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ominick Argento의 [Six Elizabethan songs]에 관한 연구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목소리는 독창적인 악기로서, 음악이 만들어지는 모든 악기의 근본이다’라고 논할 만큼 미국의 현대 작곡가 Dominick Argento(b.1927)는 평소 성악에 대해 많은 관심과 또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0개의 연가곡 형식의 가곡집들과 다수의 오페라, 합창곡 등의 그의 성악작품을 통하여 인간의 목소리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20세기 미국 현대 작곡가로써 미국 성악 음악사에 큰 공헌을 한 Dominick Argento의 연가곡인 Six Elizabethan Songs (엘리자베스 시대의 6개의 노래)에 관한 연구이다. Six Elizabethan Songs는 Argento의 두 번째 연가곡으로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힌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곡은 영국 문학의 전성기였던 16세기 엘리자베스 시대에 활동한 시인들의 6개의 작품들이 가사로 사용되었으며, 자연과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각 곡은 시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시의 형식, 분위기, 주제를 악곡의 형식과 일치 시켜 이 연가곡을 만들었으며 엘리자베스 시대의 고전적인 시와 현대적인 음악 기법의 결합을 서정적이면서 풍부한 멜로디라인으로 살리고 있다. 또한 Argento는 성악 선율과 반주부의 음악적 표현에 있어서 섬세하고 다양한 방법을 구사하였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그 시적인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은 Argento의 여러 작품들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우선 그의 생애와 그의 예술 가곡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6편의 시를 쓴 시인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더불어 가사의 배경이 된 엘리자베스 시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작품 분석을 통하여 그의 성악 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고 그의 작품에 대한 연주론적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시의 내용과 악곡의 형식, 화성과 조성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작곡가 Dominick Argento의 고전적이면서도 낭만적이고, 현대적 작곡법까지 적절하게 조화를 시킨 그의 두 번째 연가곡 ‘Six Elizabethan Songs'는 현대 미국 성악 작품 중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곡은 화려하고도 유연한 음악적 기교와 정확한 발음 등의 기술적인 부분들을 요구한다. Six Elizabethan Songs는 음악적인 가치에 비해 작곡자나 곡의 해석에 관한 연구가 깊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곡들을 자세히 연구하여, 연주에 있어서 작품 속의 음악적인 표현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현대 예술 가곡의 레퍼토리에서 이 곡들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다른 성악가들의 새로운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on the song cycle "Six Elizabethan Songs" by Dominick Argento (b.1927) was revealed to be a 20th century American composer whose contributions to the contemporary American vocal music were vital. Argento has always been very interested in and has extensive knowledge of vocal music, and he even stated that "the human voice is a unique instrument and the basis for all musical instruments". To date, he has composed ten song cycles and number of operas, choral music and vocal pieces, all of which express the beauty of the human voic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thesis is his third song cycle "Six Elizabethan Songs", which is valued as his representative work and frequently performed. As the title suggest, the lyrics of the work come from the works of six poets from the sixteenth-century Elizabethan era, a period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pinnacle of English culture. Argento made this song cycle by harmonizing the form, mood, and subject of poems with the form of songs. This work was composed in order to express nature and the inner image of human beings, and contains various musical com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poems. The song cycle, which can be viewed as the combination of classical poetry and contemporary music technique, is very lyrical and abundant in melodic lines, and loyal to the contents of the poems. Not only does the song show the method of delicate and diverse musical expressions on vocal tunes but each song also agrees with each other and is also relatively simple. The essential words are emphasized through the vocal lines. Meanwhile, the piano accompaniment naturally take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gentle, poetic atmosphere. This study first analyzes Dominick Argento's life and artistic songs,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many musical works. In addition, it briefly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six poets,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Elizabethan era.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nt of poems, the form of the songs, and the changes in the harmony and melody throughout, this study found that Dominick Argento is a composer who is not only classical but one who incorporated romantic and modern composition techniques in his "Six Elizabethan Songs". In this light, it can safely be said that this piece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ieces of the modern American vocal music. Although the "Six Elizabethan Songs" is performed frequently,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about its composer or the work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k in detail to help maximize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songs when they are performed. In addition, with hopes that this work will play a continuing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song, the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aid future studies of vocal composers.

