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gram Annotation : D. Buxtehude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J. S. Bach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J. S. Bach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F. Mendelssoh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Anton Heiller 「Tanz-Toccata」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into the works which were performed by Choi Yun-Gyeong, at the Music College of Ewha Womans University, at her graduation recital for a master's degree in organ on December 8, 2018. Her recital program included five piece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by Dieterich Buxtehude (1637-1707),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and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by Felix Mendelssohn (1809-1847), and 「Tanz-Toccata」 by Anton Heiller (1923-1979). The first of the five work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684, by Buxtehude, who represented the Baroque School in the north Germany.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improvisatory Prelude in Stylus Phantasticus and the Fugue in the contrapuntal style. Its musical elements feature an emphasis on repeated notes and pedal points in I-V. Its notes are mainly organized around F major. It is performed based on non-legato, which was the principal styl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s partially used as legato. The performer expressed grandeur and splendor by selecting Pleno tones that included mixtures in the Prelude, used only the 8' tone on the pedal to let the theme of each part be heard clearly and independently in the Fugue, and increased the volume by using the reed tones on the pedal along with mixtures on the manual in the coda. The second piece,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was written by Bach in 1739-1742. Being the ninth number of 「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it consists of four parts, including A-B-C-A′ with choral melodies appearing in the soprano and being decorated and repeated in various ways. It appears that choral melodies including ornamental notes on the manual and the pedal that keeps moving in an eighth note. The musical work is in g minor, moving through its parallel key, B♭ major, and its subdominant key, c minor. It has a slow tempo and long notes, being performed in non-legato. It uses mutations and tremulants to express the subtle tremble unique to the solo tones. The third piece,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was written in 1727-1731 when he resided in Leipzig.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 Prelude and a Fugue, mainly featuring the strict counterpoint of the Baroque period and improvisatory style.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contrapuntal treatment of a theme, melodies in 32th notes, and fast rhythmic passages. The Prelude is in b minor, and the Fugue mainly moves in subdominant and dominant keys in b minor. The performer selected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across the entire register in a Pleno composition and did not combine the manual with the pedal in the Prelude while deleting some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in the register used during the Prelude to express a lighter mood in the Fugue. Mixtures and reed Stops were added to the coda to express a more intense and powerful feeling. The fourth piece,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was written by Mendelssohn (1809-1847) in 1844 and consists of two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has three parts, including A-B-A′ while the second movement has four parts, including A-B-A′-coda.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oral melodies at the bass of part B in the first movement and song-like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sequence of a theme, chromatic harmonies, and the imitative counterpoint in the first movement and the lyrical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The tonality is in A major, with its parallel, relative, and dominant keys used in the work. Mendelssohn instructed the tones of organ sonatas with the loudness of sounds rather than provisional instructions. In the first movement, part A is performed by adding reed tones to the Pleno composition around the basic notes of splendid and thick colors in fortissimo (ff). Part B is performed with the reed tones used in part A excluded. Part A′ is performed with the same Stops as part A. The second movement is performed to keep the uppermost melodies of the right hand with a flow in flute tones to express legato. The final piece, 「Tanz-Toccata」 was written, in 1970, by Anton Heiller (1923-1979), who w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in Austria in the 20th century. This piece is his most famous organ work.