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장하는 글 텍스트 갈래의 교육 내용 연구

        최민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제 주장하는 글 텍스트와 기타 설득 목적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주장하는 글 텍스트 갈래 지식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습자들이 주장하는 글을 생산 또는 수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 갈래 특징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Ⅰ장 Ⅱ장에서는 주장하는 글 및 기타 설득 목적 텍스트들의 텍스트 갈래 지식을 맥락적 특성, 내용적 특성, 구조적 특성, 표현적 특성 따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주장하는 글은 ‘불특정・비한정 독자를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공감할 만한 문제 상황에서 타당한 근거과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바탕으로 공공성이 있고 논쟁 가능한 필자의 입장을 내세우는 문어 텍스트’이다. 주장하는 글이 제안, 건의, 권고에 비해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주장이 한가지로 초점화가 되어야 된다는 점, 정책 논제 외에 사실 논제, 가치 논제를 주제로 다루기도 한다는 점, 논리적 엄밀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근거의 타당성이 강조되고 ,비한정 독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손성을 드러내는 표현이 나타나지않고 ‘-다.’ 등 중립적인 어미를 활용한다는 점이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정리한 텍스트의 갈래 지식을 바탕으로 1차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 및 현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드러난 해당 텍스트의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현행 교과서는 맥락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제일 부족하고, 주장의 적절성, 내용의 타당성 등 추상적인 용어를 활용하며, 또한 ‘서론’, ‘본론’, ‘결론’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용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처음 또는 끝 부분에 주장이 나타나는 주장하는 글의 구조에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표현적 특성에 관련해서는 주장, 근거, 근거 자료 등 내용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학습자 텍스트에서는 다양한 맥락적, 내용적, 구조적, 표현적 오류가 나타났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고빈도에서 저빈도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친숙한 것에서 낯선 것으로’, ‘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적절한 텍스트 갈래 특성과 중등․성인 단계에서 확장하여 나중에 학습하여야 할 특성을 나누고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적절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주장하는 글의 텍스트 갈래의 핵심적인 형질을 귀납적으로 밝혀 교육과정에서 혼동되는 용어(의견이 드러나는 글, 설득하는 글, 논설문)를 정리하고 다른 설득 목적 텍스트(제안, 건의, 권고)와의 차이점을 드러내었다는 점, ‘적절한 주장 및 근거’등 추상적으로 제시된 내용적 특성을 ‘주장 및 문제 상황의 공공성, 주장의 논쟁 가능성, 근거의 보편성 및 자료 객관성 등’보다 명료화하였다는 점,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서론-본론-결론’등의 용어가 실제 주장하는 글의 구조에 맞지 않으며 이에 ‘처음-중간-끝’의 구조를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다른 주장하는 글에 대한 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이밖에도 주장하는 글의 생산 및 수용에 필요한 언어 지식을 다양한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Ⅳ장에서는 제안한 교육 내용은 주장하는 글의 전형적인 특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단순하고 친숙한 것들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였기에 초등학교 학습자 단계에서 충분히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더하여 오류가 나타나는 내용을 보완하였으므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주장하는 글을 생산하거나 수용할 때 인지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비계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학습자들이 어떠한 형태로 교육 내용을 학습하는지에 따라 학습 결과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정리한 주장하는 글 교육 내용을 교육 현장에 반영하여 교육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밝힌 텍스트 갈래에 대한 교육 내용이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현장에 전달되어 학습자의 실제적인 국어 활동을 돕는데 활용 되기를 바란다.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최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ges of concer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bout career education, using the CBAM(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And its finding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survey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except Jeju Island. After a survey was gathered by mail and e-mail, the responses form 118 teacher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program in terms of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age, and independent-sample t-test were obtain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personal concern(stage 2: 86.56), but little gap between this stage and the informational concern(stage 1: 85.42) to which the second largest group belong. The third largest group considered the awareness concern(stage 0: 79.79). The fourth largest group had the reinforcement concern(stage 6: 77.02), and fifth largest group had the management concern(stage 3: 75.39). The sixth largest group considered consequence concern(stage 4: 65.81). Finally the smallest group had the collaboration concern(stage 5: 63.47). Second, level of use of the career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was showed in the order of refinement(level 5: 33.1%), mechanical(level 3: 18.6%), renewal(level 7: 16.1%), orientation(level 1: 11.9%), preparation(level 2: 8.5%), routine(level 4: 6.8%), integration level (level 6: 3.4%), and non-use(level 0: 1,7%). Third, as per the result of research for teachers’ perception against career development goal for home economics sector, it was shown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considered by teachers is the understanding of diverse industry practices and formation of positive attitude and values against work’. The teachers have responded that they are generally conducting career education as shown in the ‘provision of career and career information’ o「Understanding Teenagers」chapter of a first-year middle school. They have also responded that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for career’ is the most challenging point, and have suggested ‘sharing and developing home economics career education material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faced. As shown above, the home economics teachers’ level of interest on career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only at a private and informative step but the level of conduct has been shown a bit high; therefor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teachers are less interested in career education but are evaluating their own level of conduct somewhat high. It is evident that the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overall challenges such as lack of data, time, and expertise in conducting career path education during home economics classe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support such as development and supply as well as training opportunities would be beneficial. Especially, such education seems to stand still with minimal, simple teaching activities provided even th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is considered more extensive than any other subjects.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abovementioned support and opportunities that will enable various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s using those knowledge acquired in the classroom.