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퍼스널 컬러 진단시스템의 비교 : -비색법을 이용한 정량분석을 중심으로

        차호연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provide with a basic database in developing a suitable personal color system for Korean by using personal color analysis resul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seasonal types of skin color according to 4 major countries personal color system. 1.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the personal color drapes, differences are indicated in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olor for each types of 4 major countries’ personal color drapes, and the results suggest possible existence of difference in the type of same person’s skin color analyzed by the personal color drapes. 2. Analysis results from UK, Japanese, Korean and German personal color drapes indicate that the rates of blue base type is higher than those of yellow base type, and summer type is the highest rate in the blue base type. 3.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for women in 20's from 4 major countries personal color system, significant difference is indicated in each seasonal types. The results from Korean and Japanese personal color systems indicate the lowest correspondence rate as 64.5%, but the results from UK and German personal color system indicate the highest correspondence rate as 83%. 4. It is indicated that UK and Japanese personal color drapes classify seasonal type mainly with a*(redness) and L*(lightness) in characteristics of Korean skin color, and b*(yellowness) does not much affect classification of skin type while Korean and German personal color drapes classify seasonal type mainly with a*(redness) and b*(yellowness) in characteristics of the skin color and L*(lightness) relatively less affects classification of skin type. 5. As a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for the classified season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kin colors by using the analysis from the domestic and foreign personal color system, Korean personal color system i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brightness classified in the seasonal type is most subdivided, and UK, Japanese and Korean personal color system ar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a*(redness) apparently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blue base type and yellow base type in the classification of seasonal type while German personal color system is relatively subdivided for the characteristic of a*(redne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b*(yellowness), all of UK, Japanese and German personal color system are found that the rate for b*(yellowness) of autumn type is highest but no great difference in seasonal types. On the other hand, Korean personal color system indicates the distinct between types from the characteristic of b*(yellowness) is apparent relating to the other personal color system, but b*(yellowness) of winter type is indicated as highest and the characteristic of skin color type does not follow the previous theory of personal color. This study verified the difference i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countries personal color system and drape colors. Also, this study suggests fundamental data for constructing color palette in developing a personal color system suitable for Korean people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skin color for analysis types and classification of personal types for each countries personal color system by using the scientific and quantitative method. If color palette is composed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much helpful for practical selection of color in the fields of beauty and fashion. 본 연구는 국내외 4개국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이용한 진단결과와 퍼스널 컬러 진단 유형별 피부색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인에게 보다 적합한 퍼스널 컬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국내외 퍼스널 컬러 진단천의 비교결과, 4개국 모두 유형별 진단천 색상의 특성 및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일인을 대상으로 4개국의 진단천을 이용하여 퍼스널 컬러를 진단하였을 때 그 결과가 각각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2. 국내외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진단 결과는 영국, 일본, 한국, 독일 모두 따뜻한 유형보다 차가운 유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차가운 유형 중 여름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진단되었다. 3.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국내외 4개국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에 의한 진단결과를 비교하면 사계절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같은 동양권인 한국과 일본의 진단결과 일치율이 64.5%로 가장 낮았고 영국과 독일의 진단결과 일치율이 8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영국과 일본의 퍼스널 컬러 진단천은 한국인의 피부색 특성 중 적색도(a*)와 명도(L*) 위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으며 황색도(b*)는 유형 분류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독일의 퍼스널 컬러 진단천은 피부색 특성 중 적색도(a*)와 황색도(b*) 위주로 유형을 분류하고 있으며 명도(L*)는 유형 분류에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국내외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진단 결과에 따라 분류된 각 유형별 피부색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계절 유형 분류에 대한 명도(L*)의 특성은 한국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집단 간 분류가 가장 세분화되어 나타났으며 적색도(a*)의 특성은 영국, 일본 한국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이 사계절 유형 분류를 차가운 유형과 따뜻한 유형으로 뚜렷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일 유형은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황색도(b*)의 특성은 영국, 일본, 독일 모두 가을 유형의 황색도(b*)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사계절 유형간 차이는 크지 않은 반면, 한국은 황색도(b*)에 의한 유형간 구분은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뚜렷하지만 겨울 유형의 황색도(b*)가 가장 높게 나타나 선행 퍼스널 컬러 이론과 상이한 신체색 유형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별로 다른 퍼스널 컬러 시스템과 진단천의 색상 차이로 인한 진단 결과의 상이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국가별 퍼스널 컬러 진단 유형별 피부색 특성과 퍼스널 유형 분류의 차이를 과학적이고 정량화된 실험방법으로 연구하여 한국인에게 적합한 퍼스널 컬러 시스템 개발을 위한 팔레트 구성의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퍼스널 컬러 팔레트를 구성한다면 뷰티와 패션 관련 분야의 실용색상 선택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전문대학 미용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퍼스널컬러 교육의 도입에 관한 연구 : 메이크업 분야를 중심으로

