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율동아리 활동 참여 유무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경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utonomous Club Activity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Eun Kyung Cho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autonomous club activities on academic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228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hose who participated the autonomous club activities and non-engaged in the autonomous club activities, and pre -post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participation in autonomous club activities affected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respectively.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pre-post-effect of participating in autonomous club activities through correspondence sample t-test in case of career maturity with prior homogeneity. The pre-homogeneity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autonomous club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positively. Give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자율동아리 활동 참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자율동아리 참여 집단과 미 참여 집단 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자율동아리 활동의 참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전 동질성이 확보된 진로성숙도의 경우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자율동아리활동 참여의 사전-사후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전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자율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다. 학교 교육에서 자율동아리 활동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자율동아리 활동 활성화 방안과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J. S. Bach Partita No. 1 BWV 825와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 2 No. 3 연구

        최은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h는 1720년 후반에 6개의 Partita를 작곡하여 1731년에 출판하였다. Partita No. 1 B♭Major BWV 825는 7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있다. 모음곡의 기본악장인 Allemande - Corrente - Sarabande – Giga 에 도입 역할을 하는 Praeludium이 삽입되며, Sarabande와 Giga 사이에 Minute ⅰⅱ가 등장한다. Praeludium는 대위적 기법으로 작곡되며 Bach의 모음곡 첫 악장으로 자주 등장한다. Beethoven Piano Sonata Op. 2 No. 3 C Major는 4악장 구조로 방대한 규모의 작품이다. 제 1악장은 sonata allegro form으로 재현부 coda부분에 cadenza가 삽입되어 연주자기교를 보여준다. 제 2악장은 2부분 rondo form으로 서정적이며, 제 3악장은 scherzo형식으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의 scherzo와 minor의 어두운 분위기를 나타내는 trio가 대비된다. 제 4악장은sonata-rondo form으로 rondo의 주제선율은 악장 종결부분에 trill과 함께 등장하여 방대한 길이의 곡을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 토론을 활용한 논술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은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purposes to prepare a method using discussion activities and its concrete strategy for the ext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ssay-writing ability and to apply it to actual classes. For this purpose, I have tried to clarify discussion activity being effective for essay-writing education by examining preceding studies, and provide a creative essay guideline, preparing theoretical groun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Essay-writing has an educational value in which it helps extend learners' logical thinking power, creative power and rational problem-solving power. However, the guidance for essay-writing in actual school setting, usually is a form in which a teacher brings up a theme and asks students to write immediately, and then he or she corrects and grades their writings. This is a product-centered guidance for writing that omits process, and in this process, students feel difficulty in generating content and further keep away from essay-writing. In addition, current essay-writing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guiding area of Korean subject, being stressed on some students in a high rank. Thus, I tried to find out a method for essay-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ctualiz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Korean curriculum for all learners. As the schemes for that, I did, first, allow students to approach essay-writing more easily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a variety of related reading materials, finding topics in Korean textbook. Second, through discussion activity, I induced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and improved their thinking power so that they can write a piece of essay. ChapterⅠ, first, explained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examined precedent studies on the essay-writing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activ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Chapter Ⅱ confirmed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discussion in the pre-stage of essay-writing,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discussion and presented a linking model between discussion and essay-writing, by examining recent trend of research on writing and merits of discussion in the aspect of thinking power. Chapter Ⅲ hypothesized that discussion activity influences positively essay-writing ability, and did a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to inquire reality of current guidance of essay-writing and consequent students' response to essay-writing. Chapter Ⅳ established a guiding plan by extracting topics related to Korean textbook and made a plan for appropriate discussion and teaching-learning connected to essay-writing by selecting types fitting topic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fferent types of discussions in Chapter Ⅱ, and proceeded teaching-learning, producing a drilling paper. Moreover, it also described the influence discussion activity has on essay-writing ability, focusing on cases through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result. Chapter Ⅴ presented limits of this thesis and ma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from those limits.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developing an essay-writing guidance program using discussion regarding essay-writing education and suggesting concrete data to apply this to actual guidance for essay-writing. I hope this will help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essay-writing education in the field of schooling.