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淑子類 입춤의 美的 價値 硏究

        최윤희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27

        Ip-chum, standing dance, is the basics of every dance. Almost all dancers have practiced it when they were students. Usually it means holding a small square handkerchief and dancing to the exorcism(or gut) beats. Some dance schools still keep it as an ABC, and others maintain its variation according to each dancer’s artistic taste. Anyway, ip-chum has become independent following dancers’ different activity background, regional dance culture, accompanied music, dancing movements, and props. This research examines the archetype of fun-exorcising dance, characteristics of fundamental movements, and change of stage composition expressed in ip-chum. As a result, ip-chum’s refinement, natural curves, and impromptu aesthetic values were considered. First, ip-chum represents archetypal fun exorcism based on shoulder dance and head-shaking. It comes from refined taste to change sadness into mirth and sublimate into a bout of merry dance. Its aestheticism is the elegant movement from tying, darkness, and spiteful sadness, into loosening, light, and delight. Second, the S-type, yin-yang, and spiral curves of ip-chum along with natural breathing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basic movements of New Dance(characterized with balanced, symmetrical, and big upward linear gesture). Namely, ip-chum has an essential natural beauty of circular, rhythmical, dynamic, and unlimited continuity. Third, ip-chum holds powerful self-expression as individual or group dance is possible in stage composition. In spite of its own prototypical movements and forms, ip-chum is made creatively and diversely depending on each age, dancer, place and situation. Also, ip-chum is judged by individual artistry regardless of gesture angles and forms. With strong impromptu self-expression, ip-chum shows the beauty of creativity and autonomy. Likewise, ip-chum has been established as a popular basic dance with rather natural movements and circular techniques, and has affected traditional dance with zen mentalism and fun exorcism. Diverse stage composition and movement change have given ip-chum creative individualism based on complete fundamental skills and expressive ability. Improvisation of ip-chum delivers our inner world and develops the artistic values of Korean dance. Behind the art of ip-chum is simple-mindedness controlled by the superpower kings back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the Goryeo Dynasty, ip-chum saw inner specialization. In the Joseon Dynasty, traditional dance got more special and folk faith turned artistic and entertaining. Turning into modern times, Kim Sukja-style ip-chum produced popular and artistic traditional culture. Therefore, this traditional dance called ip-chum contains creativity based on free forms and future-oriented artistry to express human inner world. It is estimated by its own artistic elements. So our traditional dance including ip-chum is not the dance we follow and preserve by focusing on its forms and movements, but the very dance full of individual taste and self-expression for further development and succession. We need to refrain from mere repeating and imitating as far as traditional dance is concerned. When we study our own dance and focus on its inner characteristics to develop aesthetic values, there will be a lot of help in our dance creation. That’s the significance of my present research.

      •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간의 관계

        최윤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made the difference in shaping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of their childre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To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ings :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degree fo the each type of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a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each type of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 among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and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5-year old children of 3 Kindergartens in Gyeonggi-do and Seoul and their mothers. There are 89 people in each group.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tool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by Crase(1978) and then modified by Kye-Ok Hong(1995).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was assessed by a test method from the Synthetic Creativity Test which was developed by Kyoung-Hwa Lee(2012), and the Self-Concept Test for children developed by Kyung-hwa Lee and Jin-young Koh(2006).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types made a difference i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A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conducted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concep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type of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mother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 type of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mothers .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static cor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mothers and the child's creative personal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the child's self-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makes a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and it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reative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The early childhood period is important for children's development. Moreover, family is the most critical environment for children to facilitate their development. Child-rearing behavior of mothers provide their children with the framework to recognize themselves and others in their early childhood. Additionally, it helps the children realize themselves and shape their creative personality, which could be a source of creativity generating innovative and valuable outcome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suggest valuable information about how to help mothers raise their children to have healthy developmen. For example, when the mothers give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their children have better changes to develop creativity and positive self-concept. Additio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pel multi-directional researches about effects on children's desirable developmen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별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격과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별 수준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별 수준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및 자아개념 간에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와 그 유아의 어머니 각각 89명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Crase(1978)의 어머니 양육행동 측정도구를 홍계옥(199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유아의 창의적 성격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경화(2012)의 ‘유아용 통합 창의성 검사’ 중에서 창의적 성격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아개념은 이경화, 고진영(2006)의 표준화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성격과 유아 자아개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머니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별 수준에 따른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별 수준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자아개념에는 상관관계가 산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성격 발달에 차이가 있으며 양육행동과 유아의 창의적 성격은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아기는 발달의 중요한 시기이고 발달을 촉진시키는 가장 중요한 환경은 가정이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에게 자아와 세상에 대한 인식의 틀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자신을 완전히 구현하고 새롭고 가치 있는 산물을 만들어 낼 줄 아는 창의성의 원동력이 되는 창의적 성격의 형성을 돕는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창의성에 대한 관심과 긍정적인 자아개념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의 진행과 관심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 REBT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윤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Hypothesis 1 :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improv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ypothesis 2 :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se hypothesis, 24 students of 5th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in Jeon-ju city volunteered the research. After pre-test fo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degre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12 students and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dapted. The comparative group was consisted of 12 students with no training. Experiment continued for four weeks :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REBT group counseling for 50 minutes a day, 2 times a week, 8 sessions in all. A week after experimental group finished th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given post-test. After the treat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verification using SPSS(15.0 versio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BT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in self-esteem(p<.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BT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in school adjustment(p<.01). In conclusion, findings of this research might imply that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help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대추과육과 잎의 발효추출물이 고지혈증과 당뇨에 미치는 효과 : 최윤희

