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민단체와 대응 조직체간 갈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전략에 관한 연구 :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갈등결과, 그리고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차희원 梨花女子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48655

        1990년대 말 접어들면서 시민단체(NGO)의 힘이 점차 커져가고 있다. 공익을 추구하는 시민들의 모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들 단체가 정부나 기업 등에 행사하는 영향력이 커져가면서, 정부나 기업과의 마찰이 잦아지고 있다. 그러나 민주사회로 향해가는 현 시점에서, 공익을 추구하는 시민단체와의 갈등이 많아지는 것은 조직발전에 장애가 될 뿐 아니라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시민단체나 정부/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비효율적인 갈등을 줄이고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촉진시키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나 기업 등의 조직체와 시민단체 간의 갈등상황에서 갈등을 해소하고 상호만족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승승적 PR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갈등상황에서 시민단체가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고, 상호만족결과에 기여하는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특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를 밝히고자 하였다. 갈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갈등 행위자가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이 갈등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폭제 역할을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PR학자와 커뮤니케이션 학자, 그리고 갈등 및 협상이론가에 의하면,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은 갈등해소에 기여하는 승승적 커뮤니케이션 속성과 갈등악화를 초래하는 승패적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속성과 갈등결과간의 관계가 밀접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시민단체가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중 어떤 유형이 승승적/승패적 속성을 갖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또한 어떤 요인이 승승적/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의 사용을 촉진시키고 강화시키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하여 승승적 PR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사용정도와 갈등결과, 그리고 영향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틀과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틀에서는 갈등상황에서 사용하는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이 갈등결과에 영향을 미치면서 또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중개변인이라고 보았다. 특히,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갈등상황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상황적 요인에 대한 시민단체 구성원의 인식이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인식요인들은, 자기 조직체에 대한 인식, 상대 조직체에 대한 인식, 외부 영향력 집단의 지지에 대한 인식, 그리고 이슈에 대한 인식 등이다. 둘째, 시민단체의 인식은 다양한 정보와 상호작용하면서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친다. 정보수용은 상대방으로부터의 정보와 외부 조직체로부터의 정보 두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상대방에 대한 인식 및 외부 조직체에 대한 인식과 상호작용하면서 커뮤니케이션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분석틀에 근거하여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시민단체 실무자 145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유형 여섯 가지를 승승적/승패적 속성에 의해 평가한 결과, 승승적 커뮤니케이션과 승패적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목표지향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승승적/승패적 속성은 '상호협력적' '상호이해' '상대의사 존중' '상호이익'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과 관련된 문제해결요인과 '관계악화적' '자기주장적' '강하고 위협적' 등 자기 감정이 개입된 감정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공청회나 토론회, 방문면담 등의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은 상대방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감정이 개입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보였으며, 소송, 고발이나 불법시위 등의 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은 상대방과 협력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강하고 위협적이어서 감정이 많이 개입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보였다. 성명서나 요구서, 합법적 집회 등의 목표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승승적/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의 중간정도에 위치하며, 비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많고 자기주장적/강경한 특성을 보여 감정이 어느 정도 개입된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사용정도와 갈등결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인 공청회나 방문면담 등은 많이 사용할수록 타협정도나 일치정도가 높아져서 갈등해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인 불법시위나 소송고발 등은 많이 사용할수록 타협정도와 일치정도는 매우 낮아져서 갈등을 크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인 집회나 성명서는 많이 사용할수록 갈등이 커지고 타협/일치정도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서 승패적 커뮤니케이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시민단체 구성원의 인식요인은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이슈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 그리고 '여론의 지지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상대방을 약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전문가의 지지를 인식할수록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인 공청회나 성명서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이념이 온건할수록, 그리고 자기 조직의 힘을 크게 인식할수록 '방문면담'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할 때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여론의 지지를 크게 인식할수록 목표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인 '집회'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인 '불법시위'는 이슈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정치인의 반대가 크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시민단체의 이념이 급진적일수록 더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인식과 정보수용간의 상호작용 요인은, 외부집단으로부터의 정보수용보다 상대방으로부터의 정보수용이 커뮤니케이션 사용정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정보를 적게 수용하며 그들의 정보를 불신할수록 '소송/고발'이나 '불법집회'와 같은 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유형별 사용정도와 갈등결과, 그리고 영향요인 간의 관계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인 공청회, 성명서, 방문 등은 갈등이 시작되는 초기상황에서 1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대방의 대응태도가 부정적으로 인식되면 목표지향적 또는 승패적 커뮤니케이션인 집회나 소송, 시위 등으로 번져가기도 하는데, 특히 주도단체의 이념이 급진적이거나 정치인의 반대가 크다고 여길 때 불법시위와 같은 강도높은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게 된다. 