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업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사지원과 학습민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성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직무요구에 대응하는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를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매칭가설 관점에서 업무과부하, 상사지원, 학습민첩성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업무과부하는 양적과부하와 질적과부하로 구분하여 동질적 차원의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상사지원), 개인자원(학습민첩성)의 대응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중소기업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중소기업 종사자를 제외한 국내기업 근로자수 300인 이상의 수도권 소재 중견기업과 대기업에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이다. 국내 중견기업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의 전체 모집단 규모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목표 모집단을 선정하여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4일부터 4월 22일까지 총 9일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496부 중 불성실 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462부(유효자료율 93.1%)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업무과부하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학습민첩성이 조절하는 완충효과를 실증하였다. 셋째, 업무과부하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하는데 이 매개효과의 크기는 학습민첩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넷째, 학습민첩성의 수준에 따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달라지는지 조건부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습민첩성의 모든 수준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달라지고 있으며, 학습민첩성 수준이 높은 그룹일수록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부(-)적 간접효과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첫째, 학습민첩성이 신규 개인자원으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매칭가설 관점에서 학습민첩성의 개인자원이 직무요구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완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매칭가설이란 직무요구와 직무자원, 결과변수가 동일 차원으로 대응되는 경우, 즉 양적요구에는 양적자원을, 질적요구에는 질적자원이 투입될 경우 가장 강력한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으로 업무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넷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경로에 가장 큰 영항을 주는 것은 직무스트레스이고, 양적과부하와 질적과부하 모두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직무요구-자원이론 차원에서 새로운 자원들의 발굴과 함께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경험적 증거를 규명해 나가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자원이론을 HRD 관점에서 이론적 확장이 필요하다. HRD 관점에서는 조직차원의 직무자원 뿐 아니라 개인차원의 자원 발굴 필요성에 더욱 초점을 맞출 수 있고, 직무자원과 개인자원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조직개발 및 개인개발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둘째, 그동안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의 경우 유사성에 따라 분류한 것처럼 개인자원 또한 동질적 차원의 분류작업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정교화가 필요하다. 셋째, 조절된 매개효과 방법론으로 직무요구-자원이론의 실증분석을 위한 고도화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조직 구성원이 본인의 직무요구 상황에 적합한 개인자원을 활용하고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업무효과성 제고를 위해 직무자원 및 개인자원의 HRD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과 그에 따른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개인자원으로서 학습민첩성의 추가 실증이 필요하다. 학습민첩성은 신규 개인자원일 뿐 아니라 측정도구 또한 실증 결과가 희소하고, 매칭가설 관점에서 어떤 직무요구에 대응하는 자원인지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개인자원 실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직무요구-자원이론의 틀 내에서 자원으로서 가능성이 높은 변인들을 탐색하고 실험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다양한 조직유효성 변인들을 직무요구-자원이론의 틀 안에서 경험적 연구를 시도하고 적합한 자원으로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은 의미있는 시도라고 판단된다.

      •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최성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무한경쟁의 21세기에 기업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 성과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고객의 눈높이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성과지향은 조직 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들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 정도는 날로 심화되면서 직무만족 뿐 아니라 직무몰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기업의 경쟁력과 조직의 효율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기업은 여러 구성원이 함께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구성원간의 관계형성 또한 성과향상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즉 조직 내 팀원 간 정보를 주고받고, 상호 존중과 격려의 감정을 공유하며, 적절한 피드백 등의 활동을 일컫는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며 구성원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 활동 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이 상황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바라보는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가 즉 자아탄력성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조직 내 구성원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연계선상에서 논의되어야 하며,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K항공사의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불완전한 설문을 제외하고 240부를 유효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SPSS 18.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거쳤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 α 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측정한 주요변인의 기초통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직무관련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조직구조 스트레스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행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특히, 조직구조 스트레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은 유의미성을 보였고, 이 중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낙관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별로 살펴보면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제외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조직구조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낙관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및 조직구조 스트레스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받지만, 직무관련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완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조직 내 팀원의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조직 내 팀원들이 개인에게 사랑, 관심, 인정, 존경 등의 정서적 지지나 정보제공, 물질적 도움 등의 직접적 자원제공 등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다. 특히 사회적 지지활동이 직무스트레스 하위변인 중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지지가 당장 조직구조를 바꾼다거나 역할갈등 및 과부하 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측면보다는 상호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대인관계를 개선함으로써 사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이 발휘하는 자아탄력성의 정도가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해결하는데 있어 타인에게 의존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긍정적 강화나 신념이 중요하다 하겠다. 다만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직무관련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역할갈등, 역할과부하, 역할모호성 등의 직무관련요인은 개인의 낙관성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물질적 또는 평가적 지지 등의 실질적 도움을 주는 지지활동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하나인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받으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낙관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에 바로 영향을 준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을 직접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한말·일제강점기 영남지역 서원·사우의 건립 양상