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A′, in which A is truncated in A′. Also it has a fast tempo to play, frequent irregular rhythms such as triplets and guintuplets. It mainly uses dissonant chords through a tone cluster. It primarily uses leaps of major and minor third and an augmented fourths and fifths with diminished fifths emphasized on the pedal in basso ostinato. The performer should be careful not to play rhythms of triplets in staccato too strongly, following the detailed instructions about tones, articulations, and metronome markings in its score.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works from various periods including Baroque, Romantic, and modern periods focusing on form,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 Stops used in each work. Its findings will hopefully help organis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works and contribute to follow-up studies. 본 논문은 2018년 12월 8일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최윤경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들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회 작품 목록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erich Buxtehude, 1637-1707)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와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로, 총 다섯 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작품인 바로크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북스테후데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는 1684년 이전에 작곡된 것으로 유추된다. 작품의 형식은 총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스틸루스 판타스티쿠스(Stylus Phantasticus)가 사용된 즉흥적 전주곡과 대위법적 양식인 푸가(Fuga) 부분이 나타난다. 이 작품의 음악적 요소는 연타음과 Ⅰ-Ⅴ의 지속음 강조라고 볼 수 있다. 음의 구성은 F장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주법인 논 레가토(Non-legato)를 바탕으로 연주되며, 부분적으로는 레가토(Legato)로 활용된다. 연주자는 전주곡에서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되는 큰 플레노(Pleno)의 음색을 선택하여 장엄함과 찬란함을 표현하였다. 푸가에서는 각 성부별 주제가 독립적으로 잘 들릴 수 있도록 페달(Pedal)에 8′음색만 사용하고, 종결부에서는 손건반에 믹스츄어와 페달에 리드(Reed)계열 음색까지 사용하여 음량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두 번째 작품인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는 1739-1742년에 작곡되었다. 「18개의 코랄(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중 9번째 곡으로 작품의 형식은 A-B-C-A′의 총 네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코랄 선율이 소프라노에 나타나면서 다양하게 장식, 반복된다. 이 장식음을 포함하는 손건반에서의 코랄 선율은 8분음표로 계속 움직이는 페달과 함께 나온다. 작곡가가 의도한 음의 구성은 g단조와 그것의 나란한 조인 B♭장조, 버금딸림음조인 c단조이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박자가 느리고 긴 음표들로 이루어져 있어 논레가토로 연주된다. 솔로 음색 특유의 미세한 떨림을 표현하기 위해 뮤테이션(Mutation) 음색과 트레뮬런트(Tremulant)를 사용하였다. 세 번째 작품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는 라이프치히(Leipzig) 시기인 1727-1731년에 작곡된 작품으로, 형식은 전주곡과 푸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바로크 시대의 엄격한 대위법과 즉흥적 양식이 주를 이룬다. 즉, 주제의 대위적 구성과 빠른 리듬의 32분음표 선율로 볼 수 있다. 전주곡에서 사용된 음계는 b단조이고, 푸가에서는 b단조의 버금딸림음조와 딸림음조를 중심음으로 진행된다. 전주곡은 플레노 구성으로 모든 음역에서 프린치팔(Principal) 스탑과 믹스츄어를 선택하고, 손건반을 페달에 커플시키지는 않았다. 푸가에서는 가벼운 분위기 표현을 위해 앞서 사용했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에서 일부 프린치팔 스탑과 믹스츄어를 삭제하였다. 이후 종반부에 믹스츄어와 리드계열 스탑을 추가하여 강렬하고 힘찬 느낌이 들도록 연주한다. 네 번째 작품인 독일 낭만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는 1844년에 작곡되었고, 총 두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의 형식은 A-B-A′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고, 2악장의 형식은 A-B-A′-코다(Coda)의 4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악장에서 B부분 베이스에 나타나는 코랄 선율과 2악장에서의 가곡을 닮은 선율 진행이 특징적이다. 주요한 음악적 요소는 1악장에서 주제의 동형진행, 반음계적인 화성과 모방대위로 구성된 성부진행이고, 2악장에서의 서정적인 선율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계의 구성은 A장조의 같은 으뜸음조와 나란한조, 딸림음조 등이다. 멘델스존은 오르간 소나타의 음색을 잠정적으로 지시하기보다는 소리의 세기로 지시하였다. 그래서 1악장의 A부분에서 포르티시모(ff)의 화려하고 두꺼운 색채를 기본 음색 중심으로 플레노의 구성에 리드 계열 음색도 첨가하여 연주한다. B부분에서는 A부분에서 썼던 음색에서 리드계열은 제외한다. A′부분에서는 A부분과 같은 스탑을 사용한다. 2악장에서는 오른손 최상부 선율의 흐름이 끊기지 않게 연주하며, 이 레가토를 잘 표현하기 위해 플루트 계열의 음색을 사용한다. 다섯 번째 작품인 20세기 오스트리아의 대표 작곡가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는 1970년에 작곡되었고, 이 작품은 그의 오르간곡 중 가장 유명하다. 형식은 A-A′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A부분에 비해 A′부분이 축소 재현된다. 그리고 연주하기에 매우 빠른 박자와 잦은 변박, 그리고 3연음부에서 5, 6, 7연음부에 이르는 리듬형이 나타난다. 또, 톤 클러스터(Tone Cluster)를 통한 불협화적 화성이 주로 사용된다. 이 작품에서는 장・단 3도, 증 4, 5도 음정의 도약이 주요하게 사용되었으며, 페달 파트에서 바소 오스티나토(Basso Ostinato)로 나타나는 감5도 음정이 강조되었다. 특히 연주자는 3연음부 리듬의 스타카토를 너무 세지 않게 연주한다. 음색,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연주 속도에 대한 지시사항이 악보에 상세히 나와 이를 참고하여 연주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에 걸친 다양한 시대의 작품들을 형식, 주요 음악적 특징, 작곡가가 의도한 음 소재, 연주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가 오르간 연주자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나아가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우울 관계에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연구