단, 집회는 이슈의 사회적 중요성이 매우 크고 여기에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여론의 지지 인식이 함께 작용하면서 1차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즉, 집회는 갈등이 증폭되면서 사용되는 2차적 커뮤니케이션이면서 갈등초기에 사용될 수도 있는 1차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렇게 갈등이 시작되면서 발생하는 1차적 커뮤니케이션은 갈등을 알리는 신호적(cue) 역할을 하는데, 바로 여기서 상대방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이에 대한 반응으로 소송, 집회, 시위 등의 2차적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며, 이런 반응적(response) 커뮤니케이션에 의해서 또다시 갈등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갈등정도/타협정도/일치정도는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하면서 갈등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민단체와 대응 조직체간 갈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모형을 제시하였다. 승승적 PR모형은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하는 PR전략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승승적 속성의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개발하고 승승적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승승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에 영향을 미쳤던 '이슈의 사회적 중요성 인식'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인식' '외부집단의 지지 인식' '조직 힘에 대한 인식'과 같은 요인에 초점을 맞춰서, 이슈관리PR, 관계관리PR, MGB 협상전략, 중재자 전략, 공공정보전략, 그리고 시민단체 세분화 전략 등 여섯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시민단체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중심으로 시민단체와 대응 조직체간 갈등해소를 위한 승승적 PR전략을 개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이처럼 시민단체와의 합의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승승적 PR전략은, 장기적으로 볼 때 공공이익의 달성에 조직이 기여하게 되므로 조직의 이미지 상승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향하는 PR전략은 조직체-시민단체-사회(시민) 모두에게 승승적 PR전략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 strategy that can dissolve the conflict between NGOs and the government or business organizations and give successful results to each side. (so called win-win strate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communications that NGOs use in the conflict situation, and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NGOs' communication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mmunications has been identified. Analytical framework and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In this framework, the communications that NGOs use in the conflict situation handled as a intermediate variable which affect the conflict results and is affected by other factors, and two factors that affect NGOs' communication are presented as follow. First, the perception of NGOs of the conflict situation affect the communications of NGOs. The factors that affect communications are the perception of their groups, opponent groups, other groups that influence NGOs and issues. Second, interactivity between NGOs' per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affects the use of communication style. Information comes from the opponents and outside organizations. Fiv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and carried out survey over 145 workers of NGOs, and the important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communication style of NGOs are classified into win-win communication, win-lose communication, and goal-oriented commun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s consisted of the task resolution factors which are 'co-operative', 'co-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nd the emotional factors which are 'relationship-aggravative', 'self-advocative' and 'intimidative'. Win-win communica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is cooperative with opponents and does not include the emotion. Win-lose communica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is not cooperative with opponents, very strong intimidative and includes the emotion. Goal-oriented communicat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is not cooperative and self-advocative and includes the emotion relative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nflict results are as follow. Win-win communication which is a public hearing or a visiting contributes to resolve the discord when it is used a lot. Win-lose communication which is a illegal demonstration or a prosecution worsens the conflict when it is used more. Goal-oriented communication which is a congregation or a declaration shows a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win-lose communication because it worsen the conflict when it is used more. Third, the important factors of NGOs' perception that affect the communications are 'the negative perception of opponent', 'the perception of social importance about the issue', and 'perception of citizens' support'. When NGOs perceive the opponent less negatively and perceive support from the experts, they use win-win communication like a public hearing or a declaration more. When NGOs perceive the opponent positively and think they have power, they use a visiting more. When NGOs perceive the opponent very negatively and think the issue is very important in society and they are supported by citizens, they use goal-oriented communication which is a congregation. Forth, the interactivity among the perception of opponents, information reception and information reliability affects the use of communication more than outside groups. That is, when NGOs perceive the opponent negatively and do not believe their information, they use win-lose communication like illegal demonstration.