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e Paralogismen in der Ersten und der Zweiten Auflage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 최인숙

        최인숙 Johannes Gutenberg Univ. Mainz 1990 해외박사

        RANK : 247647

        Phospho gluco mutase (PGM)는 glucose-1-phosphate와 glucose-2-phosphate를 상호 전환시키는 효소로써 탄수화물 대사에서 필수적 교량 역할을 담당한다. 효모 Sacchar omyces cerevisiae에는 두개의 PGM isozyme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효모가 galact ose 배지에서 정상적으로 자라기 위해서는 주 PGM isozyme이 꼭 필요하며, 유전적으로 GAL 5 locus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주 PGM isozyme의 activity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 PGM isozyme의 역할에 대해서는 알려진것이 거의 없고, 부 PGM isozyme 의 activity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도 아직 발견된 것이 없으나, 부 isozyme의 ac tivity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locus에는 두개의 allele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PGM은 galactose 대사과정에 필수적이면서도 galactose의 존재 유무에 의하여 표현이 library를 이용하여 주 및 부 PGM isozyme의 cloning을 시도한 바 세개의 서로 중복되 지 않는 clone을 얻게 되었다. 이들의 성격규명 과정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1) 세 clone중 하나는 GAL 5 locus였고, 2) GAL 5 locus는 효모의 주 PGM isozyme을 수록한 유전자이며, 3) GAL 5 유전자는 전사적으로 galactose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고 , glucose가 존재하면 발현이 억제되며, 4) GAL 5 유전자의 전사는 galactose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하는 regulatory 유전자들인 GAL 4, GAL 80, GA L 3의 조절을 받으며, 5)GAL 5 유전자가 없으면 sporulation 능력이 저하되며, 6) G g al 3와 gal 5의 혼합돌연변이 주는 α-galactosidase의 발현을 유도할 수 없다는 사실 을 발견하였다. GAL 5 이외의 다른 두 clone들의 기초적 성격 규명을 통하여는 1) 둘 중 하나는 gal 5 돌연변이 주 내에 한 copy만 존재하면 구제할 수 있는데 반하여, 다 른 하나는 5-20개의 copy가 존재해야만 gal 5 돌연변이를 구제할 수 있다. 2) 한copy 만 있어도 gal 5돌연변이를 구제할 수 있는 clone과 GAL 5 유전자와는 서로 염기서열 의 유사성이 있으며, 또 gal 5 돌연변이의 Supression에 관련되어 있고, 3) 여러개의 copy가 존재해야 gal 5 돌연변이를 구제할 수 있는 clone은 haploid 세포의 생명유지 에 필수적인 유전자이고, 4) GAL 5 이외의 두 clone들의 전사적 발현은 GAL 4, GAL 80 , GAL 3의 조절을 받지 않는 듯 보이며, 5) GAL 5 이외의 두 clone들의 유전적 loci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위의 실험결과들은 PGM의 탄수화물 대사와 관련하여 효모의 주 및 부 PGM isozyme의 역할에 대하여 암시하는 바가 크다.

      • 그림책읽기 중재가 초등저학년 발달장애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최인숙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ultimate goal of inclusive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 recognized as equal peers by their classmates and perform as social members in a general school environment. Essential to their successful inclusion into a regular class is their socialdevelopment, which involves beginning social relationships and engaging in interactions with regular students in a natural mix. However, the quality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in an inclusive class is not very high due to their low social cognition andresulting lack of initiative social skills. A social development program is an absolute requirement for disabled students so that they can have smooth interactions with their non-disabled peers in inclusive education. Such a program will naturally generate more effects when applied to lower graders, who need educational instruments and intervention methods that utilize visual stimuli fit for their development stages. In that sense, picture book reading makes a good candidate in that it is fit for the levelof lower graders, helps them take hints from non-verbal means such as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thus increase their social cognition, and contributes to their social development.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research on the effects of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on the sociality of lower graders with disabilities. Thus this study set out to administer a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to lower elementary grad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n an inclusive class and investigate what kind of effects it would have on their social cognition and initiative social skills. Different design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f social cognition and initiative social skills. For the former, pre-post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n instrument developed by Lee Jun-pil (2010) based on the Scale for Children’s Withdrawal by Seo Jeong-hwa (2009). For the latter, the frequency of initiative social skills was measured at the baseline and during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AB design.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changing the social cogni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nd lack of sociality. Second, the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initiative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nd lack of social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lower elementary graders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nd can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rove their adaption to school life.

