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재킷과 진팬츠의 디자인 특성

        , 박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jean jackets and jean pants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collection. To offer the basic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jean jacket and pants, pictures of fashion web pages from 2007 to 2011 were used, and data were analysed by the usage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SPAW.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outnumbered design characteristic of jean jackets were tailored jacket(26.6%), tetragonal silhouette(61.5%), medium length(53.8%), convertible collar(42.6%), tight sleeve(64.3%), more than 5 buttons(48.2%), no pocket(35%), on expressive technique(56.6%), PB color(79.7%), dark tone(35.8%), unified texture(86%), and no decorative pattern(89.5%). Comparing man's jean jackets with woman's, man's jackets were mainly in medium length, tetragonal silhouette with simple detail. On the contrary, woman's jackets were mainly in the X silhouette, short length, and various details. Second, the outnumbered design characteristics of jean pants were tapered silhouette(39.8%), comfort fit(42.1%), long length(63.6%), no washing technique(40.1%), PB color(75.4%), dark tone(26,2%), unified textuer(95.7%), and the no decorative pattern(89.9%). While man's jean pants were mainly represented by straight silhouette and comfort silhouette, woman's jean pant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silhouette, fit, length in various ways. Third, according to analyzed result of each year's jean fashion, 2007's aesthetic feature was unified and simple designs. From 2008 to 2010, the design's features were various and rich one, and that of 2011 was simplicity with diversity. S/S season's feature was more diverse and balanced than that of F/W season. Particularly, washing technique was the distinct skill, regardless of season. Through analyzing each collection, we could find that Paris collection showed different and diverse forms. However, It was gorgeous to enjoy the design of young sense in Milano. London's jean fashion was pale, light, dull tone to be seen. New York's jean fashion presented young and practical value to catch other's eyes.

      • 중국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연구

        진과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한 글 초 록] 중국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전략 전공 진 과 본 연구는 주로 이론과 실천의 결합을 통해 구체적인 사례로 중국기업 브랜드의 구축에서 존재하는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브랜드 전략 영역에서 이미 존재하는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중국기업 브랜드 전략 실시의 건의를 제출하였다. 중국 국내기업이 브랜드 제조를 통해서 자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 국제 경쟁을에 참여하면 기업이 성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브랜드 전략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기업의 브랜드 발전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기업 브랜드 구축의 부족과 원인을 제시하였으며 기업이 브랜드 전략을 실시하는 중요한 의미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국기업 브랜드 전략의 3단계 주요작업에 대해 제시하였다. 셋째, 중국 기업 브랜드 전략의 성공적인 전개에 택해야할 대책을 제출하여 중국기업 브랜드 전략의 성공적인 실시를 위해 의견을 제공하였고 동시에 정부가 해야 할 기업 브랜드 전략에 대한 지원의 중요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넷째, 와하하 브랜드 전략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중국 기타 기업을 위해 모범을 제공하였고 브랜드 전략수립에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中 文 摘 要] 关于中国企业的品牌战略研究 又石大学校 经营行政大学院 经营学部 经营战略专业 陈 科 21世纪以来,在经济全球化与市场经济深度化发展与变化的时代,品牌战略的发展对企业乃至国家的经济发展都起着举足轻重的作用.而且一个国家的经济发展水平与一个国家拥有多少著名的品牌有着密切的关系,并且品牌也已经成为企业占领市场的重要工具.随着人民生活水平的提高,品牌的竞争性也越来越大.在经济全球化的今天,中国的企业要在全球范围的竞争中生存下去, 必须在战略的高度上重视品牌战略. 随着中国的经济改革和对外开放的不断扩大,中国的国民生产总值已经跃居世界第二位,并且成为名符其实的“制造大国”.但是中国经济发展的起点低、改革慢、步伐缓.因此要想让我们中华民族自己的品牌屹立于世界各国市场之中,伴随着中国经济的深化改革和科技创新,我们还要在品牌发展建设的漫漫征途中披荆斩棘. 所以,本文主要通过结论结合实践,加之具体案例,分析了中国企业品牌建设方面存在的问题,利用品牌战略领域中已有的研究成果,提出了中国企业品牌战略实施的建议.对于国内企业在打造品牌,增强自身竞争力,参与国内、国际竞争力方面具有实际应用的价值.全文主要分四部分:第一部分,通过对中国企业的品牌战略发展现状的分析,指出了中国企业品牌建设的不足及原因,提出企业实施品牌战略的重大意义.第二部分,指出了中国企业品牌战略三个阶段的主要工作.第三部分,提出了中国企业品牌战略成功开展需采取的措施,为中国企业品牌战略的成功实施提供意见,同时指出政府对企业品牌战略支持的重要作用.第四部分,通过对娃哈哈企业品牌战略的分析,为中国其他其它企业提供了学习的榜样,对其品牌战略的建设具有指导性的作用.

