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사일기 프로그램이 안녕감과 감사성향에 미치는 영향

        최미자 수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Genuine happiness is realized by perceiving and developing personal strengths and by making of use of those strengths in real life situations. Many sociologists and especially psychologists have started investigating personal happiness by measuring the way a person judges their life and also how satisfied they are with life. Such subjective investigations on the quality of life were approached from two standpoints; from the pleasure standpoint and the happiness-theory standpoint. From the pleasure standpoint life quality is based on how much of an individuals pleasure, broadly ranging from subjective pleasures like phyiscal pleasure to desire and self-joy, is satisfied. What is the happiness level of adolescents in our country? Espescially, teenage middle schoolers tend to have a low happiness level due to heavy stress from burdening schoolwork, college applications, and variou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factors. Also,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 Korea, middle schoolers have lower happiness indexes than do elementary schoolers,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ers happiness levels progressively decreased over 2nd, 4th, and 6th grade. High school students(16~28) were shown to have the lowest quality of life, followed by middle schoolers, among young adults of ages between 13~24. With childhood and adolescense being periods of high stress, there is much debate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at such stress is related to academic slumps and depression, anxiety, trouble adapting to school life, aggressiveness, and problematic behavior. Instead of focusing on removing negative emotions like depression, there is a dire need to realize that focusing on facilitating positive emotions like happiness level will bring better results. There is a need for habituating continuing efforts for self-improvement and finding meaning and purpose rather than comparing oneself with others to confirm happines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Gratitude-Diary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atitude levels under the speculation that the program possess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psycological well-being and gratitude. To verify such effects, 6 classes from the 3rd grade of K-Middle School of Geyonggi-do SiHeung-si were chosen for preliminary inspec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atitude. After preliminary inspections 3 classes were set up for experimentation, and the remaining 3 classes of the same quality were set as the control. Next, the Korean Gratitude Index and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were used as standards for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atitude-Diary Program had an average gratitude Gratitude Index of 4.96 before and 5.52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0.558 rise after the program.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1%, these results are statis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Gratitude Index of the group as a whole had increased and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constant group after the program. Also,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from 5.15 to 5.15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n approximate rise of 0.108. As a result the average Subjective Psychological-Well Being Index had risen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Subjective Psychological-Well Being Index had increased signifcantly, and there was also a signif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stant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ubjective Psychological-Well Being Index of the group as a whole. The main result attained from the experiment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posed above is that the Gratitude-Diary Progra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ed gratitud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activities (expressing gratitude in various situation and towards various subjects) done b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rought increases in gratitude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ial areas. This proves the theory that gratitude is a complex entwinement of emotion and cognition. Therefore, since adolescence delinquency has begun to be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Gratitude Diary program can be suggested as a preventable mean against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is to say that the program does not only contribute to the aspect of students mental health but also preventing any maladjustment within the adolescence period as well as getting used to a stable school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considering that the program can be applied as a personality education in a school which suffers from school violence and increase of students who have problems of adapting into the school life. It is also helpful in terms of the place of education since it supports the psychological strength of gratitude and the useful characteristics.