        최윤경 仁川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요즈음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아동우울의 원인 중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다. 또한 아동이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 상황을 조절하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행동, 특히 우울을 감소하고 건강한 정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신의 인지나 정서, 행동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자기 통제력이라는 개인적 기제가 어떠한 경로로 아동 우울에 도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행동 및 아동으로 하여금 적절한 통제력과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갖게 하여 아동 우울을 예방, 감소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B초등학교 4,5,6학년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부모의 양육행동,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자기통제력, 아동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요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분석으로서 각 척도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 등 기초 통계치를 구하였고, 변수들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행동,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자기 통제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행동과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중간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양육행동과 자기통제는 유의한 중간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자기 통제력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가 아동 우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는 아동 우울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아동 우울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양육행동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자기통제가 아동 우울에 직접경로만 있는 단순효과 모형,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 우울을 매개하는 부분 매개효과 모형, 그리고 자기 통제가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으로 가는 경로를 추가한 대안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한 결과 대안모형의 적합도가 단순효과 모형과 부분매개모형 효과의 적합도에 비해 양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안모형이 단순효과모형이나 연구모형보다 자료를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가 양육행동과 우울 간을 매개하고 있으며, 또한 자기통제가 양육행동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사이를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독립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직접 가는 경로의 효과인 직접효과와 독립변인에서 매개변인을 거쳐 종속변인으로 가는 간접효과를 알아보면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자기통제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육행동은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를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양육행동이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와 같은 개인 내적 변인의 매개를 통해 아동 우울에 도달하는 경로를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부모의 애정, 자율, 성취, 합리적 양육행동에 대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적극적인 부모교육 실시와 함께 아동의 개인 내적 기제인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 통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및 상담 전략을 세운다면 요즈음 증가하고 있는 아동 우울을 예방, 감소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경계선 정신병리와 자기 파괴성의 위험요인

        최윤경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features of borderline psychopathology, especially self-destructive behavior which was a core problematic symptom in a clinical practice, and to build a foundation for a futur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For this purpose, I attempted to examine the features of childhood trau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which borderline subjects had experienced, and searched for differences in diagnostic and clinical features of borderline psychopathology according to whether borderline subjects had experienced childhood sexual abuse or not. Also, I tried to clarify the role of emotional vulnerability, early maladaptive schemas(EMSs), and the protective factors(e.g.,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coping belief,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ere were ninety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focal group consists of thirty one subjec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first comparison group consists of thirty subjects with Axis I psychiatric disorders or other Axis II personality disorders. The second comparison group consists of twenty nine normal controls.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using the 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Borderlines(DIB-R) and the Revised Childhood Experience Questionnaire(CEQ-R), and completed packet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Parental Bonding Inventory(PBI),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SBQ), Beck's Scale of Suicide Ideation(SSI),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Beck Hopeless Scale(BHS),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Mood Survey(MS), Young's Schema Questionnaire(YSQ),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SPSI), and Reasons for Living Inventory(RFL).