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 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은 개인적 관심(단계 2: 86.56)과 정보적 관심(단계 1: 85.42)에 머물러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각적 관심(단계 0: 79.79), 강화적 관심(단계 6: 77.02), 운영적 관심(단계 3: 75.39), 결과적 관심(단계 4: 65.81), 마지막으로 협동적 관심(단계 5: 63.4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은 정교화 수준(수준 5: 33.1%)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계적 수준(수준 3: 18.6%), 갱신 수준(수준 7: 16.1%), 탐색 수준(수준 1: 11.9%), 준비 수준(수준 2: 8.5%), 일상화 수준(수준 4: 6.8%), 통합 수준(수준 6: 3.4%), 마지막으로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진로개발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양한 직업의 세계 이해 및 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와 태도 형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 교사들은 대체로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이해」단원에서 ‘진로 및 직업 정보 제공’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로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들은 진로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진로관련 수업 자료의 부족’을 가장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정과 진로교육 관련 자료의 공유 및 개발’을 들었다. 이상과 같이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과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적으면서 자신의 실행 수준을 다소 높이 평가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 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가정 교과가 다른 어떤 교과보다 내용체계가 넓고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일과 직업의 이해 같은 단편적 교육활동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가정교과 시간을 통해 습득한 진로 관련 지식과 직업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교과 외 활동을 장려하는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을 적극 활용하는 등의 방안이 제기 된다.

      • 음악치료 전공 학생이 지각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의 조절효과

        최민지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치료 전공 학생이 지각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음악치료 전공이 개설된 대학의 석사학위 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132명이었다. 연구는 독립변인인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종속변인 학습성과, 조절변인 자기조절학습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정서적, 학업적, 생활적, 신뢰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을 가지며, 학습성과는 학습자 만족도, 사회적 네트워크, 전문능력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자기조절학습은 학습관리, 학습행동, 시간관리의 하위요인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v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사용하여 산출하였고, 각 연구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관계에 자기조절학습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속변인의 하위요인에 따른 결과를 보면, 학습성과 중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적 상호작용과 생활적 상호작용은 각각 자기조절학습의 학습 행동과 시간 관리에 조절효과가 보였다. 학습성과 중 사회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적 상호작용은 자기조절학습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나, 자기조절학습의 하위요인 중 학습행동에 가장 높은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학습성과 중 전문능력에 미치는 학업적 상호작용과 생활적 상호작용은 자기조절학습의 시간 관리 요인에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학습성과의 효과를 밝힘으로써 음악치료 전공 학생에게 있어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학습전략 및 각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음악치료 학위과정 전반의 질 향상을 예측할 수 있었다.

      • 한국 가구의 나눔 행동에 관한 연구 : 자선적 기부, 종교적 기부, 상호부조적 기부에 관한 seemingly unrelated multivatiate tobit을 활용한 분석

        최민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형태의 기부행동으로 분류되는 자선적 기부, 종교적 기부, 상호부조적 기부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여 이들의 관계가 보완적인지 대체적인지를 하나의 모형 속에서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각각의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엄밀히 검증하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조세연구원’의 재정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를 각각의 기부행동 별 기부규모(기부금액)로 설정한다. 분석방법은 두 개 이상의 추정식의 오차항 간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 보다 효과적인 추정량을 얻을 수 있는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분석과 기부금액 변수가 0에서 정보가 단절되는 현상을 고려할 수 있는 토빗분석을 결합한 SUMT(Semingly Unrelated Multivatiate Tobit)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일방향적인 모형의 방법론적인 한계를 극복하여 하나의 모형 안에서 각각의 기부행동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각각의 영향요인을 엄밀하게 검증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대우표현 교육 내용 연구

        최민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복잡한 대우표현은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필수적인 학습 요소이다. 한국의 대우표현은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초급 단계에서 반드시 지도되어야 하며, 한국어 교재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우표현의 사용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전제로 제대로 지도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초급 교재를 대상으로 대우표현의 구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재와 대우표현 관련 기존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대우 표현의 개념과 체계 그리고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내 대우표현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1,2권과『알콩달콩 한국어』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여성결혼이민자대상 한국어 교재 내에서 다루고 있는 대우표현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발화를 대상으로 대우표현의 구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다문화 고부열전’에 출연한 여성결혼이민자의 대화와 인터뷰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2,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 한국어 대우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대우표현에 대한 연구들은 오류 분석, 교재 분석, 교육 방안 연구 등 각각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통합적인 측 교재를 분석하고 실제 발화 상황에 나타난 오류 분석을 토대로 보완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국가별 오류 양상에 따른 각기 다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분석 대상 교재를 2종으로 제한하였다는 점, 분석 대상자를 12명으로 제한하였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남았다. 본 연구의 이러한 한계점들을 고려하여 앞으로 더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주요어: 여성결혼이민자, 대우표현 The complicated respectful expressions of Korean language are an essential element of learning Korean for the first-time Korean learners, especially marriage immigrant women. These respectful expressions should be taught from the elementary levels in learning Korea and included properly in the Korean textbooks.