      • 중학생의 가창수업 대안 연구 : guitar를 중심으로

        최미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변성기에 처해있는 학생들이 가장 흥미 있어하는 가창이 목소리의 변화로 음악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잃고 음악을 멀리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기악적 운영을 통하여 다양하고 효과적인 통합적 음악수업활동을 시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악기 연주능력을 개발하여 그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이 경우 채택된 악기는 기타(Guitar)이다. 악기를 준비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악기에 대한 거부감과 연주가 힘들다는 선입견을 갖지 않도록 기타 연주의 기초과정을 자유스러운 분위기로 학습을 유도하였으며 기타 연주뿐만 아니라 기타음악 감상, 기타 반주를 활용한 노래부르기, 기타 화음(코드)의 이해 등을 통하여 음악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였다. 우선 기타연주는 기본적인 세 단계로 나누어 수업을 이끌어 나갔으며 첫째, 기타의 이해를 위하여 그 역사 및 종류, 구조, 연주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였고 둘째, 기초연주법에 해당하는 음계의 위치 및 왼손과 오른손의 주법 등을 반복학습을 통하여 익히게 하고 셋째, 익힌 음계를 이용하여 악곡의 가락과 화음을 연주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여 음악적 표현능력을 생활 속의 음악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의 결과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 및 흥미 정도와 기타연주활동으로의 표현능력, 독보력, 수업에 대한 성취감, 생활 음악으로 어느 정도 가까이 갈 수 있었는지를 조사·분석하였고 그 결과 상당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단순히 기타의 연주활동을 통한 음악성 신장의 차원을 넘어 기타를 활용한 통합적인 음악활동을 개진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또한 학교음악만이 아닌 생활음악으로 연결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변성기 학생의 음악적 공백을 메우는 훌륭한 대안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When students who are in puberty try to do singing activities which they are interested in, they are liable to lose their confidence and be inactive in singing because of their changing voices. So the writer try to lead music class including instramental performance instead of singing for inability to their changing voices. At first, the teacher makes their students prepare guitar and then she makes them acquire the basic process of playing the instrument. This thesis focus to combinate music activity totally, through the class playing the guitar, understanding or respect of the original guitar music, singing accompanied by guitar, and so on. Above all this paper tries to lead the class, dividing into three steps. At first, a various knowledge about the sorts of guitar, its structure, how to play the guitar and history of its music. Second, scalewise motion basic practice for playing the instrument, how to play with left and right hand techniques. Third, their competence of musical expression and make students apply music in their various life styles. Through the questionaire the examiner tries to analyze the interest in class, the ability of playing the guitar, and how to read its notes,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and how much they come close to the life music. This study, in short, is for the improvement of various ability in music, through the activity of playing the guitar and it is emphasized to advance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Finally the analyst, she reached to the result which guitar class as a substitute of singing is a wonderful and successfully useful treatment for the students in situation changing voices particularly.

