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시간 시스템에서 결함 극복 스케쥴링에 관한 연구

        최정만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들어 실시간성과 결함 극복을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응답성 스케쥴링은 결함 극복 실시간 시스템의 안정도를 나타낸다. 응답성이라 실시간 태스크들이 스케쥴링에 있어서 태스크들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서 스케줄이 무사히 끝마칠 확률을 나타낸다. 단일 처리기에서 선점 비 주기 태스크를 스케쥴하는 알고리즘 REDF은 고정 모드에서는 최적의 알고리즘이지만 교체 모드에서 최적의 알고리즘이 아니다. 즉, REDF 알고리즘은 교체 모드에서 최대의 응답성을 만들지 못 한다. 본 논문은 교체 모드에서 시간 복잡도는 REDF 알고리즘과 같으면서 응답성은 개선된 REDF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Recently systems that consider both real time and fault tolerance have been studied. Responsiveness scheduling represents the safeness of a fault-tolerant real-time system. Responsiveness is a probability that a schedule of tasks, which may have faults, is finished. REDF algorithm in a uniprocessor system with preemptive aperiodic tasks is optimal in a fixed mode but not optimal in a replace mode. Therefore REDF algorithm in a replace mode does not have the maximum responsiveness. In this thesis, we propose RLLF algorithm that has the same time complexity, but has more responsiveness than REDF algorithm in a replace mode.

