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엽연주작품집 : Andrew Lloyd Webber, Claude-Michel Schönberg, Richard Cocciante, George Gershwin, Michael Gore의 뮤지컬 곡 중심으로

        채송화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of the musical songs various of musical composers, and were analyzed. It is found that there are close relations between the composers' life and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ir music. Two British compsosers, Andrew Lloyd Webber (1948-) and Claude-Michel Schönberg (1944-), both use melody repeats. The French musical composer, Richard Cocciante (1946-), demonstrates characteristics of music of Gypsies through a variety of rhythms and confutation. Micheal Gore (1951-) is a popular music composer, and his music exhibits more atmosphere of popular music than that of musicals. George Gershwin's (1898-1937) pieces show aspects of jazz and improvisation. Some of the musical characters are as follows. Weber's I Don't Know How to Love Him (1980) presents Maria's heart through ascemding progression and unison repetion. It also expresses the unachievable love through a plagal cadence. Weber's second piece Unexpected Song (1985) represents Emma's unexpected love through repetitive use of roots of D major fundamental chords, advancement in arpeggio and modulation of the same rhythm. The third piece, Whistle Down the Wind (1961), repeating and changing the D major notes as the leitmoif of the piece, is a song sung by the parents telling their children not to be frustrated with and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adversities of the world. Schönberg's first song, I Dreamed a Dream (1985) maximizes the tragedy in the past in a pattern of exchanging melodies and accompaniments. The front and the rear parts of the second song, I'd Give My Life for You (1989), represent the situations of the present and the past through repetitions and rhythmic changes of the theme. Cocciante's (1946-) Bohémienne (1998) gives an atmosphere of music of Gypsies through various rhythm changes. Gershwin's Summertime (1935) used rhythm repetitions and syncopations starting at the Auftakts, and shows its characteristic of jazz with chromatic progression. Finally, Gore's Fame (1980) represents a sense of rhythm through repetitious notes. This thesis, dealing with various musical pieces, studies the composers' life, their musical pieces, their backgrounds, the texts and the analysis. 여러 작곡가들의 뮤지컬 작품 속 음악들을 분석하고 특징을 연구해 보았다. 작가들의 생애와 음악특징이 밀접한 연관이 있었는데 영국의 두 작곡가인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와 쇤베르크(Claude-Michel Schönberg, 1944- )는 둘 다 음악적으로 반복되는 기법을 사용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프랑스 뮤지컬 작곡가인 코시앙트(Richard Cocciante, 1946- )는 반면에 한 음악 안에서 여러 리듬과 변박을 통해서 집시음악의 특징을 나타내 보였다. 작곡가 고어(Micheal Gore, 1951- )는 다양한 가수들의 음악을 작업 하면서 대중성을 띤 작곡가이고 그의 음악에서도 뮤지컬 보다는 가요 같은 느낌이 더욱 드러났다. 거쉬윈(George Gershwin, 1898-1937)의 곡에서는 째즈 느낌과 즉흥연주곡 같은 음악적 느낌을 많이 살펴볼 수 있었다. 음악적 특징으로 웨버의 첫 번째곡 <어떻게 감히 내가: I don't know how to Love Him, 1980>는 순차적인 상승진행과 같은 음의 반복으로 마리아의 마음을 잘 나타나 주었으며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불완전한 종지로 표현하였다. 웨버의 두 번째곡 <뜻밖의 노래: Unexpected Song, 1985>는 라장조 으뜸화음의 근음을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아르페지오로 진행되면서 같은 리듬의 유형이 전조되어 엠마에게 다가온 뜻밖의 사랑을 노래했다. 세 번째 곡인 <힘들 땐 휘파람을 불어봐: Whistle down the Wind, 1961>는 라장조의 으뜸7화음 다시 버금가온7화음의 펼쳐진 음들이 곡 전체의 중심동기로 반복·변화하여 부모가 자식에게 세상의 힘듦과 역경에 대해 알려주며 좌절하지 말고 이겨내라고 노래를 불러주었다. 쇤베르크의 첫 번째 곡인 <한 때는 꿈이 있었지: I dreamed a dream, 1985>곡은 성악부선율과 반주부의 상성부가 서로 주고 받으며 흘러간 비극의 상황을 더욱 극대화 시켜 준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곡인 <널 위해 내 목숨 다 바칠꺼야: I'd give My life for You, 1989>선율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주제의 반복과 리듬의 변화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표현해주었다. 코시앙트의 <보헤미안: Bohhemienne, 1998>은 다양한 리듬적 변화를 통해 프랑스 집시곡의 느낌을 살려주었다. 거쉬윈의 <여름날: Summertime, 1935>에선 리듬유형의 반복과 약박에서 시작한 노래선율이 싱코페이션의 느낌을 주면서 반음계적 진행으로 재즈적 성향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고어의 <페임: Fame, 1980>은 동일 리듬의 반복을 통해 신나고 리드미컬한 느낌을 표현한 작품이었다.