      • 제7차 교육과정 초등교사용 지도서의 환경교육 관련 학습목표 분석

        최미자 서울교육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초등환경교육이 어떤 교과에서 어떤 목표로 실행되고 있으며, 몇 시간 정도를 실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위 시간별 학습목표가 제시되어 있는 교사용지도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환경교육은 분산적으로 지도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므로 전학년, 14개 교과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환경 관련 학습목표를 최석진 등(1999c)이 제시한 환경교육 목표와 내용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지도 시간, 학년별 교과별 학습목표의 특징, 목표에 나타난 환경교육 내용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수학, 음악, 영어 4개 교과의 지도서에는 환경교육 관련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둘째, 도덕, 사회, 과학, 실과, 체육, 미술, 즐거운 생활, 바른 생활 등 8개 교과에는 29개의 환경교육 단원이 있으며, 136시간을 지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셋째, 환경교육 관련 목표 가운데 지식 정보(K)목표가 전체 목표의 46%, 기능(S)목표는 26%, 가치 태도(A)목표는 19%, 행동 참여(P)목표는 9% 순이다. 가치 태도(A)목표와 행동 참여(P)목표의 합이 28%로 지식 정보(K)목표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지식 정보(K)목표는 학년이 올라 갈수록 높고, 기능(S)목표는 저학년이 제일 낮고, 중 학년이 가장 높다. 가치 태도(A)목표와 행동, 참여(P)목표는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비율이 낮다. 넷째, 환경교육 목표의 비중은 교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지식 정보(K)목표의 비중이 매우 높은 교과는 과학이고, 기능(S)목표는 미술, 사회, 과학, 실과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가치 태도(A)목표는 바른 생활, 체육, 도덕이 높고, 행동 참여(P)목표는 도덕 교과가 다른 교과에 비해 월등히 높다. 다섯째, 환경교육 내용 영역의 비중도 차이가 있다. '1.자연환경' 영역과 '7.환경보전과 대책'이 전체 환경 관련 목표의 반을 차지하는 반면, '3.인구', '10.ESSD' 영역의 목표가 매우 적다. 여섯째, 초등학교 전 학년 동안 시간의 일부를 환경교육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간은 282 시간이다. 이 시간은 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열정과 인식의 정도에 따라 환경교육의 양과 질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환경교육에서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 교과(국어, 수학, 음악, 영어)의 내용 연구를 통해 학습목표로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초등환경교육이 보다 내실 있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가치 태도(A)와 행동 참여(P)목표의 보강이 필요하다. 환경교육은 수업 중 교사의 역할에 좌우될 수 있으므로, 환경교육의 강화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be conduc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objectives manifested in the teacher's manual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treated independently in a separate subject, but is to be treated in all other subjects where deemed appropriate. Therefore, an analysis of the teacher's manuals of entire subjects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 will reveal the nature and amou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corporated in the subjects. The criteria used for the analysis were those suggested by S-J Choi(1990c).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14 teacher's manuals covering as many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orean, Mathematics, Music, and English teacher's manuals did not present the objective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8 subjects such as Morals, Social Studies, Science, Practical Arts, Physical Education, Pleasant Living, Right Living, Arts included environmental objectives 136 class hours, covering 29 units. Third, the objectives of knowledge awareness and information(K) accounted for 46% of the whole environmental objectives; skill(S) amounted to 26% ; and value and attitude(A) to 19% ; and action participation(P) to 9%. The combined percentage of A(20%) and P(9%) i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K(45%) indicating that knowledge is emphasized more than attitude and participation. the percentage of K increased along with the advancing grade, while the percentage of A and P de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grade. the percentage of S was lowest in the lower grades, rose to the peals in the middle grades, and decreased again in the upper grades. The rate of A and P was 28%, it was much lower than K. K was higher as school years high, S was the lowest in the lower school years and high in middle school years. The rate of A and P was lower as the school years high. Fourth, the proportion of each area varied across the subject. K was high in Science; S was high in the Arts, the Social Studies, the Science, the Practical Arts. A was high in the Right Living, the Physical Education and the Morals. In the Morals, P was much higher than in any other subject. Fifth, the rates of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also varied The area of '1. Natural Environment' and '7.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Countermeasure' amounted to a half of the total. Area of '3. Population' and '10. ESSD' with 3.8%) and 1.4%, respectively. Sixth, the total class hours during which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is possibly conducted in six years were 282 class hour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se periods depend on the teachers level of awareness of the issue and enthusiasm. In conclus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incorporate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to teach environmental issues in the for subjects (i. e., Korean, Mathematics, Music, and English), so that the students can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l subjects. For a more effective result,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 increase and emphasize the A and P objectives. Finally, as the final outcom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critically dependent on the teachers' role in the education process,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increase their knowledge and raise their awareness for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청소년단체 활동 성과 인식 비교 분석 :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최미자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성과 인식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청소년단체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는 일이 향후 효율적인 청소년지도 방향 탐색을 위한 시사 도출에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으로는 청소년 단체 활동의 개념과 유형 및 특징, 교육적 효과, 교육만족도와 성과 관련 이론들을 살펴보았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조사지를 통해 실증적으로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의 청소년 단체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성과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목적 및 내용을 다루기 위해 활용한 연구방법은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성과 인식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32문항의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조사방법이었다. 설문지 구성은 개인배경과 활동만족도, 활동결과 예측 성과 인식 문항 등이었다. 설문지는 경기도내 소재 초등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단체 활동 참여 초등학교 7개교를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5, 6학년 초등학생과 학생의 학부모 7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678부(회수율 96.9%)였고, 응답이 불충분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18부를 제외한 660부를 통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위와 같은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초등학생과 학부모 모두 보통수준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초등학생은 성별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성적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중위권 집단이 가장 높고 하위권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단체 활동 참여경력에 따른 만족도는 활동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활동에 대한 인식변화 효과변인은 예절과 협동, 도전과 창의, 정서와 성찰, 전통과 사회의식, 건강과 안전 영역의 순으로 낮은 인식도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경우 성별에 대한 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는 초등학생과는 달리 하위권, 상위권, 중위권 순으로 하위권 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체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만족도는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활동에 대한 성과인식 효과변인은 예절과 협동, 전통과 사회의식, 도전과 창의, 정서와 성찰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과 안전이 가장 낮은 성과 인식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자녀와 학부모의 만족도 성과 인식 차이를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만족도나 성과인식은 자녀가 학부모보다 높게 성과를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단체 활동에 대한 성과 인식이 학부모와 초등학생 집단 공히 높으며, 단체활동을 통해 자신의 미래의 삶에 필요한 정보 수집에 도움을 받고 있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을 변화시켜 나가며, 바람직한 생활 습관 실천 능력을 길러나가고 있음을 성과로 인식, 체감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 하에 향후 보다 다양한 성과 인식 지표를 개발하여 단체 활동의 성과를 질적, 양적으로 다각적 분석을 시도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 : 국립병원을 중심으로