      • 협동 학습을 통한 건의문 쓰기 수업 모형 연구

        지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국어과 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는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이다. 언어 사용 능력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는 능력이다. 그 중에서 특히 글쓰기는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요하는 언어활동으로서 학교 교육에서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통해 글쓰기의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능력의 신장을 위해 협동 학습을 통한 건의문 쓰기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글쓰기 능력의 신장을 위한 수업 모형에서 건의문을 대상으로 삼은 것은 건의문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 요구 등을 다른 사람들에게 관철시키기 위한 의도를 가진 글로서 성공적인 글쓰기를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 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건의문 쓰기는 다른 사람들과 조화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요구를 어떻게 글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한 지 학생들이 경험하고 연습하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또 건의문 쓰기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수업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봤을 때,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과 협력을 특징으로 하는 협동 학습이 가장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수업 모형의 설계와 실행 방법의 제시를 위해 먼저 협동 학습과 글쓰기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최근의 작문 연구의 동향과 관련하여 협동 학습이 필자가 처한 글쓰기의 상황 맥락과 작문 공동체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학습 방법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글쓰기의 대상이 되는 건의문의 특성과 건의문 쓰기의 전략을 정리하여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내용 요소로 활용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작문 평가의 준거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협동 학습을 통한 건의문 쓰기 수업 모형의 수업 절차는 ‘글의 특성 및 글쓰기 전략 익히기’, ‘학습 절차 설명 및 모둠별 역할 분담’, ‘모둠간(間) 역할별 협동 학습’, ‘모둠내(內) 역할간(間) 협동 학습’, ‘각자 글쓰기’, ‘함께 돌려 읽기’, ‘교사 정리’, ‘출판하기’의 8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각 단계는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체 학급을 단위로, 혹은 학생 개인을 단위로 하는 ‘전체 및 개인’ 단위, 각기 다른 역할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구성인 ‘원래 모둠’ 단위, 내용 마련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일종의 2차적 모둠으로 만들어진 ‘역할별 모둠’ 단위로 진행된다. 수업 모형을 실행함에 있어 각 단계의 학습 요소에 적합하도록 전체 학습, 개별 학습, 협동 학습을 적절히 배치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의문의 특성상 건의할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독자를 고려할 수 있도록 모둠을 구성하는 학생들에게 각기 다른 독자를 대상으로 삼도록 하였다. 자신이 속한 모둠에서 각각의 학생들은 동일한 주제에 대해 각기 다른 독자를 상대로 글을 쓰게 되므로 건의문 작성의 다양한 국면을 효과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둘째, 보다 효율적이고 심도 깊은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래 모둠’과 ‘역할별 모둠’으로 협동 학습의 집단을 이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업 모형에서 가장 핵심적인 과정은 협동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이 쓸 건의문의 내용을 마련하고 글의 구성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모둠을 통해 공동 작문의 중요 과정인 협조적 계획하기가 이루어지는 이 단계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협의가 이루어지느냐가 글쓰기의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건의의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독자를 대상으로 글을 쓰는 ‘원래 모둠’을 두고, 협의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원래 모둠’에서 맡은 역할이 같은 학생들이 흩어져 새로이 ‘역할별 모둠’을 결성하도록 했다. ‘역할별 모둠’에서 학생들은 건의문의 내용을 마련한 후, 다시 ‘원래 모둠’으로 돌아가 자기가 마련한 글의 내용을 검증 받고, 구성의 방향을 결정한다. 셋째, 평가를 함에 있어 학생의 개인 성취와 더불어 모둠의 성취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협동 학습의 중요 특징인 긍정적인 상호 의존성과, 개별 책무성이 보다 잘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학생이 최종적으로 부여받는 점수에 개인의 작문에 대한 평가와 모둠 활동 참여도 평가를 반영함은 물론 모둠원들의 작문에 대한 평균 점수, 모둠 활동에 대한 평가 등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또한 교사 평가와 학생 상호 평가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신장하는 데 있어, 협동 학습의 방법은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앞으로 더욱 다양한 글쓰기 협동 학습의 모형이 개발되어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기를 바란다.

