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Multi-view 기반 원격 가상 / 증강현실 협업 연구
인터넷, 모바일 기기의 발달은 원격에서도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사람들은 영상을 공유하며 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단순하게 영상만을 주고받는 협업은 과업 지시나 상황 이해에 제약이 따른다. 가상/증강현실 기술은 정보 전달이나 흥미를 유발하는 측면에서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해주는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하는 Multi-view 기반 Remote Collaboration 방법을 제시한다. Multi-view 기반 원격 증강현실 협업은 이미지 기반의 View와 Video기반의 View를 작업자의 상황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Orthographic Three Image-based Collaboration으로 세 방향에서 찍은 이미지로 3D 맵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입체적인 Annotation을 제공하는 협업을 진행한다. 두 번째 방법은 Real-time Video-based AR Collaboration with Virtual Reality로 작업자는 실시간 Video 영상을 전달하고, 가상현실 기반 3D Annotation을 제공하여 협업을 진행한다. 또한, 정량/정성적인 실험평가를 통해서 기존연구에서 많이 활용되는 Static Image-based Collaboration, Real-time Video-based AR Collaboration과 비교연구를 실시, 각 방식에 대한 과업 달성도 평가와 정성적인 평가를 함께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기존의 연구결과보다 과업 수행의 달성도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관점에서도 보다 높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제시한 Multi-view 기반 협업 방식은 사용자의 상황과 디바이스의 성능 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협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탠리 프리드먼의 솔루스 분석 연구 : 현대음악에서의 트럼펫 연주기법 연구
This study analyzes trumpet techniques in Solus by American composer Stanley Friedman (1951∼). Born in Memphis, Tennessee, he is widely known as a composer, a conductor, and a trumpet player. His Solus for unacc ompanied trumpet reveals a plethora of contemporary performance techniques which are hardly heard from elsewhere.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a performer, attempts to describe the contemporary trumpet performance techniques and the composer’s intention through them by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rumpet performance technique and analyzing the contemporary performance techniques used in Solus. Like other instruments, the trumpet has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s through time. The improvement of instrument manufacturing made it possible for corresponding changes in technique. In this study, I will investigate each characteristic of trumpet performance technique at different times and discuss historical changes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especially when traditional key and chord systems were no longer pursued, to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contemporary music techniques in light of its developments. In the 20th century contemporary music has experienced compositional changes such as tweaks to tonality systems and harmonics, but it has also developed performance techniques of instruments. Furthermore, contemporary performance techniques have helped creative composers compose their own unique works, liberated from tradition. Music of the twentieth century has a characteristic of diversity, and based on this diversity, more contemporary techniques have been invented.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oday’s trumpet performance techniques which have trans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ime, with a focus on the Solus of Stanley Friedman. 본 논문은 미국 작곡가 스탠리 프리드먼(Stanley Friedman, 1951∼)의 곡 <Solus>에 나오는 트럼펫 연주 기법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스탠리 프리드먼(Stanley Friedman, 1951∼)은 미국 멤피스(Memphis) 출신의 작곡가이며 트럼펫 연주자와 지휘자를 겸하고 있는 음악가이다. 그가 작곡한 무반주 트럼펫 솔로곡인 <Solus>는 다른 트럼펫 곡들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새로운 현대기법들이 많이 나온다. 시대별로 변화해온 트럼펫의 연주 기법을 연구하고 곡에 사용된 현대 연주 기법을 분석하여 현대음악 트럼펫 연주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작곡가는 이 기법들을 통해 말하고자,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연주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서술하고자 한다. 시간이 지나며 다른 악기들이 그렇듯이 트럼펫 또한 악기의 외형적인 변화를 겪어 왔다. 이전 시대에는 악기의 외형적 한계로 인하여 시도하지 못했던 기법들이 현대에서는 악기 제작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트럼펫이 변화되어온 과정들을 살펴보면 트럼펫 연주 기법의 시대적 변화도 함께 찾아볼 수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시대별로 트럼펫 연주 기법들을 정리, 분석하고 전통적인 조성과 화음 체계로부터 벗어난 1910년 즈음인 20세기 초반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를 음악사적 관점으로 논하려고 한다. 이는 현대음악 기법을 현재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전에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연주 기법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여야 현대음악 기법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세기 이후의 현대음악은 달라지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조성 체계나 화성법 같은 작품 내적인 변화 외에도 악기 연주 기법의 발전까지 오게 된다. 또한 현대 연주 기법들은 전통에서 벗어난 창조적인 작곡가들에게 개성 있는 곡을 작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로써 20세기 음악은 다양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게 되고 그 다양성을 바탕으로 더 많은 현대기법들이 탄생되었다. 이와 같이 여러 시대를 거쳐 오며 변화, 발전하여 탄생한 오늘날의 현대 트럼펫 연주 기법들을 본 논문에서는 스탠리 프리드먼(Stanley Friedman, 1951∼)의 <Solus>를 통해 분석, 연구하였다.