      • 아동의 색채 선호도에 근거한 제품 적용 사례 연구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색은 인간의 삶 속에서 공존하는 공기나 물과 같이 특별한 관심이 아니 고서는 인식하지 못하는 많은 존재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색채는 오감 중의 하나인 시각을 통해 느낄 수 있으며 광원에 비추어진 물체를 눈을 통 해 색으로 인식하는 것을 색채라 말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보여지는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를 거치면서 색채에 대한 육체적, 정서적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아동기는 집단 사회나 문화 생활에 접어드는 시 기로 아동용 제품에 사용될 색채 선택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이 선호하는 색상과 제품에서 선호색과의 관계를 밝혀 아동에게 올바른 색채 환경과 적절한 색채 관리를 목적으로 하고있다. 이를 위한 아동이 선호하는 색채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 연구의 필요성과 범위를 명시하고 그에 따른 연구 방법을 기술한다. Ⅱ장. 아동의 연령별 색채 인식발달과 심리적, 정서적, 생리적,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아동 발달에 따른 색채의 중요성을 문헌으로 고찰한다. Ⅲ장. 아동용 제품 색채의 필요성과 기업, 소비자, 제품적 측면에서의 색채 현황을 조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우리 나라와 외국의 기존 색채연구에 대해 기술한다. Ⅳ장. 본 연구의 핵심 부분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1차 색채 팔래트 조사와 여기서 도출되어진 색으로 2차 컴퓨터 모델링에 의한 16가지 Sample을 이용하여 선호경향을 분석한다. 또한 2차 모델링에 대한 색표계 측정법 L*a*b*, Munsell, XYZ을 사용하여 조사되어진 색채에 대한 과학적인 명시법이 진행되어졌다. Ⅴ장. 결과적으로 1차 조사는 색상, 명도, 채도 순으로 선호되어졌고 2차조사인 아동용 제품 색상은 Y계열로 톤(Tone)개념에 의한 제품색을 선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논지는 아동용 색채 계획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효과적인 색채 계획 방법을 제시하므로써 제품 생산시 시간과 경비의 절감 으로 인한 기업의 이윤 극대화와 적절한 아동용 제품 색채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Color is one of various existent things such as air or water which coexist in human life and it cannot be recognized without special interest. Color can be felt by the sense of sight which is one of the five senses, and it is called as color to recognize an object shed light on as color. Human has an interest in visible everything from birth and his physical and emotional responses of color appear differently through babyhood, juvenility, adolescence, adult and old age. Particularly, in juvenile period when human comes into social or cultural life, it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to choose color used in product for children. Hence, the study goal is to manage upright color environment and appropriate color for children after showing relationship of preference colors in children's preference product. For above mentioned goal, the study on children's preference color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Chapter I. Show clearly the need and the range of the study and describe its method. Chapter II. Find out the process of color recognition development and the physical, emotional, physiologic and social effects with children's age. Moreover, examine the importance of color as children's growth through various documents. Chapter III. Investigate the need of product color for childre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olor in the viewpoint of product, and describe the studies of color for children in Korea and the foreign ones. Chapter IV. This chapter is the kernel of study. First, color palette investigation is conduted and second, analyze trend of preference color by means of 16 samples by computer modeling of colors induced here. In addition, scientific elucidation method of investigated color has been proceeded by using secondary modeling of color table system measure method of L*a*b*, Munsell, XYZ. Chapter V. Consequently, children preferred Hun, Value, Chroma in order in the first investigation and product color for children of secondary investigation is Y group. In other words, product color by concept of tone was preferred. Synthetically thinking, the gist of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color plan is tried to be awakened. The management of product color for children and the maximization of profit of enterprise are to be helped by saving the expenditure and the producing time with giving the effective color plan method.

      • 鶴山 尹濟弘 山水畵 硏究

        최유정 韓國學中央硏究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sider life and the realm of paintings of Yoon Je-Hong(鶴山 尹濟弘, 1764~1845?), the famous scholar painter(文人畵家)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his status in the history of paintings and one side of the late Chosun Dynasty's painting circles. His reputation as a painter became early known to King JeongJo (1752~1800). Shin Wi(申緯, 1769~1845), a famous calligrapher and painter of the same age, who is like-minded with him appreciated his paintings as unequaled out of this world. Like this, He was an scholar painter of repute. His day in painting circles was during the 1790's and 1840's, considering his extant works. He mostly painted the ink-and-wash landscape paintings. His landscape paintings was roughly divided into the ideal landscape painting and the real landscape painting. Tangsongsiuido (唐‧宋詩意圖 ; paintings expressed the meaning of poem in Tang-Song) was of great importance in his ideal landscape painting works. He repeatedly used a subject, composition, and motif over the years of his activity. I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works, he painted real image of Seoul, Kyeonggi, Chungcheong, Jeju, Kangwon, and Hwanghae. Most of materials in his works are largely many scenic spots in the vicinity of his place of work. In this respect, his works represents one aspect of scholars' cult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Especially his works of Jeju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intings in the way that paintings of Jeju's real landscape is rare.