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논술능력 신장을 위해 토론활동을 활용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전략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토론활동이 논술교육에 효과적임을 밝히고,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여 창의적인 논술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자 했다. 논술은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합리적인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논술 지도는 대개 교사가 학생들에게 논제를 제시하고 바로 글을 쓰게 하며, 교사가 학생의 글을 첨삭?평가하는 형태이다. 이는 과정을 생략한 결과 중심의 쓰기 지도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내용 생성의 어려움을 겪고 더욱 논술을 멀리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현재 논술 교육은 국어 교과의 지도 분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일부 상위권 학생들에게 치중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학습자를 대상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논술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방안으로 첫째, 논제를 국어 교과서 내에서 찾아 관련된 다양한 읽기자료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논술에 다가설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토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사고력을 향상시켜 한 편의 논술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Ⅰ장에서는 우선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밝히고 본 연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토론활동을 통한 논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최근 쓰기 연구의 동향과 토론 활동의 장점을 사고력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논술문 쓰기 전(前)단계에 토론 도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토론의 다양한 유형을 조사하였으며, 토론과 논술의 연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토론 활동이 논술 쓰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현 논술 지도의 실태와 이에 따른 학생들의 논술 쓰기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해 실태 조사를 하였다. 실제로 연구자는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전주시 O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교과서에서 논제를 추출하고 관련 자료를 배부한 뒤 강의식 설명을 한 후, 바로 논술을 쓰도록 하거나 과제로 부여한 후 첨삭지도를 하여 평가하는 식으로 논술 지도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논술 쓰기를 어려워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발견되어,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수업자 반성의 일환으로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논술 수업에 대한 반응을 묻게 되었으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조헌(2006)은, ‘영화매체를 활용한 논술교육 방법론’(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7-p.38)에서 공교육 현장에서의 토론수업의 한계로, 학급 인원의 과다로 전체 학생에 대한 참여유도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율성을 고려하여 특정 학생 몇 명을 대표로 선발하여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그 대책으로 ①특정 학생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매 수업시 이전 수업에서 참여하지 못한 학생들의 발언 유도에 관심을 갖는다. ②수업시간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토론식 수업의 쟁점을 글로 정리하는 과제를 주고 이를 피드백 한다를 들었다. 이는 다음 장의 토론 수업의 실제에서 소집단 토론의 도입과 토론 논제로부터 쟁점 정하기 활동을 도입하는데 참고가 되었다. Ⅳ장에서는 국어 교과서와 관련된 논제를 추출하여 지도 계획을 수립하고 Ⅱ장의 다양한 토론 유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논제와 어울리는 토론 유형을 선별하여 적합한 토론과 논술 연계 교수-학습 계획을 세우고 학습지를 제작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중학국어 2학년 2학기 2단원 이야기의 구조 중 보충?심화에 수록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데기야’를 통해, 신화에 등장하는 원초적인 여성영웅 형상에 주목하였으며, 토론 주제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설정하였다. 이 주제에 적합한 토론 방법으로 ‘반대심문식 토론’을 도입하였다. 반대심문식 토론은 토론 주제가 가치 논제라는 점과, 토론 팀원 간의 활발한 상호 작용을 통해 입론, 교차 조사, 반박 전략 등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토론자가 논증 방법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고 개진함으로써 자기와 다른 의견까지도 인정할 수 있는 태도를 갖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본고에서는 토론 준비 활동-토론 중 활동-토론 후 활동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였다. 토론 준비 활동으로 토론팀 구성, 참가자 역할 부여,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의성을 고려한 교사 제시 자료, 쟁점 설정, 근거 자료 수집, 토론 계획표 작성을 예로 제시하였다. 토론 중 활동에서는 토론 흐름표, 토론 평가표를 통한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후 활동으로는 입장을 정리하는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토론 주제 ‘바리공주는 과연 영웅인가?’를 바로 논술의 주제로 활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그러나 토론한 내용을 종합 정리하는 수준에 그칠 수 있기에 논술의 주제를 달리할 필요를 느꼈다. 앞서 행한 토론을 바탕으로 근거 제시가 가능한 논제를 정하고 교사 제시 자료도 소개하였다. 본 수업의 목적은 토론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기 보다, 토론을 통한 논술 쓰기 능력 향상이므로 토론 활동을 통해 활성화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논술을 써 보고 토론 평가표를 통해 상호평가 하도록 했다.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한계점과 그로부터 차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밝혔다. 본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토론을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논술 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논술 교육의 방법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한국문학 영어 번역의 번역사회학적 연구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한 사례 연구

        최은경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role and interactions of various actors in the process of literary translation from Korean to English. Combining insights from Actor-Network Theory (ANT),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to investigate actors and their network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Over the last decade, researchers have studied translation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applying social theories to study it as a social phenomenon. However, the sociology of translation studies is still unfamiliar to scholars, particularly in Korea, and this requires closer attention in terms of subjects and methodolog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various agents of translation, apart from translators themselves. Moreover, traditional research on the subject has mostly been restricted to limited methods, such as text-oriented research.