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최성필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최성필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의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대해 알아 보고, 농촌 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 있어서 가족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 는 첫째,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 삶의 의미, 가족지지 사이에는 어 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 계에 있어서 가족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호남권에 소재한 60세 이상 노인 163명을 대상 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노인의 무망감, 가족지지, 삶의 의미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 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요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위해 피 어슨(Pearson)의 단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입증을 위해 메키논 ( MacKinnon) 등의 연구에서 제시한 소벨(Sobel) 검정값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면, 총 161명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응답자 중 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연령은 70~79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종교의 경우 무교가 가장 많았다. 동거가족은 ‘부 부만 산다’가 가장 높았으며, 경제상태는 ‘중’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 으며, 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무망감은 평균이 52점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지지는 39.18점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삶의 의미는 전체가 107점으 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들을 평균화하여 평균을 알아본 결과, 4요인(생의 만족, 가족사랑, 헌신)이 3.0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1요인(자기인식, 수용, 미래열망)이 2.88점, 2요인(역할인식, 생 의 목적)2.86점, 3요인(사랑경험) 2.8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전체 삶의 의미의 차이는 성별, 연령, 종교, 자녀 만남 횟수, 수급유무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혼상태에 따라서는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사별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 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에 따라서는 ‘상’이라고 응답한 집 단이 ‘하’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에 따라서는 ‘매우 건강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건강하지 않는 편이다’, ‘매우 건강하지 않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만족에 따라서는 ‘만족하다’고 응답한 집단이 ‘보통이다’, ‘불만이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전체 삶의 의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은 삶의 의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은 가족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노인의 가족지지는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노인이 지각한 무망감이 삶의 의미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농촌노인의 무망감과 삶의 의미의 관 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 주제어: 농촌노인이 지각하는 무망감, 삶의 의미, 가족지지.

      • 모바일 환경의 다중생체인식 기술 연구

        최성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다중생체인식을 통한 개인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중생체인식을 위하여 얼굴인식과 화자인식을 선택하였으며, 시스템의 인식 시나리오는 다음을 따른다. 얼굴인식을 위하여 Modified census transform (MCT) 기반의 얼굴검출과 k-means 클러스터 분석 (cluster analysis) 알고리즘 기반의 눈 검출을 통해 얼굴영역 전처리를 수행하고,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기반의 얼굴인증 시스템을 구현한다. 화자인식을 위하여 음성의 끝점 추출과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특징을 추출하고, dynamic time warping (DTW) 기반의 화자 인증 시스템을 구현한다. 그리고 각각의 생체인식을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기반으로 융합하여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의 실험은 Android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구현한 다중생체인식 시스템과 단일생체인식 시스템과의 false acceptance rate (FAR)을 비교하였다. 단일 얼굴인식의 FAR은 4.6%, 단일 화자인식의 FAR은 6.7%로 각각 나타났으며, 제안된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의 FAR은 1.8%로 크게 감소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have explored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multimodal biometrics for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We have selected face and speaker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For face recognition part, we detect the face with Modified Census Transform (MCT). Detected face is pre-processed through eye detection module based on k-means algorithm. Then we recognize the face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lgorithm. For speaker recognition part, we extract features using the end-point of voice and the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MFCC). We verify the speaker through Dynamic Time Warping (DTW) algorithm. Proposed multimodal biometrics system shows improved verification rate through combining two different biometrics described above. We implement proposed system based on Android environment using Galaxy S hoppin. Proposed system presents reduced false acceptance ratio (FAR) of 1.8% which shows improvement from single biometrics system using the face and the voice (presents 4.6% and 6.7% respectively).