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Yoon Je-Hong's works consists in the expression of his individuality based on tradition of the late Chosun Dynasty's painting circles. He temporarily followed the seniors' style such as Jeong Sun(鄭敾, 1676~1579), Cho Young-Suk 趙榮祏, 1686~1761), Lee In-Sang(李麟祥, 1710∼1760), and Shim Sa-Jeong(沈師正, 1707∼1769) and China's pictorial. However, full copy is not seen. He mostly painted on his own way, borrowed distinguished motif. For instance, He didn't express the subject of Tangsongsiuido in the general way of copying existing poem. Differently, his works has a distinctive feature in terms of revealing the sources with quoting poem and expressing his opinions. His individuality is remarkable i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The materials are borrowed from in-thing in painting circles at that time. However, he chose his own object that other artists did not prefer, and besides represents his own individuality by modifying the original image of landscape. Along with this, ever since he was appointed to the Jejudo Kyungchakwan(敬差官; Jeju' local government official) in 1825, he filled a long pieces of poem and articles in a space of the painting. The contents ar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image of the real landscape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story was written in a writing style of descriptive geography. His real landscape painting hereby seems to be a scenic spot guide map. As mentioned above, the unique contents and character of his works ar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ainters of the same age. Meanwhile, Yoon Je-Hong is well-known for a typical finger tips painter of the late Chosun Dynasty. He used finger painting to express surface texture by the way of rubbing. His expression mod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painter's (Shim Sa-Jeong, Lee In-moon(李寅文, 1745~?), Heo Pil(許佖, 1709~1761), and others.) way of expression that mainly used finger painting to draw a line and make a dot. In addition, He created a style of painting that imitated finger painting by developing it. This style is to express an uneven line and dappled surface by using brushes. In case of painting a line, it was expressed in style of connecting several short lines and drawing a winding stroke. In case of face, it was expressed in manner of leaving brush stroke by keeping it short or painting over the drawing using thick brushes. Yoon Je-Hong created an unique painting style, being called finger tips painting style, on the basis of this style of painting. Yoon Je-Hong's works show individual aspect in handwriting of subject as well as painting. Most of handwriting of subject was written in an blunt and uneven handwriting, rather than traditional style of writing like as zhuanshu(篆書), lishu(隸書), kaishu(楷書), xingshu(行書), and caoshu(草書). It seems like a style of writing imitated finger-pointed handwriting. And painting and letters are in harmony in an face by using an method. For instance, in case of changeable style of painting in light and shade, he expressed light and dark letter by applying it to handwriting. He also has a command of a curved line in handwriting. Like this, Yoon Je-Hong represented a new aspect of the 19th century's real landscape painting. Particularly, in the artist's real landscape painting, he made an unique style of painting, being called scenic spot's information map, on the basis of tradition of scholar culture(宦遊文化) and the artist's real landscape painting. Since Yoon Je-Hong, Namjong literary artist´s style of painting (南宗文人畵), being influenced by Kim Jeong-Hee(金正喜, 1786~1856) and his party, became well-known and accept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real landscape painting has declined after that time. In this respect, Yoon Je-Hong is an individual painter of Chosun Dynasty and one of the last person who succeeded in tradition of the artist's real landscape painting. 본 논문은 조선후기 문인화가 윤제홍(1764~1845년경)의 생애와 회화세 계를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화단의 일면과 그의 회화사적 위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윤제홍은 화명이 일찍부터 正祖(1752~1800)에게 닿았으며 교유관계에 있었던 동시대 名書畵家 申緯(1769~1845)가 그의 산수화에 대해 當代 第 一이라고 평할 정도로 문인화가로의 명망이 높았다. 현전하는 작품에 의거 하였을 때 화단에서의 활동 시기는 1790~1840년대이며 수묵산수화를 주로 그렸다. 그의 산수화는 크게 관념산수화와 실경산수화로 나눌 수 있다. 관념산수화는 唐‧宋詩意圖의 비중이 높으며 전 시기에 걸쳐 주제, 구도, 모티프를 반복하여 사용하였다. 실경산수화로는 서울‧경기, 충청, 제주, 강원, 황해, 전라도의 실경을 그린 작품들이 전한다. 대부분 지방 근무지 주변의 명승지를 소재로 하고 있어 조선후기 宦遊文化의 일면을 보여주며 조선시대 그림 중 얼마 남아 있지 않은 제주도의 실경을 다루고 있어 회화사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윤제홍의 회화는 조선후기화단의 전통을 바탕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한 것이 특징이다. 