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such respectful expressions are taught in an optimized manner for th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tendencies in representing the respectful expressions in the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a sequenc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revealed, and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textbooks and the respectful expression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the past. In chapter 2, the concepts and structures of the respectful expressions and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concerning the respectful expressions were discussed. The books chosen for this analysis were ‘Korean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Book 1 and 2 and ‘Alcong Dalcong Korean,’ with a view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respectful expressions in the textbooks on Korean languag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chapter 3,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utterances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order to review the realization of the respectful expressions among them. For th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ialogues and interview texts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guests who were on a TV show, ‘Multi-culture Wives and Mother-in-Laws.’ In chapter 4,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chapter 2 and 3 were used to suggest strategies for teaching the respectful expressions to marriage immigrant women. So far, the studies on the respectful expressions by marriage immigrant women focused on the analyses of errors, textbooks, and teaching strategies.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mprehensive text books and suggested improvements based on the errors shown in actual dialogues, which i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researcher could not present optimized improvement strategies for errors unique in persons from specific countries and that there were only 12 persons that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se limitations, the researcher hopes that more advanced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keyword: Immigrant Women, Korean Expression of Treatment

      • 청소년기의 인성과 사회성 함양을 위한 독서교육 연구

        최민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교육과 독서 토론이 10대 중·후반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인성과 사회성 함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탐색하고, 그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독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청소년기 인성과 사회성 함양을 위한 독서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이 올바른 가치관과 이타적인 태도를 갖추는 데 도움을 주는 독서와 독서교육의 효능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효과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독서교육 방안에 대해 고민하였다. 본격적인 독서 프로그램 설계에 앞서 연구의 본문에서는 인성과 사회성의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는 것으로 그 정의와 논의에 대해 검토하였다. 사회 구성원으로 어울려 살아가기 위한 이타적이고 도덕적인 자질인 인성과 그러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인 인성교육이란 무엇인가에 주목하였으며, 사회적인 상호작용으로 원활한 사회생활에 필요한 규범 및 가치를 내면화하며 길러지는 특성인 사회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성과 사회성의 함양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에는 각각 어떤 것이 있는지,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학교생활과 교육환경이 인성과 사회성의 함양에 왜 중요한지를 파악하고 나아가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인성 및 사회성 형성에 독서교육이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그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이후 정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토론 중심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설계하며 연구를 마무리 지었으며, 그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적절한 제재 도서와 주제로 구성된 독서교육 내에서 활발히 진행되는 토론과 토의는 청소년들의 상상력, 사고력, 창의성 등의 역량을 성장시킨다. 수업 구성원들과 각자의 의견을 주고받으며 독서 경험 및 이해를 확장하고, 때로는 혼자서는 미처 다 파악하지 못했던 등장인물의 심리에 공감할 수 있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은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발달시키며 타인의 처지를 고려하고 배려하는 태도 또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기본적으로 교사의 높은 수업 능력과 이해력 및 창의력을 요구하고, 교실 환경 및 수업 분위기 등에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다는 등, 돌발 상황에서 교사의 융통성 있는 대처를 요구하는 지점이 있으나, 청소년들의 인성과 사회성의 함양을 학습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계획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

        최민지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갖는지 연구하여, 효과적인 피부미용 서비스회복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객만족을 위한 차별적, 효율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완전한 응답지 66부를 제외한 334부를 유효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조사결과 성별은 334명(100%), 연령은 40대 106명(31.7%), 학력은 전문대 졸업(재학) 116명(34.7%), 직업은 주부 97명(29.0%), 1회 피부미용 서비스 평균비용으로는 3∼5 만원 152명(45.5%), 정보습득경로는 타인의 추천 및 권유 131명(39.2%), 서비스 불만족 경험여부는 334명(100%)이 다수로 조사되었다. 둘째, 서비스실패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시스템적서비스실패, 물적서비스실패 3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회복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무형적서비스회복, 유형적서비스회복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의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고객만족 단일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서비스실패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 간의 상관관계에서 인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이 부(-)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도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은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서비스실패 하위요인과 서비스회복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인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 인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은 부(-)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 물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 물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매개변수인 서비스회복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이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고, 종속변수인 고객만족과 서비스회복 하위요인인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은 모두 고객만족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 인적서비스실패(β=-.315, P<.001)가 고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서비스실패가 무형적서비스회복(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실패의 하위요인 중 인적서비스실패(β= -.301,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물적서비스실패(β= 0126, P< .05)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에서 인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낮아짐을 의미하며, 물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덟째, 서비스실패가 유형적서비스회복(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실패 하위요인 중 인적서비스실패(β= -.303,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물적서비스실패(β= .282,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유형적서비스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에서 인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유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낮아짐을 의미하며, 물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홉째, 서비스회복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회복 중 무형적서비스회복(β= .618, P< .001)과 유형적서비스회복(β= 0.294, P< .001)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실패를 수정하기 위한 서비스회복이 높아질수록 고객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열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β= .