      • 다의적 독일어 동사 "tragen"의 Valenzrahmen 분석 : Kernkorpus를 중심으로

        채송화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dieser Abhandlung wird Interaktion zwischen Valenzrahmen und Polysemie des deutschen Verbs „tragen“ behandelt. In dieser Abhandlung bin ich von der Beobachtung ausgegangen, dass das Verb „tragen“ verschiedene Bedeutungen hat. Mithilfe der Beispiele aus dem DWDS Kernkorpus konnte beweisen werden, dass sich die Bedeutungen des Verbs auf verschiedene Valenzrahmen zurückführen werden können. Mit dem Valenzrahmen konnte gezeigt werden, dass das Verb auf verschiedene 21 artige Bedeutugen haben kann. Trotzdem wurde gezeigt, dass die verschiedene Bedeutungen des Verbs auch mit der Bedeutung des Nomens in Zusammenhang gebraucht werden kann. Aus diesem Grund muss die Merkmalen, die sich mit Verb verbinden, untersucht werden, um die Polysemie des Verbs auszulösen. Die Ergebnisse dieser Untersuchung können nicht nur in automatischer Übersetzung, sondern auch im Unterricht verwendet werden, wenn man Deutsch als Fremdsprache lernt.

      •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전위공격성 간의 관계 :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채송화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를 온라인으로 모집했고, 응답을 한 만 18세-35세 성인남녀 575명 중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을 고려하여 선별한 총 14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질문지, 정서표현 양가성 질문지, 전위공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v21.0과 SPSS Macro v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 전위공격성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전위공격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관계관여적 양가성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위공격성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과 전위공격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전위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전위공격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과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각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지만, 관계관여적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경험, 정서표현 양가성, 전위 공격성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전위공격성의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 및 활동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채송화 전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king activities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on the eating behavior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For that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effect does an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have on the eating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what kind of effect does an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have on the activity particip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an effor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administered 20 sessions of intervention to three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the fifth grade in the elementary department at S Special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Employ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the study followed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An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eating behavior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baseline stage involved collection of baseline data for four to ten sessions. The intervention stage marked the administration of 20 sessions of an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to examine changes to their eating behavior and activity participation. The maintenance stage promoted intervention and gathered data for four consecutive sessions to investigate whether changes to their eating behavior and activity participation would last two weeks after the end of intervention. An intervention tool, the cooking activities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were devised by the investigator based on discussions with experts to fit the related units in each subject of the basic curriculum at special schools including Korean, social studies, science, practical art, music, and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hildren of the study. They were then reviewed by five special education teaching with a career of ten or more years and three experts on special education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intervention activities. In the study, the