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만족도 및 개선방향

        최수린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부미용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자를 대상으로 간행물 이용 실태를 통해 이용 동기, 이용 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관련 요인을 실증 분석하여 이를 통한 개선방향을 바탕으로 에스테틱 간행물의 대중화 및 활성화에 기초적인 자료마련 및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현재 에스테틱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0 ­50대(피부미용 전공 학생, 숍원장, 테라피스트, 교육자)를 대상으로 2014년 3월 2일부터 4월 3일 총 33일간 총 360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6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9부를 제외한 33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 실태를 알아본 결과 에스테틱 간행물 구독경험에서는 원장이 가장 높은 구독경험을 나타냈다. 월평균 에스테틱 간행물 구독정도, 년 평균 에스테틱 간행물 구입비용에서는 원장이나 교육자가 테라피스트나 전공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냈다. 둘째,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방법에서는 원장과 교육자가 스파, 숍, 회사에서 간행물을 이용하는 반면 대학생은 컴퓨터 및 휴대폰으로 간행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스테틱 간행물을 즐겨보는 이유에서는 테라피스트나 학생의 경우 트렌드, 원장과 교육자인 경우 새로운 테라피나 테크닉을 위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에스테틱 간행물에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에서는 이용자 네 집단이 모두 홈케어 정보가 더 포함되어야한다고 나타났다. 셋째,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자의 이용 동기에서는 홈케어 팁을 제안하거나 마케팅 등 고객서비스를 위해 이용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에 따른 이용 동기에서는 교육자가 여가 및 트렌드를 위해 이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자의 이용 후 만족도에서는 지식 습득성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자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교육직에 종사하는 이용자가 새로운 지식 및 미용 정보, 직장 및 제자들과 대화를 원활하게 해줄 수 있음에 만족하였다. 다섯째, 에스테틱 간행물의 개선방향에서는 이용자 집단 모두 마케팅에 대해 개선방향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용자에 따른 에스테틱 간행물 개선방향에서는 대학생들에 비해 테라피스트, 숍원장, 교육자가 개선방향의 필요성을 높게 나타냈다. 여섯째,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동기가 개선방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구체적인 화장품 교육 정보 및 정확한 지식 제공에 대한 개선방향의 필요성이 높았다. 또한, 새로운 테크닉, 테라피를 고객에게 적용하거나 피부 이론, 화장품 성분 정보를 위해 에스테틱 간행물을 이용할수록 체계적인 마케팅 정보 제공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높다고 나타났다. 일곱째, 에스테틱 간행물 이용만족도가 개선방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식습득성, 사회적 유용성이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트렌드 및 테크닉에 대한 정보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피부 이론 지식, 교육정보에 대한 정보 개선의 필요성이 높았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성 있는 콘텐츠 개선의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용자에 따른 만족도가 다른 것으로 보아 에스테틱 산업의 종사자에 따라 자신의 이용 동기에 맞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니즈 충족의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에스테틱 간행물 제공자는 수용자의 욕구를 잘 파악하여 다양화, 세분화된 수용자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뷰티 에스테틱 산업 종사자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에스테틱 간행물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미용간행물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촉진시켜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비동기화 기반 오프로딩 최적화 기법

        최수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edge computing environment develops and becomes practical, resaerch related to offloading for processing complex tasks at low-performance edge nodes is actively being conducted. Existing offloading techniques require a process of synchronizing edge nodes and cloud servers to transfer complex tasks from edge nodes to high-performance cloud servers. In this process, as the edge node and the cloud server are synchronized, the edge node does not process other tasks until the rewult value is returned, resulting in unnecessary time to execute the program. This paper presents an asynchronous technique that reduces the execution time of the entire program by processing time-independent operations that wait for the edge node to return the result of offloading the cloud server. In addintion, through experiments, the execution time of the existing synchronization-based offloading technique and the execution time of the asynchronous-based offloading technique presented in this paper were in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system by reducing the time an edge node waits for the return result of the cloud server to arrive, reducing the overall execution time.

      •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수린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is a study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ith the followership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o make better career decisions, establish a plan ahead of the future, and to provide correct learning support and career education for instructors and departments for career selection active and systematic practical guidance plans and direction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450 surveys for 16 da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18, 2021, target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beauty-related departments across the country. After excluding 13 questionnaire with insincere responses, total 437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ample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nd the confirm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ex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ages were 19 and 20 years old. In the case of major satisfaction, the ‘middle’ was the highest. The motive for choosing a major, ‘aptitude and interest' was the highest. For the desired career hopes after graduation were the practical employment (hair salon, makeup cellon, skin care shop, nail shop) was the highest. For the desired job experience, ‘intern job’ was the hightest. Second,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reliability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iability of follwership types,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Cronbach's α value was in 816-936, so all the thesis questions had the internal consistency. Third, this study conducted the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thesis questions used for each construct of follwership types,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raise the goodness-of-fit of model, the questions were removed by referring to the modification indices, and then it was composed in the optimal status of goodness-fo-fit. The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factor loading, convergent validity, and construct reliability. Four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ollwership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he career mat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Fif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direct/indirect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the follwership typ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lso, the follwership types had direct/indirect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summar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 of followership type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beaucy college studuents, when the independent/critical follower types are higher, it would have effects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interest and activeness change, followers who show their talents without regre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organization or school have some faith and confidence in their career choices. When the Beauty collage students with this type of followerships choose a career path, if proper learning support and career education are provided by the faculty or collage departments, it will help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s in beauty industry in futures through wise choice of major and career path. In addition,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also check what type of follower they are, prepare and explore for the career paths through the followerships program within the employment program. This study could help suggesting that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eff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multi-dimensional efforts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in beauty majors to make rational career decisions and choices.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한 연구로, 인간의 감성과 가치에 기반을 둔 뷰티산업의 인력자원의 다차원적 개발에 맞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이 이러한 시대에 더 나은 진로결정을 하여 미래에 앞선 계획을 수립하고,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한 교수자와 학과의 학습 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실천적 지도방안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미용관련 학과를 다니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03일부터 11월 18일까지 16일간 450부의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한 13부를 제외하고 총 437개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확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만 19세와 만 20세가 많았다. 전공만족도의 경우 중이 가장 높게 나왔고, 전공 선택의 동기는 ‘적성과 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졸업 후 희망진로는 실무취업(헤어살롱, 메이크업셀롱, 피부관리샵, 네일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희망 직업 경험으로는 ‘실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팔로워십 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816에서 .936으로 문항들 모두 내적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팔로워십 유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구성개념별로 사용한 설문 항목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수정지수를 참고로 문항을 제거한 후 최적의 적합 상태로 구성하였으며, 요인부하량과 집중타당도 및 개념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 유형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 유형은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팔로워십 유형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직·간접적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팔로워십 유형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직·간접적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팔로워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팔로워십 유형 중 독립·비판적 팔로워 유형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이나 학교 내에서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참여 형태를 가진 팔로워들은 진로 선택에 어느 정도 믿음과 확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팔로워쉽 유형을 가진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에게 교수진 또는 학과의 올바른 학습지원과 진로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전공과 진로의 현명한 선택을 통한 미래의 미용 인적 자원 육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 또한 스스로가 어떠한 유형의 팔로워인지 파악하여 취업 프로그램 내 팔로워십 프로그램을 통해 진로를 준비하고 탐색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미용전공 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 결정과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차적 차원의 노력과 교육 프로그램 수립 및 실행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