-098, P< .01로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열한째,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계별 조건에 충족되지 못해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열두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물적서비스실패는 독립변수가 2단계 검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나 3단계 검증에서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열세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β= .149, P< .01)로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열네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는 단계별 조건에 충족되지 못해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열다섯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물적서비스실패는 독립변수가 2단계 검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나 3단계 검증에서는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이 필요하며 고객만족 향상을 위해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피부미용산업에서 서비스회복방안과 서비스실패를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피부미용산업 관계자들이 이해하여 피부미용시장의 안정된 확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recove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 salon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aims to build the effective skin care service recovery system and to help differentiate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1, 2018 to June 30, 3018 for adult women who use the esthetic salon, and 334 copies were used as the effective data except for 66 copies that were incomple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who use the skin beauty salon are as follows. 334 (100%) identify themselves as female for gender, 106 (31.7%) are in their 40s, 116 (34.7%) graduated from (or attend) college and 97 (29.0%) were housewives for occupation. 152 (45.5%) checked 30 to 50 thousand won for the average cost of one-time skin beauty service, 131 (39.2%) checked recommendation and suggestion by others for way to get information, and 334 (100%) experienced service dissatisfaction. Second, there are three factor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Third, there are two factor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service recovery,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Fourth,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the single factor. Fifth,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service failures were positive (+),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negative (-)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 correl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and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recovery, human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human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systematic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negatively (-) correlated. And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positively (+) correlated. In addition,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recovery which are parameters,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positively (+) correlated. All th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both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recovery, are positively (+) correl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Sixth,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15, P<.001) had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ystemat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more human service failures in the beauty salon, the lower the customer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rvice failure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service recovery), i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01, P<.001) has a nega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β=.126, P<.05) has a posi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System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Therefore, it means that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human service failure, the lower the action to recover intangible service. Eigh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rvice failure on tangible service recovery (service recovery), i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03, P<.001) has a nega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he system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tangible service recovery. Therefore, it means that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human service failure, the lower the behavior to take tangible service recovery. Ninth,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rvice recover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service recovery, intangible service recovery (β=.618, P<.001)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β=0.294, P<.001)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ervice recovery behavior to correct the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human service failure (β=.-098, P<.01)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presented. Elev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dition by step was not satis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could not be confirmed. Twelf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material service failure,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meaningful result in the two-step verific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 the parameter in the third-step verification.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beauty salon. Thir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human service failure (β=.-149, P<.01)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presented. Four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dition by step was not satis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could not be confirmed. Fif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material service failure,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meaningful result in the two-step verific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 the parameter in the third-step verification.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angible service recover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esthetic sal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ser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failure in the skin esthetic salon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t is confirmed tha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t is hoped that the skin beauty industry prepare the service recovery plan and the service fail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rough this study. Moreover, it is hoped that the concerned parties understand it and expand the beauty market steadily with this study.