        최윤희 원광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For development medicinal food for hyperlipidemia, diabetes and these induced cardiovascular disease, evaluated the effects of non fermented Z. jujuba mixture(mixed fruit and leaf : ZM) and fermented Z. jujuba mixture(FZM) on fed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found results as follow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s of Z. jujuba(ZF) prominently lower than that of the leaves(ZL), but a mixture of leaves and fruits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FZM slightly lower than ZM. ZM and FZM did not influence on body weight gain and food intake in fed high fat diet rats, but suppressed body weight los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ZM and FZM suppressed testis weight loss and FZM decreased epididymal fat tissue weight to level of NC group in high-fat diets, but ZM was not as effective as FZM. In STZ-induced diabetic rats, ZM and FZM suppressed increases in organ weight compared to DC group. ZM and FZM did not influence on serum cholesterol level, but prominently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HC group, and FZM diminished hepatic triglyceride same as serum.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as increased not diabetes induced groups but NC group, and had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mong the diabetes-induced groups.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ZM and FZM suppressed elevation of glucose level compared with DC group, and effects of FZM was better than ZM. ZM and FZM did not impair liver and kidney function and influence positive effects through by suppression of elevation lipid and glucose level on each experiments. In conclusion, ZM and FZM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level on fed high-fat diet rats and glucose lever o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FZM remarkably decreased epididymal fat tissue weight and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Hypolipidemic and hypoglycemic effects in FZM better than Z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Z. jujuba mixture(ZM, FZM) should be useful developing medicinal food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isease such as hyperlipidemia, diabetes, and theses disease induced cardiovascular disease, and FZM is more suitable agent than ZM. 대추의 활용방안 확대와 대추를 이용한 medicinal food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과육을 대추잎과 혼합하여 이 혼합물의 발효하지 않은 추출물과 발효한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rat와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ra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추과육(ZF)은 대추잎(ZL)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추잎과 혼합사용할 경우 비발효추출물(ZM)과 발효추출물(FZM) 모두 대추과육에 비해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간에는 FZM이 ZM에 비해 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ZM과 FZM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쥐의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당뇨유발쥐에 있어서는 DC군에 비해 체중감량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무게에 있어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쥐의 고환무게의 감량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ZM은 부고환지방무게를 정상수준으로까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ZM는 부고환지방축적을 억제하지 못했다. 당뇨실험에 있어서는 ZM, FZM 모두 DC군에 비해서는 장기무게의 상승이 억제되었다. ZM과 FZM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나, 중성지질 함량은 HC군에 비해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ZM은 혈중 중성지질 뿐 아니라 간조직의 중성지질 농도도 크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유발실험에서는 당뇨유발군들보다 NC군에서 오히려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당뇨유발실험에 있어서 ZM, FZM 모두 DC군에 비해 혈당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ZM이 ZM에 비해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M과 FZM 모두 간, 신기능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오히려 지질상승억제와 혈당상승억제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당질함량이 높은 대추과육 단독사용의 단점을 대추잎과의 혼합을 통해 개선할 수 있으며 발효과정을 거칠 경우 고지방식이 급여로 인한 지질상승 억제와 당뇨로 인한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더욱 증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이를 이용한 고지혈증과 당뇨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medicinal food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음정 인지도 조사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최윤희 대구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음발달의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정 구별 능력에 따른 음정간의 인지도를 파악하여 음정 지도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음정의 