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communication style, conflict results, and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NGOs' communication style are as follow. Win-win communication which is public hearing, declaration, or visiting is used as a first communication at beginning stage of conflict. At this stage, if the opponent is negative, the communication is changed to goal-oriented communication or win-lose communication as a second communication. Specially, when NGOs' ideology is radical or they do not have support from politicians, they use a strong communication like illegal demonstration. But, when the issue is very important in the support of citizens, goal-oriented communication like a congregation is used as a first communic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functions as a cue of conflict. So, when the opponent does not react properly, second communication is appeared as a responsive communication. The conflict becomes bigger and bigger as NGOs use this responsive communication more and more. Like this, the degree of conflict/ compromise/ agreement affects the result of conflict.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win-win PR model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NGOs and the counterpart. Win-win PR model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R strategy that constructs win-win communication. This means a strategy that develop win-win communication channel and strengthen the factors which affect win-win communication. To devise this win-win PR strategy, this study presents 6 strategies that are focused on the factors which affect win-win communication like 'perception of social importance of issue', 'negative perception of opponent', 'perception of support from outside groups', 'perception of the power of organization'. These strategies are 'Issue Management PR' , 'Relationship Management PR', 'MGB (Mutual Gain Bargaining) Strategy', 'Arbitrate Strategy', 'Public Information Strategy', and 'NGOs Segmentation Strategy'. Win-win PR Strategy were developed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NGOs and the counterpar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GOs'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ese win-win PR strategies can contribute to make the image of organization better because the organization can contribute to accomplish public interest in the long-term. Therefore, PR strategies that this study presents can become Win-Win strategies for Organizations - NGOs - Society(Citizen).

      •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외식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차희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외식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 관계 규명을 위해 친환경 상품을 구입해 본 경험이 있는 서울시 거주 20-40대 여성 소비자 370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하였는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상품이미지․친환경 인식․소비자 의사결정(구매의도․구매평가․재구매)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공통요인을 찾아내 변수로 활용하기 위해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친환경 상품이미지에 대한 8개의 문항은 신뢰도 .883, 친환경 인식에 대한 13개의 문항은 신뢰도 .853, 소비자 의사결정에 대한 14개의 문항에서 구매평가 신뢰도 .882, 재구매 신뢰도 .879, 구매의도 신뢰도 .741로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환경 상품이미지․친환경 인식․소비자 의사결정(구매의도․구매평가․재구매)정도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나이가 36-40세의 경우 35세 이하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기혼은 미혼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 주부는 전문직,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 인식과 상품이미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월 소득에 따라서는 400만 원 이상은 400만 원 미만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 상품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친환경상품 구매실태에 따라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대형할인점에서 사는 경우 전문점이나 인터넷 쇼핑, 홈쇼핑, 백화점에서 사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 의사결정의 차이에서는 월평균 구매비용에 따라 월평균 40만 원 이상 구매하는 경우 30만 원 미만 구매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소비자 의사결정(구매의도․구매평가․재구매)의 단순 회귀분석결과에서 친환경 상품이미지가 높아지면 소비자 의사결정은 .776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소비자 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친환경 상품이미지가 높아지면 구매의도는 .474, 구매평가는 .775, 재구매는 .58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소비자 의사결정(구매의도․구매평가․재구매) 관계에서 친환경 인식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매개변수인 친환경 인식의 회귀계수가 독립변수인 친환경 상품이미지보다 현저하게 크지 않아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구매의도에서 친환경인식의 매개효과는 .402, 재구매에서 친환경 인식의 매개효과는 .435로 나타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고 구매평가에서 친환경 인식의 매개 효과는 .205로 나타나 매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나이․학력․소득이 높을수록, 기혼․주부일수록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의도․구매평가․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의사결정에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인구의 노령화가 되어감에 따라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인체에 해로운 음식이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상품이미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친환경 상품 구매 시에 소비자 의사결정에 반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기업의 친환경 정책이나 마케팅 방법에서 소비자의 친환경 상품이미지와 인식을 높이고 이것이 소비자 의사결정으로 이어질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친환경 상품의 이미지 홍보나 광고를 통하여 친환경의 중요성과 환경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어야 하고 친환경 상품 구매가 환경을 위하여 소중하고 가치 있는 소비자행동이라는 점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 윤리적 소비자의 외식동기, 행동, 구매의 탐색적 연구