      • 「이화몽(梨花夢)」 연구

        최인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화몽(梨花夢)」은 이화와 김원성의 결연을 중심으로 한 애정소설로 1914년에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처음으로 발행된 총 123면의 국문 활자본 소설이다. 초판에 이어 4판까지 발행한 소설로 현재 알려진 이본은 없다. 이 연구는 고소설 「이화몽」의 순차구조와 의미, 인물 특징, 갈등 전개 양상과 극복 의미, 형식상 특징, 그리고 다른 설화와 고소설과의 관계, 작가 의식 및 소설사적 의의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화몽」은 이화와 원성의 결연(結緣)을 그린 애정소설로, 둘의 사랑을 방해하는 여러 장애 요인을 극복하고 애정을 성취하기까지의 과정을 중심내용으로 삼고 있다. 순차구조로 애정소설의 구조에 일치하는 ‘도입→만남→헤어짐과 고난→고난 극복과 만남’과 애정소설과는 거리가 있는 ‘김원성의 고난과 극복’을 설정하였다. ‘도입’은 김원성을 소개하는 부분으로 큰 인물이 될 수 있는 자질을 소개한다. ‘만남’에서는 꿈의 계시로 만나 인연을 맺는 원성과 이화의 모습이 보이고, 이화의 도움이 제시된다. ‘헤어짐과 고난’은 원성의 학문 수양 기간에 원성과 이화가 고초를 겪는 부분으로, 이화의 정절이 돋보인다. ‘고난 극복과 만남’은 고난을 이겨낸 원성이 암행어사가 되어 정절을 지킨 이화와 해로하게 되는 부분이다. 애정소설의 구조에서 벗어나는 순차구조가 덧붙는다. ‘김원성의 고난과 극복’은 살인 혐의를 받게 되는 부분으로 홍판서의 딸로 인해 해결된다. 「이화몽」의 중심인물은 김원성과 이화이고, 주변 인물은 선인형에 홍판서와 그의 딸, 악인형에 평양군수와 김목사이다. 중심 인물은 양반 남성 대 천인 여성의 관계로 맺어져 있는데, 이 중 천인 여성인 퇴기 이화는 지인지감(知人之鑑)이 있는 인물로 사랑에 적극적이고 시나 서화에 탁월한 실력을 가진 인물이다. 이것은 당시 수많은 여성 독자층의 욕구를 대변해주는 기능을 이화가 담당해 주고 있음을 이야기해 준다. 즉, 적극적이고 지혜로운 기생 이화가 원성과 사랑을 성취해 나가며, 그 과정에서 신분 상승 욕구를 이룬다. 선인형 주변인물로 두드러지는 인물이 홍판서의 딸이다. 그녀는 원성이 살인 혐의를 받아 위기에 처했을 때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그 결과 진상이 밝혀지게 만든다. 이화와 홍판서 딸의 공통점은 여성의 적극성과 중심적 역할이다. 이는 당대 사회 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평양군수와 김목사는 악인형 주변인물로 탐욕형 인간의 말로를 그대로 따르게 된다. 중심 인물인 원성과 이화에게서 보이는 갈등 양상은 개인 내부의 심리적 모순이나 대립에 의해 생기는 내면의 갈등보다는 대립적 인물과의 갈등이나 자신이 속한 사회 환경과의 갈등이 주가 된다. 이러한 갈등을 두 사람은 자신의 의지에 의해 극복해 나간다. 갈등 극복은 원성에게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가지는 것과 입신양명(立身揚名)의 의미를, 이화에게는 양반 남성과의 애정성취의 의미를 지닌다. 「이화몽」에는 예전과 다른 형식상의 특징이 보인다. 구체적인 장면을 제시하는 서두, 독특한 인물 제시 방법, 새로운 어휘 사용 및 대화와 지문 구분, 서술의 역전 등이 그것이다. 고소설은 유형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일련의 형식적·내용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비슷한 유형의 고소설과의 관련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설화의 수용과 변이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설화와의 관계는 「이화몽」이 발행된 시기를 고려하여 소설에 영향을 준 것만으로 한정을 했다. 의기설화로 노진 설화와 김우항 설화, 상가승무노인곡(喪歌僧舞老人曲) 설화, 박문수 설화, 이웃집 처녀 종아리 때린 김한국 설화 등에서 「이화몽」과의 연관성을 보았다. 두 의기 설화에서는 공통 항목을 추출하였다. 인물 설정, 전체적인 이야기 구성면에서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다른 세 설화를 삽입하여 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하고, 중심인물 형상화에 기여하였다. 「이화몽」은 이러한 여러 설화를 수용하여 구성면에서 설화보다 더 짜임새 있고 복잡하게 소설화한 모습이 엿보였다. 또한 「이화몽」이 설화를 수용하여 김원성과 이화의 성격과 역할을 더욱 구체화해 놓았음을 보았다. 「이화몽」과 관계있는 고소설로는 먼저 「춘향전」이 있다. 「이화몽」의 전반부가 의기설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면 후반부는 「춘향전」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화몽」의 ④~⑧ 단락이 「춘향전」과의 일치를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문체에서도 유사성이 보인다. 「옥단춘전」과도 일곱 개의 항목이 일치한다. 「옥단춘전」과 「이화몽」의 연관성은 선후 관계를 명백히 밝히기는 어렵다. 「옥단춘전」이 작자와 연대가 미상인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치하는 내용이 많은 부분에서 보이므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은 확인할 수 있다. 「이화몽」에서 작가는 이화를 통해 성별을 초월한 능력 실현과 여성이 중심이 된 애정 성취, 그리고 신분상승 욕구를 구현하려고 하였다. 원성을 통하여서는 애민(愛民)사상의 발로와 충(忠)의 구현, 선(善) 지향 의식을 담고자 하였다. 이 소설은 당대 모순된 현실을 고발하고 비판하며, 당시에 팽배해진 남녀평등 의식과 여성 해방 의식을 담고 있으며, 민중의 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 Skemp의 관계적 이해와 도구적 이해에 기초한 수학 교과서 분석 : 제7차 개정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최인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ltimate object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o acquire mathe- matical knowledge, to foster an ability of considering and resolving various phenomena and problems from a mathematical perspective and to take a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Understanding is especially mandatory for successful mathematics learning, and students are able to acquire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als and rules and to improve their mathematical thinking faculty through understanding. In our country, students tend to make a good mathematics achievement, but they aren't confident of and interested in mathematics enough. They are hardly expected to boost their own mathematical ability unless there is improvement in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iddle school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revised 7th curriculum based on Skemp's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instrumental understanding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mathematics learning. It's ultimately meant to stir up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mathematics learning.

      • 부부의 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연구