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y means of ANOVA followed by post-hoc Duncan tests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chi-square tests for categorical variab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trauma, borderline psychopathology,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There are eight findings that merit summarization here. First, out of female borderline subjects 68.0% reported a childhood history of sexual abuse(CSA) and 32.0% experienced serious sexual abuse such as penetration with object/finger 4.0%, attempted intercourse 16%, and completed intercourse 12%. The lifetime parasuicide rate of borderline subjects was 74.2%. Self-cutting(45.16%) and overdosing(41.93%) were also commonly reported methods. In addition, borderline subjects reported more suicidal ideation and had higher estimations of future suicide attempts than the two comparison groups. Second, the borderline subjects showed more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s, emotional vulnerability, EMSs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and les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an the two comparison groups. Third, the borderline subjects with childhood sexual abuse(CSA) complained less of suicidal idea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nd showed more impulsive behaviors including sexual promiscuity and parasuicide behaviors than the borderline subjects without CSA. Fourth, after controlling for witnessing of violence, non-sexual abuse(i.e., verbal,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neglect, CS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rderline psychopathology measured by DIB-R. However, after controlling for other traumatic experience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SA and self-destruction such as suicidal ideation, the frequency of parasuicide, or the possibility of future suicide attempt. This result indicated that CSA was not as important as other traumatic experiences in explaining self-destruction. Other types of trauma such as non-sexual abuse, neglect, and witnessing of violence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borderline psychopathology and self-destruction. Above all, chances of witnessing violence and neglect were risk factors, whil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a protective factor reducing the rate of parasuicide. Fifth, trauma in early childhood and latency perio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rderline psychopathology and self-destruction. Sixth, after controlling for the chances of witnessing violence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buse from moth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orderline psychopathology, suicidal ideation and the possibility of future suicidal attempts. Abuse and repeated brief separation from mother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parasuicide. Seventh,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self-destru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vulnerability, EMSs and a protective factor such a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coping belief and positive relationship. Finall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n the data revealed that childhood trauma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elf-destruction through EMSs, protective factor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And it was revealed that EMSs and protective factors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destruction through emotional vulnerability. These findings would have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borderline psychopathology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and its treatment. Som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small sample size, retrospec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problem of comorbid psychopathology, and etc. Issue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정신병리, 특히 치료 장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핵심 증상인 자기 파괴적 행동의 본질과 특성을 깊이 이해함으로써 이후의 치료적인 개입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계선 성격장애 집단이 경험한 아동기 외상 및 자기 파괴적 행동의 특징을 알아보고, 경계선 성격장애 집단에서 아동기 성적 학대의 경험 유무에 따라 경계선 정신병리의 진단적, 임상적 특징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효과검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아동기 외상과 자기 파괴성의 관계에서 정서적 취약성, 부적응적 인지도식, 및 보호요인(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대처 신념, 긍정적인 대인관계)의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1명의 경계선 성격장애 집단, 30명의 I 축 정신과 장애 또는 다른 II 축 성격장애를 가진 제1비교집단, 그리고 정상인 29명을 포함한 제2비교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피험자에게 경계선 환자를 위한 진단면담((Revised Diagnostic Interview for Borderlines, DIB-R)과 아동기 경험 질문지(Revised Childhood Experience Questionnaire, CEQ-R)를 시행하였고, 피험자들은 일련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심리학적 변인들은 변량분석 및 카이제곱 검증을 시행하였다. 아동기 외상, 경계선 정신병리 및 자기 파괴적 행동 간의 관련성을 명료화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를 이용한 매개효과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여성의 68.0%가 아동기 성적 학대의 경험을 보고하였으며, 이들은 물건이나 손가락의 삽입(4.0%), 성교 시도(16%) 및 성교 수행(12%)과 같은 좀 더 심각한 유형의 성적 학대를 경험하였다. 