      • Synthesis of Amentoflavone and Ginkgetin

        건군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Amentoflavone, a plant biflavone: a new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Ginkgetin, a biflavone isolated from Ginkgo biloba also is a powerful anti-inflammatory substance. Although large amount of biflavonoids were separated from herbs and numerous scientific reports have been published concerning the discovery and bioactivity research of of biflavonoids, a few studies were previously carried out to the total synthesis of natural biflavonoids. This research is to find a method for the total synthesis of amentoflavone and ginkgetin. The Suzuki and Stille reactions are today two of the most common cross-coupling methods in modern organic synthesis. This importance is due in particular to widespread industrial use for the production of complex specialty chemicals, such as building blocks for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electronic materials or high performance metallocene catalysts. In this research, Suzuki and Stille C-C cross coupling reaction were applied to the total synthesis of amentoflavone and ginkgetin. Many reactions were tried to find best condition for the C-C cross coupling, and finally two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he best ones for the coupling reactions. These synthetic methods will be applied to prepare diverse biflavones to decipher structure and activity relationship study of differently arrayed biflavone structures. Amentoflavone과 Ginkgetin은 식물에서 분리된 천연물로서 biflavone계열의 항염증 물질이다. Biflavonoids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어 있지만 천연 biflavonoids에 대한 합성연구는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Amentoflavone과 Ginkgetin의 효율적인 합성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확립된 연구방법은 biflavones의 구조-활성상관관계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biflavones의 합성에 이용될 계획이다. Suzuki반응과 Stille반응은 현재 합성유기화학 분야에서 가장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는 탄소-탄소 상호결합반응 방법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Suzuki와 Stille C-C cross coupling을 응용한 반응을 검토하여 Amentoflavone과 Ginkgetin의 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반응조건 및 경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된 반응조건 및 경로를 이용하여 Amentoflavone과 Ginkgetin을 합성하였다.