        최성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Despite the possibility that research on Seowon(academies of classical learning) and Sawoo(ancestral shrine) which was built after the disposal of Seowon(academies of classical learning) and Sawoo(ancestral shrine) should be conducted, was not popularized except for the Honam reg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how Seowon and Sawoo were built at the inflection point of the end of the 19th century(late Korea) to 1945(Japanese colonial era). This study has tracked the restoration and establishment of Seowon and Sawoo in the 19th century(late Korea) to 1944(Japanese colonial era) at Yeongnam. This study has utilized cross-validation analysis of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data from the cultural center for the reconstructed Seowon and Sawoo. Additionally, for the newly established Seowon and Sawoo, this study use data from the cultural center. After the demolition, 14 out of a total of 66 SaaekSeowon and Sawoo Temple in Yeongnam area were rebuilt. In Gyeongsangnam-do, 47 out of a total of 258 yarns were reconstructed, and in Gyeongsangbuk-do, 73 out of 480 yarns were reconstructed. Most of them were built sequentially from Japanese colonial era. If it was not built as a Seowon and Sawoo, most of it was built as a village school or ritual house. During the late Korea and Japanese colonial era periods, 11 new temples were established in Gyeongsangbuk-do, and 43 new offices were established in Gyeongsangnam-do. There were more new establishments in Japanese colonial era than in the end of the year, and they were more active in Gyeongsangnamdo than in Gyeongsangbukdo.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continued as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disappeared due to the demolition, and the existing power to prevent the construction of Seowon and Sawoo disappeared due to the Japanese colonialization. At this time, things other than the ancestral rites such as village school and ritual house also served as ancestral rites or concentration of public opinion in Confucian scholars. This expansion of cultural representation may have reasons such as economic reasons for the family and the protection of the order of the Yurim community, but it was a phenomenon that occurred as the sense of the family became more soli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how the group “Confucians” tried to use the shrine, their cultural represent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upheaval of the 19th century(late Korea) to 1945(Japanese colonial era).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identify one of the reasons how “Confucians” power remained in a situation of the 19th century(late Korea) to 1944(Japanese colonial era) where the established order changes.

      •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의 대화 연구

        최성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예수께서 사마리아 여인과 대화를 나누는 장면(요한 4,1~42)을 읽다보면 굉장히 흥미로우면서도 어딘가 부자연스럽다는 느낌을 받는다. 사마리아 여인과 예수가 주고 받는 대화를 보면 동문서답같기도 하고, 여인의 태도가 갑자기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 여인은 예수를 비아냥거리는 듯한 태도로 대하지만, 마지막에 가서는 고을 사람들과 함께 예수를 “세상의 구원자”라고 고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요한복음이라는 문학구조 안에서 이 이야기가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문맥과 문체적 특징을 살펴본 후 인물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요한복음 안에서 신앙을 받아들인다는 측면에서 사마리아 여인은 2장과 3장에 나오는 다른 인물들과 확연한 대조를 보여준다. 즉 사마리아 여인은 예수님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대표적인 인물로 묘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4,1~42)을 주석하면서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 그리고 제자들과 나눈 대화내용에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문화 등 숨어있는 정보들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화내용에 담겨져 있는 의미와 인물들의 성격을 분석해보면서 독자가 배울 수 있는 점들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먼저 예수가 사마리아 여인이나 제자들과 나눈 대화의 모습과 내용에서 예수가 생명의 물을 얼마나 주고 싶어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여인은 처음 예수가 말을 걸었을 때 퉁명스럽고 비아냥거리는 말투로 예수에게 대답했지만, 예수께서는 아랑곳하지 않고 여인에게 영원한 생명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하느님의 선물'과 여인에게 '말하는 이'가 누구인지를 알려주신다. 뿐만 아니라 제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행위는 제자들에게까지 확대된다. 이렇게 예수가 보여준 모든 행동들을 통해 사마리아 여인은 변화된다. 처음에는 예수를 상관없는 사람으로 여기지만 이야기의 마지막에는 고을 사람들과 함께 예수를 “세상의 구원자”라고 고백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마리아 여인은 예수와 대화를 나눔으로써 영적인 눈을 뜨게 될 뿐만 아니라 제자들처럼 사람들을 예수께 인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예수를 자신의 삶과 무관하다고 여기고 있는 사람들의 신앙이 어떻게 성숙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님의 제자의 길을 걸어가는 이들이 예수의 마음과 태도를 본받을 수 있기를 희망하며 본문을 연구하였다. When a reader reads Jn 4,1~42, although the scene of conversation which Jesus has with Samaritan woman is very interesting, it seems quite unnatural. I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m they exchanged ridiculous answers. And the attitude of the woman was suddenly changing. In the beginning, she seemed to be sneering at Jesus, but at the end of the story she has confessed Jesus as “the savior of the world.”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s after focusing on how the story could be interpreted in 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Gospel, considering the context and literary characters related to the story. As a result, first of all, in terms of having faith in the Gospel of John, the woman contrasts with the other characters in Chapter 2 and Chapter 3. So to speak, in regard to structural features, the woman is seen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believed in Jesus Christ. In exegesis of the text (Jn 4,1~42), hidden information is recognized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Jesus and Samaritan woman, such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contemporary context. Also when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 conversation and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are analyzed, there are some points to learn from each character for a reader. First of all, there is a point to learn how strongly Jesus wanted to give the water to the woman and the people in the dialogue of Jesus and Samaritan woman. The woman replied, when Jesus spoke to her, in a curt, sarcastic tone of voice. But Jesus responded to the woman indefatigably, and taught her "gift of God" and "who it is say to her" for eternal life. Furthermore, the practice of this God's will extended to his disciples through their dialogue with him. The attitude of Jesus Christ was consistent, but the first and final attitude of the woman were distinctly different. At first, she saw Jesus as a man who didn't relate to her, but at the end of the story she confessed to Jesus, “the Savior of the world.” She opened her spiritual eyes to Jesus through conversing with Jesus and was able to lead other people to Jesus Christ like disciples as well. This thesis studies on the text with hoping to show how to mature people’s faith, especially for the people who regard that Jesus is irrelevant to their life, and to help the people who walk along the way of the Lord to emulate Jesus’ heart and attitudes.