        차호연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purpose of training at college is 'to produce professional specialists' it is more difficult that th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is recognized as a beauty expert by beauty industry than the students who had intensive training courses at a private beauty institutes with a short period. Today is the age of the information and the image oriented society at once and the interest in Personal Color is being increased as one's personal image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It is essential for makeup artist to understand colors as the color in makeup is a key issue for expression of one's personality and creation of one's image. Also, recently it is booming that makeup industries are launching color makeup products in the market by applying Personal Color system with makeup experts such as color institutes and makeup artists. These current of the times make us to recognize needs for training on Personal Color at makeup fields. This study suggests a solution by introduction of training on Personal Color as the necessity arises for developing competitive curriculum based on the needs from the industries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Expertise on a major field of study is insufficient owing to similarity of the curriculum without subdivision of the major field in Beauty at local colleges and acquisition of national authorized license without any examination at the time of graduation of Beauty at colleges. As the result of case studies those in advanced countries not only subdividing the major field of Beauty but also highl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olor in makeup are centered on practical training by constituting the curriculums applying theory of Personal Color and/or adapting Image Making techniques. Accordingl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are made to take consideration of the needs from the industries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First, training on Personal Color should be limited to the areas not for professional consultation on concept of image but effective performance of work at the industry fields. These for production of professional specialists with reality and for practical curriculum through job analysis should be focused on training for the understanding sense of the colors, and the method for coloring in accordance with classification into 6 types of Warm, Cool, Soft, Deep and Light following the current of Personal Color.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with broad opportunity to intensively study subjects in makeup areas as opening Personal Color as optional subject for the students who wish to go into makeup field. The training courses at college are characterized as small choice for optional subject in general. The most of colleges provide with ostensible optional subjects for apportionment of credits but the subjects are a mere extension of major subjects in a sense of the contents. In the present situation there may be meaningless to discuss about the way of improvement for opening Personal Color as optional subject. However, as what should be to find a new approach and some colleges open optional subjects in line with the major field it is suggested as a solution to improvement. Third, the existing Image Making subject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Image Making subjects using Personal Color. These would be practice oriented subjects needed for the students going into makeup field. It can be said that color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for the image makeup. Active use of colors can be a mean to produce the image that he/she wishes to express, and also minimize the weak points and maximize the strong points. As Image Making subjects using Personal Color is to find the suitable color with the color of the skin, and produce harmony and balance providing beauty by a suitable arrangement of colors the subject would be a practice oriented subject for the students graduated from college with major in Beauty and going into makeup fields.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이 ?전문 직업인의 양성?에 있지만 현재 미용계학과를 졸업한 학생들 중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은 산업현장에서 단기간 집중적으로 훈련된 미용 학원생보다 미용전문가로서 인식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현대사회는 정보화 사회인 동시에 이미지 시대로 개개인의 이미지가 중요시 되면서 퍼스널 컬러에 대한 관심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메이크업에서 색채는 개성표현과 더불어 이미지 창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며 메이크업 아티스트로서 퍼스널 컬러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또한 최근 향장업계에서 색채 연구소,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과 같은 메이크업 전문가와 함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색조 화장품 출시가 붐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메이크업 분야에서 퍼스널 컬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미용계학과 졸업 후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을 위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바를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교과과정의 개발 필요에 따라 퍼스널 컬러 교육의 도입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졸업과 동시에 국가공인 무시험 면허증 취득으로 인해 국내 미용계학과의 교과과정은 전공의 세분화 없이 유사하여 전공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다. 선진 해외 교육 사례 분석 결과 전공의 세분화뿐 아니라 메이크업에서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 퍼스널 컬러 이론을 도입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거나 이미지 메이킹(Image Making)과 접목하여 실무지향적인 교육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문성과 산업현장에서의 요구를 고려하여 퍼스널 컬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다음과 같은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전문대학 교과과정에서의 퍼스널 컬러는 전문적인 이미지 컨설팅 개념의 영역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산업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는 범위로 한정하도록 한다. 이는 현실에 맞는 전문직업인 양성과 직무분석을 통한 실무 지향적인 교과과정으로 Warm, Cool, Clear, Soft, Deep, Light의 최근 퍼스널 컬러 흐름에 따른 6가지 타입을 분류하고 6가지 타입에 따른 색채의 느낌을 이해, 배색할 수 있는 교육을 중점적으로 한다. 둘째, 퍼스널 컬러를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할 학생들을 위한 선택과목으로 개설하여 학생들이 관련 분야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폭 넓은 선택의 기회를 가지도록 배려하도록 한다. 전문대학의 교육은 대체적으로 선택과목의 선택여지가 좁다는 특성이 있다. 즉, 대부분의 대학이 학점 배당에서 명목상의 선택과정을 두고 있지만 교육과정 내용상으로는 전공과정의 연장일 뿐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퍼스널 컬러를 선택 과목으로 채택하는 개선방안을 논한다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한다는 당위와 전공에 따른 선택과목을 두고 운영하는 대학도 있기 때문에 개선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의 이미지 메이킹 교과목을 퍼스널 컬러를 통한 이미지 메이킹으로 강의내용을 확충하도록 한다. 이는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할 학생들에게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지향적인 교과목이 될 것이다. 이미지 구성에서 색채가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색채를 통해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 자신의 단점을 최소화, 장점을 극대화하는 수단으로 색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퍼스널 컬러를 통한 이미지 메이킹 과목은 개인의 신체 색에 어울리는 색채를 찾아 적합한 배색으로 조화와 균형을 주는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이미지 메이킹으로 미용계학과를 졸업하고 메이크업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한 실무 지향적 교과목이 될 것이다.