eating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as measured with the Dietary Habits Inventory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reconstructed by Im Cheol-woo(2012) based on some of the related previous studies(Kim Seong-eun, 2002; Song Nan-yeong, 1998; Oh Su-jin, 1997; Lee Yun-shim, 2007). Their activity participation was measured with the Lesson Participation Behavior Scale developed by Hwang In-yeong and Kim Su-yeon(2005) and revised by the investigator to fit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changed the eating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a positive way. Second, the integrated cooking activities program linked to the basic curriculum increased the activity participating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First, there are some limitations with the generations of the study results due to the regional restrictions with the eat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hich raises a need for multifaceted follow-up study in the same context as the present study. Second, the study limited the observation of eating behavior to the meal service time at school, whic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follow-up study. Third, there should be follow-up study to look into the various problematic behaviors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relation to eating behavior more specifically. Finally, the study examined changes to the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subjects by observing them during cooking activities. Follow-up study needs to investigate participating behavior during the lessons of other subjects. 본 연구는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요리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 및 활동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활동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 S특수학교 초등부 5학년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서로 시행되었으며, 독립변인은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이고, 종속변인은 정신지체 아동의 식사행동과 활동 참여도이다. 기초선 단계에서는 4-10회기의 기초선 자료를 수집하고, 중재단계에서는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20회기 실시하여 식사행동 및 활동 참여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유지단계에서는 중재 종료 2주 후 식사행동 및 활동 참여도의 변화가 지속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를 제고하고 연속 4회기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중재도구인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요리활동은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국어, 사회, 과학, 실과, 음악, 미술 등 각 교과 중 관련된 단원과 본 연구대상아동들의 특징에 맞게 연구자가가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구성하였다. 그리고 중재활동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경력 10년 이상의 특수교육 교사 5인과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 3인의 검토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 측정을 위한 도구는 관련 선행연구들(김성은, 2002; 송난영, 1998; 오수진, 1997; 이윤심, 2007)을 기초로 정신지체아동의 식습관 측정 도구를 재구성한 임철우(2012)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활동 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해 황인영, 김수연(2005)이 제작하여 사용한 수업 참여 행동 측정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한 통합적 요리활동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아동의 활동참여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식사행동에 대한 지역적 한계로 인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의 다각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식사행동의 관찰이 학교 급식시간에 제한되어 이루어졌으므로 이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정신지체아동의 식사행동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행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요리활동 시간 동안의 관찰을 통하여 활동참여도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나 다른 교과 시간에서의 참여 행동에 대한 후속연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배움의 공동체’에 기초한 사회과 수업 참여 관찰 연구

        채송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움의 공동체’에 기초한 사회과 수업 참여 관찰 연구 현재 한국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공교육의 위기를 해결하고자 혁신학교에서는 ‘교사중심수업’에서 ‘학생중심수업’으로 개혁하려는 움직임들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개혁의 움직임은 오래전 일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중심수업’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받아드리는데 다음과 같은 한계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입시문제로 인해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 둘째, 여전히 수업시간에 경쟁학습구조의 분위기가 주를 이루고 있어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을 요구하는 ‘학생중심수업’ 모델을 받아드리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교사의 경우 수업준비 및 과정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한계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제안하였고, ‘배움의 공동체’ 철학을 기반으로 수업개혁을 시도하고 있는 S중학교를 선택하여 ‘배움의 공동체’ 사회과 수업을 참여 관찰하였다. 