        차희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자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iCOOP 생활협동조합 윤리적 소비자(활동가 7명)를 대상으로 윤리적 소비의 개념, 동기, 외식소비에 대한 일반적 생각, 외식동기, 외식구매행동의 정성적 연구와 iCOOP 생활협동조합 윤리적 소비자(조합원 369명)를 대상으로 외식동기에 따른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간의 관계, 그리고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1의 정성적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소비의 개념은 자신의 윤리적 소비 행동이 주로 나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환경과 사회를 만들고, 이웃과 가족을 생각하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는 믿음과 신념을 가지고 소비를 하며, 이는 윤리적 소비가 사회와 환경을 생각해 공정하게 생산된 제품을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부상조 하는 공동체적 의미로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소비의 동기는 어머니의 영향, 친구나 지인의 영향, 환경에 대한 관심, 자식에 대한 걱정, 종교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이미 윤리적 소비를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관련된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소비자들의 관심사는 지역공동체 살리기, 로컬 푸드나 유기농산물 이용, MSG와 인공첨가물 등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윤리적 소비자들의 외식에 대한 일반적 생각은 외식을 안 할 수는 없지만 외식을 하게 되면 먹는 음식에 대한 걱정이나 부정적 생각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먹더라도 믿고 먹을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외식기업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윤리적 소비자들은 자연과 환경뿐 아니라 같이 사는 사회, 더불어 사는 삶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동네 시장이나 슈퍼마켓을 이용하는 것과 생산자까지 고려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윤리적 소비자들의 외식동기는 대부분 자녀가 외식을 원해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식을 위해서, 날씨의 영향 때문에 외식을 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일곱째, 윤리적 소비자들의 외식구매행동을 보면 주로 집에서 가까운 곳의 한식당을 이용하며 MSG나 첨가물이 덜 들어간 외식업체를 선호하고 될 수 있으면 패스트푸드를 자제하고 있으며 주로 가족끼리 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구매 비용은 1인당 평균 2만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소비자의 외식기업에 대한 인식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식재료에 대한 불신과 가격, 대기업들의 윤리적 식품시장이나 유기농 식품에 대한 투자의향이 없는 것에 불만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정량적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소비자의 외식동기와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관계에서 간편성과 경제성이 높아지면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291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식문화 생활 향유가 높아지면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188의 상승이, 윤리적 메뉴 추구가 높아지면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는 .13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높아지면 구매의도는 .368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적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가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를 모델Ⅰ에 투입하였고,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를 모델Ⅱ에,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의 상호작용 변수를 모델Ⅲ에 차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델Ⅰ의 설명력은 16.2%였고,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가 추가적으로 투입된 모델Ⅱ의 설명력은 28.5%로 12.3%가 추가적으로 증가하였고,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가 가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의 상호작용 변수를 추가적으로 투입한 모델Ⅲ의 설명력은 32.0%로 3.5%가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윤리적 소비자의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외식동기의 하위요인별 간편성과 경제성, 윤리적 메뉴 추구, 외식문화 생활 향유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윤리적 소비자의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서는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수록 구매 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신뢰는 윤리적 외식상품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소비자의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자의 외식에 대한 정보를 외식기업에 제공함과 동시에 외식산업에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재정립하는 것과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마케팅 자료로서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2018) 영재키움프로젝트를 통한 소외계층 수학 영재의 인지적·정의적 변화 사례연구

        차희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aims to study on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a disadvantaged gifted student in mathematics using ‘2018 Gifted-up Project’. Disadvantaged group is formed by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position gap. For these reasons, disadvantaged students can easily be influenced by financial situation from their families. There are few chances for these students to get high-quality private education, enter the good schools or experienc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because of their financial situation. Therefore, continuous supporting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essential for them. This research focuses on ‘2018 Gifted-up Project’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2018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KAIST. The goal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a disadvantaged gifted student in mathematics through ‘2018 Gifted-up Project’ and develop the right way of mentoring program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This research set a method as a case study for only one student.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of single case study, in case of need, I analyzed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student using the test statistics. Mentoring has been done one-to-one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s a mentor. The main contents of mentoring are self-made program using the existing programs and textbooks for gifted students, convergence science programs provided by KAIST. I collected materials using tests, observation and interview, used tests and materials to serve the purpose after getting advice from the specialists in gifted-education and going through review several times. In this research, I analyzed student’s development divided into two ways; cognitive development and affective development. For cognitive development I applied self-made mentoring program and convergence science program provided by the organizer on the student and did creativity test before and after. For affective development, I did tests for task preference, self-esteem and self-control, analyzed distinguishing words and actions during the mentoring. As a result,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a disadvantaged gifted student in mathematics has occurred in a positive way through this mentoring program. Plus, things to be complemented for this mentoring program have been found.