        최인숙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부의 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용서와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부부위기 문제의 특성에 따른 용서와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셋째, 용서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성인기혼남녀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용서척도와 결혼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방법은 ANOVA와 t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용서의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투입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용서의 정도에서 남성과 연령이 낮거나 결혼 년수가 낮은 부부일수록, 응답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는 사람이 용서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월 소득에 따른 용서의 집단간 변량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간에 유의한 변량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평균차이를 살펴보면 남성과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결혼 년수가 짧을수록, 대체적으로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는 사람이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월소득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기를 초래하는 문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 자녀문제에 따른 용서의 차이비교에서는 고민 ·고통기간, 배우자 외도문제에 따른 용서 차이비교에서는 모든 변수가, 경제적 문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는 부부위기 경험유무와 이혼충동이, 시댁과의 갈등과 용서와의 관계에서는 이혼충동이, 배우자의 폭력과 용서와의 관계에서는 모든 변수가, 배우자의 역할상실문제와 용서와의 관계에서는 부부위기 경험유무와 고민 ·고통기간 및 이혼충동이, 배우자와의 의사소통과 용서와의 관계에서는 모든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위기문제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녀문제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부부위기 경험여부와 고민 ·고통기간 및 이혼충동이, 경제적 문제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차이에서는 부부위기 경험유무와 이혼충동 정도가, 시댁과의 갈등문제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에서는 고민 ·고통기간과 이혼충동 정도에서, 배우자의 역할상실문제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는 부부위기경험여부와 고민 ·고통기간이, 배우자의 외도와 의사소통문제와 배우자의 폭력문제에 따른 결혼만족도의 차이의 분석결과는 모든 영역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평균 및 변량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용서의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사회 복지적 차원에서 이혼 전 숙려기간이나 이혼 전 상담기간에 용서개입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과 중장년 및 노년부부에 대한 부부관계강화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되며 용서와 결혼만족도의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검증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of forgiveness experience and satisfaction of marriage life in crisis between married couple. Therefore, the followed purposes of the study can be presented. Firs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forgiveness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by general characteristic. Seco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forgiveness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by characteristic of crisis in married couple. Thir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To achieve the purposes the researcher surveyed 429 married people who lived in Jeonbuk Province and used the measure of forgiveness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Additionally, the researcher analysed with SPSS 11.0 program and used the method of ANOVA and T-test. The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ed. First, in the result of analysis for the extent of forgiveness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 meaningful difference is verified in all the variables invested. In the extent of forgiveness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 younger married couple are and the higher married couple are educated, the more extendable forgiveness they have in the case of non-religious. Also,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 in each group by monthly income, the meaningful difference is verified between each group. Second. observing the difference of average by general characteristic in relation of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the younger married couple are and the higher married couple are educated , the higher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they have in the case of non-religious. Also, the more monthly income married couple have, the higher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they hav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s which caused crisis and forgiveness by children problems, all variables in the forgiveness difference by the problems of agony, painful period and secret love affairs of a spouse are meaningfully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roblems and forgiveness the variables of the existence of married couple's crisis and the urge of divorce are meaningfully verified.