      • 韓國과 中國의 代理制度 比較硏究

        봉영 嶺南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한국과 중국 대리제도 비교연구 진봉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사법학과 (지도교수 이동형) 개인의 사적 영역에서의 법률행위는 직접 본인이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사적 영역에서는 권리주체 자신의 능력과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법률행위를 대신하게 하는 대리제도를 활용하게 된다. 이처럼 대리제도는 사적 자치를 보충하거나 확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용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의 법체계는 대륙법계에 속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사회배경 및 경제배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규정 내용에서도 차이가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은 정치·경제 체제 면에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나라로서 최근에 경제적 교류나 무역이 서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국의 법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사적 영역에서의 국제적인 교류를 원만히 하기 위한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실무적으로도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그 분쟁의 해결과 관련하여 타당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법해석과 관련하여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민법에 관해서는 한국 민법이 중국에 비해 비교적 길고 판례도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향후 중국 민법의 해석과 입법에 있어서 한국의 판례나 해석론이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반면 제정된 지 오래되지 않은 중국의 민법통칙과 중국 계약법은 최근의 유럽 등의 법이론을 받아들인 것으로서 한국 민법전의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줄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중국과 한국에서의 민법상의 대리제도에 관하여 규정과 해석론 및 판례 등을 소개하고 장·단점을 비교ㆍ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관련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으며, 그 내용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이 논문의 서론으로서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대리제도의 연혁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대리제도는 비교적 근대에 인정된 제도이며, 한국과 중국의 민법은 모두 유럽의 대리제도를 참고하여 도입한 것이고 그 연원은 로마법과 게르만법에서 찾을 수 있으므로 로마법과 게르만법을먼저 살펴보기로 하며, 한국과 중국에서도 과거에 대리제도 또는 이와 유사한 제도가 있었으므로 한국과 중국에서의 대리제도의 연혁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제3장에서는 대리제도의 일반이론 및 대리권에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자 한다. 주로 문제되는 것은 대리제도의 개념, 법적 성질 및 대리의 종류 등이다. 이는 대리제도에 관한 규정 또는 형식상의 차이와 관련하여 해석론상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리의 종류에 관해서는 규정상 차이가 있으며, 대리의 법적 성질과 관련해서도 한국과 중국에서는 학설상 차이가 있다. 또한 대리가 허용되는 범위에 대해서도 규정 및 해석론상 차이가 있다. 또한 대리권과 관련해서도 대리권의 법적 성질, 대리권의 발생 및 소멸원인, 수권행위 및 수권행위와 관련된 대리행위의 효력, 수권여부 및 수권의 범위가 불명확한 경우 대리인이 할 수 있는 행위 및 법률행위의 효과가 문제된다. 제4장은 대리행위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대리인의 행위능력에 관한 문제 및 대리행위의 방식에 관련한 문제를 검토하기로 한다. 먼저 대리인의 행위능력과 관련하여 대리제도는 사적자치의 확장 및 보충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리인의 행위능력이 필요한 것인가가 문제된다. 또한 대리행위의 방식과 관련해서는 대리행위를 하는 방식에 따라 법률행위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중국은 민법통칙상으로는 현명주의를 채택하는 반면 계약법상으로는 비현명주의를 채택하고 있는바, 그 당부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대리권 남용에 관한 한국과 중국의 규정 또는 해석론에 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제5장은 무권대리에 관한 규정과 이에 따른 학설 및 판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무권대리의 개념, 협의의 무권대리행위와 표현대리와의 관계 및 이와 관련한 문제점을 비교 검토한다. 특히 무권대리인의 책임 및 구성요건, 표현대리의 일반적 효과 및 유형에 따라 그의 효과, 구성요건, 적용범위, 본인은 표현대리책임이 인정된다고 하는 근거를 중심으로 비교ㆍ검토한다. 그리고 각 표현대리의 유형에 따라 표현대리의 성립요건, 적용범위, 효과 및 본인의 귀책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6장은 결론으로서 앞에서 서술한 내용들을 종합ㆍ정리하여 필자의 견해를 밝히고 중ㆍ한 양국 민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자고 한다. 대리제도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대리제도와 관한 문제를 보완시키는 것은 민법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의 대리제도 비교연구를 통하여 양국의 입법 및 법학이론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Ph. D. Thesis A comparative study on the authority of agent between China and Korea Feng ying, Che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Dong-Hyong, Lee) Abstract Generally, doing one’s juristic acts by oneself in the personal private area. On the contrary,in the personal private area, the subject of right in order to overcome the scarce capacity as while as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making others for juristic acts are used as a flexible agency system. So agency system can be called play the role of complement and expansion of the private autonomy of the useful system. It is universally common between Korea law and China law system due to that they all belong to the continental law system. But because of the different social background and economic background between Korea and China, the agency system content of the two countries exist differences. Although Korea and China have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ut as neighbor recently, the necessary of developing the two counties economic exchanges and trade have been increasingly realized. In this case, understanding the two countries legal system correctly is not only related with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basis field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privately, but also related with the disputes in the practice and its correct conclusion. In addition, the modern relevant legal interpretation of the civil law for Korea has a longer history than Chinese, the same as thecivil law and the accumulation of a lot of cases. Therefore, the China's civil law explanation and legislation can be consulted on Korea's case and explain theory in the future. It is universally acknowledged that the formulate issues are generally accept the principles of civil law of the recent European countries for Korea civil law, by this means the Chinese contract law influenced bySouth Korea's civil code and inspired widely. With the conclusions above,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visions of the agency system in civil law between the South Korea and China, with comparative andreview of their length as well as putting the forward issues of the interpretation theory deals with legislation. The contents in forma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ing: Chapter 1, as the Julian, describe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s. Chapter 2 investigates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agent system. Agent system as a modern system has been recognized, while the Korea and China's civil law as the reference and introductions are both the system of European agent can be found in the Roman law and Germanic law for their origin. Therefore, Roman law and Germanic law came up firstly and then by the evolution of the agency system, the Korea and China's civil law came up following. Chapter 3 reviews the general theory of the agency system and studies its relationship with the authority of agent. Mainly introduces the conception of the agency system, the nature of the law and the types of agent, etc. This is because the agent system relevant provisions or form of differences lead to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Especially the provisions of the agent kinds and the theories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In addition, about the agent of the provisions of the applicable scope and interpreting theory are also different between the laws of agency of the natur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ity of agency, the legal nature of the authority of agency and the occurrence cause the authority of agency, the termination cause the authority of agency, authorized behavior and related to the authority conferred, the validity of the agency behavior, authority conferred or not, when the power of attorney is not as clear as the authority conferred, agent can do the legal behavior and the effect of legal act becomes a problem. Chapter 4 reviews the agency behavior. It mainly reviews the issues related to the ability of agent behavior and the way of agent behavior. Firstly, Agent system with expansion and supplement function of personal autonomy, so the agent should have capacity or do not have any problem. Secondly, agency acts as the different juristic acts causing the different effects. Especially,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Civil Law of China takes disclosed name principle, on the contrary, Contract Law of China takes undisclosed principle, which has been discussed whether right or not. In addition, the provisions explain theory about agency abuse of Korea and China is also discussed. Chapter 5 studies on the rules, theories and cases concerning on the unauthorized agency. The concept of unauthorized ag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ow sense of unauthorized agency acts and estoppel relates to this problem. Especially, the responsibility of unauthorized agency and constitutive requirements, the general effects of agency by estoppel, the effects constitutive requirements of different types of agency by estoppel, Etc. As well as, examine the establishment requirements, applicable scop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agency by estoppel and the imputation of principal. Chapter 6 summary of the contents all over this paper and clarify the subject attitude which matters the agent system between China and Korea as well as propose corrective solutions on the agent system between China and Korea. The importance of growing of agency system, also the improvement of the agency system becomes related problems which making a great significance. Hopefully that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South Korea and China agency system can improve the legisl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legal theory of two countries.