      • IP-RFID 기반 소형선박 관리 비즈니스 모델

        최성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컨테이너 선박은 조선 기술의 발달, 세계 경제교역 규모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대형화, 고속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Maersk사에서 인도한 12,500TEU급 선박이 등장하였으며, 13,000TEU급 이상의 선박도 CMA CGM사에서 발주를 한 상태로, 머지않아 15,000TEU급 선박의 등장이 예상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형선박은 각종 고가 장비를 활용하여 장비 및 기타 선박운항에 필요한 요소들이 관리되고 있지만, 소형선박의 경우는 고가 장비 구입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장비, 인원, 입출항 등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형선박은 장비고장에 따른 문제, 인원 관리 미흡에 따른 문제, 입출항 지연 신고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양사고의 경우 소형선박이 전체 해양사고의 9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운항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정임에도 소형선박은 비용 등의 문제들로 인해 선박관리를 위한 장비를 제대로 설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고가 장비를 대체하면서 이러한 소형선박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IP-RFID 기술을 이용한 소형선박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본 시스템을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IP-RFID를 이용한 소형선박 관리 비즈니스 모델에서는 참여 주체들이 새로운 시스템을 통해 어떠한 가치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도출하며, 각 주체별 가치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container vessel is quickly advanced advancement of Korea technique, according to the increase which world economy trade size is quick formation and the high-speed painter. 12,500TEU class vessels which leads to recently from Maersk four appear, the vessel 13,000TEU or higher in one condition, the merge not to be the appearance of 15,000TEU class vessels is being forecast a start from CMA CGM four. But, like this large vessel applies a various expensive equipment and the elements which are necessary to an equipment and other vessel operation are managed, case of the small-sized vessel to be caused by equips, the personnel, mouth departure etc. is not well managed with problem of expensive equipment purchase cost etc. The reasoning being caused by small-sized vessel the problem which follows in equipment failure, the problem which follows personnel management insufficienily, with mouth departure delay report etc. the problems which are same various occur. Specially, conducts an operation in the condition which is exposed dangerously at the degree where the case small-sized vessel of oceanic accident will occupy of 90% or more of whole oceanic accident, even to being like this actual condition, the small-sized vessel is caused by with problems of expense etc. and well does not establish the equipment for a vessel management is the actual condition. From the present paper consequently, existing expensive equipment substitutes and like this small-sized vessels are having the issue which solves to present the small-sized vessel management system which uses `IP-RFID techniques for ', used the system which sees under proposing boil the new `BM '. The system where the participation subjects are new leads from the small-sized vessel management BM which uses IP-RFID and probably will be able to acquire what kind of value, escape does importantly, each subjective by values in order having the value as new business with character from must become the BM of what kind of form, under presenting which will yell boil.

      • 제 5차 한국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일과 삶의 갈등 척도 타당성 연구 :

        최성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Work-Life Conflict (WLC) scale. The target populations were workers from 5 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5th KWCS that 50,205 workers entered. We analyzed 5 items of WLC scale, 3 items of work engagement, 3 items of burnout and 5 items of psychosocial well-being in KWCS. The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WLC scale were assessed us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wo models of the WLC scale were assessed iv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WLC scale. First model is one-factor model that 5 items of WLC scale measure the concept of WLC equally. Second model is two-factor model of the WLC scale including work-to-life factor and life-to-work factor. The converg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using the correlation with the burnout. Correlations between work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lso calculated. We used IBM SPSS AMOS version 25 for analyses. Results: The Cronbach's alpha for work-life conflict was 0.856, indicating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Two-factor model showed an excellent fit (χ 2 [4]: 2096.29, Tucker-Lewis index: 0.929,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0.102, comparative fit index: 0.981), indicating acceptable structural validity. The convergent validity with burnout was weak to moderate. Whereas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 engagement were negligib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WLC scale has accep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to evaluate WLC in Korean workers

      •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 공간분석을 위한 보행에너지 가중 Visibility ERAM 모델 구축 및 적용