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oubles with family of one's husband and forgiveness the variable of the urge of divorce is meaningful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olence of a spouse and forgiveness all variables are meaningfully verified. Additio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 of role-loss of a spouse and forgiveness the variables of existence of the married couple's crisis, agony, painful period and urge of divorce are meaningfully verified.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with a spouse and forgiveness all variables are meaningfully verifi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y a feeling of a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with children problems the variables of the existence of married couple's crisis and the agony, painful period and urge of divorce have meaningful difference in each group average. In the difference of a feeling of a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by economic problems, the variables of the existence of married couple's crisis and urge of divorce have meaningful difference in each group average. In the difference of a feeling of satisfaction of marriage life by the problems of troubles with family of one's husband, the variables of agony, painful period and urge of divorce are meaningfully verified. Also, in the difference of a feeling of satisfaction by the problems of role-loss of a spouse, the variables of the existence of married couple's crisis and agony, painful period are meaningfully verified. Finally, in the difference of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by the problems of secret love affair, communication and violence of a spouse, all variables are meaningfully verified in each group average. Fifth, the higher level of forgiveness married couple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they have. Ac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for middle-aged and old-aged married couple with the need of operation in forgiveness programs for the period of pre-divorce. And the study presents that the research of the forgiveness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in marriage life should be studied and verified continuously.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최인숙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ection 1 necessity of the research The growth of older population of our country shows fast progress in both ways, contents and speed. Population ratio over 65 years old among whole population have been growing from 7.2% in 2000, 8.3% in 2003, and 9.9% in 2007, and the tendency will accelerated to 14.3% in 2018, and over 20.8% in 2026(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7.1), our country is expected to enter to the era of an aged society in shortest period in the world. Since our country entered aged society in year 2000, the growth rate have been increased. -> has become increasingly. While it took 114 years for France to reach an aged society, 72 years for United States of America, 40 years for Germany, and even 24 years for Japan, which is comparatively fast, our country is forecasted to enter an aged society in 18 years. -> have taken only 18 years. Along the tendency of aging society, rapid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is being progressed. Sustenance Allowance in 2007 is 13.8%, which increased 4.9%p from 1997's 8.9%, is predicted to increase to 21.8% in 2020, and 37.3% in 2030. Also, Older Population Index will increase from 55.1 in 2007, which means 55 older population for every 100 juvenile population(0 to 14 years old), to 100.7 in 2016. The decrease in birthrate is one of the reason for the sudden change of the population structure. The birthrate of our country was 1.08 in 2005, slightly increased to 1.13 in 2006 and 1.26 in 2007. Though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there still was social consciousness that the family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their own older population. However, in recent days, because of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 family consciousness, and the increasement of women entry to society, which proved that the family only cannot afford and not enough for the responsibility of older population, and that the responsibility is not only the matter of families, but also of society, the government and social organizations started to research for solution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Feb. 16th after decided the Long-term Care System a Government measure in a Cabinet council which system had passed through the documentation of the Office of Legislation in 2006. Since then there was an alternative proposed legislation by common consent in a measure subcommittee, after five proposed