      •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스마트워치의 사용자 경험 적용 연구

        최성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이 등장한 이후, 지난 10여 년간 각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무서운 속도로 개발 경쟁을 벌여왔다. 그러나 올인원디바이스로 자리 잡은 스마트폰은 제품 간 성능 차이가 미미해지면서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의 성장으로 등장한 사물인터넷은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의 가장 큰 가치는 '연결'에서 발생하는데, 모든 사물이 연결될 때 발생하는 가치는 전 산업을 재편성할 강력한 잠재력을 지닌다. 이 때문에 사물인터넷 기술이 반영된 가장 대중적인 제품인 스마트워치는 스마트폰을 대신할 가능성을 가진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1세대 스마트워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했고, 제조사마다 각자의 전략으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발전 단계별로 요구되는 스마트워치와 사용자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변화하는 사용자 경험에 대해 올바른 디자인 방향 설정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은 모니터링-제어-최적화-자율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계의 스마트워치는 주로 사용자와 대상간 1:1 소통을 연결한다. 최초단계의 정보전달에 있어 스마트폰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디자인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손목시계 폼펙터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이 단계의 스마트워치는 디바이스 구현 및 패션요소 중심으로 발전한다. 제어단계에서 스마트워치는 일대다(1:Group) 소통으로 연결된 각 기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허브 역할을 맡는다. 네트워킹 기술 중심으로 발전한 스마트워치는 각 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로써 버튼 및 터치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발전할 것이다. 네트위킹 기술이 성숙단계에 이르면, 스마트워치는 사용자로부터 고유의 심성모형을 확립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적화단계는 하드웨어 및 네트워킹 기술 등의 발전이 성숙하여 본격적인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행동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패턴과 라이프스타일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히스토리 정보는 사용자가 스마트워치를 통해 직접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소통 방식에서, 상황별로 기호에 맞는 모드를 연출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자율화단계에서는 모든 사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율적으로 활동하는 이상적인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조성된다. 가벼운 연결 속성은 스마트워치의 핵심 역할만을 남기게 되는데, 이러한 핵심적 역할로 기대되는 요소가 바로 생체정보에 의한 인증 기능이다. 기계식 손목시계가 본래의 기능을 넘어 사용자의 지위와 개성을 대변하는 상징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했던 것처럼, 스마트워치는 향후 사물인터넷 시대에 사용자와 소통하는 아이코닉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현재 스마트워치의 성장수준은 제어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일시적 유행상품으로 사라지지 않고, 스마트한 손목시계라는 인식을 넘어 스마트워치 고유의 심성모형을 확보하고, 최적화 단계의 역할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현 단계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용자경험을 충족시키는 스마트워치의 개발은 사물인터넷 발전단계의 흐름을 따라 고유의 사용자 경험을 이어나갈 것이다. Since Steve Jobs first introduced the iPhone, the smart phone industry has gone through a rapid development phase. Smart phones have now become all-in-one-devices that are essential to modern lifestyles. However, as the performances of competing smart phones become increasingly alike, there is a need for products that offer different and better user experience.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developing at incredible speed, Internet of Things(IoT), is recently garnering much attention as the next frontier. The value of IoT lies in “Connectivity.” This connectivity has the potential to reorganise the industry. One such product is the smart watch. Smart watches are often regarded as potential replacements to smart phones. However, the first generation of smart watches have been disappointing so far with products failing to fulfil user nee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IoT and understand its potential. This research also seek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atches and their users. By doing so, it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user experiences (UX) and how product design should reflect these experiences. This research will consists of a literature review on IoT and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potential for applicability. The growth of IoT can be understood into distinct 4 phases: Monitoring, Control, Optimisation, and Autonomy. During the monitoring phase, smart watches provide one-on-one connectivity to their users. They are usually quicker and more efficient than smartphones at relaying information. In terms of design, they are influenced by the form factors of traditional wrist-watches and develop as fashion items. In the control phase, smart watches act as a hub to monitor devices of multiple users in group connectivity (1:N). Their development centers on networking technologies and will act as a switch controller to each device and incorporate a button and touch interface. With networking technologies expected to advance even further, we predict that smart watches will have the capacity to establish a unique mental model of each user. In the optimisation phase, smart watches will create an IoT ecosystem as a result of advancements in hardware and networking technologies. They will act as controllers and user identification devices using voice and movement interface. They will gather data from user movements and collected data will be utilised to determine user patterns and lifestyles. These data will change the way users interact with devices, from manual control to an adaptive mechanism that change based on user situation. In the autonomy phase, an ideal ecosystem will be created in which all devices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act autonomously. The main purpose of smart watches will center on light connectivity while additional functions will be passed on to other optimised devices.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smart watches will be identifying/confirming information based on user health. Similar to how traditional wrist-watches outgrew their initial function and became a statement of prestige and fashion, smart watches will evolve into iconic devices that connect users to IoT. Given the development of smart watches today, we find ourselves in the control phase. For smart watches to continue their existence, go beyond the initial observation that they are simply “Smart” wrist-watches, and establish mental model of user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nd better understand user experiences. Thi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smart watches that mirror the development IoT and that provide unique experiences for users.