        최성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Spac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spatial syntax and ERAM models are a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attributes of 'space layout' within urban and architectural spatial structures,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for 'space analysis theory' to establish itself as an academic subject. The theory of weights was introduced for more detailed analysis by reflecting the weights in the network connectivity of spaces in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 An angle and distance are typical factors considered to be weights for space analysis. However, 'angles' and 'distances', which are mainly dealt with in existing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re physical components of space structure in the built environment. In order to perform more detailed spatial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ther factors affecting other spatial mobility. In addition, since the spatial depth (Depth) and the angle of the space (Angular) covered in the existing spatial analysis theory are based on the two-dimensional plane space, There is a limit in predicting the pedestrian volume occurring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structure having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network.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mobility of individual spaces in the 3D space network. In addition, 3-D spatial network studies are also based on the random weight of the researcher, or the mobility evaluation unit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are different.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imit to construct an objectified model that can quantitatively analyze the mobility of individual space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network.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that can evaluate the intrinsic connection properties of a space with a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structure and presented a deepened model for predicting the pedestrian volume in the space structure. For this, this study suggested walking energy weighted visibility ERAM model that could compare and analyze the spa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lking energy consumed in random walking in the space and finally estimate the pedestrian volume after measuring the walking energy consumed in the spatial structure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In order to verify the analytical model, we developed the software for analysis and compared the actual traffic volume with the existing spatial analytical model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analytic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raffic survey on the actual buildings, the results of the visualization analysis on the traffic volume by each space showed the best use of actual space usage patterns. This shows that the walking energy weighted visibility ERAM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applicable to multi-level spa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walking energy weighted visibility model among four analytical models was the highest in respect of the estimation power for the actual traffic volume. Finally, a virtual two-dimensional spatial network and a three-dimensional spatial network were set up and compar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e mobility difference between two planar networks in the two-dimensional network analysis. However,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difference in mobility between the two planes in space analysi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It is meaningful that space analysis wi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structure becomes possible by intensifying the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for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on the same layer.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optimization of spatial layout by predicting the pedestrian volume in vertical and horizontal network structure. 공간구문론과 ERAM 모델과 같은 공간분석 기법은 도시와 건축 공간구조 내에서 ‘공간배치’의 속성만으로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공간분석이론’이 학문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이론적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공간분석기법의 이론은 가로의 연결 각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 즉 공간 네트워크 연결 관계에서의 가중치가 반영이 안 되어 세밀하게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분석기법에서 공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가중치 이론이 도입되었다. 공간분석기법에 가중치로 고려되는 요인으로 각도(angle)와 거리(distance)가 대표적이다. ‘각도’와 ‘거리’를 이용한 공간분석기법은 결국 건조환경의 물리적 공간만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그 이외의 기타 공간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기존 공간분석이론에서 다루는 공간 깊이(depth)나 공간의 연결 각(angular)은 2차원 평면 공간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수직 공간과 수평 공간의 연결 관계를 갖는 3차원 공간 네트워크의 이동성 분석을 통한 보행량을 예측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며, 다층의 연결 구조를 갖는 전체 공간시스템에서 개별공간이 갖는 위상의 구분이 어려운 면이 상존했다. 이에 따라 3차원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의 공간구조 내 위상배치를 정량화하는 공간분석 방법론을 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기존 공간분석이론은 3차원 공간의 전체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공간이 갖는 이동성을 평가하기 어렵다. 또한, 3차원 공간 네트워크 관련 연구들도 연구자의 임의적 설정에 의한 가중치가 적용되거나, 수직 공간과 수평 공간의 이동성 평가 단위가 상이하여 3차원 공간 네트워크의 정량적 이동성의 객관화된 모형을 구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공간의 내재적 연결속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 공간 내 보행량을 예측할 수 있는 심화 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기존 연구를 심화시킨 모델로서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공간분석을 위해 공간연결구조에 따라 소모되는 보행에너지를 측정하고, 공간 내에서 임의보행 시 소모되는 보행에너지양에 따라 보행량을 예측하여 공간 간 위상 비교분석이 가능한 보행에너지 가중 Visibility ERAM 모델을 제시했다. 분석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실제 통행량과 기존 공간분석 모델을 비교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제 건물에 대한 통행량 조사를 비교 검증한 결과, 공간별 통행량에 대한 시각화 분석결과는 실제 공간이용 패턴을 가장 잘 보여주었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보행에너지 가중 Visibility ERAM 모델이 다층 공간분석에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상관관계 분석과 단순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실제 통행량에 대해 보행에너지 가중 Visibility 모델의 보행량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가상의 2차원 공간 네트워크와 3차원 공간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차원 공간 네트워크 분석에서 두 개 평면의 공간 네트워크 내 공간 간의 이동성의 차이를 비교하기가 어려웠으나, 수직ㆍ수평 연결 관계를 갖는 네트워크 공간분석에서는 두 개 평면의 공간 네트워크 내 공간 간의 이동성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보행에너지 가중 ERAM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도시 가로 네트워크나 동일층의 평면 공간을 대상으로 한 기존 공간분석 모델에 비해 보행 예측 설명력이 높은 분석 모델을 제시했으며, 기존 동일 층상의 공간분석 방법론을 확장하여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 공간 구조도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수직ㆍ수평 연결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공간의 보행 예측을 통해 공간배치 최적화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을 사료된다.