legislations at member's instance and a bill of petition get to a standing committee, at last Long-term Care System was established by law April 27th, 2007. Section 2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set its limit to study the tools and systems used in 1st, 2nd, and 3rd exhibition projects, the problems observed in those results of long-term medical treatment insurance for older population so that we can find the improvement solutions and the operating schemes before the enforcement. Research contents of these treatise presented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n chapter 1 as an introduction, the core contents of long-term medical treatment insurance for older population in chapter 2 as a background, the investigation on the analyzing the examples from an advanced countries in chapter 3, the problems from the exhibition projects in chapter 4, the proper way of development of the long-term medical treatment insurance in chapter 5, and the conclusion in chapter 6.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the results from the exhibition proj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older population. Analyzed results are from 1st exhibition project from July, 2005 to March, 2006 in 6 other cities, districts, 2nd project from April, 2006 to April, 2007, 3rd project from May, 2007 to June, 2008. Main quotations are from 'Main conten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older population and propulsion direction'(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lational documents and statistics from various source of books, researches, and internet.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는 그 내용이나 속도에 있어 급속한 진행을 보이고 있다.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에 7.2%, 2003년에 8.3%, 2007년에 9.9%로 증가하였고 이후 인구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되어 2018년에 14.3%로 고령사회가, 2026년에는 20.8% 이상을 초과하는 초 고령사회가 각각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통계청, 2007.7.1기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최단기간에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고령화가 계속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사회에 도달하는 데 걸린 기간을 보면 프랑스는 114년, 미국은 72년, 독일은 40년, 고령화속도가 비교적 빠르다고 하는 일본이 24년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18년밖에 걸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고령화와 더불어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즉, 노년부양비(老年扶養比)는 2007년 13.8%로 10년 전인 1997년 8.9%에 비해 4.9%p 증가하였고, 이는 향후 2020년에 21.8%, 2030년에는 37.3%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2007년 노령화지수는 55.1로 유년인구(0~14세) 100명당 노인인구가 55명이지만, 2016년에 100.7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는 출산율저하도 한몫을 하는데 한국 여성의 출산율은 매년 감소추세에 있으며 최저출산율을 기록한 2005년 1.08명이래 다행히도 2006년 1.13명에 이어 2년 연속 증가되고 있어 2007년 출산율은 1.26명을 기록했다. 이러한 심각성에도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노인들에 대한 부양책임을 가족이 져야 한다는 의식이 남아있었으나 최근에 이르러 가족구조 변화 및 가족의 의식변화 여성들의 사회 참여 등 여러 요인 등으로 가족이 부양책임을 다하기에는 역부족인 현실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노인들의 부양문제는 이제 더 이상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로 양성화 되었고 국가나 사회적 차원에서 그 해결책과 방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실행되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난 2006년 법제처 심사를 거쳐 2.7일 국무회의에서 노인수발보험범 정부안(이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으로 변경)을 확정하여 2.16일 국회에 제출하였다. 이후 5개 의원발의 입법안과 1개 청원법안이 상임위에 일괄 상정(‘06.9.18)되어 법안소위에서 여야합의로 대체입법안이 마련되고 드디어 2007. 4. 27일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제정?공포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본 사업을 시행하기 전에 실시한 1차 2차 3차 시범사업에 적용된 각종 도구나 시스템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나타난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 보다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기준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제1장 서론으로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을 제시하였고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주요 내용을 다루었고 제3장에서는 선진국의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를 고찰했으며 제4장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범사업 운영결과를 조사해 문제점을 짚어보고 제5장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바람직한 발전방향과 제6장에서는 이에 대한 결론을 맺었다. 한편,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시범사업 평가 결과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2005년 7월부터 2006년 3월까지 9개월간 전국 시군구 6개 지역에서 실시된 1차 시범사업의 평가 결과와 2006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11개월간 실시된 2차 시범사업의 평가 평과와 2007년 5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실시중인 3차 시범사업의 평가 자료로 활용 분석하였다. 주요인용 자료는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내용과 향후 추진방향’과 그 밖의 국내외 관련 서적 및 각종 문헌 통계자료, 조사자료,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참고하였다.