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across the world, and award-winning translators have shed new light on the previously lesser-known profession and social practice of literary transl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employs Actor-Network Theory to investigate how translation actors form practical networks, which evolve and develop in very specific social circumstances. Specifically, the production of the following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ry works was examined: The Vegetarian, Flowers of Mold, and Hysteria. Qualitative methods can be more useful for describing and identifying translation actors and network building. To collect data, related documents (Yin, 2009) were searched and reviewed comprehensively. Also,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ctors involved in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process. As description is necessary and important in ANT-guided research, networking processes that occurred during the above-mentioned translation project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Callon’s (1986) four moments of translationANT: problematisation, interessement, enrollment, and mobilisat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interactions between human actors (translators, authors, agents, and editors) and nonhuman actors (ST, TT, English partials, publishing houses, and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Korean literature. The investigation of translationANT showed how actors mapped out (problematised), persuaded (interested), recruited (enrolled), and coordinated (mobilised) other actors to publish Korean literature in the U.K. and the U.S. It was also found that many actors involved in the translating process tend to play multiple roles in the literary field as publishers, authors, copy editors and series editors alongside their role as translators. One of the more significant findings to emerge from this study is that actors’ cooperation is crucial in the translation process.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to study collaborative translation between many actor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literary translation should be studied with a focus on various actors, such as authors, agencies, editors, institutions, as well as ST, TT or translators, since translations are initiated and produced not by a lone translator, but by a network of agents (Jones, 2009, p. 303). Moreover,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make the complex network and actors’ roles visible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and publishing Korean literature.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최은경 계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여성 지체장애인 158명을 대상이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PASW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수용,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수용의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의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의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 영향과 장애극복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수용의 직접적 영향은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접적 영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여성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여성장애인의 삶에 중요한 요소이며, 장애수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다양한 심리상담적 접근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a female's disability and her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8 disabled femal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n Kore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in the data. The study found that acceptance of a handicap and overcoming a handica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concluded that disabled women's acceptance of their handicap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a social environment, which can promote the acceptance of handicaps and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support.

      • 패션 CRM 추구혜택 집단의 라이프스타일과 CRM 선호 및 만족

        최은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nsumer is not a passive subject any more now who just consumes product. Recent consumers are showing the image of positive consumer while directly circulating own purchase experience. This study rightly grasps the dis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CRM-seeking benefit, which is high in strategic value for enterprise, with escaping from the method with the center on selling products while vaguely focusing on data analysis with having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Thus, the aim is to suggest direction available for maintaining long-term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rough differentiating product and service desired by customers and creating customer value.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emale consumers who ever have experience of receiving CRM. Totally 400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Scheffe's post-test, cross tabulation, Chi-Square Test(χ²),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RM-seeking benefit, it was divided largely into totally 4 factors in ‘personalization/social-standing seeking,’ ‘economic-efficiency seeking,’ ‘time-saving seeking,’ and ‘information seeking.’ This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in ‘group with high seeking benefit,’ ‘group with middle seeking benefit,’ and ‘group with low seeking benefi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lifestyle, it was divided into 6 factors in ‘fashion orientation,’ ‘planned-purchase orientation,’ ‘positive-coping type,’ ‘social-life orientation,’ ‘digital orientation,’ and ‘sports orientation.’ As a result of clarifying difference in lifestyle by group for CRM-seeking benefi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5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RM preference, 4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purchase-related help,’ ‘event participation/special management,’ ‘economic benefit,’ and ‘message service.’ As a result of clarifying difference in lifestyle by group for CRM-seeking benefi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ll of 4 factors of CRM pre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CRM experience, 2 factors were extracted such as ‘general experience’ and ‘invitation/special-management experience.’ All of three groups for CRM-seeking benefit were indicated to have ever faced more general experi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of CRM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difference was indicated only in satisfaction. However, all of three groups were more than 3.0 on the average,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have dissatisfaction. As a result of seeing difference in loyalty,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y group for CRM-seeking benefit. The group with high seeking benefit had the highest loyalty. As a result of seeing the influence of CRM satisfaction/dissatisfaction upon loyalty by group for CRM-seeking benefit, the group with high seeking benefit and the group with middle seeking benefit for CRM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loyalty in the more satisfaction with CRM. In case of the group with low seeking benefit for CRM, CRM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have no influence upon loyalty. Given synthesizing the findings, it can be known that there is difference in lifestyle and CRM-related behavior(CRM preference, CRM experience, CRM satisfaction/dissatisfaction, Loyalty) according to each group, which was segmented with CRM-seeking benefit. Based on these findings, it has a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summarizes characteristics by each group and that can offer implications in development of the available marketing strategy. 소비자는 이제는 더 이상 제품을 소비만하는 소극적인주체가 아니다. 최근의 소비자들은 직접 자신의 구매경험을 전파하며 적극적인 소비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객 구매정보를 갖고 막연히 데이터 분석에 초점을 맞춰 제품판매에 중점을 둔 방식에서 벗어나 기업에 전략적으로 가치가 높은 CRM 추구혜택에 따른 집단 간 불만과 요구사항을 제대로 파악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차별화하고 고객 가치창출을 통해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CRM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여성소비자로 총 400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교차분석, 카이검정(χ²),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RM 추구혜택 요인 분석 결과, 크게 ‘개인화/사회적지위 추구’, ‘경제성 추구’, ‘시간절약 추구’, ‘정보 추구’의 총 4개의 요인으로 나누어 졌는데, 이를 군집분석하여, ‘고 추구혜택집단’, ‘중 추구혜택집단’, ‘저 추구혜택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의 요인 분석 결과, ‘패션지향’, ‘계획구매지향‘, ’적극대처형‘, ’사교지향‘, ’디지털지향’, ‘스포츠지향’의 6개 요인으로 나눠졌으며, CRM 추구혜택 집단별로 라이프스타일의 차이를 밝힌 결과 5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CRM 선호를 요인 분석한 결과, ‘구매관련도움’, ‘이베트참여/특별관리’, ‘경제적혜택’, ‘메시지서비스’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CRM 추구혜택 집단별로 차이를 밝힌 결과 4개의 CRM 선호 요인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RM 경험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인 경험’과 ‘초청/특별관리 경험’ 2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CRM 추구혜택 세 집단 모두 일반적인 경험을 더 많이 접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CRM 만족/불만족을 요인 분석한 결과 만족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세 집단 모두 평균 3.0이상으로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성도의 차이를 본 결과 CRM 추구혜택 집단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고 추구혜택 집단이 충성도가 가장 높았다. CRM 추구혜택 집단 별 CRM 만족/불만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CRM 고 추구혜택 집단과 중 추구혜택 집단은 CRM에 만족할수록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CRM 저 추구혜택 집단의 경우 CRM 만족과 불만족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들은 종합해 보면 CRM 추구혜택으로 세분화한 각 집단에 따라 라이프스타일과 CRM 관련행동(CRM선호, CRM경험, CRM만족/불만족, 충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집단별로 특징을 요약하고 소구 가능한 마케팅 전략적 전개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韓國傳統服飾이미지의 世界化를 위한 硏究

        최은경 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는 21세기의 주요 흐름으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세계화에 기인해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 21세기 정보화, 개방화 시대인 현대는 글로벌 시대로 문화와 생활 양식이 범세계적으로 일원화되는 가운데 세계패션의 흐름은 다양화, 국제화의 추세를 따르고 있다. 특히 전통이미지를 재발견하고자 하는 노력, 즉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창출은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 패션계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각 디자이너의 내부에 존재되어 있는 각 국의 고유전통을 바탕으로 차별화 된 것과 함께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신뢰성을 겸비한 디자인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세계화 연구를 위해 문헌 및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한 후, 설문구성에 있어서 타 문화권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국전통이미지 요소에 대한 선호도 비교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고로 본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은 2차에 걸쳐 인터넷 설문과 설문지법으로 이루어 졌다. 1차 조사는 설문지법으로 설문구성에 있어서, 대상선정의 타당성을 위해,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전통복식, 생활한복,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37명과 내국인 58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외국인 26명(70.27%)과 내국인 49명(84.48%)이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디자이너들의 패션작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다. 설문지의 구성은 자료 수집의 단계로 1차 조사를 바탕으로 한 국내·외 컬렉션지와 패션잡지, 인터넷, 작품집, 기타 다양한 매체를 통해 1993년부터 2003년 현재까지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한국전통이미지를 활용한 이영희 외 37인의 작품사진 2,056점을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현재와 가장 근접한 2000년 S/S부터 2004년 S/S까지의 작품사진 1,732점을 위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소재, 색, 문양, 장신구별 분류에 가장 근접한 1,003점을 1차 선별하였다. 의류학 전공교수와 전공자 5인의 도움을 받아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소재, 색, 문양, 장신구 별로 분류하되, 의류학 전공자 1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 색에서 가장 전통적인 형태 및 평면구성과 천연염색을 이용한 전통 색을 현대복식에 주로 활용하여온 디자이너로 선정된 이영희와 서양적 패턴으로 인지되어있는 입체구성에 한국전통이미지 요소를 활용하여온 설윤형 외 36인의 작품사진으로 구분하여, 두 부류로 분류하였다. 자극물 선정을 위해, 수집 분류된 자극물을 제시하여 선호도를 조사하되, 의류학 전공자 15인과 비 전공자 27인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인 형태와 색의 요소에선 이영희 작품사진과 설윤형 외 기타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으로 분류된 것을, 그 외 소재, 색, 문양, 장신구 요소는 디자이너 구분 없이 선호하는 곳에 스티커를 붙이는 방법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 중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별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한 18개의 자극물을 추출하여 2차 설문에 사용하였다. 제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설문과 설문지법으로 동시에 시행되었으며, 한국의 전통이미지 요소를 이용한 국내 디자이너들의 작품사진을 전통 이미지 별로 분류하여, 서양인과 동양인으로 구성된 10대 이상 남녀 외국인 211명과 내국인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외국인 205명과 내국인 236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자료로 한복의 인지도 및 복식에 활용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에 대한 선호도를 실증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연구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복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외국인 응답자 205명중 51.22%, 국내인 236명중 100%가 한복을 알고 있다 라고 답하였고, 외국인 동서양 권역별로 추출한 결과 동양권 68.29%, 서양권 46.63%가 알고 있다라고 하였다. 