      • 허클베리핀의 모험에 나타난 헉의 성장과정

        최성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etting of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is the Southern area of United States which has a contradictory system such as slavery. Through this work Mark Twain showed that racial discrimination, the cruelty of human beings and the hypocrisy of religious life that were realities of social corruption in those days. He represented the loss and moral corruption of the human beings throughout the southern states to define with his own realistic style from Huck. Huck wanted to escape from civilized society, so he attempted traveling down the Mississippi, Huck took a chance toward gaining his maturity going further than expected bu meeting Jim. What makes Huck's growth possible alid in the warm humanity and true heart of Jim.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bias toward blacks that underlie in Huck's mind from the civilized society at that time. Black people did not mean anything but were thought of as a kind of lifeless things that wete illiterate, unemotional and all but obedient to white people. Jim readily helped Huck to break this bias and realize his ignorance about racial superiority. Jim is finally regarded as the key character that brought about Huck's moral development. What Huck's moral development indicates is that he weighed heavier meaning on his underlying conscience when he felt conflict between the social conscience and the inner moral conscience. Moreover, the character who brought the victory of this moral conscience was not anybody but Jim. Huck undergoes another hardship because people encountered from civilized society while traveling along the Mississippi. A cruel murderer pointing a gun at his colleague for a penny, a meeting with the king and the dukes who trouble people by the same menas as common crooks are seen as examples. They bore the atrocity and lies of human beings that Huck wanted to resist and get himself out of. They, therefore, were so vicious that they turned even nature into a space where Huck could not fine peace. Despite of that, Huck expressed himself as a figure of innocence humanist whose sympathy goes toward them they are in danger, while he comes back to his raft so distressed over the cruelty of villagers at the riverside who inflict a blow to the king and the dukes. There is no doubt that this innocent conscience played the biggest role of Huck's moral and social growth. Huck cast doubt on the reliability of the social notion because of hypocrisy, lies and the cruelty experienced by the riverside society, which grew to be an experience for social growth which opened himself to his inner conscience. Huck, nothing but a immature boy at the beginning of the novel, mentally matures while going through various incidents, meeting Jim. Mark Twain whistles a wake-up call against a fiction and the corrupt morality of society of the southern area of the States through the progress of Huck's mental growth. And he was questioning how civilized the society really was. Many of the civilized people he encountered were more savage than the savage people(like Jim) were. His intention like this must not be ignored, even while living in this current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