또한 경계선 집단에서 평생 유사자살행위 발생율은 74.2%에 이르며, 손목 긋기(45.16%)와 약물 과다복용(41.93%)이 흔한 방법이었다. 경계선 집단은 제1비교집단이나 제2비교집단에 비해 자살 사고를 더 많이 보고하였고 미래 자살 시도 가능성을 더 높게 추정하였다. 둘째, 경계선 성격장애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아동기 외상 경험, 초기 부적응적 인지도식(EMS), 정서적 취약성, 자기 파괴적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반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부족하였다. 셋째, 경계선 집단에서 아동기 성적 학대를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살 사고나 주관적인 고통은 상대적으로 적게 호소하였으나 더욱 충동적인 경향이 있었으며 성적 난잡성과 실제 유사자살행위가 더 빈번하였다. 넷째, 아동기 경험들 가운데, 폭력의 목격, 언어적, 정서적, 신체적 학대와 방임을 통제한 후에도 성적 학대는 경계선 정신병리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그러나 자살사고나 실제 유사자살행위의 빈도, 미래의 자살시도 가능성과 같은 자기 파괴성에서는 아동기 성적 학대의 상대적인 중요성이 다른 유형의 학대에 비해 그다지 크지 않았다. 비성적 학대와 방임, 가족내 폭력의 목격과 같은 다른 유형의 외상은 경계선 정신병리 및 자기파괴성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실제 유사자살행위의 빈도에 대해서 폭력의 목격 및 방임은 위험요인으로, 긍정적인 관계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경계선 정신병리를 비롯하여 유사자살 행위의 빈도, 미래의 자살 가능성을 설명하는데 초기 아동기와 잠재기의 외상이 중요하였다. 여섯째, 폭력의 목격과 긍정적 관계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어머니의 학대는 경계선 정신병리, 자살 사고, 및 미래의 자살시도 가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어머니의 학대와 어머니와의 단기간 분리, 즉 어머니로부터 적절한 보살핌과 애정, 관심의 결핍은 유사자살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일곱째, 아동기 외상과 자기 파괴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취약성, EMS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나 대처신념,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포함한 보호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변량 구조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동기 외상은 정서적 취약성, EMS, 보호요인을 통해 자기 파괴성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EMS와 보호요인은 정서적 취약성을 통해 자기 파괴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정신병리와 자기 파괴적 행동에 대한 이해 및 그 치료에 중요한 임상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작은 표본 크기, 과거 회상에 기초한 횡단적 연구, 진단 및 공존병리의 문제 등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보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프랑스 알자스-모젤의 종교적 특수성

        최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lsace-Moselle that are the exceptional region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France that insists 'République une et indivisible', and it deals with the background that made the Concordat of 1801 consists in the regions and its process and the current conflict. At present, the regions are the territory of France and I wonder why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re not applied to the regions. Among many reasons, the most significant reason i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lsace-Moselle that belonged to France and Germany by turn. In 1871, as France was defeated in the France Prussia war, Alsace-Moselle became under the rule of Germany in 1905 when France insisted the separation of the churches and state and established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ccordingly, the regions were not applied to the 1905 French Law and at that time, Germany agreed with the Vatican to continue the Concordat of 1801 and could be consistent with the religion friendly policy of supporting subsidies to churches. In 1918 when the First World War was closed, Alsace-Moselle returned to France but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as not applied to the regions as well. The initiative of republicans to introduce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was strong but resistance of the regional residents was much stronger. The French government that did not have conflicts promised the recognition of a religion instead of the application of the 1905 French Law on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 regions from political reasons. Furthermore, the government established in 1924 the law to respect the local laws and regional cultures of Alsace-Moselle in order to relax the residents of the regions that did not trust the government. At first, the government silently disclosed its intention that it would not give up on secularization of Alsace-Moselle by restricting the application duration of the law to 10 years. However, 2 additional clauses were established in Jun. 1, 1924 and the restriction period of 10 years lost its standing. As a result, most of the local laws of Alsace-Moselle maintained and the effort of the government to abolish the Concordat of 1801 became in vain. In spite of several failures, there are still the movements to secularize Alsace-Moselle. In particular, the movement to abolish the concordat of the regions has been more active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to ban the wearing of religious symbols in public places in 2004 whe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the churches and state and freedom of religion collided. It was because the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exception of Alsace-Moselle in the French society was judged to be a threat to the separation of the churches and state, a core of the