      •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 연구 :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라이팅젤’ 활용을 중심으로-

        최민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moving beyond the level of imitation of humans to the stage of self-forming human intelligence (Park, 2021). Writing is also possible using AI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In Korea, an artificial intelligence novel contest was held, and OpenAI, a non-profit organiza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unveiled large language generation models GPT-2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2) and GPT-3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3). Accordingl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Jung Yong-kyun (2020) predicted that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will become even more important, and Kim Jung-bae (2019) said that practical methodologies are needed to have a proactive attitude when humans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ost-humanistic era. This study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based writing program, ‘Writing Gel’, focusing on its use by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is, the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results of implementing the guidance plan using ‘Writing Gel’, its effect on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limitations. The process included the researcher revising the guidance plan through reflection and evaluation of the first execution upon its completion, and then conducted the second execution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first execution. The contents of the class reflection journal, portfolio,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used as qualitative data to assist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Creswell (Creswell, 2015). First, as the results of the action research on the guidance plan using the AI-based writing program, students’ imagination and creativity were restric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result of being obsessed with the final results. But In the second execution, after modifying the guidance pla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interaction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as more independent and cooperative. This is the result of encouraging students to be more imaginative and creative in their writing while using AI-based writing programs and making efforts to modify and revise their sentence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guidance method using AI-based writing program on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with AI-based writing programs was created and students were inspired to create further content(story). They also saved time and effort in their writing. Using the AI-based writing program, students experienced new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ad fun with AI-based writing, and got help in using expressions and writing content through using the automatic sentence generation function. In addition, it helped students to quickly produce a lot of content and reduce the time and effort in writing. Third, the limitations of using AI-based writing programs are that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 is also inconvenient to modify writing. It wa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machines because they were not human, and many parts of the sentences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had to be modified by humans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sometimes made discriminative and unnecessary sent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acticed a guidance plan using an AI-based writing program in the actual elementary education field. It is hoped that this action research will help to effectively utilize AI-based writing programs in education. 인공지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이 인간을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 인간의 지능을 스스로 형성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박경수, 2021). 이에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글쓰기도 가능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 소설 공모전이 개최되는가 하면 인공지능 연구 비영리 단체인 Open AI는 인공지능 기반 대형 언어 생성 모델인 GPT-2(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2)와 GPT-3(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3)를 연이어 공개하기도 하였다. 또한 포스트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정용균(2020)은 인간과 기계의 협업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하였고, 김정배(2019)는 포스트 휴머니즘 시대에 인간이 인공지능을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태도를 갖기 위한 현장 실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라이팅젤’ 활용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실행한 결과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 활용의 한계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실행 연구의 과정으로 1차 실행 후 1차 실행에 대한 반성 및 평가를 통해 지도방안을 수정한 뒤 2차 실행을 통해 1차 실행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갔다. 실행 연구 결과 분석을 위한 질적 자료로는 수업 성찰 일지, 포트폴리오, 설문지, 면담의 내용을 활용하였다. 크레스웰(Creswell, 2015)이 제시한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여 내린 실행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방안에 대한 실행 연구의 결과로 1차 실행에서 의존적인 인공지능과의 협업이 실행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도방안을 수정한 뒤 실시한 2차 실행에서는 주체적이고 협력적인 인공지능과의 협업이 실행되었다. 1차 실행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할 때 결과물에만 집착하거나 인공지능에 의존하여 상상력과 창의력이 제한되는 협업 양상을 보였으나, 이후 2차 실행에서는 지도방안을 수정한 결과 주체적이고 협력적인 협업 양상을 보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는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글쓰기를 하는 과정에서 자기 상상력과 창의력을 좀 더 발휘하고 더 많은 시간을 수정과 퇴고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도록 지도방안을 수정한 결과이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방안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으로 글쓰기에 대한 흥미가 형성되었으며 내용(이야기) 생성에 영감을 받았다. 