      • 경제성을 고려한 소형 오피스 건축물의 제로에너지구현 프로세스의 작성에 관한 연구

        최정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research analyzed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constructed small-sized zero energy office building to suggest results of trial and error, favorable time to evaluate building energy, and decision methods of necessary capacity of renewable energy systems during design process and requirements to build the buildings without errors as following design specifications during construction process, therefore, final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firm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ss to accomplish economical zero energy buildings. Even though it was announced that a road map introduces the obligation of zero energy consumption for all buildings in the Republic of Korea after 2025, practical fields do not have applicable approaches to act the road map, and even, some fields do not have recognize the solutions at all. Total process of the constructed small-sized zero energy office building on monitoring was researched an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zero energy was evaluated using monitored results of the office building. Moreover, the reasons and methods to introduce element technologies to complete the economical zero energy buildings during design process were studied, and the practical methods to determin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elements technologies were suggested. When details for construction applied with the element technologies were ordered, trial and error that contractors who have not experienced to build zero energy buildings were figured out by each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Introduce the necessary processes to realize zero energy buildings during conceptual design, schematic design, and working drawing process. 2) Minimizing A/V ratio (surface area of envelopes / building volume) must be firstly considered to have economic feasibility of small-sized zero energy office buildings. This process can improve 20% of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envelope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simultaneously, which lead to having its economical advantages. 3) A method to minimize the heating, cooling, heating water, and lighting load of buildings should be a top priority after examining passive element technologies, and then, approaches to decrease residual energy demand using renewable energy systems are required. It is important to save energy when it comes to reducing energy costs, but it can provide residents with comfort indoor environment regardless of outdoor conditions. However, costs of photovoltaic systems are getting lower and lower, so that if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is higher than it for keeping the residents’ thermal comfort, it is more economical to install photovoltaic systems to the building than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insulations, tightness, and windows. 4) Relative humidity of office buildings is low so that molds which have a negative impact on indoor air quality and condensation which results in defects of indoor construction materials could not be found, although thermal performance of its envelope does not satisfied with the performance of passive house. This condition met the legal upper limit of thermal transmission of wall facing with ambient, 0.27 W/㎡·K, in central district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Dec. 2013. 5) A range of thermal bridge is perimeters of a building on the ground, protrusions of external walls such as canopies, parapets, and steel structures to install renewable energy systems, etc. during the design process for office buildings. The thermal bridge at the most parts of building can be reduced 65% (average) using a combination of stainless steels and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pads. 6) A process of plot planning for efficiency of photovoltaic system and reasonable building arrangement was introduced by checking shading area by neighboring buildings. 7) Standard details to reduce thermal bridge for the process of working drawing were presented. 8) Contents which have to be examined during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accomplish zero energy buildings were introduced by each process. 9) Contents which have to be examined Strategies for approaching and process for zero energy buildings.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ing. 1) Criteria of thermal performance of envelope which can give occupants thermal comfort in office buildings did not stated by region in the Republic of Korea. 2) Comparison of energy saving effect between projected shadings and electric exterior shadings and economic analysis were not evaluated. 3) Economic analysis was determined by only the photovoltaic system except for other renewable energy systems which can be applied to small-size office buildings. 본 연구는 완공된 소규모제로에너지 업무시설의 계획, 시공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설계 과정 중의 시행착오, 에너지 평가의 시기와 적절성, 신재생에너지 도입 용량의 결정방법과 설계안을 착오없이 실현시키기 위한 시공과정 중의 검토사항을 제시하여 경제성이 있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설계, 시공 프로세스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 2025년부터 모든 건축물에 제로에너지를 의무화를 도입한다는 로드맵이 발표되었으나 실무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접근 프로세스가 미비하고 일부는 초기 접근 방법 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완공되고 모니터링되고 있는 소규모 제로에너지 업무시설의 전체 접근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제로에너지 구현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경제성있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의 구현을 위해 설계단계에서 필요한 도입 요소기술의 도입 사유, 그리고 적용방법을 기술하고 그 적용 강도(?)를 정하는데 있어 실무 차원에서 필요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시공단계에서는 각 요소기술이 적용된 시공도면(Details for Construction)이 발주되었을 때, 제로에너지건축물 구축 경험이 없는 시공사가 겪을 수 있는 시행착오를 공정별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획설계(Conceptual Design), 기본설계(Schematic Design), 실시설계 (Working Drawing) 단계에서 제로에너지 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2) 소규모 제로에너지 업무시설이 경제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체적대 외피면적의 비율(A/V값)을 최소화하는 접근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피의 성능을 약 20% 이상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공사비를 축소되기 때문에 가장 높은 경제성을 지닌다. 3) 패시브분야의 요소 기술을 우선 검토하여 건축물의 난방,냉방,급탕,조명 부하를 최소화하는 접근이 우선되고, 이에 따른 나머지 잔여 에너지소요량를 신재생에너지로 절감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에너지절감에 있어 투입되는 비용 측면에서도 필요하지만, 재실자에게 외기의 변화와 무관한 쾌적한 근무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태양광발전 설비의 설치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피 성능이 재실자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성능이상 된다면 단열, 기밀, 창호 성능을 추가적으로 강화하는 것 보다는 태양광 패널을 도입하는 것이 더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업무시설의 경우 실내 습도가 낮아 외피 성능을 패시브하우스 수준까지 올리지 않아도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주는 곰팡이 발생과 내장재의 하자를 유발하는 결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3년 12월 중부지방에서 외기와 직접적으로 면하는 벽체의 법적 상한 열관류율인 0.27 W/㎡·K 에서도 이 조건은 만족하였다. 5) 업무시설 설계단계에서의 열교 검토 범위는 지면과 만나는 부위, 캐노피 등 외벽의 돌출 부위, 파라펫 부위,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위한 철구조물과 건물간의 이음 부위 등이며, 스테인레스스틸과 EPDM 패드의 조합으로 대부분의 부위에서 선형열교를 평균 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태양광발전 패널의 효율과 건축물의 배치계획시 주변건물의 음영 검토를 통한 배치계획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7) 실시설계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하는 열교부위의 열교감소를 위한 표준 상세도면을 제시하였다. 8)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구현을 위해 시공단계에서 검토하고 점검해야 하는 항목을 공정별로 제시하였다. 9) 소규모제로에너지건축물 설계접근 전략과 설계부터 시공단계에서의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1) 업무시설에서 우리나라 각 지역별로 재실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외피성능의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2) 돌출 차양과 전동외부차양 간의 에너지절감 효과 비교와 경제성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3) 소규모업무시설에서 도입 가능한 모든 신재생에너지 항목 중 태양광 발전설비와 지열시스템에 국한하여 경제성 분석이 시행되었다.