republic. Furthermore, the example of Alsace-Moselle seemed to them that it can be used as an excuse for many Muslim residing in France to justify the wearing of religious symbols such as hijabs. In fact, among some intellectuals criticized that the behavior of the French government of recognizing the consistency of the Concordat of 1801 for Alsace-Moselle in the public areas are not consistent with dealing with Muslim. However, the residents of Alsace-Moselle still try to stick to the Concordat of 1801. It is because they believe that changing of the agreement with a religion in the areas is the same with intervening in the living mode of the residents of Alsace-Moselle. Of course, the rate to support the abolition of the Concordat of 1801 is rising in the youth but the local society is in the situation to preserve the religious particularity. The French government is also believed to think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ordat of 1801 to the regions is too early. The demand for the deliberation for the religious position of Alsace-Moselle was submitted on Dec. 19, 2012 to Conseil d’Etat and Conseil constitutionnel but the final winner was Alsace-Moselle. Nonetheless, the controversy on the position of the Concordat of 1801 in Alsace-Moselle is still in progress and it sharply confronts as the French social problem of Muslim integration is emphasized. 이 연구는 ‘하나의 불가분의 공화국(République une et indivisible)’을 외치는 프랑스에서 1905년 정교분리법의 예외적 적용을 인정받고 있는 특이한 지역인 알자스-모젤(Alsace-Moselle)에 주목하고, 이 지역에서 1801년의 정교협약이 지속될 수 있던 배경과 그 과정, 그리고 현재 벌어지고 있는 갈등을 다룬다. 프랑스의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이 정교분리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까닭은 무엇인가. 여러 이유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은 프랑스와 독일에 번갈아 귀속된 알자스-모젤의 역사적 배경에 기인한다. 1871년에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하면서 독일에 속하게 된 알자스-모젤은 프랑스가 국가와 교회의 분리를 외치며 정교분리법을 제정한 1905년에 독일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 따라서 이 지역은 1905년 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으며, 당시 독일이 1801년의 정교협약을 지속하기로 로마교황청과 합의함에 따라 교회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친종교적 정책을 지속할 수 있었다. 1차 세계대전이 마무리 된 1918년에 이르러 알자스-모젤은 다시 프랑스로 돌아왔으나, 이 지역에서 정교분리법은 여전히 적용되지 않았다. 공화주의자들을 필두로 정교분리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이에 반대하는 지역 주민들의 항의가 거셌다. 갈등을 원치 않았던 프랑스 정부는 정치적 이유를 들어 이 지역에서 정교분리법을 적용하는 대신, 종교를 인정할 것을 약속했다. 그리고 곧 알자스-모젤의 지방법과 지역문화를 존중하겠다는 1924년 법을 제정하여 정부를 믿지 못하는 지역 주민들을 안심시키고자 했다. 처음에 정부는 이 법의 적용 기한을 10년으로 한정함으로써 알자스-모젤의 세속화를 포기하지 않았음을 암묵적으로 드러냈다. 그러나 1924년 6월 1일에 두 가지 조항이 추가로 제정되면서 10년이라는 제한기간은 의미를 잃었다. 그 결과 알자스-모젤의 지방법은 거의 대부분 유지되었으며, 1801년의 정교협약을 폐지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여러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알자스-모젤을 세속화하려는 움직임은 여전하다. 특히, 정교분리원칙과 개인의 신앙의 자유가 충돌한 2004년의 공공장소에서의 종교적 상징물 착용금지법의 제정을 전후로 이 지역에서 정교협약의 폐지를 위한 움직임은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프랑스 사회에서 알자스-모젤의 종교적 예외를 인정하는 것은 공화국의 핵심인 정교분리를 위협한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더욱이 그들이 보기에 알자스-모젤의 예는 프랑스에 거주하는 많은 무슬림으로 하여금 히잡과 같은 종교적 상징물의 착용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이용될 소지가 있었다. 실제로 일부 지식인 가운데 프랑스 정부가 공적 영역에서 알자스-모젤의 정교협약 지속을 인정하는 행위는 무슬림을 대하는 태도에 비추어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이 일었던 것이다. 그러나 알자스-모젤 지역의 주민들은 여전히 1801년의 정교협약을 고수하려 한다. 이 지역에서 종교에 대한 합의가 변한다는 것은 알자스-모젤인들의 삶의 방식을 흔들어놓는 일과 다름이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물론,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정교협약의 폐지에 찬성하는 비율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지역 사회는 종교적 특수성을 지키려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프랑스 정부 또한 이 지역에 정교분리법을 도입하기에는 시기상조라고 여기는 듯하다. 2012년 12월 19일에 알자스-모젤에서 종교의 지위를 재고해야 한다는 요청이 최고행정재판소(Conseil d’Etat)와 헌법재판소(Conseil Constitutionnel)에 들어왔으나 결국 최종 결정은 알자스-모젤의 손을 들어주었다. 그럼에도 알자스-모젤에서 정교협약의 지위에 대한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며, 무슬림 통합이라는 프랑스의 사회문제가 불거질수록 더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대처 방식의 조절 효과

        최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 subjects eligible for this study were 165 cancer ward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wangju. For research tools,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Stress Measurement Tool for Staff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developed by Gu, Mi-ok and Kim, Mae-ja (1984) and revised by Han, Myeong-ja (2007). Stress coping styles were measured using ‘WCCL (The Way of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Lazarus and Folkman (1984) and revised by Han, Jeong-seok and Oh, Ga-sil (1990) and Han, Myeong-ja (2007). For quality of life,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BREF), developed by Min, Sung-gil et al. (2000)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ember 01, 2019 to December 14,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SPSS 21.0 for windo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job stress of the cancer ward nurse was 2.44 ± 0.45 points, the mean value of stress coping was 2.34 ± 0.29 points, and the mean value of quality of life was 3.17 ± 0.43 points. 