참여 관찰한 ‘배움의 공동체’ 사회과 수업을 ‘수업계획측면–수업과정측면- 수업성찰 및 반성측면’으로 구분하여, ‘배움의 공동체’에서 강조하는 ‘활동적 배움’, ‘협동적 배움’, ‘표현적 배움(=반성적 배움)’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토대로 다양한 ‘학생중심수업’의 실제 적용면에서의 한계점을 ‘배움의 공동체’ 수업으로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는 ‘수업 시간 부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비교적 복잡한 수업모델이나 수업모형에 의존하지 않고, 해당 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살펴보고, 교사의 재량으로 각 단원에 알맞게 수업을 디자인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경쟁학습구조 분위기’를 극복하고자 ‘배움의 공동체’에서는 학생들 간에 서로 존중하고 ‘서로 듣는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로 ‘모둠활동’과 ‘ㄷ자형 책상배치(전체공유)’가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이 잘 일어나는 ‘협동적 학습구조의 수업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부담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배움의 공동체’에서는 함께 연구하는 교사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배움의 공동체’ 철학을 받아드리고 있는 학교에서는 교사들 간에 ‘서로 배우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시 하고 있으며, 공개수업 및 수업연구회, 수업 컨설팅, 배움의 공동체 세미나 등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켜주기 위한 장을 마련해줌으로써 ‘교사의 수업준비 및 수업과정 상의 부담’을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분석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배움의 공동체’ 수업은 경쟁적 학습구도에서 협동적 학습구도로 수업 분위기를 전환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수업개혁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먼저 ‘학생중심수업’ 모델을 도입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마치면, 그 절차에 맞게 수업을 구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업모델이나 수업모형을 적용하기에 앞서 교사는 일상수업에서 학생들 간에 그리고 교사들 간에 협동적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서로 듣는 관계’, ‘서로 배우는 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협동적 학습구도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서로 배우는 관계’가 형성된 후, 다양한 ‘학습자중심수업’ 모델을 각 단원에 알맞게 적용한다면, 아이들이 21세기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들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of novel compounds as P-glycoprotein inhibitors

        채송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P-당당백질은, 에너지 의존적으로 작동하는 약물 배출 수송체 중 하나로 암세포에서 처음 발견되었지만 간, 소장, 신장, 뇌와 같은 정상 기관에도 발현된다. 정상 기관에서 P-당단백질은 세포 내로 유입되는 외부물질을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P-당단백은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소장에서 발현되는 P-당단백질의 경우, 경구로 흡수되는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손꼽힌다. P-당단백질은 구조적, 기능적 연관성이 없는 광범위한 물질을 그 기질로 갖기 때문에, 소장에서 발현되는 P-당단백질은 다양한 물질의 경구 흡수를 저하시킨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소장의 P-당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면, 다양한 약물의 경구 흡수율을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그동안 경구 흡수율이 낮아 경구용 제제 개발이 어려웠던 약물과 P-당단백질 억제제를 함께 투여함으로써, 손쉽게 경구용 제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도체들의 P-당단백질 억제제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그 중 후보물질을 도출하여 실제 경구 흡수가 어려운 P-당단백질 기질 약물의 경구 흡수 증진 여부를 실험하였다. 더불어 실제 암 모델에 적용하여, 그 효능 역시 평가하였다. 쿠마린 유도체 4종 (챕터 1), 잔톤 유도체 20종 (챕터 2), 절대입체 이성질체로 분리한 페닐부테노이드 중합체 2종 (챕터 3) 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가장 효과 있는 P-당단백질 억제제 물질을 구조 별로 한가지씩 선정하였고, 선정된 물질을 P-당단백질 기질 항암제인 파클리 탁셀과 함께 경구로 쥐에 투여하여, 선정된 물질이 파클리 탁셀의 혈중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HPLC로 분석, 평가하였다. 각각의 유도체들은 다양한 용량으로 투여하여,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용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L-348 (쿠마린 유도체), compound 132b) (3환링 잔톤 유도체), N4-1 (4환링 잔톤 유도체), compound 2 (절대 입체 이성질체인 페닐부테노이드체)는 파클리 탁셀의 경구 흡수율을 각각 9.6-, 2.5-, 1.8-배 증가시켰다. 이 중, LL-348 과 compound 132b) 는 인체 유래 폐암 동물 모델에서 항암제의 효능을 증진시켜 치료 효과를 상승 시킬 수 있는지도 평가되었다. LL-348을 파클리 탁셀과 함께 폐암 모델 동물에 투여한 결과, 암의 성장이 강력하게 억제되었으며, 더불어 암의 소실이 관찰 되었다. compound 132b) 와 파클리 탁셀을 폐암 모델 동물에 경구로 투여하였을 때에는, 암의 소실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암의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선, 연구에 사용된 물질 중 P-당단백질의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물질들의 구조적 공통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선정된 P-당단백질 억제제는 공통적으로 하나 이상의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벤젠 고리에는 다양한 치환기를 갖고 있는 부탄 체인이 연결되어 있었다. 더불어 항암치료의 주요 실패 원인인 약물 다약제 내성은 암세포 내에 과발현된 P-당단백질 때문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잔톤 유도체인 compound 132b)의 항암 감작제로서의 가능성 역시 평가하였다. 