20대 여성 미용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최성호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20대 여성 미용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사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20대 여성 미용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사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대학교 재(졸), 직급은 인턴, 근무시간은 10시간∼12시간 미만, 근무일수는 20일∼25일 미만, 월수입은 100만 원 이상∼150만 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의 차원은 복지만족, 교육만족, 업무만족, 관계만족, 직업만족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의 차원은 업무스트레스, 매출스트레스, 환경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이직의사의 차원은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 검증에서 복지만족은 매출스트레스, 교육만족은 업무스트레스, 업무만족은 직원관계, 직업만족은 업무스트레스, 가장 높은 부(-)의, 관계만족은 환경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직무만족이 업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복지, 교육, 업무, 직업만족은 업무스트레스에, 직무만족이 매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복지, 교육, 업무만족은 매출스트레스에, 직무만족이 환경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복지, 관계만족은 환경스트레스에 각각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이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복지, 교육, 관계, 직업만족은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직무만족이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복지, 업무만족은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의 각각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만족 요인을 기준으로 요인득점과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직업만족형, 관계만족형, 복지만족형으로 명명하여 분류하였다. 일곱째, 직업만족형과 복지만족형 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업무, 매출스트레스는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직무스트레스가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매출, 환경스트레스는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에 각각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관계만족형 집단의 직무스트레스가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업무, 매출, 환경스트레스는 근무조건으로 인한 이직의사에, 직무스트레스가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매출스트레스는 직원관계로 인한 이직의사에 각각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20대 여성 미용종사자들은 자기계발,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고된 직무를 수행하지만 근로 조건이나 환경, 복지에 대한 개선은 미비하여 직업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지고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20대 여성 미용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 관리교육이나 쾌적한 실내 환경,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개인별 성과급과 같은 내·외적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인적자원 관리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이직의사를 줄여 미용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동시충전이 배전계통 전력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cently, owing to concern about a depletion of fossil fuel and an environmental pollution, solutions have being discussed, globally. Electric vehicle is one of many solutions. However, electric vehicles have a lot of disadvantages; High cost, Limit of distance to station and inconvenience of charging. The OLEV (On-Line Electric Vehicle) is developed for disadvantages of electric vehicles to saving fossil fuel and the environment. The OLEV system use the high-frequency current of 20 kHz, 200 A for efficiency of energy transfer. Nevertheless, the OLEV system causes power quality problems when OLEV system is operated. This study uses 6-pulse and thirstier for economic feasibility and durability increase. Therefore, we must have analysis about the particular number harmonics (5th,7th,11th,13th...). Similarly, this system must have high-frequency analysis because of using 20 kHz. Power quality problems could not be ignored whenever the OLEV system is connected to distribution power system. Inaddition, power quality of the OLEV system increase when It installs several OLEV systems in distribution power system. In this paper, we measure and analyze power quality of OLEV system. Likewise, several OLEV systems are designed using measuring data by PSCAD/EMTDC. Power quality problems are divided to two cases; harmonics and high-frequency. Harmonics are evaluated according to IEEE Std. 519-1992. However, evaluation of High-frequency Problems is impossible because there are no standards for evaluation. Therefore, the OLEV system measuring data and EN50065 were compared. 