그의 작품 중에는 정선, 조영석, 이인상, 심사정의 조선후기 선배화가들의 작품들과 중국화보를 모방한 것들이 다수 있다. 하지만 전체를 베낀 예는 보이지 않고 대부분 특징적인 모티프만 차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변형하여 그렸다. 또 당‧송시의도의 화제에서는 단순히 시구를 옮겨 적는 일반적인 방식이 아닌 시구 인용과 함께 이에 대한 출처와 자신의 견해를 덧붙이고 있어 특징적인 면모를 보인다. 그의 개성은 실경산수화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소재는 당시 화단에서 유행하는 것을 그리면서도 다른 화가들이 선호하지 않는 자신만의 대상을 선택하였다. 실경의 재현도 그대로 묘사하지 않고 변형함으로써 개성을 나타 내었다. 이와 함께 1825년 제주도경차관 이후의 작품에서는 화면의 여백에 장문의 화제가 빼곡히 채워져 있어 매우 독특한 면모를 보인다. 그 내용은 실경의 위치와 형상, 주변 풍경 등에 대한 정보로 지리지 서술방식으로 쓰여 있다. 따라서 명승안내도 성격의 실경산수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제의 내용과 그림의 성격은 17세기 관북명승도에 연원을 두고 있다. 한편 윤제홍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지두화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지두 화법을 문지르는 방식으로 표면의 질감을 나타내는 데에 구사하였다. 그의 지두화법은 동일한 화법을 주로 선을 그리거나 胎點을 찍는 데에 사용했던 심사정, 이인문, 허필 등 조선후기 화가들의 방식과 차이가 있다. 나아가 그는 지두화법을 발전시켜 지두화법을 모방한 필법을 창안하였 다. 지두화법을 모방한 필법은 지두화법 특유의 고르지 못한 선과 얼룩덜 룩한 면을 붓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 방식은 선의 경우 짧은 선 여러 개를 잇대어 연결하거나 구불구불한 획으로 그리는 것이며, 면의 경우 두꺼운 붓으로 필을 짧게 쓰거나 덧칠을 하여 붓 자국을 많이 남기는 것이다. 윤제홍은 이러한 필법을 바탕으로 지두화풍이라는 독창적인 화풍을 만들었다. 윤제홍의 회화에서는 그림뿐만 아니라 화제 글씨에서도 개성적인 면모를 보인다. 대부분의 화제는 일반적인 전서‧예서‧해서‧행서‧초서의 전통서체가 아닌 뭉뚝하고 삐뚤삐뚤한 서체로 쓰여 있다. 또 글씨에 그림과 동일한 기법을 사용하여 화면 내에서 그림과 글씨가 어우러지게 하였다. 예를 들면 농담변화가 강한 화풍의 경우 이를 글씨에 적용하여 짙은 글씨와 옅은 글씨로 나타내었으며, 지두화법을 모방한 필법 중 하나인 구불구불한 선을 글씨에 구사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윤제홍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성을 표출하여 19세기 문인산수화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경산수화에서는 환유문화를 비롯한 조선후기 문인실경산수화의 전통을 바탕으로 명승안내도라는 독특한 화풍을 만들었다. 윤제홍 이후 조선말기화단은 김정희 일파가 주도하는 남종문 인화풍이 주류로 등장하면서 실경산수화는 쇠퇴의 길을 걷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윤제홍은 조선후기의 개성파 화가이면서 조선후기 문인실경산수화의 전통을 계승한 마지막 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최유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I surveyed 434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Gangwon area universities. A total of 4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pondents, 167 were males and 241 were female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measurement w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HFMPS), social anxiety scale, mattering scale,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matter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found to be correlated respectively. Second, the full mediation of mattering was confirmed in relation to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ird, the full mediation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ual mediation effect of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can reduce social anxiety through matter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 강원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434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4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자 중 남학생은 167명, 여학생은 241명이다. 측정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 자기수용 척도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대인존재감, 자기수용은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완전매개가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완전매개가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EU 무역장벽규정(TBR)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approved and adopted Council Regulation 3286/94 in December 1994, Trade Barriers Regulation came into effect as of January 1, 1995. TBR is a unilateral trade action purposed to protect onshore enterprises from unfair trade practice by foreign enterprises, and in the other way clear away obstacles by a third country adversely affecting onshore enterpises' industry or export, being applicable to goods, intellectual properties and services. In case EU secures an evidence that regulations adopted by a third country creates obstacles to trade, effecting adversely to the Unions' industry, EU by instituting a suit commences investigation. Typical unilateral trade action by which a domestic legal measure gives pressure to trade counterpart country comprises TBR, together with American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However, TBR does not allow unilateral retaliation within its regulation and hence is not procedurally inconsistent with WTO. In this regard, TB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U.S. Section 301 which does not limit retaliatory actions. As WTO was founded in 1995, EU amended NCPI which had been its unilateral trade action not to be in conflict with WTO regulations and dispute resolution proces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ny point TBR regulation itself conflicts with WTO. But problems remain in EU's course of investigation process. For a country that become target of investig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course of TBR's investigation and process and consider whether TBR might infringe justifiable defense of the target country. While TBR is reaping active utilization result with