      •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거주만족수준 향상을 위한 영향인자분석에 관한 연구

        최성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 주거단지의 검증되지 않은 친환경 요소의 무분별한 도입을 규제하고 국내 인증제도의 중복시행에 따른 업계의 혼란 및 부담의 가중을 최소화함으로써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2002년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공동주택단지가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의해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단지는 시행 초기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보급 속도가 늦춰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아직까지 대중적인 인식도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증제도 기준이 까다롭다는 문제제기도 실존하지만 보다 실질적인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보급 확대와 주거환경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실 거주자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실질적인 수요를 파악하여 향후계획에 도입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체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계획에 도입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또한 ‘지속가능한 정주지’ 및 ‘환경친화 건축’에 관한 기존 논문들은 대부분 친환경 계획요소의 도출, 친환경 계획요소평가모델 및 평가기법 개발, 적용실태 및 정책·제도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등 구체적이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로 확대되고 있으나 대부분 물리적인 계획 수법을 다루고 있으며, 친환경 계획요소에 관한 거주자 의식 연구 분야에서는 거주자들의 인지 및 만족도 체계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본 연구는 본질적인 관점에서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친환경 인증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실 거주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추출하고 각각의 인자에 대한 중요도와 개선 필요도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친환경 계획요소의 공동주택 단지로의 도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영향인자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우선, 2장에서는 지구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개발, 친환경 건축의 도입 필요성, 친환경 영향인자의 대분류 체계 및 계획요소에 대한 내용을 기존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이와 함께 친환경 계획요소에 관한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사 연구와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친환경 공동주택의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기존의 만족도 분석 모델의 분석 방법을 살펴보았다.그 다음으로,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3단계 과정을 거쳤다. 1단계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친환경 계획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다음 2단계에서는 조사 대상지에 대해 도면 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 측정이 가능한 2차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예비 설문분석을 통해 기각 변수를 제거함으로써 최종 평가 항목을 도출하였다.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지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계획요소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인자들을 추출하고, 이 요인들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을 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영향 인자 분석 및 개선 필요항목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모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인자들을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 AMOS PROGRAM을 이용하여 공변량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향후 거주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친환경 계획요소의 공동주택단지로의 도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영향인자를 제시하고자 한다.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거주 만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향인자들은 전문가들에 의한 인증제도의 정량적 평가 지표의 대분류 체계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들에 의해 인증제도의 대분류 인자별 평가 배점 비율은 ‘에너지·자원 절약 및 환경오염’, ‘토지 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 ‘실내 환경’ 인자 순으로 나타나 에너지·자원 절약, 토지이용 및 교통, 생태환경과 관련된 친환경 계획요소가 중요시 되고 있으나 거주자들은 ‘실내 환경’, ‘에너지·자원 절약 및 환경오염’, ‘보행환경’등을 강조함으로써 단위 세대 내부 혹은 경제적 측면, 안전성 등과 관련된 친환경 계획요소를 매우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질적인 관점에서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 만족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향후 이러한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면 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둘째,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단지에서는 개선 우선 항목이 ‘에너지·자원 절약 및 환경오염’, ‘생태환경’, ‘보행환경’, ‘실내 환경’, ‘토지 이용 및 교통’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에서 인증제도의 배점 비율이 가장 높은 ‘에너지·자원 절약 및 환경오염’ 과 ‘생태환경’, ‘토지 이용 및 교통’ 인자가 거주자의 만족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의미하며 향후 거주자의 수요를 감안하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의한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지속적인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계획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본 연구는 친환경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만족도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에 의해 인증을 부여 받은 친환경 공동주택단지의 지속적인 보급을 확대하고, 본질적인 관점에서 공동주택단지의 거주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친환경 계획요소의 영향인자들에 대한 분석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또한 친환경 인증제도의 보급 확대를 위해 친환경 인증 평가항목의 보완에도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평가항목의 추출과 평가 내용 및 분석방법을 최적화하여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유리섬유 복합재료와 허니콤 코어 기반 샌드위치 전자기 구조체 연구