      •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사고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은정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실업률이 사망외인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첫째, 연령별로 15-64세, 15-39세, 40-64세 추락사고, 운수사고, 자살 및 총 사망외인에 대한 실업률의 영향을 분석하고 둘째, 외환 경제위기 시점을 기준으로 경제시기별 실업률이 사망원인별 사망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자료와 실업률 자료 중에서 1990-2004년의 월별 사망률과 실업률을 관찰단위로 하며 GAPM(General Additive Poisson Model)을 적합시켜 이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원은 통계청에서 입수한 사망원인통계자료와 실업률 자료이다. 월별 실업률을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연령대별 성별 경제시기별 추락사고, 운수사고, 자살로 인한 사망률과 총 사망외인의 사망률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독립변수로 사용된 실업률은 IMF 경제위기 기간인 1998-2000년을 기준으로 IMF 경제위기 이전, IMF 경제위기 진행기간, IMF 경제위기 이후로 분류하였다. 교란요인을 보정한 GAPM 모횽에 사인별 사망률을 포함시켜 경제시기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실업률의 증가는 IMF 경제위기 이전보다는 IMF 경제위기 동안과 이후에 사망률 변동에 영향을 주었다.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IMF 경제위기가 지난 후인 2001-2004년에는 남성의 상대위험도가 높게 나왔다. 추락사고로 인한 남성의 사망률은 IMF 경제위기 이전과 IMF 경제위기 진행기간 모두 실업률이 증가하면 감소하며 특히 IMF 경제위기 진행기간에는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의 사망률은 IMF 경제위기 이전에는 실업률 증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IMF 경제위기 진행기간에는 실업률 이 0.1% 증가하면 추락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0.01% 증가하지만 IMF 종료 이후에는 0.0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수사고 역시 남녀 모두 IMF 진행되기 이전부터 진행당시까지인 1990-2000년에는 실업률 증가가 사망률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IMF 경제위기 종료 이후인 2001-2004년에는 실업률이 0.1% 증가하면 운수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0.0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1990-2004년 동안 실업률이 증가하면 운수사고, 추락사고, 사망외인의 사망률 감소, 자살로 인한 사망률 증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실업률 증가와 사인별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제시한 여러 선행연구 결과들과 부합된다. 결론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하면 운수사고와 추락사고의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감소한다는 결과를 통해 경제활동과 관련된 사망원인별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실업률의 감소가 운수사고나 추락사고의 사망률감소에 작용하는 과정을 밝히는 연구들을 통하여 실업률이 증가하는 동안에도 경제활동과 관련된 이들 원인별 사망률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예방관리정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蘭의 문학적 상징 연구 : 중국 詩歌에 표현된 상징을 중심으로