wide target and sphere for targets. Korea's "special measure" is regarded as having narrower applicable range excluding service and its regulations are passive in invoking actions. During last 15 years, EU initiated total 26 investigation cases, and 3 were in dispute with Korea. Among those three, Korean-EU shipbuilding dispute case was proceeded to WTO dispute resolution process. Korean-EU cosmetics case was settled after 10 years' negotiation. And Korea-EU medicine case is still in process despite of several times' negotiation and Korea's effort on medical system change. This case is expected to be settled by Korea-EU FTA to be effected, with investigation suspended. It is true that in an era when FTA reigns supreme, TBR has narrowed position. However, TBR can be invoked in areas where FTA could not clearly cover. Hence Korea needs to the possibility that TBR might be invoked and arrange for more systematic and positive special measures, for the purpose of actively protecting industries. EU는 1994년 12월 EU 이사회(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에서 이사회 규정(Council Regulation) 3286/94를 승인하고 채택하여, 무역장벽규정 (TBR-Trade Barriers Regulation : 이하 TBR라고 한다)이 1995년 1월 1일 발효되었다. TBR은 외국기업의 불공정 무역관행으로부터 역내기업을 보호하고, 반대로 역내기업의 수출이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3국의 무역장벽(obstacles to trade)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일방적 무역조치이며, 상품, 지적재산권 및 서비스를 적용 대상으로 한다. EU는 제3국가에서 취해지고 있는 규정이 무역장벽을 형성하며 공동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증거가 확인될 때 TBR에 의한 제소로 조사를 개시한다. 자국의 법률수단으로 무역상대국에 대해 통상압력을 가하는 대표적인 일방적 무역조치로는 TBR과 함께 미국 통상법 제301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TBR은 규정 내에 일방적인 보복조치를 허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절차상 WTO와 상충하지 않으며, 이 점은 규정상 보복조치에 제한을 두지 않는 미국통상법 제301조와는 구별된다. EU는 1995년 WTO의 출범에 따라 기존의 일방적 무역조치인 신통상정책수단(NCPI-New Commercial Policy Instrument, 이하 NCPI라 한다)을 WTO 규정과 분쟁해결의 절차에 상충하지 않도록 개정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TBR 규정 자체가 WTO에 불합치 하는 점을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절차과정 상의 문제가 남아있으며, 조사를 받는 대상국으로서는 TBR의 조사와 절차과정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EU의 TBR로 인해 자국의 산업의 정당한 방어가 불합리하게 침해되는 것은 아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TBR은 넓은 제소대상과 제소자 대상 범위를 갖으며 적극적인 활용결과를 내고 있는데 반하여, 이에 상응하는 한국의 “특별조치”제도는 적용범위도 서비스를 포함하지 않는 좁은 범위를 갖으며 조치의 발동 규정도 소극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15년간 EU가 TBR로 조사를 발동한 사건은 총 26건이며, 한국과의 분쟁은 3건이다. 그 중 한-EU 조선분쟁사건은 WTO 분쟁해결절차로 진행되었으며, 한-EU 화장품 사건의 경우 10년에 걸친 협상 끝에 종결되었다. 그리고 한-EU 의약품 사건의 경우 수차례의 협상과 한국의 의약품 제도변화의 노력에도 아직 진행 중이며, 이는 앞으로 발효될 한-EU FTA를 통해 해결되어 조사가 중지 될 것으로 예상된다. FTA 전성시대에서의 TBR의 입지가 좁아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분명 FTA에서 포함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TBR이 충분히 발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EU의 TBR 제기 가능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산업보호를 위해 좀 더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특별조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現代中國語의 量詞硏究

        최유정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現代中國語의 量詞硏究 중국어교육 전공 최유정 중국어는 漢藏語族(Sino-Tibetan Language Family)의 주종을 이루는 언어로서, 이 漢藏語族에 속하는 각 언어의 공통 특징 가운데 하나는 “풍부한 양사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漢藏語族의 附屬 언어 중에서 漢語가 가장 많은 양의 量詞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것을 漢語의 類型學(Typology)的 특성 가운데 하나로 꼽고 있으며, 漢語의 그러한 특성은 일찍이 隣接 언어인 한국어와 일본어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 바 있고, 이들 언어에서는 한어에서 유래된 量詞가 현재에도 상당수 쓰이고 있다. 오늘날 현대 중국어의 量詞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해졌지만, 고대에 쓰여 졌던 量詞는 오늘날처럼 구체화되지는 않았고, 시대의 변천에 의해서 점점 하나의 품사에 걸 맞는 量詞가 생기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量詞의 詞尾化의 기원은 한대에 있고 위진 남북조에 이르러 비로소 量詞의 용법이 점점 광범위해졌다. 이렇듯 현재 사용하고 있는 量詞는 단기간에 걸쳐 형성된 것이 아니라 漢民族의 장기적인 생활과 연관되어 형성된 일종의 언어습관이다. 고대에는 단지 量詞라는 명칭이 따로 없었을 뿐이지 그 사용은 이미 고대부터 이루어졌던 것이다. 따라서 장기적인 언어변화 속에서도 量詞는 소멸되지 않았고 그 사용이 더욱 자세하고 분명하게 발전되어온 것이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量詞가 현대중국어의 큰 특징 중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과거 농업중심의 사회였다. 따라서 일상생활 중에서는 소나 말 돼지 양, 개, 닭과 같은 가축이 인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보리, 콩, 옥수수는 모두 인간의 주식이 되었다. 따라서 사회 발전과 생산력의 증가에 따라 가축의 수와 식량의 양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해서 사람들은 일종의 度量衡의 기본 단위를 사용하기 시작하게 된 것이다. 고대부터 쓰여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같이 발전?생성되어진 量詞를 중국인이 아닌 이상 유창하게 구사하기란 무척 힘들다. 하지만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는 量詞의 연구는 현대중국어를 학습하는 사람에게 있어 간과할 수 없는 분야이며, 量詞의 적절한 사용과 정확한 구사는 중국어구사 능력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현대 중국어 어법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대부분 量詞라고 하지만, ‘助名詞’, ‘單位詞’, ‘單位名詞’, ‘別稱’, ‘陪伴詞’, ‘類別詞’, ‘計標’라고 주장하는 어법학자들도 있다. 量詞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도 이같이 수많은 이견을 보인 것을 보면 量詞에 대한 중국어법학자들의 관심도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本 稿에서는 첫째로 많은 異見을 보이고 있는 量詞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두 번째로 量詞의 발생과 그 발전에 대해 탐색해 보고 아울러 고 한어 量詞의 주요 용법 및 고 한어에서 쓰였던 量詞와 현대한어에서 쓰이는 量詞의 표현법에 있어서 같은점과 다른 점을 연구해보도록 하겠다. 세 번째로 본 논문에서는 ?月?,潘文?,故?? 著의 《?用?代???法》에 분류되어 있는 분류방법을 선택하여 각각의 量?의 용법과 그 용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류방법은 크게 사물의 수량 단위를 나타내는 名量詞와 행동의 수량 단위를 나타내는 動量詞로 나누고, 名量詞는 다시 고유 名量詞와 임시 名量詞로 나눈 후 고유 名量詞를 個體量詞, 集合量詞, 度量詞, 不定量詞, 準量詞, 複合量詞로 더 細分化해서 살펴보도록 하겠고, 動量詞는 고유 動量詞와 임시 動量詞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 부분을 연구함에 있어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說文解字》의 내용을 부가하였다. 네 번째로 양사와 다른 품사들과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내용을 종합 정리하여 현대 한어 양사의 정의, 변천과정, 분류 및 양사와 다른 품사들과의 결합관계 등에 대하여 결론을 提示하였다.