      • 조선초기 公主.翁主 연구

        車昊衍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조선 초기 公主・翁主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國王의 딸은 모친의 지위에 따라 嫡庶가 구분되어 王妃의 소생은 公主로, 後宮의 소생은 翁主로 책봉되었다. 고려시대 국왕의 딸은 嫡庶의 구분이 없이 모두 公主로 봉작되었으며, 일부 公主들은 자기 소유의 宮을 가질 수 있었으므로 宮主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후 조선이 건국되자 제도의 정비를 통해 국왕의 嫡女와 庶女를 구분하여 公主와 翁主로 부르게 되었다. 公主・翁主는 下嫁하기 이전에 봉작되었다. 실록의 기사를 분석해 본 결과 公主・翁主의 가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전에 작호를 받고 某公主・某翁主로 책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公主・翁主가 하가하기 이전에 책봉되는 것은 혼인 이후에도 公主・翁主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駙馬와 관계없이 국왕의 딸로서 갖는 고유한 위상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이었다. 정식으로 公主・翁主가 된 왕의 딸은 외명부의 일원으로 인식되었다. 외명부는 양반 신료의 부인들로 구성되었는데, 公主・翁主 또한 駙馬의 부인으로서 양반여성으로 인식되었기에 하가한 이후 외명부 품계를 받았다. 그러나 公主・翁主는 국왕의 직계가족이었으므로 그 품계를 산정할 수 없어 품계가 없는 ‘無品’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므로 公主・翁主의 품계는 駙馬의 품계와 전혀 관계가 없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公主・翁主는 다른 여성들과 달리 유일하게 남편을 간택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국왕과 신료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16세 이하의 남성 중 몇 명의 후보를 정한 뒤 이 중 한 사람이 駙馬로 선정되었다. 太宗 15년(1415) 넷째딸 정선공주의 남편으로 남휘를 선정한 것을 계기로 공신의 자제가 아닌 국왕의 신임을 받는 신료의 자제들이 駙馬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世祖의 등극 이후 駙馬를 간택하는 조건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太宗의 집권 초기와 마찬가지로, 世祖의 등극에 협력한 일부 공신의 자제들로 駙馬를 선정하게 된 것이다. 시기적으로 駙馬의 간택 성향이 달랐던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駙馬의 간택 조건을 분석해 본 결과 公主・翁主의 駙馬가 서로 차이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駙馬의 간택은 父親 또는 祖父가 2품 이상의 관직을 역임한 자제들 중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당시의 상황과 국왕의 의지에 따라 달라졌다. 좋은 가문의 자제를 公主의 駙馬로 선정하거나 한미한 가문의 자제를 翁主의 駙馬로 선정한 것은 아니었다. 조선시대 公主・翁主는 왕비・후궁 및 양반여성 등과 다른 차이점을 갖고 있었다. 바로 남편의 위치에 부속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公主・翁主는 하가하기 이전에 봉작받은 고유의 지위를 사망할 때까지 유지하였다. 오히려 駙馬 의 경우 公主・翁主의 남편으로 간택된 경우 姻戚이 되어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는 제약을 겪어야 했다. 公主・翁主는 혼인하여 자신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公主・翁主는 하가한 이후 국왕이 지급하는 토지와 노비 및 물품을 받았다. 公主・翁主는 자신의 명의로 재산을 소유할 수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문서로는 「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과 「鄭眉壽 別給文記」를 들 수 있다. 즉, 公主・翁主는 外命婦 무품으로 인정되는 동시에 다양한 경제적 혜택이 보장되어 부유한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公主・翁主는 駙馬에게 부속된 존재가 아니라 독립된 지위를 갖고 있었다. 각종 제도와 사례 분석을 통해 公主・翁主가 남편의 위치에 따라 변동을 겪지 않고, 자신의 태생적 지위에 따라 높은 위상을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었 다. 이러한 특징은 조선시대 여성 중에 오직 公主・翁主만이 갖는 특수성으 로, 公主・翁主 연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하게 다뤄야 할 점이라고 하겠다.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social statuses of Gongju(公主) and Ongju(翁主) in the early the Joseon Dynasty(朝鮮). Daughters of a king in the Joseon Dynasty were classified either as legitimate or illegitimate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ir mothers. Whereas the queen’s daughters were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Gongju(a king’s daughter by a queen), royal concubine’s daughters were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Ongju(a king’s daughter by a royal concubine). King’s daughters during the Goryeo Dynasty(高麗) were all assigned with the titles of Gongju without classification of being legitimate or illegitimate, with certain king’s daughters called as Gungju(宮主, palace-owners) since they could own their own palaces. Afterwards,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and through the rearrangement of institutions, King’s daughters were divided into legitimate daughters and illegitimate daughters, and came to be called as Gongju and Ongju respectively. The titles of Gongju・Ongju were invested before their marriag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ronicles of the Joseon Dynasty reveals the fact that Gongju・Ongju were invested with their own titles