그 밖의 인구통계적 변인별 비교분석 결과 외국인 전체와 동·서양권역별 모두 30대 이후에서, 결혼 유무에선 기혼, 성별에선 여성, 직업별에선 전업주부, 직장인, 학생의 순으로 전업주부의 인지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착용의 경험 유무를 분석한 결과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응답자 105명 중 30.48%, 국내인 236명중 95.76%가 한복을 착용해본 경험이 있다라고 답하였다. 외국인 동서양 권역별로는 동양권 17.86%, 서양권 34.21%가 경험이 있다라고 답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인별 비교분석결과 내·외국인과 서양권에선 20대, 동양권은 30대 이후가, 결혼 유무에선 내·외국인, 권역별 모두 기혼, 성별에선 내·외국인, 동양권 모두 여성, 권역별 서양권은 남성, 착용경험이 많은 것으로, 한복 인지도와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한복의 미에 대한 평가 분석결과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인 응답자 105명 중 95.24%, 국내인 236명중 99.15%가 한복이 아름답다라고 답하였고 동서양 권역별로 추출한 결과 동양권 92.86%, 서양권 96.05%가 한복이 아름답다라고 답하였다. 넷째,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입기 편한가를 질문한 항목으로 한복을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그결과 한복의 착용감 및 활동성에 대한 평가 분석결과는 내·외국인 대부분, 한복이 일상생활에서 입기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의 기초 단계로 한국 전통이미지 요소별 선호도를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형태별로 본 내부형에서 전반적으로 유, 상의 형태 응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단법과 봉제방법에 의한 외부형 선호도에서는 내·외국인 전체와 외국인 서양권은 보편적으로 서양양식에 전통미가 가미된 것을 선호 하였으나, 외국인 동양권과 외국인 30대 이후의 경우에는 전통양식에 서양요소가 가미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소재에 있어, 소재의 종류별 선호도의 분석 결과, 내·외국인의 경우 내국인은 모시, 외국인은 견-사-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 동·서양권역별의 경우는 외국인 동양권은 견-사-라를, 서양권은 모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20대의 경우 내국인은 모시, 외국인은 면을, 30대 이후의 내국인은 니트(면·모), 외국인은 견-사-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소재혼합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내·외국 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의 경우 모두, 단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색에 있어, 오방색의 종류별 선호도에 있어서는 내국인은 청녹색계열, 외국인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국인 동·서양권역별의 경우, 외국인 동양권은 청녹색계열, 서양권은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른 분석결과 20대와 30대 이후 모두 내국인은 청녹색계열, 외국인은 적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염색방법의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 모두 천연염색·자연색·수공염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의 조화 선호도 는 내·외국인 모두 대체적으로 유사색조화를 가장 선호 하였으나. 외국인 동양권은 무채색 조화를, 20대 외국인의 경우는 대비색 조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덜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인 문양에 있어, 분석 결과 문양의 종류별 선호도는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였고, 외국인 동양권은 동물문, 서양권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양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별 또한, 20대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이었고, 30대 이후 내국인은 동물문, 외국인은 기하학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 나타나 문양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티브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별 모두 자연주의 모티브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홉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의 제5 요소인 장신구에 있어, 장신구 품목별 선호도는 내·외국인 모두 요대를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외국인 동·서양권역별, 연령별 모두 선호도의 순서에서 유의한 차이는 있으나 요대를 가장 선호하였다. 현대화 품목별 선호도는 내·외국인, 외국인 동·서양권, 연령별 30대 이전과 이후에서 모두 전통장신구를 현대적 감각의 목걸이에 응용한 것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열번째, 한국 전통이미지요소 선호 이유 분석 결과, 내국인들은 “한국전통이미지와 서양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아름답다.”가 가장 높았고, 외국인들은 “내 스타일이나 취향에 잘 맞는다.”가 가장 높았다. 한국 전통이미지 선호 이유로, “한국전통이미지와 서양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아름답다.”와 “내 스타일이나 취향에 잘 맞는다.” 그리고 “색상과 디자인이 아름답다.”라는 대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위와 같이 비교분석된 한국전통이미지 요소들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구성하고 전통적인 표현을 함으로써 세계인에게 친근감있게 다가가는 우리나라 특유의 디자인을 창조해 나가는 것은 한국전통이미지의 세계화를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될 것이다. Recently, we underwent a major change caused by globalization. The 20th Century is the era of mass information and there is an open-door policy in each country due to globalization. Under the globalized circumstances, the tendency of the world fashion is toward diversity and becoming international. In order to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countries must rediscover the traditional images while still inventing new identities.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hat designers in each country should be able to suggest the design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ir own but differentiated at the same time. The design should attract people in all over the world. Unfortunately there were no precedent researches, documents or an analysis about the preferences of non-Korean consumers for Korean traditional images. Therefore, the data of this thesis were gathered by doing two times of the Internet polls and the questions given to the participants. For the first research, 37 non-Koreans and 58 Koreans answered the questions and they were asked to choose the best picture of the designers' works. As a result, 26 non-Koreans(70.27%) and 49 Koreans (84.48%) preferred the works which contained the modern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o collect the material for the survey, 2,056 art pictures by 37 people who practically us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on their works, included a designer Lee Young Hee, were collected from fashion magazines, the Internet, the works of designers' and the media from 1993 to 2003. For the first assortment, 1,003 pictures were selected among the 1,732 pictures from S/S 2000 to S/S 2004 and these selections have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such as shapes, material, color, patterns and ornaments. With the assistance of 5 students, majoring Clothing and Nutrition, and a professor of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those pictures are classified by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stated above. Then they are assorted by two categor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 which has done by 10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and