최근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해 에너지의 사용이 직접적인 화석연료의 사용에서 전기 에너지의 사용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문제의 심각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효율 대중교통수단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고효율 교통수단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기자동차가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배터리의 고비용, 운행거리 한계, 충전의 불편 등으로 인하여 대중교통에 적용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중교통이 필요하게 되었고 기존 전기자동차 문제의 해결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으며 그 결과로 온라인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었다. 온라인 전기자동차 시스템은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무선으로 고효율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인버터에서 200 A, 20 kHz의 고주파 전류를 사용한다. 하지만 인버터의 사용으로 인하여 충전시 고조파와 고주파의 전력품질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인버터는 가격 경쟁력을 얻기 위하여 6-pulse를 이용하였으며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력전자 소자 중 하나인 싸이리스터 소자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6-pluse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특정 차수의 고조파(5, 7, 11, 13 등)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하며 20 kHz를 사용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고주파에 대한 영향분석이 필요하다.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발생한 전력품질 문제는 배전계통에 전 압 및 주파수변동 등 여러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동시충전을 고려하면 그 영향은 더욱 커진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전기자동차 및 무선전력 전송시스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PSCAD/EMTDC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동시충전시 발생하는 전력품질 문제가 배전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 및 국제 규정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Thomas Cartwright의 교회정치에 관한 연구
최성호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지금까지 토마스 카트라이트의 교회정치원리를 중심으로 한 칼빈의 개혁신학 속에 나타난 장로교정치원리와 웨스트민스터 교회정치원리에 대해 살펴보았고 한국장로교회의 실정과 그에 따른 평가를 내려 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서 먼저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토마스 카트라이트가 기초를 놓았던 장로교회정치원리가 그에 의해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이미 칼빈의 종교개혁사상으로부터 아니, 고대교회로부터 계속 이어져 왔던 교회정치원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장로교회정치의 원리가 되어지고 있는 것은 모든 신앙과 삶에 있어서 원리요, 규범으로서의 "오직 성경"으로부터 나오고 있다는 점이었다. "오직 주님만이 왕이시고, 모든 것에 앞서서 그리고 모든 것 위에 그의 말을 들어야 되며 우리보다 높은 상전에게 복종하되 그분 밖에서 복종해서는 안 된다"는 칼빈의 저항정신이 여기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원리는 또한 토마스 카트라이트로 하여금 영국 땅에 장로교 정치의 기초를 놓게 했으며, 또 다른 많은 개혁자들도 동일하게 하나님에 대한 고백과 신론에 앞서 개혁의 방편과 무기로서 성경에 대한 고백으로 칼빈주의적 장로교회로서의 처음이요 마지막 신앙고백이라 할 수 있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그 정치와 예배모범을 고백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사실들은 성경에 근거한 교회정치 원리는 회중교회도 감독교회도 아닌 장로교회정치임을 분명히 말해준다 하겠다. 이와 함께, 장로교회정치의 귀중한 고백의 유산으로서 완전한 교회로서의 장로회인 노회의 개념과 "당회", "노회", "대회", "총회"의 치리회에 있어서 "의장의 개념과, 파회 개념"의 의미가 결코 단지 지엽적이거나 불필요한 논쟁이 결코 아님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 시대에 있어서 교회는 성경의 원리를 떠나 시대의 환경에 발맞추어 재빠른 적응을 해 나아감에 따라 순교의 피를 통해서 이루어놓은 종교개혁의 유산들을 값없이 버리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런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는 진정 개혁주의 신학(교회정치)이 무엇인가를 되물어야 할 것이다. 개혁주의는 개혁된 신학이다. 또한 개혁된 신학이란 무엇을 개혁해야 할 것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개혁된 것이 무엇이냐를 중요하게 여기는 신학이다. 그렇기 때문에 장로교인이라는 이유 때문에 고난 받고 순교한 한 농부의 순교적 고집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만을 듣고자 하는 고집, 그리스도만을 왕으로서 그리고 교회의 머리로서 고백하고자 하는 고집,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진리를 버리고 진리 때문에 친구들도 나를 버리고 가족들도 나를 버리며 가까운 신앙의 동지들도 나를 버려 진리 때문에 홀로 서 있고 하나님만이 그 증인으로 있을 때(solus primo eram, me unum fuisse, Deum ipsum testor), 인간의 의지로 홀로 서 있어서는 안 되고, 루터처럼 성경과 더불어 아직 이성 혹은 양심으로 홀로 서 있어서는 안 되며, 오직 성경을 가지고 그 성경과 함께 오직 성경에 의해서 생각하고 말하고자 하는 고집으로 홀로 서 있었던 것처럼 우리의 독특한 고백 안에서 저항하는 자로서 그 안에서 오직 성경으로 생각하며 말하는 자로서 홀로 서 있어야 한다. 여기에 바로 정통개혁주의 신학으로 무장해야할 당위성이 있다 하겠다. 그러기에 우리는 활동과 조직에 있어서 헌법에 보증되지 않고, 그 헌법이 지향하고 있는 단순하고 바른 교회정신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만한 틀이나 정신들은 우리 가운데 과감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더 하나님의 진리 자체가 좋으면 좋을수록 무조건 수용되는 분위기가 되어야 하고, 자신이나 주변의 원인 때문에 진리에 대해서 못 본체 해서는 안 된다. 참된 진리를 분별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우리의 헌법에 기초하여야 하고 언제든지 진리는 동조자가 없고 공인이 되지 않아도 그 자체가 빛으로 남아 있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장로교회란 이름을 붙이고 있고 계속 붙이길 원한다면 토마스 카트라이트의 교회정치원리를 바탕으로 한 스코틀란드 종교개혁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동시에 영국에서 일시적으로 그 스코틀란드 종교개혁에 따라 개혁해보고자 하는 영국 시민전쟁의 열매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남겼다면 그 장로교회의 종교개혁은 원고백서의 내용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