1 mg/kg 용량의 compound 132b)를 파클리탁셀과 함께 인체 유래 위암 모델 동물에 정맥 주사한 결과, 항암제의 적응증이 아닌 위암에서 실제 암의 소실이 관찰 되었다. P-glycoprotein (P-gp) is a well-characterized ATP-binding cassette (ABC) that functions as a biological barrier by eliminating toxins and xenobiotics from cell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demonstrated that P-gp is an important factor in drug absorption and disposition because of its expressed locations. Although P-gp was first discovered in drug-resistant Chinese hamster ovary cells, P-gp is also expressed in normal organs, such as the liver, intestine, kidney, and brain. P-gp appears to play a greater role in limiting cellular uptake of drugs from the intestinal lumen into epithelial cells than in enhancing the excretion of drugs from hepatocytes and the renal tubules into the adjacent luminal space. In addition, P-gp exhibits specificity for a wide range of substrates, including anticancer agents, immunosupressants, HIV-protease inhibitors, steroids, anti-microbial agents, and others, which are not associated with structural or functional relationships. Oral administration is preferred over other administration routes because oral drugs can be administered at home, improving patient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and potentially decreasing costs by preventing hospitalization. In addition, patients avoid the risk of infection that is associated with injections. The systemic exposure of orally administered drugs, which is represented by oral bioavailability (BA), is a significant factor in oral absorption. The BA of a drug is associated not only with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but also with the function of drug transporters. Because of its localizations, functions and substrate specificities, P-gp acts a major barrier to orally delivered drugs. Some studies reported that co-administration of orally administered drugs with a P-gp inhibitor could improve systemic exposure. Thus, the modulation of P-gp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oral drugs. Because of this increasing interest in P-gp inhibitors, a number of inhibitors were developed and some of these inhibitors are currently being tested in clinical trials. In this study, a variety of derivatives, including coumarin derivatives (Chapter I), xanthone analogues (Chapter II), and synthesized optically active phenylbutenoid dimers (Chapter III), were investigated as P-gp inhibitors. In vitro studies tested the P-gp inhibitory activity of the derivatives and identifie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derivatives.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of the derivatives as P-gp inhibitors, the P-gp inhibition-related effect of the candidates selected from the in vitro studies 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the P-gp substrate paclitaxel (PTX) was estimated. The optimal dose of each candidate for P-gp inhibition was also determined. When PTX was co-administered with the optimal doses of the coumarin derivative LL-348, the xanthone analogues compound 132b) and compound N4-1, and the synthesized optically active phenylbutenoid dimer compound 2, the oral BAs of PTX were enhanced 9.6-, 2.5-, 3.2- and 1.8-fol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oumarin derivative LL-348 and the xanthone analogue compound 132b) on the efficacy of the anticancer agent PTX was assessed in human alveolar basal epithelial carcinoma (A549)-bearing mice. When PTX was administered with a 10 mg/kg oral dose of LL-348, tumor growth was strongly inhibited and tumor regression occurred. When PTX was co-administered with 10 mg/kg of compound 132b), tumor growth was inhibited but tumor regression was not observed. The results from Chapters I to III suggested that each compound had an optimal dose for inhibition of P-gp because P-gp was saturable. In addition, the structural similarities of the P-gp inhibitors that were used in our studi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gp inhibitors had more than one benzene ring, one of which was connected to a butene chain that had a variety of substituents. In addition, P-gp is considered a major cause of multidrug resistance (MDR). MDR is a serious problem in cancer therapy because it leads to cross-resistance against diverse anticancer agents. Therefore, the effect of the xanthone analogue 3-(3-chloro-2-hydroxyptopoxy)-1-hydroxy-9H-thioxanthen-9-one on P-gp inhibition-mediated chemo-sensitization in human gastric cancer-bearing mice was studied (Appendix 2). Although paclitaxel (PTX) is not indicated for gastric cancer cells, tumor regression occurred when PTX was injected with a 1 mg/kg intravenous dose of compound 132b).