      • 머신러닝을 이용한 금융감성지수의 구축 : 시황·전망 기사를 바탕으로

        최유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tone of the news article using various techniques of machine learning, and then constructed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inancial Sentiment Index based on it. Through textual data of news corresponding to unstructured data, I tried to understand the sentiment of market participants throughout the financial market. In particular, I tried to analyze the sentiment reflected in the news article by analyzing the tone of the article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o the VKOSPI, the volatility index, the risk aversion estimate estimated by the method of Bekaert et al. (2013) and the News Sentiment Index (NSI) issued by the Bank of Korea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e index.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Financial Sentiment Index, it was possible to confirm a clear negative correlation with VKOSPI, and risk aversion, and a clear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ws Sentiment Index. 본 연구는 머신러닝의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뉴스기사의 논조를 분석한 뒤 그것을 바탕으로 금융감성지수를 구축 및 실증 분석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에 해당하는 뉴스의 텍스트 데이터를 통해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분위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논조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뉴스 기사에 반영된 심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변동성지수에 해당하는 VKOSPI와 더불어 Bekaert et al. (2013)의 방식으로 추정한 위험 기피도(risk aversion) 추정치, 그리고 한국은행이 발행하고 있는 뉴스심리지수(NSI)를 활용하여 작성한 지수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금융감성지수와 VKOSPI, 위험 기피도를 회귀분석한 결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뉴스심리지수와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AFM 측정법에 의한 알루미늄 재질의 초정밀 가공면 특성 연구

        최유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ltra-precision Machined Surfaces of Aluminum materials by AFM Measurement Choi Yu-jeong Advisor : Prof. Kim Jong-Kwan Ph.D. Departmen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recent advances in processing technology the management of the surface roughness is importan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in function and quality required as an attribute of the surface features of the cutting process. In this study, paper purposes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machined surface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in the precision cutting of aluminum(Al 6061) by natural diamond tool. For this study, the machine is install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facilities where there is no vibration. Because the external environment is one of the elements which affect the precision in machining and it may actually affect larger than the cause of the machine itself. The length of processing was a maximum of 500km. The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speculated and the final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hange of radius value is slight by 1㎛ low, when edge of cutting tool processes cutting length to 500㎞ and transformation by wear could confirm that do not happen. 2. By using new tool, surface roughness of early cutting processing, poor result was come out by effect of super hard particle. But it was confirmed that roughness was reduced as a result of some measure of cutting. 3. Evaluation of surface peculiarity by AFM 3D provides evaluation of existent surface roughness tester with visible information of three dimensional surface which is mor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new method to characteristics of ultra-precision machined surfaces by AFM measurement. 4.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 cutting such as vibration of machines or ambient environment. Key Words : Surface roughness(표면거칠기), Atomic Force Microscope(AFM: 원자현미경), Ultra-Precision Machining(초정밀 가공),