        최성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초의 5세대 전투기인 미국의 F-22랩터를 선두로 러시아의 Su-57 중국의 J-20등 선진국들은 이미 5세대 전투기 개발을 마치고 실전 배치하였으며 적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는 전투기 스텔스 기술은 이제 고려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이 되었다. 전투기 스텔스 기술은 최초에 레이더 전파를 난반사 하는 형상을 최적화하거나, 전파흡수 도료를 전투기 표면에 바르는 형식으로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현재는 형상과 도료는 기본이며 전파 흡수 성능을 갖는 구조(Structure)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복합재료의 레진에 손실 재료를 분산한 것에 그쳤으며 구조적인 물성이 평가된 경우는 드물었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전투기에 적용되는 구조재료중 유리섬유와 허니콤 코어에 MWCNT코팅을 통해 전자기파 흡수 성능을 부여하여 구조 스텔스 성능을 갖는 유리섬유와 허니콤 코어 제작을 목표로 하였다. 유리섬유는 유리를 섬유로 가늘게 뽑은 재료로 높은 비강성, 절연성, 내화학성을 가지며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강화섬유로 사용된다. 우리는 상용의 E-glass fiber를 사용하였으며 8 매 주자직으로 직조한 유리섬유를 사용하였다. 허니콤 코어는 육각형 구조의 cell을 가진 벌집 모양의 2차원 구조이다. 높은 비강도를 요구하며 경량화가 필요한 항공기에 주로 적용되는 구조재료로 금속인 알루미늄부터 폴리머인 아라미드까지 다양한 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우리는 초경량 아라미드 페이퍼로 제작된 허니콤 코어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뛰어난 내식성 및 화학성을 가지고 전기 절연성을 가진다. 또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일정한 유전율을 가지기 때문에 전파흡수 소재로 적용하기 적합하다. MWCNT는 기본적으로 높은 유전율과 손실율을 가져 전파 흡수 소재로 많이 사용된다. MWCNT는종횡비가 다른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전자기파 흡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코팅 공정은 CNT를 물에 분산하여 코팅 용액을 제작하고 허니콤을 적셨다 건조하는 간단한 Dip-coating process를 통해 진행되었다.

      • E3 Ligase MKRNs degrade PPARgamma proteins, thereby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최성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ype 2 diabetes mellitus(T2DM) is a serious health issue. PPARgamma is a potent therapeutic target for improving T2DM. PPARgamma, which is a master regulator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has been studied as therapeutic target by many researchers. We suggest that a modification of PPARgamma protein such as, E3 ligase protein, may affect adipocyte differentiation. Interestingly, one of the E3 ligase proteins MKRN1 induce degradation of PPARgamma proteins. Reversely, E3 ligase defective mutant, H307E overexpression not induce the degradation of PPARgamma protein nor inhibition of adipogenesis. p53 and p21, known as targets of MKRN1, were appeared not to be related with inhibitory action of MKRN1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addition, family of MKRN1, MKRN3 has same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PPARgamma protein degradation. As ubiquitinase of PPARgamma has been unidentified, our study imply the E3 ligase MKRN1 as the PPARgamma modifiers and further suggesting the ubiquitination as new way for therapeutic potential for T2DM. 제 2형 당뇨병은 심각한 건강문제 중의 하나이다. PPARgamma는 제 2형 당뇨병을 개선하기 위한 강력한 치료 표적 물질이다. PPARgamma는 지방세포분화를 주도적으로 조절하는 인자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치료목적으로 연구가 되어 왔다. 우리는 PPARgamma 단백질의 조절에 대한 다른 하나의 경우를 제시한다. E3 ligase 단백질인 MKRN1의 과발현은 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MKRN1은 PPARgamma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한다. 반대로, E3 ligase 기능에 결함이 있는 H307E 돌연변이 DNA를 과발현 했을 때는 PPARgamma의 분해와 지방세포분화를 저해하는 작용이 유도되지 않는다. MKRN1의 표적으로 알려진 p53과 p21은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MKRN1의 지방세포를 저해하는 작용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지금까지, PPARgamma의 ubiquitination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그 ubiquitination과 제 2형 당뇨병 치료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