      • 전통 문양을 응용한 생활한복 디자인에 관한 연구

        채송화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는 단순한 국제화나 세계 경제의 상호의존 시대를 넘어 세계시장을 하나의 시장으로 간주하는 세계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세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는 각각의 국가적 차원의 문제가 아닌 인류의 문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공존하고 있다. 다민족 문화의 공유는 패션계에서도 "민속풍(ethnic look)이 주요테마 중 하나로 등장하고 있다. 현대 패션에 있어서는 동양적인 전통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지역과 자연에 기반을 둔 전통의 가치를 고유의 문화적 형태와 결합하여 새롭게 현대적인 양식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전통요소를 활용한 현대 생활 한복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전통의상의 요소를 중심으로 상징성과 조형성에 근거하여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의상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우리 전통 문양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그 정의와 상징성을 알아보고 조형적 형태에 따라 분류 정리 하였다. 한국 전통 문양을 비교 연구한 선 연구 발표된 논문으로는 (2003 성미정, 2002 이연제, 2002 박지영)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작품 제작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첫째, 전통 문양은 그 형태별 종류가 각 시대의 사상과 문화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전통 문양의 그 상징성 때문에 신분 여하를 막론하고 생활 깊숙이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사용되어 졌으며, 전통 문양은 우리 선조들만의 소박한 미와 여유를 담은 문양임을 알 수 있었고 신분차이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문양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통 문양을 직물에 표현해온 기법으로는 직조, 염색, 자수, 금박, 아플리케, 혼합기법등이 사용되었다. 이는 모든 선조들이 즐겨 사용해온 기법이지만, 신분에 차이에 따라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주술성과 상징성을 가진 전통 문양 모티브 재구성을 통해 문양 디자인의 무안한 창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속에 내재된 미적 가치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현대 디자인에 접목된 전통 문양은 복식의 각종 아이템과 공예에서 그 활용도를 발견 할 수 있었는데 다양하게 부각되지 않은 듯 하지만 의상 디자인에 동양적인 문양을 제시하고 상품화 시키는 일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주술적이고 상징적 의미를 지닌 전통문양을 현대 생활 한복에 도입하여 각 4점의 상, 하 의상을 제작하였다. 디자인 개발에 독창성을 기할 수 있도록 가. 여밈에는 띠와 옷고름을 응용 하였다. 나. 소재에 있어서 전통적 한복 소재를 사용하였다. 다. 스커트에 한복의 금박 문양과 자수를 활용하였다. Today, we are facing the age of globalization that regards the world market as a market beyond a simple internationalization or the mutually independent age of world economy. The world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re positioned and coexistent as a mankind issue, not an individual country-level one. In the sharing of the multi-racial cultures, "ethnic look" is appearing as one of the major themes in the fashion industry. In the modern fashion, it is thought that by revaluating the value of the oriental tradition and combining the traditional value based on the regions and nature with their innate cultural patterns, the need to develop them in a newly modern mode has occurred. As such,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clothing design that highlighted the modern image based on symbolism and formability focusing on th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clothing,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design of the modern-day 'Hanbok', or traditional Korean costume making use of the traditional elements. In order to do so, through a general look into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 identified their definition and symbolism and classified and summarized them according to their formative shape. The previous researchers who comparatively studied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include Seong Mi-jeong(2003), Lee Yeon-je(2002) and Park Ji-yong (2002) but I focused on the research on making of the real works First, in the traditional patterns, their kinds per shape are diverse based on the thought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s. And due to the symbolism of the traditional patterns, they had been used deep into a life as a diverse pattern and use, irrespective of social status. They are founded to represent our ancestors' own simple beauty and a margin and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status. Second, the techniques to represent the traditional patterns in fabric include weaving, dying, embroidering, gold foil, applique and the combination of theirs. These techniques were popular with our ancestors but depending on their social status, the techniques that represented the pattern varied. Third, I found the pattern design could be created indefinitely by a reorganizing the traditional patterns' motive with a symbolism and the patterns represented the value of beauty inherent in them. Fourth, the traditional patterns that are succeeded into the modern design have been founded to be used in the dress' items and industrial arts. At a glimpse, they are not highlighted diversly but continue to suggest the oriental patterns for dress design and make them commercialized. Based on this conclusion, I manufactured 4 upper and under dresses each by introducing the traditional patterns with a meaning in a shamanistic and symbolic way into a modern-life Hanbok. In order to seek an originality in design development, I did as follows: a. Applied a sash and a coat string to adjusting the dresses. b. Used the traditional Hanbok materials as a material. c. Made use of Hanbok's gold foil and embroidery in skirts.