      • 프로젝트 특성별 프로젝트 관리영역 감리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최인숙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정보 시스템 프로젝트가 많아 지면서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이 부가되고 있다.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PMBOK)의 관리영역은 범위관리, 일정관리, 비용관리, 품질관리, 인적자원관리, 의사소통관리, 위험관리, 조달관리 프로젝트 통합관리 등 9개 영역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각각의 프로젝트 관리 활동은 프로젝트의 성격과 프로젝트가 수행되는 환경에 따라 그 중요도가 달라 질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국내 상용하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들을 연구하여 대상 프로젝트에 맞는 관리 방식을 채택 함으로써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기 위한 관리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국내 정보시스템 프로젝트의 경우, 대상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개발 및 구축 기간의 장기와 단기 및 시스템의 규모가 대체로 크고 많은 비용이 소요 되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와는 다른 프로젝트 관리 방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SI 프로젝트의 일반적인 성격과 국내의 프로젝트 수행환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프로젝트 관리 방식을 도출하고 이의 성공적인 수행여부를 감리하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With the recent increase of information system projects, the importance of project management is being highlighted. The management area of the general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PMBOK) is defined as including nine areas such as the scope 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cost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communication management, risk management, procurement management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 This activity of each project management may differ i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project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adjust it by the judgement of the project manager.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management scheme for a project to be successful by adopting the management method suited to the prospective project and investigating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ologies commonly used at home. The domest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requires the project management method different from existing general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because the period of its development and buildup is long-term and short-ter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system and it generally has the large size and takes the large cost. This study sought to elicit the desirable project management method suited to the project and present the scheme to supervise whether it is successfully carried ou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general nature of the SI project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of project implementation.

      • 염상섭문학의 개인주의