개념을 올라가는 음과 내려가는 음의 진행방향을 구별하는 개념과 2도에서 8도까지의 음정의 인지에 관한 두 개의 개념으로 나누었으며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사용되어진 음정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직접 음정 인지도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서울, 청주, 대구, 부산의 4개 지역 467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올라가는 음과 내려가는 음의 진행방향의 구별에서는 대체로 두 음의 간격이 클수록 음의 진행방향을 잘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전체적으로 상행음정보다 하행음정의 음의 진행방향 구별을 더 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 2도 음정의 경우 반음의 진행방향 구별이 온음의 진행방향 구별보다 현저하게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다) 8도 음정의 진행방향 구별을 어려워했는데 그 이유는 한 옥타브 차이를 둔 음들에서 동질성을 느끼는 현상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2) 음정의 인지에서는 두 음의 간격이 좁을수록 음정을 잘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4도 음정이 5도 음정보다 두 음의 간격이 좁음에도 불구하고 음정을 잘 인지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5도 음정이 많이 듣는 친숙한 음정이므로 4도 음정보다 구별을 잘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 상행음정과 하행음정의 음정 인지도에서는 상행음정보다 하행음정을 더 잘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의 진행방향의 구별에 있어서는 음정이 넓을수록 잘 구별하며 2도에서 8도까지의 음정의 인지에 있어서는 음정이 좁을수록 잘 인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론을 학습에 적용하면 음악수업에서 음정을 학습할 때는 저학년은 음정의 폭이 좁은 음정 중심으로 학습을 하고 고학년에 가서 음정의 폭이 넓은 음정으로 많이 다루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의 곡을 선곡할 때도 저학년에서는 음정의 폭이 큰 음정은 가급적 넣지 않고 5도 음정 정도까지의 음정의 폭이 좁은 음정을 많이 사용한 곡을 넣어야 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음정의 폭이 큰 음정을 넣어야 수준에 맞는 청음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저학년부터 다양한 음정의 경험이 음의 진행방향에 대한 구별력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코다이와 오르프가 가장 쉬운 음정이라고 말한 하행 3도 음정은 본 연구에서 2도 음정보다 낮게 나왔으나 비교적 쉽게 인지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반음이 인지하기 어려운 음으로 나타난 저학년에게는 반음의 사용을 피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토대로 음악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구성되고 이에 따른 음악 수업이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좀 더 효율적인 청음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학년과 음정에 대한 음정 인지도를 알아볼 수 있었으나 음정 인지도에 대한 좀 더 신뢰성있고 상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앞으로 다양한 음정의 테스트와 반복적인 연구가 더 요구된다. In this paper, the ability of interval recognition is investigated to get data for the teaching of the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two kinds of test to investigate the ability, and they are based on the interval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 One is a test for the distinguishability between increasing melody and decreasing melody. The other is a test for the interval recognition from second to eighth. The tests were taken by 467 students who are third grader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Chongju, Taegu and Pusa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more easily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melodies are distinguished, the wider the interval is. (a) The decreasing melody is more easily recognized than the increasing melody is. (b) In the second, semi-tone is more difficult to distinguish in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melody than whole tone is. (c) In spite of widest interval,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eighth, because the same pitch name in other octave is heard similarly. 2) In general, narrow intervals are more easily recognized than wide intervals. (a) Since the fifth is very familiar interval, the fifth is more easily recognized than the forth is. (b) The decreasing melody is more easily recognized than the increasing melody is.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concluded that it is more easily distinguished if the interval is wide in the increasing and decreasing melody distinguishability test. It is also acknowledged that the narrow interval is more easily recognized than the wide interval in the interval recognition test from second to eight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ower grad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first consider narrow intervals, but higher grad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recognize wide intervals. Furthermore it is recommended for lower grade students to experience a variety of interval to improve the distinguishability between increasing melody and decreasing melody of interval. In this study, the same result is obtained as Kodaly's method that the decreasing third is easily recognized but it is so difficult to recognize semi-tone that a semi-tone should not be taught to lower grade students.