before the discussions over their marriages took place. The reason they were invested with the title before their marriages was to officially acknowledge their status as a king’s daughter even after marriage regardless of their husbands who would be Buma(駙馬, sons-in-law of the king). King’s daughters who became officially Gongju・Ongju were recognized as members of an outsiders’ list(外命婦, Oe Myeong Bu). Members of outsiders’ list consisted of wives of Yangban class, and as Gongju・Ongju also were recognized as women of the Yangban class as wives of buma. However, since they were lineal family members of a king, their rank could not be assigned, and they were instead designated with the title of no-rank(無品, Mu-pum). Therefore the rank of Gongju・Ongju was not dependent on the rank of their husbands. Gongju・Ongju were also different from other women in that their husbands were selected. After sufficient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s between the king and his vassals, several men at the age of less than 16 were identified as suitable candidates for the Gongju or Ongju, and one man was finally selected among them as the son-in-law of the king. When Namhwi(南暉) was selected as the husband of Jeongseon gongju(貞善公主), who was the 4th daughter of King Taejong(太宗), in the 15th year of his reign(1415), it set the precedence for the sons of trusted vassals of the king, not the sons of vassals who established merits. However, when King Sejo(世祖) ascended to the throne, the terms of selecting the sons-in-law of the king began to change. Just as the early period of King Taejo(太祖)’s ascension to the throne, sons of vassals who helped King Sejo’s seize the throne were selected as sons-in-law of the king. The different selection standards according to time perio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e analysis results of selection criteria of king’s sons-in-law revealed the fact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ongju and Ongju from each other. The selection of sons-in-laws was performed among sons whose fathers or grandfathers had public office career experiences above the 2nd rank, and these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will of the king at that time. It wasn’t the case that husbands of Gongjus were from better families than husbands of Ongjus. Gongju・Ongju of the Joseon Dynasty were regarded differently from queens, royal concubines, and Yangban women, etc., in that they were not subject to the status of their husbands. Gongju・Ongju maintained the status assigned before marriage up until death.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Buma, once selected as the husbands of Gongju・Ongju, they faced restrictions in that they were not allowed to take state exams to become public officials since they became relatives of the king. Gongju・Ongju could enjoy various economic benefits to maintain their status. After marriage, Gongju・Ongju received land, slaves and commodities that the king granted. Gongju・Ongju could own properties under their names. Related documents demonstrating this include 「Suksinongjugadaesageubseongmun」 (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 and 「Jeongmisu Byeolgeummungi」(鄭眉壽 別給文 記). In other words, Gongju・Ongju could enjoy affluent lifestyle since various economic benefits were guaranteed as well as being acknowledged as the women of no-rank in the outsiders’ list. Gongju and Ongju were not considered subjects of the sons-in-law of the king but instead had an independent status. Through the analysis of many cases and institutions established, we could find out that Gongju and Ongju did not change following the position of their husbands and that they rather maintained their the highest status given to them at birth. Such characteristic is unique only to Gongju and Ongju among women in the Joseon Dynasty. We can argue that it should be treated very importantly when studying Gongju and Ong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