또한 글쓰기에 들이는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었다.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새로운 인공지능을 경험하며 인공지능 글쓰기에 대해 재미를 느꼈고, 인공지능 자동 문장 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글쓰기에 관한 내용과 표현 등에서 도움을 얻었다. 또한 한꺼번에 많은 내용을 빠르게 생산해 주는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통해 글쓰기에 대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 활용의 한계점은 인공지능과 의사소통이 어렵고 글 수정이 번거롭다는 것이다. 인간이 아니기에 기계와 소통하는 것이 어려워 마음이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점과 인공지능이 생성한 문장 속에는 폭력적이거나 성별·인종 차별적인 내용이 있어 많은 부분을 인간이 수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 활용의 한계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초등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실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실행 연구가 인공지능 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신문소설 삽화의 매체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안석영 삽화를 중심으로

        최민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s as media on newspaper novels, by focusing on the forms of these illustr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audience. Conducting the study based on Ahn, Seok-yeong’s artworks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he had professional mind as an illustrator unlike the others of the 1920~1930s, and it allows his works to be fully qualified to represent the period, when the form of illustrations was first established; furthermore his works using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provide opportunities to look into the zenith of aesthetics of the illustrations from that period. Thus, this study would not only be the first theory to establish a research methodology on the illustrations in newspaper novels of the 1920-1930s, but also provide the significance of examining Anh, Seok-Young, an illustrator and a writer. Chapter 2 deals with the forms of the illustrations. First of all, the illustrations can be seen as "double reflection images" of reality and fiction, and hence most illustrations are 'photographic images' that create the illusion of three-dimensional space-time in reality. Yet, the illustrations, which are still ‘pictorial images’ can also produce “non-photographic images.” Non-photographic images stand out when the illustrations depict non-realistic objects and expressions. These images show the unique aesthetic of the illustrations, as it cannot be simply replaced with photographs. Next, it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llustrations and the novels. An illustration representing the narrative of a novel implies the fact that the illustration shows its own narrative while still capturing the story of the novel. In addition, the illustration is a "single still image" having a characteristic of the picture image with the corresponding story due to the existence of the text. Finally, the illustrator who creates the illustration is placed on a “dual status” of both a creator and an audienc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process of the illustrations-what scenes to choose and draw from the novel-always inherently involve the illustrator’s interpretation about the story.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nature of the illustration forms, chapter 2.2 seeks “the supplement description role of an illustra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scenes in a novel", which is the most basic effect of any illustrations. The illustrations are attached with some elements that are not clearly described in the novels. The illustrations embodied the main character's mind in 『Hyangwon‘s Love Affairs』, and emphasized the abuse of the dominance and the suffering of the farmers in『Hometown』. In 『Human Orbit』 and 『Moving Star Cluster』, which are written and illustrated by Ahn, the illustrations functioned as the metaphors of the stories. Chapter 3 focuses on the illustrations as “a participant of the narrative of a novel.” The participation of illustration in the novel narrative can only be explained with the presence of the audience. In other words, it is a dimension that occurs in the mind of the audience, who connects the illustration with the text. Especially, the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required the audience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novel, because in that way the audience had the longer time to appreciate them. In Ahn's illustrations, the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emphasize the emo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which allow the audience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 of each character. In chapter 3.2, centering on the three keywords- "abstract and symbolic sign", "uncertain expressions of characters" and “Cubism style"-the study will go through the aspects of illustrations, that capture the emotions of characters in a novel via non-photographic illustrations. In particular,『Moving Star Cluster』, one can observe the tight interaction between the illustrations and the novel through the change of uncertain expression on the characters. The application of Cubism style technique effectively expresses unstable emotions of a character, and also captures the temporality of “iterative narrative.” Chapter 4 discusses the "changing perception through the illustration rule". There are cases which a number of illustrations compose a certain category that develops a new rule for illustrations. When the audience