      • 세균감염에대한 점막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진산의 효과

        최윤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Ginsan is a botanic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Panax ginseng, one of popular medicinal plants used, referred to as "adaptogens" in oriental medicine. In this study,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an against various bacterial infections was investigated. Mice were intraperitoneally pretreated with Ginsan before various bacterial challenges including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Vibrio vulnificus. When L. monocytogenes was orally challenged, L. monocytogenes count in the spleen was decreased in Ginsan 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so, similar result was observed when S. typhimurium was orally challenged. When V. vulnificus was nasally challenged, V. vulnificus count in the nasal associated lymphoid tissues (NALT)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Ginsan treatment. In addition, for the mice which had been inoculated with V. vulnificus, better survival rate was observed in Ginsan treate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100% vs 18%). When inflammatory and their related signals were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RT-PCR of NALT, most of the signals showed similar pattern of changes while there was distinctive difference in cyclooxygenase (COX)-1 expression. In control group, expression of COX-1 was markedly decreased following V. vulnificus infection while it was well maintained in Ginsan treated group. When specific COX-1 inhibitor, SC-560, was treated to antagonize the effect of Ginsan, it reverted the protective effect of Ginsan against V. vulnificus infec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aptogenic effect of ginseng may be partly mediated by modulating COX-1 expression upon bacterial infections, thereby, supporting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many tissues including mucosal tissues.

      • 칸트 윤리학의 정언명법에 대한 고찰 :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최윤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를 소위 물질 만능과 지식 위주의 사회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사회에서 보게 되는 긍정적인 측면은 물질의 풍요로움과 지식의 증가이다. 이것을 외적 요인으로 하고, 이와 대립적 관계에 있는 내적 요인은 우리의 도덕적 가치 체계로 생각해 보자. 이처럼 오늘의 현실은 외적 요인이 발달함에 따라 오히려 내적 요인인 우리의 도덕적 가치 체계는 정체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위의 목적을 두고 칸트의 윤리학을 고찰해 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도덕적 가치 체계를 마련하고 재정립하기 위한 충분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또한, 칸트의 윤리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은 도덕성을 위한 최상의 원리이다. 이 도덕성의 원리가 되는 것이 바로 정언명법이다. 정언명법은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행위의 보편적 원리이며 모든 경험적 요소를 제거하고 오직 이성에 의한 행위 자체만을 요구하는 원리이며 절대적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칸트가 제시하고 있는 정언명법은 오늘날 도덕 법칙의 근간이 될 수 있고 또한, 우리의 가치 체계와 도덕적 판단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삼을 수가 있다 . 칸트는 모든 선한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의 가치는 오직 선의지뿐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선의지는 그 자체로 선하기 때문에 모든 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칸트는 한 행위가 의무로부터 말미암을 때 비로소 도덕적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 행위는 곧 선의지에서 말미암은 것이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성의 근거로서 실천법칙이 제시되는데 이것이 바로 정언명법이다. 정언명법은 보편타당한 법칙이기에 모두에게 적용되는 객관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칸트의 저서인『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으로 보편타당한 도덕법칙으로서의 정언명법을 고찰할 것이다. 그 전에 정언명법의 근거가 되는 선의지와 의무의 개념을 논해 보기로 한다.

