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진로결정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최금란 관동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대학생의 진로결정의 이행과 진로결정 자율성의 달성을 위해 긍정적으로 내재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학교생활에 매우 중요한 변인인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진로결정 자율성의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과 하위요인 간의 관계와 영향력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정서적 특성, 학업적 특성, 대학생활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진로결정 자율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즉 진로상담을 통해 진로준비에 따른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데 있어 문제점을 모색하여 대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재적 동기(진로결정 자율성의 하위요인인 확인된 동기와 내재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대안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소속된 3개 대학교 1학년에서 4학년 총 982명을 임의로 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여섯 개의 검사 도구를 연구대상들에게 설문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집대상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정리과정에서 불확실하거나 불성실한 반응 혹은 각 사례별로 여섯 가지 척도에 모두 반응하지 않은 경우와 대학원생을 제외하고 남자 489명, 여자 393명 총 891명(결측 9명) - 10대(239명), 20대 초반(556명), 20대 중반이상(85명), 결측(11명), 인문(173명), 이공(418명), 사범대(173명), 예체능(116명), 결측(11명), 1학년(273명), 2학년(232명), 3학년(318명), 4학년이상(56명), 결측(12명)-을 본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미국 IBM사에서 제작한 PASW 18.0으로 전산처리 하였다. 진로결정 자율성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중다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등이다. 다만 각 척도의 하위요인들 사이에 상관이 높아 다중공성선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성별, 전공, 학년,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 요인을 세분화 분석하여 자아탄력성 3개, 학교생활적응 3개, 교수-학생 상호작용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세부 문항 검사도구에 제시된 요인들 사이의 상관이 높아서 회귀분석시 다중공선성 발생 가능성이 많아 관련 요인끼리 묶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정서와 관련된 변인(대인관련 자아탄력성, 정서관련 자아탄력성, 정서관련 학교적응도, 교수-학생 정서적 상호작용), 학업과 관련된 변인(호기심관련 자아탄력성, 학업관련 학교적응도, 교수-학생 학업적 상호작용), 대학생활과 관련된 변인(활력 관련 자아탄력성, 생활관련 학교적응도, 교수-학생 생활적 상호작용)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였다.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주시 민간보육시설 중심으로

        최금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ry teachers’ job stress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and, thereby, to present a plan on improving nursery service quali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how does nursery teachers’ job stres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A survey method was adopted to ask nursery teachers of their job stress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The sample frame is nursery teachers private nursery schools located in Jeonju-si, Jeollabuk-do. The nursery schools can admit more than 50 children. Mail- and visiting-surveys were performed for 20 days, between May 23 and June 11, 2011. A total of 124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analyses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a frequ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respon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reported of all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Second, both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how job stress factors affect job satisfaction facto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nursery teachers’ task-related stress is the greatest one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whereas nursery teachers’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is the greatest one among job satisfaction factors. Second, nursery teachers’ job stress has a negative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stress from relationships to colleagues, stress from relationships to parents of children, stress from economic conditions, task-related stress, stress from nursing, and stress from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s, satisfaction with fringe benefits, satisfaction with social acknowledgement, satisfaction with fringe benefits,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knowledgement, respectively.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the effects of job stress factors on job satisfaction factors. Stress from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affects job-in-itself. In addition, stress from relationships to colleagues affects both satisfaction with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Moreover, satisfaction with fringe benefits is affected by stress from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task-related stress, and stress from relationships to colleagues. Furthermore, stress from economic conditions affects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acknowledgement. Fourth, the greater either stress from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or economic conditions, the les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all the job stress factors have negative impacts on all the job satisfaction factors. This suggests that both nursery teachers’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and heavy tasks have negative impacts on their job conduct. In addition, it is implied that nursery teachers suffer from frequent events, routine businesses, and heavy tasks, such as making teaching tools, and that they suffer from lack of time to prepare classes and to deal with other tasks because they have insufficient class-materials and supports from clerical workers. Second, job satisfaction is negatively affected by stress from working and operating conditions and economic conditions. Nursery teachers have stress from heavy tasks and unsatisfactory compensation. Their stress makes them weak physically, mentally,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induces them to leave their positions, and thereby, declines in the standard of education. According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provide effective nursing policies and regulations on working hours based on the Labor Standards Act and wages as well as allowances.