2) In compar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job satisfaction (t=3.905,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8.068, p<.001). There was a difference in stress coping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F=4.043, p=.019) and the position (F=3.951, p=.021). Quality of life was different in gender (t = 3.842, p <.001), job satisfaction (t=-2.400, p=.018), and perceived health status (F=43.746, p<.001). 3)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216, p=.005)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r=.303, p<.001). Stress coping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248, p=.001). 4)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were: gender (ß=-.178, p=.007) and stress due to lack of expertise and skills(β=-.192, p=.016) which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Perceived health status (ß=.527, p<.001), positive perspective coping (β=.194, p=.011), and social support exploration coping (β=.151, p=.025)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in cancer wards, the moderating effect of wishful thinking cop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ound to have a buffering effect(β=.175, p=.023, R2=.078).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ward nurses, and was meaningful as it revealed that wishful thinking coping had a pur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nurses in cancer wa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wishful thinking coping skills. 본 연구는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C대학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암 병동 간호사 165명이다. 연구 도구로 직무 스트레스는 구미옥, 김매자(1984)가 개발하고 한명자(2007)가 수정⦁보완한 ‘간호사가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Lazarus와 Folkman (1984)이 개발하고 한정석, 오가실(1990)이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The Way of Coping Checklist)’를 한명자(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의 지침에 따라 민성길 등(2000)에 의해 개발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01일부터 2019년 12월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평균 2.44±0.45점, 스트레스 대처는 평균 2.34±0.29점, 삶의 질은 평균 3.17±0.4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t=3.905, p<.001)와 지각하는 건강 상태(F=8.068, p<.001)에서, 스트레스 대처는 최종학력(F=4.043, p=.019)과 직위(F=3.965, p=.021)에서, 삶의 질은 성별(t=3.842, p<.001), 직무만족도(t=-2.400, p=.018), 지각하는 건강 상태(F=43.74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 스트레스는 삶의 질(r=-.216, p=.005)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대처(r=.303,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는 삶의 질(r=.24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암 병동 간호사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β=-.192, p=.016)와 성별(ß=-.178, p=.007)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지각하는 건강 상태(ß=.527, p<.001)와 긍정적 관점 대처(β=.194, p=.011), 사회적 지지 탐색 대처(β=.151, p=.02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희망적 관측 대처의 조절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완충효과(buffering effect)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5, p=.023, R2=.078). 본 연구를 통해 암 병동 간호사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고, 희망적 관측 대처가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순수 조절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암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희망적 관측 대처에 관한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화학 시술 시 펄빅산 기능수 사용이 모발 내 중금속 저감에 미치는 영향

        최윤경 호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모발의 퍼머넌트 웨이브나 염색은 현대인의 개성연출로 다양하게 표현되어지고 있다. 모발에 시술되어지는 퍼머넌트 웨이브나 다양한 색상의 컬러링은 결과적으로 화학적인 손상으로 이어져 회복 할 수 없는 모발 손상을 만들어 버린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시술 중 모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환원제에 펄빅산(fulvic acid) 을 첨가하여 시술 시 농도에 따른 중금속 변화와 모표피의 형태학적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다. 천연 첨가물인 펄빅산을 사용하여 화학제품의 중금속 수치를 저감시켜, 모발 장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12개 시료 모발을 제작하여 물리, 화학적 손상(chemical damage) 도를 알아보고, 퍼머넌트 환원제와 염모제에 펄빅산의 농도를 다르게 첨가하여 적용한 시료모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염색(dye) 또는 퍼머넌트(perm) 시술 시 펄빅산(fulvic acid) 의 사용은 모발의 형태학적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염색 모발 시술시 펄빅산(fulvic acid) 을 5%(5㎖) 첨가 시에는 Pb, Al, Cd, Tl, Cs , 10%(10㎖) 을 첨가 시에는 Ba, U , 15%(15㎖)을 첨가 시에는 Hg, As, Bi의 저감 효율이 크게 나타났으며, 펌 모발 시술시 펄빅산(fulvic acid) 을 5%(5㎖) 첨가 시에는 Hg, Tl, Cs , 10%(10㎖) 을 첨가 시에는 Pb, Cd, As, U, Bi, 15%(15㎖) 을 첨가 시에는 Ba의 저감 효율이 크게 분석되어진 것으로 보았을 때, 자연모(normal hair) 에 염색(dye) 이나 퍼머넌트(perm) 등 화학 시술 시 펄빅산(fulvic acid) 을 최적 농도별로 첨가하면 모발 시술 시 사용되는 염모제 및 펌 제 에서 발생하여, 잔류하는 유독성 미네랄(중금속) 저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최윤경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오프라인 매장 판매사원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셀프리더십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소매영업에 