      • 태권도장의 수련환경만족과 초등학생의 수련효과 및 지속행동에 관한 연구

        최정만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ow general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couches, programs, proximity of facilities and costs of characteristic factors of Taekwondo's satisfaction with training environment and training effects relate to trainees' adherence of behaviour. 600 subjects who were trainees training in Taekwondo Dojangs located in CheungNam in 2007 were selected by using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among them, except unsincere or poor 37 answers, 563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o collect the necessary date for research questionnaires of self administration metho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employed. Statistic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at α= 05.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raining environment of Taekwondo Dojang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Taekwondo training effect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behaviour adherence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urth, satisfaction with training environment of Taekwond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aining effects. Fifth, satisfaction with training environment of Taekwond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ur adherence. Sixth, Taekwondo training eff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ur adherence. 이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장의 수련환경의 특성요소인 시설, 지도자, 프로그램 그리고 시설의 근접성, 비용 등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및 수련효과가 수련자의 지속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 대상은 2007년 충청남도 지역에 소재한 태권도장을 선정하여 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4, 5, 6학년)을 대상으로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법(purposeful sampling method)을 이용해 임의로 선정하여 총 600부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것은 563부이다. 측정 도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한 구조화된 자기평가기입법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각 가설의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 분석 기법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태권도장의 수련환경만족에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태권도 수련효과에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지속행동에는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태권도장의 수련환경만족은 수련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태권도장의 수련환경만족은 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째, 태권도 수련효과는 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태권도장의 수련환경만족은 수련효과 및 수련지속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학년별 및 품별에 있어서 수련생들에게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 그리고 교육적인 공간으로서의 충분한 시설의 확보, 수련생들의 요구에 상응하는 적합성과 다양한 지도가 이루어져하고, 또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수련지속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Factors Affecting Farmer's Adoption of Hybrid Rice Varieties in Bangladesh : Regional Differences in Farmer's Union and Government Extension Services

        최정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This study finds out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farmers to adopt hybrid rice varieties and the level of adoption in 8 divisions, Bangladesh using Tobit model and the Double Hurdle model. In the Tobit estimation, factors such as household head age, farmer’s union membership, plot size, the number of extension services by the government and NGOs, and usage of mobile for information collection positively affect the farmer’s adoption rate of hybrid rice varietie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signs and the coefficients of each distric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stimation including all the divisions. The estimates in Barisal district, the southern part of Bangladesh, are consistent with the overall estimation while the estimates in Rangpur, the northern part, are no longer consistent in terms of farmer’s union membership and other factors. Also, many of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the adoption rate in the first stage of the Double Hurdle model are no long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evel of the adoption in the second stage of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s,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listed above help farmers adopt hybrid rice varieties. However, the factors no longer affect the level of the adoption. Therefore, consequent studies need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doption and socio- economic factors.