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보육업무 수행 중에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 소재 민간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이며, 보육시설의 설립주체를 민간보육시설로 입소아동 50인 이상 시설로 제한하였다. 본 조사는 2011년 5월 23일부터 2011년 6월 11일까지 20일간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124부가 분석 최종을 위해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을 사용하였다. 빈도분석은 변수 값들이 이루는 분포들의 특성을 알아보는 데 이용하였으며, 평균의 차이검증을 위해서는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둘째,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업무관련’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직무만족도는 ‘보수’가 가장 높았다. 즉,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요인은 업무관련 요인이며, 직무만족도는 보수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높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료교사와의 관계의 스트레스는 근무환경의 직무만족도, 학부모와의 관계의 스트레스는 복리후생의 직무만족도, 경제적요인의 스트레스는 사회적 인정의 직무만족도, 업무관련의 스트레스는 복리후생의 직무만족도, 아동관리의 스트레스는 복리후생의 직무만족도, 근무환경 및 운영요인의 스트레스는 사회적 인정의 직무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의 하위변수인 직무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환경 및 운영요인으로 나타났고, 근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동료교사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복리후생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환경 및 운영요인, 업무관련, 동료교사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인정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는 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운영요인, 경제적 요인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근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모든 영역에 유의미한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지지적 근무환경과 과중한 업무는 보육교사의 직무수행과 가장 높은 부적상관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보육교사들이 잦은 행사와 잡무, 교구제작과 같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림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수업자료와 행정직원의 도움이 거의 없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수업준비와 기타 업무를 감당할 시간이 부족한데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하위영역인 근무환경 및 운영요인, 경제적 요인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과중한 업무와 일의 양에 미치지 못하는 급여로 인해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약화는 물론 이직률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보건복지부의 보육 정책적 지원과 근로기준법이 정하는 근로시간, 급여와 시간외 수당 등의 규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문맥을 활용한 어휘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최금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문맥을 활용하여 어휘력을 확충시키려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초등학교 3학년은 문자나 구두 언어에서 전에 접해보지 못했던 낱말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어휘량의 연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논의되어 어휘지도의 가장 적절한 시기로 보고 있다. 국어과 교육은 학습자의 창조적인 국어 사용 능력을 목표로 하며, 궁극적으로는 학습자의 고등 정신 기능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 정신 기능이란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고 언어를 통해서 사고를 이해하는 창조적인 언어사용능력을 의미하며, 이 기능은 어휘력을 바탕으로 시작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어휘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많은 교사들이 어휘 지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도해 오고 있지만 문제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의 모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연구를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어휘지도를 위해 3학년 학생이 흥미있게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하였으며, 텍스트를 활용한 지도과정을 구안하였다. 어휘 학습 수업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이를 활용하여 어휘지도에 적용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어휘의 중요성, 어휘지도의 원리와 방법, 어휘지도와 문맥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어휘지도가 어떤 형태로 실현되고 있는지 3학년 1․2학기 교과서를 분석해 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문맥을 활용한 어휘지도 방안을 구안하고 적용해 보았다. 문맥을 활용한 어휘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텍스트를 선정하였으며 직접 이를 활용하여 어휘지도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어휘력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었는지 검증하여 보고 어휘교육에 대해 시사하는 점을 찾아 보았다. 제Ⅳ장에서는 텍스트를 활용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였다. 연구자가 선정한 텍스트와 문맥을 활용한 교수 학습 과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한 결과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반응은 어휘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보였다. 학생들은 모르는 낱말도 문맥의 앞뒤로 미루어서 이해하고, 새로운 낱말에도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어휘를 자신의 배경지식과 관련지어 가며 이해하고 예측하며 새로운 문형의 글에도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 또한 부수적으로 학습자의 의욕이 향상되었고, 일기 쓰기나 독후감 쓰기 등에서 다양한 어휘를 활용하여 흥미있게 글쓰기를 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많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새로은 낯선 글에서도 문맥을 활용하여 흥미있게 어휘력을 확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LCCE의 작업행동과 작업습관 형성 프로그램 효과 분석 : 정신지체 성인을 중심으로

        최금란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LCCE 가운데 ‘작업행동과 작업습관 형성하기’를 재구성하여 취업을 앞둔 정신지체인들에게 적용하고, ‘작업행동’과 ‘작업습관’에 관련된 지식과 수행능력검사 점수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P 재활시설을 이용중인 취업이 가능한 정신지체인 10명으로 하였고, 동일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연구설계를 취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사전검사로 ‘작업행동’과 ‘작업습관’에 관련된 지식과 수행능력검사를 실시하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향상 정도를 분석하였다. 훈련프로그램은 4주간 주 5회씩 총 20회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은 토론, 발표 중심으로 구성된 인식 프로그램과 사업체 방문, 실습, 역할극 중심으로 구성된 실천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CCE의 작업행동과 작업습관 형성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인의 개인별 작업행동과 작업습관에 관련된 지식과 수행능력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제시하였다. 