        최인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염상섭과 그의 문학에서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 1806~1856)를 기원으로 하는 개인주의 사상의 형성과정을 추적하고 그 문학적 수용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필자는 기존의 염상섭 연구에서 「개성과 예술」을 자연주의문학론으로 이해하고 있는 점에 의문을 가지고, 자아의 각성과 해방의 문제를 제기한 개성론에서 자연주의와 개인주의를 함께 거론한 점에 착안하여, 개성론이 개인주의 사상과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문제의식을 가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염상섭의 전기적(傳記的) 사실과 관련해서 잘못된 점을 바로 잡았다. 염상섭 문학을 중인적 의식에서 형성된 것이라는 김윤식의 주장은 염상섭이 중인인지의 여부도 불분명할 뿐더러 근대문학자인 염상섭을 중인의식으로 환원시키려는 것은 문제라고 보았다. 따라서 염상섭 문학을 추동하는 사상적 토대는 막스 슈티르너를 기반으로 한 개인주의라는 것을 밝혔다. 막스 슈티르너의 개인주의는 유일자로서의 개인의 절대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개별성과 다원성, 무규정성을 특징으로 하며, 반역과 에고이스트연합을 주장한다. 둘째, 개인주의 사상의 전파, 수용과정과 더불어 개인주의와 관련된 담론도 함께 고찰했다. 프랑스에서 개인주의는 생시몽주의자들에 의해 이기주의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개성 존중의 낭만적 경향을 띤 독일의 개인주의는 막스 슈티르너, 니체 등에 의해 새로운 의미가 부여되었다. 일본에서는 막스 슈티르너보다 니체가 먼저 소개되었다. 후기 자연주의에서 개성을 강조하는 경향은 독일의 개인주의 사상이 혼효되었기 때문인데, 이것은 다카야마 초규를 통한 니체 수용과 1906년 헨릭 입센 사후의 입센 붐과 관련이 있다. 막스 슈티르너는 다이쇼 초기에 오스기 사카에에 의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했고, 쓰지 쥰에 의해 『유일자와 그의 소유』가 완역되었다. 염상섭은 슈티르너의 개인주의를 자신의 사상적 자양분으로 삼아 개성론이라는 독특한 문학론을 구축했다, 일본의 후기 자연주의는 에밀 졸라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의 자연주의보다는 개성을 긍정하는 독일의 자연주의와 친연성이 있다. 따라서 염상섭의 자연주의는 개성을 긍정하고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독일의 자연주의와 가깝다. 셋째, 염상섭이 개인주의 사상과 조우하게 된 것은 일본 유학 체험을 통해서이다. 염상섭은 요시노 사쿠조, 오스기 사카에, 시라카바파의 야나기 무네요시 등과 유학생 동료들을 매개로 교류하면서 개인주의 사상을 형성해 나갔다. 민본주의를 주장한 요시노 사쿠조는 김우영을 매개로, 사회주의적 개인주의 아나키스트인 오스기 사카에는 나경석을 매개로 염상섭과 연결되어 있다. 시라카바파 문인 가운데 야나기 무네요시는 남궁벽을 매개로 염상섭과 폐허파 문인들과 연결되었으며, 황석우는 『근대사조』, 『삼광』, 『폐허』로 이어지는 잡지 발간을 통해 문인들과 사상운동가들을 매개하였고, 폐허파의 구성원 대부분이 아나키즘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다. 염상섭의 교우관계는 보성중학 출신들로 인맥이 형성되었는데, 특히 동창인 최승만을 매개로 해서 최승구, 김우영, 나혜석, 나경석 등과 연결되었다. 최승구는 개인주의 아나키스트이며, 나경석은 아나코 생디칼리스트였다. 염상섭은 자신의 문학적 지향을 최승구와 같은 개인주의 아나키즘으로 삼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개인주의와 사회주의를 결합한 일본의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의 사회적 개인주의는 염상섭의 사상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염상섭 문학은 개인주의 문학의 계보에 속하는 대표적 작가인 헨릭 입센과 오스카 와일드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 헨릭 입센의 『인형의 집』은 「제야」, 『너희들은 무엇을 얻었느냐』, 『사랑과 죄』 등에서 자아각성의 모티프로 변용되었다. 오스카 와일드의 「사회주의하의 인간의 영혼」, 「모범적인 백만장자」, 「살로메」 등은 각각 「암야」, 『너희들은 무엇을 얻었느냐』, 『진주는 주었으나』 등에 이기심, 자유연애와 경제적 자립, 악녀 모티프 등으로 변용되었다. 염상섭은 오스카 와일드의 문학을 유미주의가 아닌 개인주의 측면에서 수용하여 예술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인생을 위한 예술관을 가지게 되었다. 개성론을 개인주의 사상에 입각한 문학론이라고 이해할 때, 개성론에서 생활론으로 변모했다는 논의는 재고되어야 한다. 개인주의를 기반으로 형성된 염상섭의 개성론은 생활론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자연주의에서 사실주의로의 변모는 「묘지」에서 「만세전」으로 개작하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변모가 일어난 작가의 내적 계기는 『동명』에서의 기자생활에서 기인한다고 파악했다. 여섯째, 염상섭 문학과 개인주의의 상관성을 고찰하기 위해 관련 작품을 분석했다. 먼저, 초기 삼부작에서 「만세전」에 이르는 소설들이 자아각성과 고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을 밝혔다. 자아각성의 문제는 각성할 대상을 전제로 한 것이며, 이는 당대 사회현실을 전제로 한 것이다. 「제야」, 「너희들은 무엇을 얻었느냐」 등에서 다루고 있는 자유연애가 단순히 남녀 사이의 문제가 아니며, 경제적 자립이 자주인(自主人)의 전제조건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연애결혼에 성공한 「조그만 일」에 등장하는 길진 부부의 경우에도, 부부 사이의 애정 못지않게 생활의 기초로서의 물적 토대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어 있다. 