      •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장애인 고용 : 장애인 고용기업과 비 고용기업의 비교연구

        채송화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은 사회공동체의 일부로써 사회문제 해결로 이어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장애인의 기본적인 생활권 보장을 위한 고용문제는 기업이 접근할 수 있는 사회적 이슈이며, 기업은 장애인 고용문제 해결을 지속 가능한 사회적 책임 이행의 과제로 접근할 수 있다. 국내의 대다수의 기업들은 장애인 고용에 대하여 장애인의무고용제 이행의 과제로 접근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부담금 납입으로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을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과 함께 근무하고 있지 않은 일반관계자와 장애인 고용을 위해 설립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의 기업관계자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인식을 비교 조사하여 장애인 고용에 대한 실질적인 어려움과 장애인 고용에 대한 효과적인 기업문화를 연구하여 장애인 고용을 주저하는 기업들에게 장애인 고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일반기업 관계자의 경우 장애인근로자로 인한 강제된 배려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 장애인 근로자와의 의사소통이 어려울 것이라는 부담감이 있었으며,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기업 관계자의 경우 막연한 부담감이 구체화 되어 이를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었다. 장애인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에 맞는 직무를 개발하거나 업무 수행시 발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있었으며, 자존감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업무 수행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그러한 어려움은 장애의 특성이 아닌 개인의 특성으로 인지하였다. 사회적 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안정적인 자립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장애인 고용에 대하여 기업의 막연한 부담감을 구체적으로 직면하고 안정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이루어 내고 있는 기업의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장애인 고용에 대한 기업의 부담감을 해소하고자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Demand for fulfillment of social responsibilities by corporations which lead to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as a part of the social community is increasing. Employment issues to protect the basic living rights of disabled people are the social issues that can be addressed by corporations, and the corporations can approach solving the employment problem of the disabled people as a task of fulfilling sustainable social responsibility. Regard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the majority of corporations in Korea are approaching it as the task of implementing the mandatory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and many corporations are paying the contributions in lieu of satisfying the obligation of mandatory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employing disabled people to the corporations that are reluctant to hire them, by conducting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the employees who are not working with disabled coworkers and the employees of subsidiary-type standardized facilities which are set up to employ the disabled people.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ense of vague burden for forced care toward the disabled coworkers, as well as the pressures for communication barrier with disabled coworkers, and in the case of employees at subsidiary-type standardized facilities, the vague burden was more actualized, and they showed the willingness to solve the issue. There was a willingness to profoundly understand about disabled people and to develop the appropriate task for them, or to resolve the difficulties that arise during the course of the work,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work from the communication barrier due to self-esteem, and such barrier was deemed to be mo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than as the disabilit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attempted to resolve the burden of the corporations on employing the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 cases of the corporations that are concretely facing the vague burden and stably actualizing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people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for sound independence of the socially neglected disabled people.