둘째, LCCE의 작업행동과 작업습관의 형성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작업행동, 작업습관에 관한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LCCE의 작업행동과 작업습관 형성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작업행동, 작업습관에 관한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LCCE의 작업행동과 작업습관 형성 프로그램이 특수학교와 재활시설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향후 다른 장애인 시설이나 복지관, 다른 장애영역에도 LCCE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LCCE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인들의 행동특성이나 효과에 대한 질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용어 : LCCE, 정신지체인, 작업행동, 작업습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re-organize 'the formulation of work behavior and habits', 2) apply them to the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about to get a job, 3) analyze the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batteries scores related to 'working behavior' and 'working habits'. As research subject, it sampled 10 employable with mental retardation using P rehabilitation Facility in Seoul, and adopted the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t conducted 'working behavior' and 'working habits' related knowledge and performance batteries as a pretest, and analyzed its progress extent by applying the training program, and conducting posttest. It carried out the training program totally 20 times, 5 times a week for 4weeks, and performed it by breaking down to cognitive program composed of discussion, presentation activity, practice program of visit of business, practice and role playing.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pretest and posttest, it conducted the t-verification to the same sampl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set forth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working behavior and habits related knowledge and performance by individual person with mental retardation by applying LCCE working behavior and habits formulating program. Second, the LCCE working behavior and habits formulat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performance capability to the working behavior and habits of the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LCCE working behavior and habits formulating program can be usefully available at special schools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 In the future, research on applying the LCCE program to other challenged facilities, welfare centers and other handicapped areas is needed,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he handicapped reveal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LCCE program should be conducted.

      • 幼兒의 五感敎育을 通한 創意性 놀이가 英才性에 미치는 影響 硏究

        최금란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영재성 관련 문헌과 영재성 계발 프로그램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운영하는 어린이집의 영재성 프로그램의 내용을 오감교육을 기초로 분석하는 것을 복적으로하였으며, 영재성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분석은 김건용(2007)이 제시한 오감 구성 요인(미각, 청각, 후각, 촉각, 시각)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활동과 연관 되는 여재성의 구성 요인은 어린이집 교육과정을 기초로 재구성한 지도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사물에 대해서 많은 호기심을 나타내 보이고, 어떤 것이든 그리고 모든 것에 관하여 끊임없이 질문하고 만지면 생각할 수 있는 시작적인 여유와 교육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문제와 질문에 대한 수많은 의견과 해결책을 산출 해고, 촉특하고, 색다르며, 현명한 대답을 제시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분위기와 교사의 자상하고 격려하는 보살핌이 필요하다. 셋째, 의견이 표현이 자유롭고, 활발하며, 집착력을 보일 수 ?도록 부모와 지도교사는 인내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같은 학습 환경이지만 생각과 동작이 빠른 유아와 느린 유아가 있기 때문에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지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어린이집의 영재성 향상을 위한 오감 교육 프로그램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영재성의 구성 요인을 포함한 효과적인 영재성 계발 프로그램을 위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 연구

        최금란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ducation by ICT utilization unifies ICT into the curriculum for achieving the aim of teaching·learning in each subject most effectively. And it utilizes ICT as educational media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learning and the daily life on a basis of capabilities of basic information attainments. It can supply great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by using ICT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promote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lso, the learners choose the aim of learning and the proper strategy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can extend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supplying in order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result of learning on their own initia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cessity of ICT educ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for groping for a plan for extend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education by ICT utilization in the class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to suggest a plan for extending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developing a teaching pla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patterns and by applying it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8 ICT utilization instruc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environment in the teaching·learning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the chapter 1, it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research through the necessity and aim of ICT utilization educ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prerequisite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it is to investigate the definition related to this study, supply instrument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by media. In the chapter 2, it i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extend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the education of ICT utiliza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it needs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in the teaching·leaning process and the relation with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the ICT utilization.