있어 판매사원의 중요성과 필요 핵심역량을 강조하고 영업조직의 채용, 인적자원관리, 교육적인 측면에 시사점을 제언하여 서비스 기업의 최종 목표인 고객 감동을 실현하고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변수들의 개념 및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은 전자 전문유통 A사의 판매사원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약 2주간 총 324부를 배포하여 100% 회수하였으며, 데이터 검증을 통해 일관된 번호로 기입된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한 총 32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구성개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하위변수인 건설적사고전략은 유의수준 5%, 그 외 행위중심전략, 자연적보상전략은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하위변수인 행위중심전략은 유의수준 5%, 그 외 자연적보상전략, 건설적사고전략은 고객지향성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판매사원의 감성지능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변수인 자기감성이해, 감정이입, 자기감성조절, 자기감성활용 모두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타인감성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사원의 감성지능이 셀프리더십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감성지능의 하위 매개변수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정이입, 자기감성조절, 자기감성활용 모두 긍정적인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감성지능과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감성지능을 통해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즉 판매사원들의 셀프리더십을 통해 관리된 감성지능은 고객지향성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을 대표해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판매사원에게 셀프리더십 역량은 필수조건이 아닐 수 없다. 충성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순 판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유지, 문제가 발생을 때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해결능력 등 판매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을 높이기 위해 조직 차원에서는 자율성, 권한위임, 수평적 의사소통 체제 구축, 비전을 제시하여 우수한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해야 하며 셀프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실무교육과 더불어 내면 차원의 새로운 교욱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개인 차원에서는 자신의 업무영역에서 왜 이 일을 해야하는지 일의 의미와 명분을 생각하고 세분화된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전문성과 숙련도를 높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영업 현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셀프리더십에 대한 이론과 특성을 검토하고 셀프리더십을 함양할 수 있는 선행변인을 고려하여 셀프리더십 이론을 더욱 확대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상호문화이해학교 교직원의 지도 경험 사례 연구 : 경기도 농촌 소재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최윤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점차 다문화사회로 발전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다양한 체계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중 상호문화이해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직원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지도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 지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읍 소재 지역학교 중 다문화가정이 밀집된 상호문화이해학교를 선택하여 다양한 직종의 교직원들이 겪는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 경험 및 인식, 교직원들을 통한 다문화가정 아동이나 학부모가 겪는 어려움, 일반학생들의 다문화가정 학생 인식 경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상호문화이해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농촌 상호문화이해 정책학교 교직원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농촌 상호문화이해학교에 근무하는 교직원은 학부모 또는 지역사회와 어떻게 협력하는가?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문화이해학교 연구참여자들은 한국 다문화 사회현상을 긍정도 부정도 아닌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다문화사회의 가속화, 다문화 영향으로 생활문화 변화 실감, 학급 내 다문화가정 학생증가에 대해 개방적이고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긍정적 가치를 부여해서라기보다는 이주민이 현저히 증가하고 자신의 생활공간 내에 이미 존재 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학부모와 소통할 때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담을 담당하는 교사는 한국어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학부모와 다문화가정 부모들의 늦은 귀가에 따른 자녀의 학교생활 상담과 돌봄 시간을 내기 어려운 부모들과의 소통은 교사들의 학생 지도에 한계를 느끼게 하고 있었다. 셋째, 상호문화이해학교의 교직원들은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과제를 추가 업무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중에 학습지도시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취약한 한국어 지도 중심으로 교육을 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특정 짓거나 특별대우 없이 일반 학생들과 동등한 관계로 바라보며 일반 학생과 똑같이 지도하고 있었다. 넷째, 먹는 음식이 다른 부분도 있지만, 음식문화의 차이로 어려움이있다. 상호문화이해학교에서는 소수 다문화가정 학생의 급식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돼지고기가 들어간 급식이 제공되는 날에는 대체식을 준비하며, 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 돼지고기가 들어간 음식을 피해 별도의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한 교직원들은 다문화교육이 학교 구성원 모두에게 있어서 꼭 필요하다고 하였다. 관심도보다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은 적었고, 연수를 어디서 어떻게 신청하는지 모르고 있어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 홍보 및 기본정보 제공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여섯째, 방과 후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돌봄 공백을 지역아동센터가 제공해주고, 아동과 교직원들의 중간 역할도 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농촌 상호문화이해학교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바라보는 긍정적 인식 전환 계기를 마련하고, 다문화가정 학생을 지도하는 교직원들의 어려움과 외국인 가정과 국제결혼가정의 학생들이 우리와 같은 국민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