이러한 염상섭의 인식에서 정신적 가치와 물질적 가치를 모두 중시하는 중도적 관점이 드러난다. 「제야」의 정인과 「미해결」의 정순이 자살을 선택한 것은 가부장권에 대한 저항과 함께 절대 자유를 희구하며, 현실을 타파하고 신생(新生)을 모색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한편, 「제야」의 정인은 현실을 초극하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인물로 니체의 위버멘쉬를 연상케 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염상섭은 막스 슈티르너와 니체, 오스기 사카에에 이르는 개인주의 사상가와 헨릭 입센, 오스카 와일드, 다눈치오 등에 이르는 개인주의 작가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문학세계를 구축해 나갔음을 밝혔다. 따라서 염상섭의 문학론인 개성론은 막스 슈티르너의 개인주의 사상에 그 기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염상섭의 문학 세계는 염상섭 자신의 개성의 산물인 동시에 자아 충실의 결과이다. 염상섭 문학이 가진 생명력은 개인의 자유를 구속하는 일체의 것을 배격하고, 이 세상에 오직 하나밖에 없는 유일자로서의 개인이 가진 개별성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그 차이를 긍정한 데서 온 것이다. 염상섭 문학의 근대성은 개인주의에서 기인한 것이다. 핵심어 : 개성, 개인주의, 자연주의, 막스 슈티르너, 자아주의, 아나키즘, 절대 자유 와 해방, 자아각성, 자아실현, 자아충실, 자기혁명, 자립과 자주, 현실 타파, 오스기 사카에, 헨릭 입센, 오스카 와일드, 중도적 관점

      • 춘천지역 외국인계절근로자제와 문화적응에 대한 연구

        최인숙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춘천시 도심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농가와 농업 인구수는 감소하고 있고, 많은 부분의 시설재배와 과수의 생산량 증가 등으로 보아 외국인 계절 근로자 수요는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외국인 계절 근로자들의 복지와 문화의 접목사업은 양국의 안정적 농업발전과 지역의 문화적응, 서로간의 문화이해를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다. 춘천은 전국 도·농복합지역 중 최대규모의 외국인 계절 근로자제도을 운영하고 있어, 계절근로자 제도의 이행과정을 살펴보면서 춘천농촌 현장에서 이뤄지는 문화요소와 문화적응을 연구 함으로서, 춘천뿐만 아니라 외국인계절근로자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의 정책 반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춘천의 외국인계절근로자제 이행과정을 살펴보면 농가와 외국인계절근로자 간의 관계 속에서 서로간의 농업 작물생산이라는 공동작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문화 차이를 극복하는 모습과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필요한 학습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농가와의 친밀한 여가활동을 통해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 등이 교류되고, 그들 스스로 춘천농촌지역에 대한 소속감을 갖게 하는 기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관계자들 즉 지역주민과 고용농가, 관계공무원, 상담역할을 하는 기간제 직원과의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통한 친밀감으로 춘천시 농촌공동체의 일원이 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춘천 농업발전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외국인계절근로자들의 자긍심 고취와 춘천의 문화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외국인계절근로자와 농업인의 문화 및 화합을 위한 문화행사 등을 통한 소통하는 장 마련이 필요하며, 둘째. 춘천에서의 외국인계절근로자로 활동한 기간을 높이 평가하고 춘천에서의 근로활동을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도록 명예농업인 또는 명예춘천시민으로 위촉하여 대한민국 춘천에서의 근로에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 것, 셋째, 춘천에서 배운 선진농업기술을 자국에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그들이 습득 가능한 농업기술을 전수해 주는 교육시스템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 내 한국어교사 자격증소지자와 외국인근로자와의 일대일 매칭으로 한국어에 능숙하지 못해 생기는 마찰 등을 줄이고 한국을 더 이해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연계 추진도 고려해 봄직 하다. 춘천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대한민국 문화특별시 사업 추진과정과 안심먹거리 사업 그리고 외국인 계절 근로자제도가 연계한 농업문화 사업으로 도·농 복합 지역의 특성을 살린 춘천만의 특별한 농업문화사업으로 성장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