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theoretical contents and the curriculum about the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by the grade about the character of Korean language and the education of ICT utilization. In the chapter 3, it is to grope for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atterns and models for ICT utilization.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8 concepts of teaching·learning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procedure for proceeding the teaching·learning about each pattern like searching the information, analyzing it, guiding it, discussing the web, researching the cooperation, communicating with the experts, making a pan pal in the web, making the information.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examine the teaching·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ICT utilization by dividing into the teaching· 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considered as general teaching·learning models for ICT utilization and the shape of classroom. Also, as for the shape of classroom, it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of 1 PC per 1 student in the general classroom, 1 PC per 6 students in the gathered classroom, 1 PC per 1 student in the computer classroom. In the chapter 4, it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odel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nd apply it. In the paragraph 1, it is to investigate teaching·learning pattern appropriate to the aim and contents in the class of Korean language. And in the paragraph 2, it is to suggest a plan for the utilization of subject of Korean language about the 8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in order to make a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lso, in the paragraph 3, it is to apply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in the 2nd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8 teaching·learning patterns for ICT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utilization by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general classroom,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gathered classroom, and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computer classroom. In addition, in the paragraph 3, it is to apply to this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and to examine the students' consciousness research whether it affects the extension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r not. As a result of it, it presented that the students became gradually improved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e frequency of utilizing the learning materials, the degree of interest, and it was very helpful to the extension of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earning after school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is study has great meanings in the point that it made the students extend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by developing the teaching·learning plan for ICT utilization in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and the flow of the times that the utilization of ICT is positively recommended preparing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CT 활용 교육이란 각 교과의 교수·학습목표를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ICT를 교과 과정에 통합시켜, 기본적인 정보 소양 능력을 바탕으로 학습 및 일상 생활의 문제해결에 교육적 매체로써 ICT을 활용하는 교육이다. 국어교과에서는 ICT를 활용함으로써 풍부하면서도 다양한 학습 자료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촉진하며, 학습자들이 스스로 학습의 목표 및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정하고,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신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어교과 수업에서의 ICT의 활용 교육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교과에서의 ICT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2학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 전 영역을 차시별로 8가지 ICT 활용 수업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 수업환경에 따른 ICT 활용 특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장에서는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한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본 연구와 관련된 용어 정의와 ICT 활용 지원 도구 및 매체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절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필요성과 ICT 활용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국어교과 교육에서 교과 성격과 관련하여 ICT 활용의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2학년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 교과서 전 영역을 차시별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을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과 교수·학습 모형 적용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1절에서는 정보 탐색하기, 정보 분석하기, 정보 안내하기, 웹 토론하기, 협력 연구하기, 전문가와 교류하기, 웹 펜팔하기, 정보 만들기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의 개념과 각 유형별 교수·학습 진행 절차, 국어교과에서의 활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수업환경를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수업환경을 일반교실은 1실 1PC 환경, 모둠교실은 6인 1PC 환경, 컴퓨터교실은 1인 1PC환경으로 구분하여 교수·학습 활동 과정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국어교과 ICT 활용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1절에서는 국어교과 목표와 내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유형을 알아보고 2절에서는 ICT 활용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기 위하여 고려할 점을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를 8가지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을 수업환경에 따라 일반교실에서의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 모둠교실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 컴퓨터교실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4절에서는 본 ICT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해보고 국어교과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학생과 교사의 의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대비하여 제7차 교육과정 시행과 ICT 활용이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어교과에서 ICT 활용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려고 노력한 점에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