      • 노인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주거정책을 중심으로

        최정만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가를 찾아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하고 있는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주거특성에 따라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심리적특성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적지지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2019년 한국복지패널 14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주거특성과 심리적특성 요인들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가를 확인한 영향요인은, 노인들의 복지 주거정책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전체조사가구원 15,989명 중 주거의 일반적 특성관련 변수인 거주지역, 주거의 경제 특성관련 변수인 주택가격이나 주거면적을 살펴보았으며, 삶의 만족도 관련 변수인 건강만족도 및 가족수입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친분관계만족도의 설문에 응답한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가운데서 65세이상의 응답자인 노인 인구를 선택하였으며 이중에서 무응답 응답자를 제거한 결과 총 3,465여명의 표본이 분석에 투입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구조가 지상보다 그 외인 경우 우울이 높아지고, 주택가격이 높아지고 주거면적이 커지면 우울은 낮아질 것이라고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특성에 따라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 가족생활만족도가 높아지면 우울은 낮아질 것이라고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면 우울은 낮아질 것이라고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search practical and politic method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the aged by investigating whether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s mental health of the aged. The study issues set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this matter is as follows. First, is depression of the aged affected by residential characteristics? Second, is depression of the aged affected b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is depression of the aged affected by social support? To this end, the influential factor checking whether depression of the aged is affected by factors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14th investigation data of 2019 Korea Welfare Panel analyzed the factors which should be treated in the process of welfare residence policy for the aged. For 15,989 people, the total family members of investigation, residential area, variable related to general property of residence, house price or residential extent, variables related to economic property of residence were investigated and the samples which responded to questions on satisfaction in health & satisfaction in family income, satisfaction in residential environment &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 & satisfaction in social intimacy, variables related to satisfaction in life were extracted. The aged, the respondents over 65 years old out of them was chosen. Removing respondents without response out of them, samples of 3,465 persons were input for analysis. The study outcome on this issue i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y become more depressed when residential structure is not on the ground and they become less depressed when residential price is higher and residential extent is larger. Second, it is found that they become less depressed when self-esteem, satisfaction in family life gets higher with respect to the depression of the aged affected by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ird, it is found that they become less depressed when they are more supported socially.

      • 개정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준별 자기 주도적 학습 중심의 중학교 영어과 워크북 모형 제작 연구