      •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의 적용을 위한 어머니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arly developmental period. Mothers' sensitive and receptive attitudes toward young children's needs have been emphasized because they can facilitate the young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In cas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ir lack of social and communicative skills prevent them from expressing their communicative intentions. They also have difficulty in perceiving social and communicative needs and intentions of other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stablishment of solid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or primary caregivers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is such a prototype of human relationships. Young children learn how to build and expand social relationship through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Mothers' responsive behaviors positively affects you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re developmentally delayed have difficulties in having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thers and young children mutually fail to identify communicative intention of each others. In order to build up effective communication, mothers should precisely perceive young children's intentions and respond to them accordingly. In other words,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pt to positively change based on how mother communicate with their young children. If mothers can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without any difficulties, qualitat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can be established. Qualitative interactions are possible when mothers and young children's behaviors are reciprocal.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when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behaviors between each other. Qualitative interaction sh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as mothers and young children are accustomed to each other. It can facilitate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ecause it helps them increase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sophisticate their own behaviors.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mothers is important in interaction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ose mothers with training programs which can help them establish qualita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ach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are developmentally delayed how to apply responsiv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ee mothers and thier 4-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on the intervention.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based on the duration of time and level of participation. During pre-sessions, mothers learned basic knowledge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In the main sessions, mothers learned strategies regarding how to sensitively develop both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of their children, how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and reciprocity of interactions. Feedback was provided in order to help the participants apply the three strategies to real situation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build inter-subjectivity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feedbacks. Based on the training program, interactions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hanged as follows: First, the duration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increased and remained the same level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Second,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a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and remained the same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natural play settings, which brought more positive impacts on how to apply those strategies to real situations. The feedback procedure was very effective in which mothers and the investigator discussed following strategies after mothers evaluated themselve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he comprehensive program of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ce in that both were made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the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to change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not only quantitatively but qualita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thers' training without young children's involvement showed positive results. Such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facilitat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explained to other members of family alike or various types of care givers. 유아 초기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질 높은 상호작용은 유아의 학습과 발달을 촉진하기 때문에 유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민감하고 수용적인 성인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유아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람들과 관계 맺는 법을 배우며 이를 토대로 사회적 관계를 넓혀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또는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발달이 지체되는 유아의 경우에는 사회·의사소통의 결함으로 인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발달지체 유아와 질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어머니가 발달이 지체되는 유아와 원활하게 상호작용을 하려면 유아와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은 어머니와 유아가 동시에 상호작용의 주체가 되어 매일의 일상 중에 일어나는 자연적 상황에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찾도록 격려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 상황에서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어머니교육을 실시하였다. 어머니교육은 유아 발달과 행동 특성,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대한 사전 교육과 유아의 언어적&#8228;비언어적 행동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개발, 반응성(responsiveness) 향상, 상호성(reciprocity) 증진을 목표로 한 의사소통 전략을 이해하도록 돕고 각 전략을 실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피드백은 본 회기에 이루어진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 평가와 지난 회기 상호작용 분석에 따른 연구자 제안, 다음 계획을 어머니와 연구자가 함께 논의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단일대상연구의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어머니 각각에게 순차적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발생한 실제 시간을 측정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정의 놀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녀와의 상호작용 참여시간을 관찰하였는데 상호작용의 참여시간을 측정하고 다시 참여수준 별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예비관찰기간동안 20% 이하의 낮은 상호작용 발생률을 보였던 세 팀의 어머니와 발달지체 유아의 상호작용은 어머니교육을 통해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다. 첫째, 상호작용 발생률이 낮았던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는 어머니교육을 통해 상호작용의 발생률이 증가되었고, 증가된 상호작용 발생률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중재 후반과 비슷한 정도로 유지되었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수준별 상호작용 발생률이 변화되었다. 즉, 세 팀의 어머니와 유아는 기초선 기간 동안 일시적 참여와 미분화된 참여수준으로 상호작용하였으나 어머니교육을 통해 일시적 참여와 미분화된 참여수준은 감소하고 정교화된 참여와 상호지지적 참여수준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는 본 중재를 통해 상호작용의 참여수준이 보다 상위 수준으로 향상되었으며, 향상된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참여수준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적 의사소통 전략의 적용을 위한 어머니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에 양적&#8228;질적 변화를 가져왔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에 대한 직접 중재를 실시하지 않고 어머니교육 만으로도 위와 같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각 어머니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된 어머니교육을 실시하였다는 점과 구조화된 실험실이 아닌 가정에서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와 유아 각각의 행동 변화를 관찰한 것이 아니라 두 사람의 행동이 연결되어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호작용의 관찰도 기존의 연구와 같이 양적 측면만이 아니라 질적 측면인 수준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상호작용 발생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등간 기록에 의한 부분관찰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실제 시간을 측정하였고 컴퓨터 프로그램(MOOSES)을 사용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보다 정확한 자료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