      • 평택시 거주 미국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 및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최유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현대의 여성들은 더 나은 아름다운 외모를 갖길 원하며, 그에 맞는 외모향상을 위해서 외모 가꾸기에 아낌없는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외모관리행동들도 더욱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가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있다. 그중 네일아트는 적은 비용으로도 자신의 개성을 부각할 수 있는 아이템 중 하나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알려져 비즈니스적인 부분에서도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비전 있는 산업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주체를 국내의 여성뿐만 아니라 국내에 장·단기 거주하고 있는 외국여성들의 네일 서비스에 대한 성향까지 파악한다면 네일아트 소비자에 대한 범주를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자료를 수집 하기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인이 많이 거주 하고 있는 평택시를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평택시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외모관심도가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 및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조사는 2017년 2월 20일부터 3월 17일까지 26일 동안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270부의 설문 중 일반적 사항의 1번 문항인 국적을 묻는 질문에서 아시안계 국적의 설문지50부를 제외하고 회수가 되지 않거나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순수 미국 국적의 2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설문의 1번 문항은 삭제되어 재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에는 SPSS 23 IBM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택시에 거주하는 미국여성들의 네일 서비스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네일 서비스를 받는 이유는 예뻐서가 28.1%로 가장 높게 나왔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가 23.6%로 두 번째로 높게 나왔다. 네일샵 선택 시 고려 요인으로는 가깝고 편리한 위치가 43%로 가장 높게 나왔고, 네일샵 시설 및 위생이 16.5%로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네일 서비스를 받을시 고려요인으로는 손톱의 길이가 35.5%로 가장 높게나왔고, 그 다음으로 아트 디자인, 손톱 모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택시에 거주하는 미국여성들의 외모관심도가 서비스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외모관심도의 요인을‘자기관리관심’, ‘타인인식관심’, ‘자기만족관심’으로 나누었다. ‘자기관리관심’은 네일 서비스를 받는 요인 중 모든 요인을 중요시 여기며, 네일샵 선택 시 고려요인에서는 직원의 전문성과 샵의 위치보다는 홍보 및 지인 추천의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네일 서비스의 가격과 시술 시간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고, 실질적인 네일아트에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타인의식관심’은 네일 서비스를 받는 요인의 모든 요인에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고, 네일샵 직원의 전문성과 친절함을 중요시하며, 실질적인 네일아트보다 시술 시간과 가격에 관심이 높았다. ‘자기만족관심’은 오로지 자기 자신의 매력만을 위해 네일 서비스를 받는 이유이며, 네일샵의 가까운 위치와 직원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손톱모양과 길이, 아트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셋째, 평택시에 거주하는 미국여성들의 외모관심도가 추구혜택에 영향을 미칠 것 인가?의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외형의 추구혜택의 요인을‘피부개선’, ‘손톱개선’, ‘기능개선’으로 나누었다. 내면의 추구혜택의 요인을‘가치향상’, ‘기분향상’, ‘건강향상’으로 나누었다. ‘자기관리관심’은‘피부개선’, ‘손톱개선’, ‘기능개선’의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음의 영향이 나타나 눈으로 보여 지는 외형의 추구혜택에서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마음으로 느끼는 내면의 추구혜택에서는‘가치향상’과‘기분향상’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인식관심’은 눈으로 보여 지는 외형의 추구혜택인‘피부개선’과‘기능개선’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마음으로 느끼는 내면의추구혜택인‘가치향상’과 ‘기분향상’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만족관심’은 눈으로 보여 지는 외형의 추구혜택인‘피부개선’, ‘손톱개선’, ‘기능개선’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며, 마음으로 느끼는 내면의 추구혜택인 ‘가치향상’과‘건강향상’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택시에 거주하는 미국여성들의 서비스구매행동과 추구혜택과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다. 대부분의 요인들은 정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고, 그 중 미국여성은 나의 가치를 높이려하는 성향이 높을수록 손톱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표면이 매끈해졌다 의 외형의 추구혜택인‘손톱개선’의 만족도는 낮았고, 아트디자인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내면의 추구혜택인‘가치향상’의 만족도는 낮아졌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외모관리 유형으로는‘자기관리형’, ‘타인관심형’, ‘자기만족형’과 같이 3가지로 나뉘었으며, ‘자기관리관심’은 네일아트에 관심은 많지만 외형의 추구혜택에서 까다로운 성격이었고, ‘타인관리관심’은 네일아트에는 소극적이지만, 추구혜택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며, ‘자기관리관심’은 모든 면에서 관심도 많고, 긍정적인 성격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향에 따라 각 요인의 선호도와 추구혜택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외국 소비자인 미국여성의 실질적인 니즈(Needs)를 파악하여 네일 산업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제도시인 평택시의 미래지향적인 글로벌한 네일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With the increase of interest in appearance, more women are spending more time and money to improve their appearance. Nail ar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to improve women’s appearance. Moreover, nail art is cost effective as it allows people to express their characteristics at a low cost. Thus, it is widely perceived as a field that brings huge benefits. In this trend, figuring out the propensity of not only domestic Korean women but also foreign women will help to broaden the spectrum of nail art costumers. Therefore, Pyeongtaek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area because of the large American population in that area. This helped to collect practical and effective marking data for this study. Fi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earance attitude on pursuit benefit purchasing behaviors among American women from Pyeongtak.