are repeatedly exposed to these illustrations, it leads them to naturally accept these illustrations, which can bring changes in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change in a perception of the audience might have affected the narrative of the novel. The study tried to discover this point with the keyword "inner-side". These illustrations participate in the narrative of the novel in a way of 'expanding' it. As an example, in chapter 4.2, the study seeks the images, "first-person view," "double gaze", and "juxtaposition of the scene". The "first-person view" image is a case which allows the audience to identify whose view is the illustration taking; it allows the audience to share the image of the character's eyes and heart in the novel. The image of "double gaze" is an overlap of the two layers, the view of a character in the novel and an object which is shown by this character. In this case, the object, both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s presented in the same format. This may have helped the inner side, an invisible object, to be considered as the narrative and description in the novel, just the same as a visible object. The "juxtaposition of the scene" image, in which multiple scenes are juxtaposed on a single screen, allows the audience to perceive the spatial flow of time. This may have weakened the linearity of time, and increased the effects of space relatively stronger in the narrative. Therefore, the inner-side provoked by these changes of space may have become thematically highlighted in the novel. Finally, in chapter 5, the study calls the audience of the illustrations as “the mass audience of the illustration.” The mass audience of the illustration is an 'imaginary subject' in a dual sense. On one hand, the illustration is an imagination of the audience, which devolved on to that of an illustrator. It has an effect of replacing the audience’s mental image that they would have imagined by themselves in their minds as reading through the novel, if not the illustrations. On the other hand, “the mass audience of illustration” is an imaginary group combined by this common mental image. Furthermore, the mass-oriented propensity can be witnessed in Ahn’s view on art, and in such regard, his multifarious activities could be symbolized as the positivity that he was the only one to make all this possible. Overall, to put the existence of “the mass audience of illustration” in the literature field allows to see the advanced possibility of “field of narrative interpretation” that takes place on newspapers at that time. 본고는 신문소설 삽화의 형식적인 면과 감상자에게 끼치는 효과의 면을 중심으로, 신문소설 삽화의 매체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에 안석영의 삽화는 삽화가로서의 프로 의식이 존재하며, 삽화의 형식이 확립된 1920~1930년대를 대표하기에 부족함이 없고, 다양한 표현법을 통해 삽화가 줄 수 있는 최정점의 미학을 맛볼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는 삽화의 연구 방법론을 세우는 시론으로서 기능하며, 안석영을 작가론적으로 조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삽화의 형식적인 면은 주로 본고의 2장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우선, 삽화는 현실과 소설의 ‘이중의 반영 이미지’라 할 수 있는데, 따라서 대부분의 삽화는 현실의 3차원적 시공간의 환영을 창조하는 ‘사진적 이미지’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림 이미지인 삽화는 얼마든지 ‘비사진적 이미지’ 또한 만들어 낼 수 있다. 비사진적 이미지는 삽화가 비현실적인 대상을 그려낼 때와, 비사실적인 표현법이 두드러질 때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사진으로 대체될 수 없다는 점에서 삽화만의 고유한 미학을 보여준다. 이어서 삽화와 소설이 맺는 관계에 대해 논해진다. 삽화가 ‘소설의 서사를 재현’한다는 것은, 삽화가 소설과 같은 스토리를 담아내면서 그림 이미지를 통해 삽화만의 고유한 서사를 창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삽화는 ‘단일 정지 이미지’이며, 그림 이미지에 대응되는 스토리가 항상 소설 텍스트에 외재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삽화를 창작하는 삽화가는 창작자이며 동시에 감상자라는 ‘이중적 지위’를 점하고 있다. 따라서 ‘삽화가 소설의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그려내느냐’라는 삽화화의 과정에는, 기본적으로 항상 삽화가의 해석이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삽화의 형식적 특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어서 2장 2절에서는 모든 삽화의 가장 기본적인 효과라고 할 수 있는, ‘소설의 장면 선택을 통한 서술 보충’의 차원에 관해서 알아본다. 이러한 삽화들에는 소설에 서술되어 있지 않은 요소들이 덧붙여 그려지기도 한다. 가령 『향원염사』에는 주인공인 향원의 마음을 구체화하는 삽화가 나타나며, 『고향』의 삽화에는 기득권의 횡포와 농민들의 고통이 강조되고, 자작삽화인 『인간궤도』와 『성군』에는 소설의 은유로서 기능하는 삽화가 나타난다. 3장에서는 ‘소설 서사에 참여’하는 존재로서의 삽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삽화가 소설 서사에 참여하는 것은 감상자의 존재를 거쳤을 때 비로소 설명될 수 있다. 즉 이는 감상자가 삽화와 소설을 연결 짓는, 감상자의 머릿속에서 발생하는 차원의 것을 의미한다. 특히 비사진적 삽화는 감상자가 이를 감상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삽화가 소설 서사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안석영의 삽화는 비사진적 삽화를 통해 주로 등장인물의 감정을 강조하는 경향을 띠며, 이러한 삽화는 감상자에게 인물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하게 하는 효과를 낳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3장 2절에서는 ‘추상과 상징 기호’, ‘불확정적 인물 표현’, ‘입체주의적 화풍’의 세 키워드를 중심으로, 안석영의 삽화가 소설 속 인물의 감정을 비사진적 삽화를 통해 담는 양상에 대해 알아본다. 이 중 자작삽화인 『성군』에서는 불확정적인 인물 표현이 달라지는 양상을 통해 삽화와 소설이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체주의적 화풍을 통해서는 인물의 불안정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해내는 한편, ‘유추 반복 서술’의 시간성을 효과적으로 담아내기도 한다. 4장에서는 ‘삽화 문법을 통한 인식 변화’ 차원이 논해진다. 다수의 삽화가 특정 유형을 이루어 일종의 삽화의 문법을 이루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삽화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감상자가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감상자의 인식 변화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인식의 변화는 소설 서사에까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는데, 본고는 이를 ‘내면’의 키워드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삽화들은 삽화가 소설 서사에 ‘확장’하는 양상으로서 참여하는 것이다. 이에 해당하는 예시로서 4장 2절에서는 ‘1인칭 시점’, ‘이중 시선’, ‘장면의 병치’ 이미지들에 대해 알아본다. ‘1인칭 시점’ 이미지란 삽화에 그려진 것을 보고 있는 자를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특정할 수 있는 경우인데, 이를 통해 감상자는 소설 속 인물의 눈과 머릿속의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중 시선’ 이미지는 보는 자인 인물과, 이러한 인물에게 보이는 대상의 두 층위가 겹쳐 있는 것인데, 이때 가시적인 대상과 비가시적인 대상이 동일한 형식으로 제시된다. 