      •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채송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운영방식 변화가 독서프로그램의 운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도서관 운영이 공무원 총인건비제도의 시행 이후 상당 부분 민간기관에 위탁됨으로서 나타나는 변화는 도서관 운영과 독서프로그램의 운용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질 저하로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 본래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은 장서의 대출과 관리업무와 더불어 도서관 업무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운영방식의 변화는 위의 두 가지 업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 교육적 거점공간이 공공도서관의 위상을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운영방식의 변화추이와 이에 따른 독서프로그램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찾고, 운영방식의 변화와 국가의 도서관 정책이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설정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1. 공공도서관의 운영방식이 변화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는 신공공경영론이 갖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2. 민간위탁 이후 공공도서관의 운영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2-1. 공공도서관 운영주체의 전문성이 얼마나 담보되었으며, 이들이 주도하는 도서관 운영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2-2. 공공도서관의 핵심역할 중 하나인 독서프로그램의 운용은 어떻게 변화했으며, 이에 따른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상승했는가? 3. 공공도서관 정책방향과 독서프로그램의 활성화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며, 공공도서관의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지역 기초자치단체가 관할하는 도서관 중 운영방식의 종류에 따라 직영, 민간위탁 등 두 가지 유형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 작업을 통해 운영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이고,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지 밝히고, 실제의 도서관 운영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 정책과 실제의 독서프로그램 운용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진행되는 민간위탁이 원래 설정하였던 서비스의 강화, 예산의 효율적 운용 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민간위탁의 애초 명분이 효율성의 강화였음에도 불구하고 명분에 걸맞지 않는 도서관 운영으로 민간위탁 도서관 운영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공 도서관이 갖는 지역문화와 교육의 중심이라는 위상이 저하되고, 독서프로그램의 질 저하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는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유익성이 저해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민간위탁이 추진된 해외사례의 경우처럼 방만한 공공부문 운영과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위한 것이 아니라 부담 많은 공공도서관을 민간에 떠넘기는 것으로 민간위탁을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민간부문의 창의와 활력을 통해 공공도서관 본연의 기능을 강화하고 생활 밀착형 기관으로, 지역의 문화중심․지식중심으로 거듭나야 함에도 불구하고 떠넘기기식 행정에 공공도서관 운영은 왜곡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이용자의 몫으로 돌아오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공공도서관의 무분별한 아웃소싱, 민간위탁이 검토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이 무엇이며, 독서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형식으로 새로이 자리매김 되어야 하는지를 모색하는 의미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고, 아울러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식견과 경험을 갖고 있는 전문가 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내실 있는 프로그램 운용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operational change of a public library on employing reading programs. The change, which occurred as the considerable parts of public library management have largely been left into the hands of private organization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labor cost system of public servants, is having a remarkable impact on the operations of the libraries and reading programs. Unfortunately, the impact is negative,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reading programs. Therefore, it is true that worrisome situations are observed around the operations of public library, not agreeable with the original intents and purpose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that a public library plays along with book renting and management. The change in the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has an enormous influence over those two tasks of a public librar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stronghold of residents will play a negative impact in the status of a public library in a long ru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look into the operational trend of a pubic library and the responding change of reading programs so it can find a realistic way to activate the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and further it tries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policy on a public library. The research problems are set as follows. 1. What problems lie in New Public Management that is pointed out as the fundamental cause that changed the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2. How has the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been changed since the privatization? 2-1. How much was the professionalism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of a public library secured and how has the operation been changed? 2-2. How has the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which was one of the major roles of a public library been changed and has it lifted the satisfaction of the library users? 3. How are the policies of a public library and the activation of reading program correlated and what efforts are necessary to guide the change to positive and significant way? To test th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classified the public libraries run by the local governments in Seoul and Inchon areas into 2 types by operation: libraries under direct management, and by pure private management. The reviewing work of precedent studies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undamental cause(s)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ange in operation. And it looked through how the change is reflected in the actual management of the libraries in an attempt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polices and the actual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This study expects its findings to give a chance to review the reckless outsourcing and privatization of public libraries. The findings show that reckless outsourcing and privatization seriously damaged the professional operation and publicity of public library. Accordingly, the status of a pubic library as a center of local culture and education deteriorated and the quality of reading program got inferior. As a consequence, the satisfaction and benefit of the users was considerably inflicted.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hopes that it will become a base from which an attempt begins to find a political alternative for desirable operation of a public library and in what format and contents reading program should be re-established. This study emphasizes that a group of experts with rich knowledge and experience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formation in search of a possibility to fruitful operation of reading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