, and the clogging ratio of MACP was 0.02. Two types of permeability test were done in this study, pressurized permeability test (by measuring the discharged flow rate) and falling head permeability tests. The result of the pressurized permeability test shows that permeability increased as the pressure increased. After applying pressur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by the falling head permeability test, wherein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rapidly decreased (at pressure value of 60 to 120 kPa) and then converges. Also, MACP shows smaller permeability than GCP under low pressure condition. However, at high pressure condition permeability is improved than GCP. Because the pores in GCP are clogged, and the permeability decreases as pressure increases. Furthermore, the permeability of clogged aggregate layer was smaller than clay on both GCP and MACP case. Therefore, when clogging occurs, a rapid decrease in permeability is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