the precedent research. One of the categories is Lee Young Hee who has used the traditional shapes, plain structures and colors by using natural dyeing method in her works. The other is Sul Youn Hyung and other 36people who have applied three-dimension structure, known as the western pattern, and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o their works. Then 15 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and 27 non-Clothing and Nutrition faculty students participated to choose the best picture of works which has used the traditional shapes and colors except Lee Young Hee's and Sul Youn Hyung's. And to sort out the material, colors, patterns and ornaments they put the stickers on the pictures they prefer. Overall 18pictures were selected to be used the second research. The second research was done by doing the Internet polls and the questions given to the participants. The pictures of designers' works were classified by the traditional images and 240 Koreans and 211 foreigners joined the survey.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recognition of Hanbok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used in the dress, the responses of 205 foreigners and 236 Koreans were analysed. Refer to the following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for the recognition of the Hanbok, 51.22% of the 205 non-Koreans and 100% of the 236 Koreans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Hanbok. And 68.29% of the non-koreans participants from eastern area and 46.63% from western area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Hanbok. The vital statistic result indicates that the people in their thirties have high recognition of Hanbok. Also, married people, women know better than single people and men. And the housewives are highly aware of Hanbok than workers or students. Secondly, 30.48% in the 105 foreign participants and 95.76% in 236 Kore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s of wearing Hanbok. In foreign participants, 17.86% were the eastern people and 34.21% were the westerners. This result shows that the western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the eastern people in their over 30's have experienced of Hanbok. Also, married people and women know better than single people and men. Thirdly, 95.24% of the 105 foreign participants and 99.15% of the 236 Kore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thought Hanbok was beautiful. The 92.86% of eastern people and the 96.05% of western people agreed the beauty of Hanbok. Fourthly, to find out the convenience of wearing Hanbok,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Hanbok answered that it was not convenient to wear in a daily life. Fifthly, for the first step of globalization the elements of Korean Images, the comparison analysis of had been don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people prefer the shapes of 유,상 for the interior shape and all participants prefer the traditional style in the western style for the exterior shaper such as cutting and sewing. The Eastern foreign participants and the foreigners who are in their thirties like the western style in the traditional style. The sixth, or the material preferences, Korean participants care for ramie fabric and the foreigners care for cotton. And the people from East and the westerners prefer silk-Sa-Ra. Also the Eastern foreigners prefer silk-Sa-Ra and Westerners prefer wool. According to the result, all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ramie fabric and the foreigners prefer cotton. The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hirties prefer cotton or wool and the foreigners prefer silk-Sa-Ra. All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prefer the single material in the mixture of the materials section. Seventhly,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he choose the for the color they like among the 5 colors given. And the result shows that all the natives prefer bluish color and the foreigners prefer reddish color. Also, eastern foreigners like bluish color and western foreigners like reddish color. In the preference of the process of dying the materials, all participants prefer natural dying methods, natural colors, a handiwork dying methods. Generally, all participants prefer the harmony of the similar colors and the eastern foreigners like the harmony of achromatic colors and the foreigner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the contrasted colors. Eightly, The patterns of animals are loved by the natives and the foreigners like the naturalistic motives . The eastern foreigners are fond of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western foreigners are fond of the naturalistic motives. All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wenties prefer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foreigners prefer the naturalistic motives. The the natives who are in their thirties prefer the patterns of animals and the foreigners prefer the naturalistic motiv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natives and foreigners, eastern and western foreigners have a slightly different preferences of the motives. Nine, the most preferred ornaments are the belt and this is preferred by Koreans, eastern and western foreigners. And all the participants like the modern necklace which has adopted the traditional style. Finally, to figure out why they like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images, the natives said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look beautiful with the western images." and the foreigners said "Those suit my style and taste.". The reason why people prefer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ar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look beautiful with the western images.", "Those suit my style and taste." and "The colors and designs are beautiful."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ha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we need to reorganiz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create our unique designs. Then it will be one of the strategies to globalize the Korean traditional images.