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February 20, 2017, to April 17, 2017. Out of 270 questionnaires, 200 were answered by American women residing in Pyeongtak. Thus, 2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SPSS 23 IB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28.1% (highest)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receive nail art because it is pretty and 23.6% (second highest) answered they receive it for stress relief. Moreover, 43% of the subjects considered convenient loc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a nail shop, and 16.5% of the subjects considered the facilities and the hygiene of the nail shop to be important. Finally, 35.5%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consider the length of their fingernails when they receive nail service, followed by the design and shape of the nail ar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ppearance attitude of American women affected their nail service purchase behavior. Appearance attitude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interested in self-care,” “interested in what other people thinks,” “interested in self-satisfaction.”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elf-care” valued every factor that made them receive nail service. Moreover, when selecting nail shops, the promotion of nail shops and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played a larger role than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and the convenient location of the shop. Also, while the subjects were highly interested in practical nail art, the price and the procedure time of the nail service were not considered as important. For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what other people thinks,” every factor of receiving nail service did not have any effect, and were more interested in the procedure time, price and the professionalism and the kindness of the staff. Lastly,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elf-satisfaction” received nail service to enhance their own charm and were more interested in the convenient location of nail shops,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the length of nails and the design of the nail art as well.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ppearance attitude of American women living in Pyeongtaek city would affect the pursuit benefit. The external (appearance) factors of the pursuit benefit were divided into “skin improvement,” “nail improvement” and “functional improvement.” The in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 were divided into “value improvement', “mood improvement” and “health improvement.”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elf-care”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for all external factors: “skin improvement,” “nail improvement” and “functional improvement.” The in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s, howev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alue improvement” and “mood improvement.”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what other people thinks,” was highly satisfied with ex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s: “skin improvement” and “functional improvement,” and for the in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 “value improvement” and “mood impro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Lastly, people who were “interested in self-care” were highly satisfied with ex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 such as “value improvement,” “mood improvement,” and “functional improvement.” Finally, among the in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 “value improvement” and “health improvement”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Four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il service purchase behavior of the subjects and the pursuit benef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ost of the factors showed definition effect. Among them, the higher the tendency to increase one’s value, the lower the satisfaction rate was for external factors of pursuit benefit such as the “nail improvement” that includes the longer length of the fingernail or the smoothness of the nail surface. Moreover, the subjects that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design of the nail art, but showed low satisfaction rate for “value improvement,” an internal factor of pursuit benefit. In conclusion, appearance managem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elf-management type,” “interested in others type” and “self-satisfaction type.” “Self-management types” were interested in nail art, but were very picky about the external pursuit benefit. “Interested in other types” showed passive attitude toward nail art but were satisfied with the pursuit benefit, and those who were interested in self-management showed interest in every aspect and had a positive character. Moreover, results differ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different factors and the pursuit benefit. Thus, this research will help to figure out the actual needs of American women and provided information that can help to create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the nail art industry. Furthermore, this research will help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Pyeongtaek into a global and a future oriented city for nail 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