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wo fold. First, I introduced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a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through ‘2018 Gifted-up Project’ in detail. Secondly, I suggested a applicable methods for the mentoring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2018 영재키움프로젝트를 통해 소외계층 수학 영재의 인지적, 정의적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외계층은 경제, 정치, 사회적 지위 등의 격차로 발생한다. 이러한 연유로 형성된 소외계층 학생은 가정의 경제적 환경에 큰 영향을 받는다. 소외계층 가정 경제 상황은 사회・문화적 접근의 제약을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소외계층의 학생들이 훌륭한 사교육을 받는다거나, 좋은 학교에 진학하거나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할 기회는 비교적 적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부와 KAIST에서 2018년에 처음 시행하여 진행 중인 ‘영재키움프로젝트’에 주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2018 영재키움프로젝트’를 통한 소외계층 수학 영재 학생의 인지적 변화와 정의적 변화를 분석하고, 소외계층 수학 영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의 형식을 취하였다. 단일사례연구의 특성을 따르되, 필요한 경우에는 검사지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 학생의 변화 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멘토링은 연구자가 멘토가 되어 연구 참여 학생과 일대일로 진행하였다. 멘토링의 주요 내용은 멘토 교사가 기존 영재 프로그램과 영재 교재 등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프로그램과, KAIST에서 제공한 융합과학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졌다. 검사지와 관찰 및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사용된 검사지 및 자료는 영재교육전문가의 조언을 받고 여러 번의 검토를 거쳐 연구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변화를 크게 인지적 변화, 정의적 변화의 양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인지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창의성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실시하였다. 한편 정의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제선호도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자기통제력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실시하였고, 멘토링 중에 보이는 변화 양상을 특징짓는 말과 행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소외계층 수학 영재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변화가 모두 긍정적인 방향으로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상 보완해야 할 점 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중심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2018 영재키움프로젝트를 통한 소외계층 수학 영재의 인지적, 정의적 변화를 상세하게 안내하였다는 것과 소외계층 수학 영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진행 방안을 구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공감리더십이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차희원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중소병원 재직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총 294부의 응답 자료를 표본으로 하여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조직에서 조직몰입을 유도하는 리더의 자질과 영향 관계를 밝혀 조직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강구하고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공감리더십은 종속변인인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감리더십은 매개변인인 조직공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개변인인 조직공정성은 공감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조절변인인 조직문화에서 발전문화는 공감리더십과 조직몰입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집단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경우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더의 공감 성향이 높을수록 구성원의 조직몰입 수준은 높아지는데 조절변인인 발전문화가 높아질수록 조직몰입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원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들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감리더십이 중요하며, 더 이상 리더의 역할이 리더와 팔로워의 관계로 끝나지 않고 시대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COVID-19로 인해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은 중소병원 간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위계문화가 강한 병원조직에서 이들이 앞으로 어떤 조직을 만들어야 하는지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셋째, 직급체계가 다양하지 않은 간호조직에서 투명한 성장 기회와 급여, 공정한 업무와 같은 조직공정성이 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and relationship of empathy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s samples of a total of 294 response data for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rough this, it intend to devise strategic measures to promot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revealing the qualities and influence relationships of leaders who indu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organizations, and derive implicat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summary of the resul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s as follows. First, empathy 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dependent variable. Second, empath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fairness, a mediating variabl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a mediating variabl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n organizational culture, a moderating variable, the development cultur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empathy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n the case of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leader's empathy tendency,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and the higher the development culture, the moderating variable,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ounded. First, in order to promot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athy leadership is important to understand members' emotions and share thoughts with them, suggesting that the leader's role no longer ends in a leader-follower relationship, but changes with the times and environment. Second, for nursing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ho have undergone the most changes due to COVID-19, the direction of which organizations should be created in hospital organizations with strong hierarchical culture was presented. Third, it was prove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such as transparent growth opportunities, salaries, and fair work plays an important role i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organizations where the position system is not dive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