        최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실생활에서 영어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는 외국어로서의 영어 환경에서 목표로 하는 의사소통능력을 육성하는데 있어서 그 교수·학습 방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계속 되어오고 있다. 기존에 운영되던 7차 교육과정은 현실에 맞지 않는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과 학습 내용의 적정화에 대한 요구로 2009년부터 개정, 적용되게 되었는데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는 실생활 경험을 소재로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키며 학생의 실질적 의사소통 능력을 최대한 신장시킬 것, 그리고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을 고려한 수업을 지원할 수 있으며 과제 및 활동 중심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을 것 등을 그 개발 기본 방향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정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부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새로 도입된 개념인 워크북을 현장의 교사로서 중점적으로 연구해보기로 했다. 수준별 교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수준별 교재는 꼭 필요한 요소이며 기존 7차 교육과정의 실현에 있어서 교사들의 애로사항이 가장 큰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장으로부터의 요구 조사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교육 현실과 시대의 요구를 반영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자발적 학습을 유도하고 동시에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며 그 과정을 통해 개정 7차 교육과정에서 교재의 나아갈 방향을 찾아보는데 본 개발 논문의 목적이 있다. 그 절차로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될 7차 영어과 개정안과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영어 교육에서 교재의 의의,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로이 도입된 워크북 개념, 7차 개정안에서의 영어과 수준별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직접 교재 모형을 만들어 보기에 앞서 현장 교사들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해 보았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현실 상황에 맞추며 수준별 수업에서의 활용에 적절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원활히 할 한 과 분량의 새로운 교과서와 워크북 모형을 직접 설계해 보았다. 워크북이란 교재에 포함되는 학습의 한 부분으로 학습활동에서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연습할 수 있는 자유로운 기회를 주어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교과서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 발전시켜 자기 주도적 학습과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교과서라 할 수 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교과서와 워크북 모형으로는 수준별 3종 교과서, 3수준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는 1종 교과서, 기본 교과서 1종 + 수준별 워크북 3종, 기본 교과서 1종 + 수준별 학습 자료 1종 (2 또는 3수준 내용 포함) 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기본 교과서와 그에 따른 수준별 워크북으로 각 분기별 수준별 분반 이동에도 활용이 용이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에도 활용할 수 있는 네 번째 모형을 선택해 새로운 교재 개발에 적용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수업은 기존의 ‘하위 과정형’ 심화·보충 체제가 아니라 ‘병렬형’ 심화·보충 체제라 볼 수 있는데 이는 심화, 기본, 보충 세 수준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이수해야할 기본 내용도 있지만 다양한 수준별 학습 활동을 통해 수준별 수업을 시행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 재료의 양과 언어 재료나 활동의 난이도로 그 수준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움자료의 양, 모국어 투입과 과제 해결 시간 등도 수준별 과제의 변인들로 작용할 수 있다. 본 교과서와 워크북 모형에서는 기본 교과서에서 대화문과 읽기 자료 등의 기본 내용을 최소한의 과제 및 활동과 함께 제공하고 구체적인 활동과 과제는 수준별 워크북에서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워크북에서는 기본 교과서에서 제시된 학습 자료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 과제를 상이하게 제시하거나 활동의 난이도를 달리하는 방법 등으로 그 수준을 조정하였는데 보충 수준의 학생들을 위한 워크북에서는 기본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자료, 학습 목표, 학습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미리 배워야할 내용, 어휘 선수 학습 등을 담았고 심화 수준 학생들을 위해서는 동일 성취 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추가적인 학습 자료와 과제를 담아내는 식으로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교과서와 워크북 모형을 현장에서 실험·적용해보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수준별 그룹에서의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있어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심화 수준의 학생들은 보다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활동, 배운 지식을 적용한 유의적 의사소통 활동에 열의를 보이며 경쟁적으로 학습하였고 기본 수준의 학생들은 자기 수준의 활동을 해내고 보충 수준의 학생들을 도와주거나 상위 수준의 문제까지 풀어보는 활동을 통해 스스로 동기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보충 수준의 학생들도 속도가 느리기는 했지만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며 학습을 스스로 지지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의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7차 교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개정안의 교재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며 앞으로의 연구들이 다양한 학습 집단을 대상으로 한 학습 모형 및 학습 자료를 제작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 역할을 하는데 소기의 목적을 둔다. The goals of learning English in the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are to have interests in using English,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and to recognize our culture anew and grow the right value by understanding foreign culture. To achieve the goals, many teaching methods are developed and suggested in the curriculum, but it is not so easy to make the ideal goals come true in actual classrooms.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teach English is especially important in Korea. The first reason is that students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major source of English input is from the English class. So the importance of learning material in class should be focused. Second, the gap among the students' abilities is greater than for any other subjects. Teacher-centered instruction along with the great gap among the abilities of students often leads them to lose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studying English. Therefore, focusing on the learning material in class can be one good solution to keep students' interests, to approach to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finally to achieve the goal of improving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Textbook is the major source of English input in Korean condition,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develop a new textbook and a workbook model for a differentiated and self-leading learning in the revised curriculum. The concept of workbook is first introduced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A workbook is a material to aid teaching of basic textbook to students who vary in ability. It can include a lot of background knowledge, cultural information, and chances to practice the content of textbook. It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more deeply and activate their knowledge. Through the workbook, students learn English adapting to their learning and language ability, and the gap among students will be diminished and they can feel interests and 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and eventually lead their own learning. Here three kinds of workbook models are developed: a workbook for advanced level students, a workbook for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a workbook for low level students. Each workbook is design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result from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it is also designed to be used in classes rearranged by students’ language abilities. To coordinate the level of workbook,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are manipulated. For advanced level students, to make their declarative knowledge activated into procedural knowledge, various types of meaningful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productive skills such as speaking and writing skills should be emphasized. For low level students, essential learning items should be repeated and emphasized, and make students feel the learning process itself easy and interesting to keep their attention. The literature text, A Day's Wait is chosen as the main text of the basic textbook to keep the students' interests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tudents can feel the cultural differences when reading between lines, and practice communication on health and advices from the story of authentic setting. They also feel interested while guessing and predicting, and learn inductively while reading the text and their inferences can be improved through their differentiated workbook activities. Various kinds of model activities to improve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are devised all through the basic textbook and 3 types of workbooks. These workbook models are designed to enhance the students’ overal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elf-leading learning attitude through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rough the experimental application to an actual English class, some baseline assumptions of each workbook's activities are proved right as follows. Advanced-level students tend to feel interests in productive and creative activities. Open-ended activities are appropriate for them. Intermediate-level students also learn on their own using the workbook. They cultivate their knowledge through their own level activities, and they advance and compensate their learning using their and other level's workbook activities during self-leading learning with peers, or at home. Low-level students also keep their interests through their own workbook activities, even though their learning speed is not so fast. Closed activities are more adaptable for them, but the activities also should be meaningful. This workbook model should b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constant study and various verifications in actual classroom condition. It should also act as the baseline data to develop more materials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for differentiated and self-leading learning.