        최미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립병원 간호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 여부 및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 시기, 기관, 내용은 어떠한가? 셋째,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 여건은 어떠한가? 넷째 ,학위과정과 자격과정 계속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와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다섯째, 향후 계속교육 참여계획 여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 소속의 수도권1개 병원, 강원권1개 병원, 충청권1개 병원, 경남권 1개 병원, 전남권 1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면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제작한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이용하였으며, 기초조사, 계속교육 참여여부, 참여 동기, 교육내용, 교육기관, 최초 계속교육 참여시기, 교육기간 중 어려움, 학위과정과 자격과정의 기대효과와 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을 묻는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간호사들의 일반적인 사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그 분포도를 알아보았고 근무경력, 부서직위, 졸업한 교육기관에 따른 차이를 교차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계속교육에 참여했거나 참여중인 간호사가 월등히 많았으며 참여동기는 간호업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와 학위취득을 위하여가 높게 응답하였다. 계속교육 최초 참여시기는 졸업 후 1 ~ 5년에 가장 높았으며 근무경력이 작을수록 최초 참여시기가 빠르고 경력간호사로서 새로운 과업이 주어질 때 계속교육에 참여하였다. 교육내용은 간호학사 학위과정, 교육기관은 방송통신대학이 가장 많았고 교육기간 중 일정기간 근무조정이 필요했으며 업무집중력 저하를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계속교육에 대한 기대효과와 참여 후 교육효과는 학습을 통하여 즐거움, 심리적 성취감을 느꼈다고 인식하였다. 향후 실무능력과 자아성취감을 향상을 위해 계속교육 참여계획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국립병원 간호사들이 계속교육 참여를 통해 업무능력이 향상되고 학습을 통해서 즐거움, 심리적 성취감을 느꼈다는 인식은 고무할 만한 일이다. 간호사의 업무능력 향상은 질 높은 간호서비스를 가능하게하고 이는 대상자와 지역사회의 건강증진에 큰 영향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병원간호사들의 계속교육 여건을 보완하여 효율적인 학습지원을 한다면 병원간호사의 계속교육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s and participation status on continuing education of a national hospital nurses. For this, the subjects are as below. First, what are participation or not and it's motive about continuing education of hospital nurses? Second, how are participation time, institution and contents about continuing education of hospital nurses? Third, how is continuing education condition of hospital nurses? Fourth, how is percep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nd education effect about degree course and qualification process of continuing education? Fifth, how is the plan of participation or not about continuing education from now 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hospital nurses of 1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that i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position, 1 in Gangwon area, 1 in Chungcheong area, 1 in GyeongNam area, 1 in Jeonnam area. The questionnaire which was produced through consulting references and referring to thesis director, was used as survey tool, and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by 25 questions which are about a basic survey, participation or not of continui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e,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institution, participation time of the first continuing education, difficulty during education period, and percep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nd education effect of degree course and qualification process. Basic matters of nurses examined a distribution chart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career, department position and graduating facilities was verificated by crosstabul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the nurses who participated in continuing education or was participating in it, were many remarkably, and about participation motive, 'for improving the ability about nursing accomplishment' and 'for achieving a degree' were answered highly. About the first participation period of continuing education, '1~5 years after graduation' was highest, and the fewer carrer, the faster the first participation period, and if the new work was given as career nurses, they participated in continuing education. About education contents, a degree course, and about education facilities, Korea Nation Open University was most. And during education period, the coordination about work was need with a given period and the nurses felt difficulty in decline of working concentration. About the expectation effect about continuing education and education effect after participating, the nurses recognized that they felt pleasur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 Also, from now on, they had participation plan about continuing education for improving executive ability and self-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fact that working ability of the national hospital nurses was improved through particip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that the nurses felt pleasur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is very encouraging. It is because improvement of the nurses' working ability make possible high-quality nursing service and it takes effect the health promotion of recipients and a local community. If the condition about continuing education is supplemented and the learning support was done effectively, continuing education of the nurses will be made progress more positively.

      • 여성요양보호사의 일-가정 역할갈등이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최미자 중부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요양보호사의 일-가정 갈등, 서비스 질, 직무만족, 회복탄력성 간의 직접적인 효과와 일-가정 갈등이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여성요양보호사 505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은 서비스 질과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에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일→가정 갈등과 서비스 질, 가정→일 갈등은 서비스 질 간에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부분매개, 가정→일 갈등과 직무만족 간에서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과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정보 제공 및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