      • 박민규의 성장소설 연구

        최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 문학계에서 대중과 평단의 호평을 함께 받아 온 박민규의 소설을 성장소설의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이다. 성장소설은 보통 교양소설, 입사소설 등과 혼동되어 쓰이는 개념이지만, 우리 나라의 성장소설은 서구의 교양소설과 다른 전개 과정을 갖는다. 서구의 교양소설은 개인의 내면의 이상과 사회가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던 시기의 양식이었다. 반면 우리의 근대문학은 개인의 내면의 이상과 사회가 통합할 가능성이 없는 식민지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아버지로 상징되는 기존 질서에 반항하면서도 다시 좋은 아버지의 교양 이념으로 회귀하는 교양소설과 달리 성장소설에는 기존 사회의 질서에 통합되지 못하는 분열과 방황이 그려진다. 교양소설이 사회의 모순을 바라보면서도 그 사회의 건강성을 확보해주는 시민 이념이나 교양 이념과 화해하고 통합되는 반면, 우리의 성장소설은 기존 사회 구조를 뛰어넘는 곳에서 화해의 욕망을 발견하게 된다. 성장소설의 전통은 후기 자본주의 시대인 1990년대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 후기 자본주의는 억압이 아닌 욕망으로 대중을 통제하는 시대이다. 이 시대는 욕망의 충족으로 자유롭고 행복한 삶이 가능할 수 있다는 환상을 유포하여 누구나 개인적 욕망의 추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그러나 끊임없는 욕망의 추구는 삶에 대한 반성적 주체로서의 인간 이성을 마비시키고 자본주의의 메커니즘 안에서 수동적으로 살아가는 인간들을 만들었으며, 삶과 사회의 주인이 되지 못한 채 채워질 수 없는 욕망을 추구하는 것은 우울한 환멸을 낳을 뿐이었다. 1990년대의 성장소설은 이러한 환멸의 시대에 현실로부터 등 돌리지 않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 하나는 90년대의 상황에서 대서사에 구속되지 않은 자유로운 욕망의 탐색을 그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90년대에서는 잃어버린 공동체적 삶의 조건을 찾아 과거 속에서 자아의 성장을 추적하는 것이다. 2000년대에 등단한 박민규의 성장소설은 이전 시대의 성과를 이으면서 성장소설의 맥락에 환상을 도입함으로써 현실적으로는 봉쇄된 것처럼 보이는 성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박민규 성장소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의 하나는 리얼리즘과 환상의 결합이다. 그는 사회의 모순 구조와 권력 관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기에 후기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타자들의 삶의 현실을 핍진하게 그려낼 수 있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바깥이 없어 보이는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모순 속에서 분열하고 방황하며 성장을 위해 몸부림치는 주체들의 숨겨진 열망을 보여주기 위해 환상을 끌어들이고 있다. 그가 보여주는 환상은 현실을 비틀어 균열을 냄으로써 현실의 모순을 생생하게 인식시키고, 주체가 자신의 의지로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바깥을 향해 탈주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지구 영웅 전설』에서는 후기 자본주의가 주체를 포획하기 위해 유포하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을 비틀어 보여주고 있다. 부모의 무관심과 학교의 냉대 속에서 오로지 TV를 통해 삶의 즐거움을 찾던 '나'에게 <슈퍼특공대>의 백인영웅들은 현실보다 강력한 영향과 위로를 주는 존재들이다. '나'는 삶의 가장 큰 시련 앞에서 자살을 결심하는데 그때 그를 구하는 것은 '슈퍼맨'이었고 '나'는 영웅들의 세계에 초대받아 '바나나맨'이라는 새로운 영웅이 되기에 이른다. 환상 속으로 끌려들어간 '나'가 목격한 영웅들의 세계는 그렇게 완벽하지가 않다. '나'는 그 속에서 백인 영웅들 간의 갈등과 암투를 목격하고, 황인종에 대한 그들의 편견과 무시를 경험하며, 멕시코 반란군들의 인간적인 모습에 놀라기도 한다. 영웅들의 세계에서 버림받은 후 한국에 돌아와 평범하게 살던 중에는 쌍둥이 빌딩을 무너뜨린 <악의 무리>에게서 함께 살기에는 지구가 너무 좁은 '슈퍼맨'의 모습을 발견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험은 성인이 된 '나'의 삶이 어린 시절의 '나'와 같이 현실 세계의 질서에 한 점의 의문도 제시하지 않는 삶은 아닐 것이라는 것, 이미 균열된 현실의 얼굴을 목도한 이상 주체의 성장의 가능성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고마워, 과연 너구리야」,「아 하세요, 펠리컨」에서는 현실과 환상이라는 이질적 세계의 결합이 더욱 분명히 나타나며 작가는 환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이 세 소설 모두 주체가 직면한 현실의 문제는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가계를 위해 온갖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는 상고생, 정식 입사를 미끼로 온갖 착취를 다하는 인턴 사원, 일흔 세 곳에서 낙방한 취업 준비생이 대면하는 현실은 너무나 강고하며 주체의 대응은 미약하다. 그들은 생존과 입사를 위해 하루하루를 버티고 순응할 뿐이며, 성장을 위한 분열과 방황은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정도로 그 의미가 사라지고 만다. 출구가 없는 현실에 박민규는 환상을 끌어들인다. 기린이 되어 나만의 산수를 그만둔 아버지는 체제 밖으로 걸어 나간 타자이다. 인사부장에게 성적 유린을 당한 나를 위로하는 너구리는 소통과 위로의 힘을 간직한 타자이다. 교외의 저수지를 가득 메운 오리배와 그 배를 타고 세계를 유랑하는 제3세계 노동자들은 연대와 새로운 삶의 방식을 보여주는 타자들이다. 이 소설들에서 박민규가 제시하는 환상은 닫힌 현실에 균열을 내고 체제 밖의 삶의 모습들을 비추어준다. 환상을 통해 이 세계와 저 세계가 이어지며, 이 세계를 달리 볼 수 있는 문이 열리고 진정한 성장의 가능성이 제시되는 것이다. 『핑퐁』에서 박민규는 환상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현실에서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왕따로 현실에 냉소적 시각을 갖게 된 '나'와 '모아이'는 환상 속 탁구 시합에서 승리함으로써, 현실을 소거할 것인가 지속할 것인가를 결정 하는 선택권을 부여받는다. 지구를 그대로 둔다면 부조리한 삶의 현실이 반복될 것이고, 더구나 '나' 와 '모아이' 역시 고등학생 정도로 나이가 든다면 부조리한 삶에 의문 없이 따라가게 될 것이라는 생각에 그들은 지구를 언인스톨할 것을 결정한다. 박민규는 그들의 선택을 통해, 공동체적 유대와 삶의 목적에 대한 반성과 자각 없이 돈에 매수되어 살아가는 후기 자본주의 체제는 더 이상 존속할 가치가 없음을 웅변하고 있다. 이는 현실에 대한 도저한 부정의 의지이나, 그것은 역설적으로 강렬한 신생의 의지이기도 하다. '나'와 '모아이'의 선택은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고 성장하기 위해 주체들이 반드시 거쳐야 할 부정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박민규의 성장소설은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현실에 리얼리즘과 환상의 결합이라는 방법으로 맞서고 있다. 그가 제시하는 환상은 현실에 대한 치열한 각성과 탐색 위에서 세워진 것이기에 현실에 균열을 내는 힘을 갖는다. 박민규 소설의 주체는 환상 속에서 성장의 가능성을 보며, 그것은 후기 자본주의가 요구하는 삶이 아닌 새로운 삶에의 지향과 통한다.