      • 만5세 파랑반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관한 실행연구

        최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연구자가 파랑반에서 실시하는 자유선택활동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공립병설유치원인 사랑유치원 만 5세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만 5세 파랑반 교사 1명과 유아 26명이다. 먼저 연구자가 주간교육계획안과 유아 관찰, 반성적 저널을 통해 자유선택활동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6월 20일부터 11월 18일까지이며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문제점 인식, 문제점 인식에 따른 효과적인 실행 방안 1차 실행과 평가, 2차 실행방안 실행과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자유선택활동 운영은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으며 활동 과정을 영상으로 녹화 및 전사하여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외에도 자유선택활동에 관한 연구자 저널, 활동사진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파랑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주도에 의해 자유선택활동을 선정하고 계획하여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가 반영되지 않고 있었다. 이미 교사가 마련한 활동의 범위 안에서만 유아들은 활동을 선택하고 계획할 수 있었다. 둘째, 놀이 계획-실행-평가 과정이 관행적이고 형식적이었다. 유아들의 개별적 놀이 계획 시간이 즐거운 놀이를 위한 진지한 고민을 하는 시간이기 보다는 놀이 계획표를 작성하는데 급급하였다. 실행의 과정에서도 영역별 인원 수를 제한하기 위한 이름표 사용으로 인해 유아 간에 불필요한 갈등이 발생하였다. 평가 과정에서는 활동의 심화를 위한 유아들 간에 공유된 반성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유아들의 단순한 만족도를 확인하는 수준이었다. 교사 주도의 자유선택활동과 관행적인 놀이 계획-실행-평가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는 1차 실행으로 ‘자유선택활동 평가-계획-실행을 위한 대집단 토의 활동’을 실시하였다. 대집단 토의 활동은 자유선택활동의 운영에 있어 유아들을 의사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기 위한 방법이었다. 1차 실행 결과, 놀이 계획·평가표를 작성하고 놀이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던 놀이 계획과 평가가 놀이에 대한 반성을 강조하는 ‘놀이 평가-계획’시간으로 질적인 변화를 이루었다. 또한 교사는 영역별 인원 수를 제한하기 위한 이름표 사용을 철폐함으로써 유아들의 자유로운 활동 선택을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에 새로운 실행 방안으로 인해, 토의에 참여하지 않는 유아가 나타나고 교실 환경이 산만해지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연구자는 기존의 방법의 방법을 고수하면서도, 언어적 토의 활동 뿐 아니라 그림과 신체를 활용한 토의 활동을 도입하여 모든 유아가 토의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유아 주도의 흥미 영역 재구성을 통해 교사에 의해 계획되었던 교실 환경이 유아의 요구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였다. 연구자는 마지막으로 실제 현장의 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을 운영하며 경험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의 개발과 다양한 연령에 적합한 놀이 계획-실행-방법의 개발을 추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