따라서 이는 비가시적인 대상인 내면 또한 다른 가시적인 대상들처럼 소설에서 서술과 묘사의 대상으로 여겨지는데 일조하였을 수 있다. 여러 장면이 한 화면에 병치되어 있는 ‘장면의 병치’ 이미지를 통해서는, 감상자가 시간의 공간적 흐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시간의 선조성을 약화시키고 상대적으로 서사에서 공간의 영향이 커지게 하였을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의 변화로 촉발되는 내면이 소설에서 주제적으로 두드러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삽화의 감상자들을 ‘삽화 대중’이라는 존재로서 의미화하고자 한다. 삽화 대중은 이중의 의미에서 ‘상상’적이다. 우선, 삽화는 삽화가 없었더라면 감상자들이 소설을 읽고 머릿속으로 상상하였을 심적 이미지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감상자의 상상이 대신 위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삽화 대중은 이렇게 공통된 심적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상상적으로 한 집단으로 묶인다. 그리고 안석영의 예술관에서는 이 같은 대중에의 지향이 엿보이는데, 이러한 점에서 그의 다방면에 걸친 활동은 그만이 가능하였던 긍정적인 것으로서 의미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삽화 대중의 존재를 문학 장에 기입해 넣는 것은, 당대 신문 지면에서 이루어지는 ‘서사 해석의 장’을 열린 가능성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최민지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의 의미와 필요성을 밝히고, 초등학교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한 권의 책을 끝까지 읽어 내려가는 기존의 독서 방법 못지않게, 독자가 자신이 원하는 지식과 정보를 찾아서 읽고 재구성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교육의 패러다임도 학습자를 중시하는 구성주의 교육관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의 개념을 밝히기 위하여 교과 독서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 독서에 관한 국내외의 연구를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 독서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져왔으나, 이에 따라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형태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는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과 독서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과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제 통합적 독서는 본 연구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Adler(1989)의 ‘신토피컬 리딩(Syntopical Reading)’을 일컫는 말로, 이 용어에 대한 해석이 합의되지 않아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 ‘하나의 주제에 따라 여러 권의 책을 읽는다’는 의미에서 주진홍(2002), 김현주(2014)등 앞선 연구자가 채택한 ‘주제 통합적 독서’라는 용어로 사용하였으며, 교과 독서의 방법적인 형태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프로그램의 설계를 위한 원리로는 주제 선정의 기준 설정, 텍스트 선정의 기준 설정, 통합 활동 구성의 교과 선정을 구성의 원리로, 교사의 비계지원, 학습자의 텍스트 선정의 자율성 보장, 시간적·공간적 환경 구축을 운영의 원리로 제안하였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 선정의 기준은 이보라(2012)를 바탕으로, 텍스트 선정의 기준은 선주원(2006)을 바탕으로 변형하여 제시하였다. Irwin(2006)의 상호텍스트성 세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의 운영 절차를 구안하였는데 ‘안내하기- 텍스트 찾기- 텍스트 읽기- 통합 활동하기’로 제안하였다.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에서 학습자가 텍스트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무엇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에 대한 안내를 위하여 Wutz & Wedwick(2005)의 BOOKMATCH 전략을 바탕으로 텍스트 찾기 전략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이해’, ‘내용’, ‘연관’, ‘흥미’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읽기 전략과 자기 발문을 제시하였다. 이후, Thudi, S.& Mitchell. D.(1999)의 논의를 바탕으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의 지도 방법을 5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지도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의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사회, 과학, 도덕 교과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 및 텍스트 선정 기준에 따라서 총 네 가지 범주, ‘소중한 나’, ‘우리 마을’, ‘우리 학교’, ‘동물과 식물’로 나누어 한 주제 당 프로그램의 한 회기로 4차시 구성, 총 16차시의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그 중 실제 프로그램 운영의 예시로 ’소중한 나‘ 프로그램의 사례를 포함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형태의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제 통합적 독서에 대한 정의와 함께 텍스트 찾기 전략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형태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프로그램의 절차와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교과 독서 및 주제 통합적 독서의 연구에 실제적인 효과를 가져오길 기대한다. 주요어: 교과 독서, 주제 통합적 독서, 주제 통합적 교과 독서, 신토피컬 리딩, Syntopical Reading, 텍스트 찾기 전략, 교과 독서 프로그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concept of Syntopical Reading for content area reading and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This program 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days, reading education has changed. It has not performed beyond the level of analytic reading which focused on the decoding and understanding of one text. This study has proposed syntopical reading which was developed by Motimer., Adler. Syntopical reading is reading method that reads not a text but multiple texts for understanding specific theme. In Chapter Ⅱ, I reviewed concepts of content area reading and syntopical reading to make clear the concept of syntopical reading. Many studies are argued the importance of content area reading. But they are not proposed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useful in the classroom. So, I propose Syntopical reading for content area reading method. In Chapter Ⅲ, a reading program which incorporates intertextuality is designed by the applic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d in Chapter Ⅱ. Then, I organized of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procedures and activities. This program begins with the choice of educational theme category and basic-texts according to appropriate standard. A strategy for searching texts that is developed by this study is helpful that students pick up texts and read for understanding specific theme. In Chapter Ⅳ, I designed content area reading program by syntopical reading for 3rd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I hope that this study produc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is study will be teaching practical method for reading class in elementary schools. Keywords : Content Area Reading, Reading program, strategy for searching texts, Syntopical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