      • 병원유형별 수간호사의 역할인식·역할수행·직무만족도 비교

        최은경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aimed to renew the business guide of the head nurse and provide the basic materials to help reform the performance of the duty for effective nursing management and hospital administration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of the hospital according to their type by comparing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nd the duty satisfaction degree of the head nurse working in the hospital attached to the university and in general hospital. The device on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d nurse has 50 questions in which 13 for the role as the administration manager, 16 for the role as clinical nurses, 13 for the role as educator, and 8 for the role as the leader while the device for duty satisfaction has 28 questions in which 4 for occupational pride, 4 for autonomy, 4 for administration, 4 for human relation, 4 for the sense of belonging, 4 for remuneration and promotion and 4 for working environment. The materials have been analyzed by average, percentage, Chi -square, t-test, F-test, DMR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fter the disposal through computed satistics. The result is as the below ; 1. According to the type of hospital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of duty satisfaction of head nurse have been compared to realize that role recogni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while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duty satisfaction of general hospital showed higher making us understand that general hospital head nurse performed the role much more than the ones in university hospital with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2. When researcher compared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of duty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er realized that the group deriving less annual income have been recognizing the role much better and also the group with less school education, working in the ward during current department of assignment, and deriving less annual income showed better performance of the role, and the group with higher age, the career as the head nurse of under 5 years or over 11 years or good economic situation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on duty. 3. When researcher verified the correlation of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and duty satisfaction degree,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role recognition, the role performance has been higher accordingly while the higher the role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the higher the duty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e role recognition of the head nurs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hospital while the case of role performance and duty satisfaction the head nurse in general hospital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on duty and role performance much than the ones in university hospital. In other words researcher do not think that the head nurses with less pay an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should show the lower degree of role performance or the duty satisfaction while the ones with more pay and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 show higher degree of role performance or duty satisfaction. Therefore at the time of making the business guideline for the head nurse. researcher think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ole recognition of the head nurse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