        유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인간이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현상의 변화에 영향을 받고, 그것에 대해 사고하면서 그 변화에 적응하고, 극복하는 과정 중에 축적된 결과물을 우리는 문명이라 부른다. 자연현상의 변화에 대해 사고한 초기 문명의 모습을 원시종교 혹은 무속이라 하고, 이런 무속의 사고체계는 자연사물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다. 이런 사유방식의 연장선에서 문인들은 구체적 사물에 대한 느낌을 詩歌로 표현하기도 하고 그림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자연 식물의 하나인 蘭이 인간의 관심을 받고 인간의 생활영역 속으로 들어와 관계를 맺기 시작한 것은 원시시기에 이미 이루어졌다. 자연 대상을 추상적인 개념으로 형상화하기 이전의 원시시기에는 난이 무속문화의 도구로서 인간 생활과 연결되었다. 이렇게 蘭은 공자와 굴원에 의해 형상화된 ‘隱者’, ‘군자의 향’, ‘王者의 향’ 등의 이미지와 ≪周易≫에 보이는 ‘同心’의 이미지 등등의 다양한 상징체계를 갖게 되었다. 난과 관련된 이런 초기의 상징적 의미는 중국 역대 문인들의 詩?畵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고, 아울러 시대의 변화에 따라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그 이미지가 변화 창조되어 왔다. 난의 상징과 연관된 대표적 인물들에 대해서 그들이 나타내는 난의 상징은 무엇인지 고찰하고, 이들의 상징이 후대의 문인들의 시가 작품 속에 어떻게 재생산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중국 문화 속에서 난의 문화적 생명력이 어떻게 지속되었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공자와 난의 상징은 군자적 이미지를 떠올릴 수 있다면, 굴원은 자신의 국가에 충성하는 마음이 꿋꿋한 지조를 상징하는 난의 이미지와 결합하여 있고, 다시 정사초라는 인물에게 그러한 상징의미가 계승된다. 그는 불우한 군자를 상징하는 한(恨)의 상징이 되었고, 양주팔괴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난의 상징 의미는 연약하고 가녀린 난의 외형뿐만 아니라 그 속에 간직한 정신을 표현함에 있어서 그림과 제화시라는 예술형태로 재탄생시킬 수 있는 영감을 주었다. What we called civilization is an outcome produced dur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we are being affected by, thinking of, adapting to and overcoming changes in natural phenomena, living in nature. Early civilization where people started to think of changes in natural phenomena is called the primitive religion or shamanist custom or practice, and the thought system of these shamanist customs should be closely linked to natural things. On an extention line from this way of thinking, literary men expressed or conveyed feelings of actual things as poems and songs or paintings. It was since primitive times when orchids have gain attention from the human being and been introduced to the human world, hav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m. In the primitive age when people had not yet represent natural subjects as abstract concepts, orchids were connected to human lives as a tool for shamanist practices. Like this, orchids came to be imbued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such as 'hermits', 'the scent of wise men', and 'the scent of princes' represented by Confucius and Gulwon, and 'unanimity' appeared in 《The Book of Changes (周易)》. These early symbolic meanings regarding the orchid were imbued in poems and paintings naturally and its images have been changed and created into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changes in times. This study tried to finding out how the cultural vitality of orchids has continued to exist in the Chinese culture by considering what are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orchid presented by representative figures involved in its symbolization and examining how those symbolic meanings were reproduced in poems and songs by later generations of literary men. If Confucius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orchids remind us an image of wise men, while Gulwon is tied to the image of orchids which symbolizing patriotism and fidelity toward the country, which were inherited to a man called Jeongsacho in terms of the symbolized meanings of orchids. He became the symbol of Han (恨) symbolizing miserable wise men, and for artists such Yangjupalgoe, the symbolic meaning of orchids inspired them so that they could revive works with orchids as forms of art such as paintings, and poems with paintings in expressing not only the soft and slim appearance of orchids, but also implied spirit in them.

      • 중국 ‘동시대 무용’의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에 관한 연구 :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Modified Cultural Diamond)” 모델을 토대로

        금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을 토대로 중국 동시대 무용의 복잡한 풍경의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확인하고 그 안에 내포된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특징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중심 연구문제는 ‘중국 동시대 무용은 어떤 글로컬라이제이션 특징을 갖추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중심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사회학 관점에서 루도메토프의 기존 글로컬라이제이션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고 토착화, 국가화, 초국가화 세 가지의 특징 모형을 도출하여 중국 동시대 무용에 접목하였다. 그리고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을 통해 중국 동시대 무용의 사회적 배경, 창작자, 분배자, 수용자 그리고 예술 작품 등 다섯 가지 방향에서 바라본, 중국 동시대 무용에서 나타난 글로컬라이제이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면서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인터뷰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동시대 무용에서 구현되는 글로컬라이제이션에서는 토착화와 국가화 특징이 초국가화 특징보다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중국 동시대 무용이 특유의 예술적 이미지를 입증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지만 아직 발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앞으로 초국가화 특징이 점차 많이 나타날 것이라 본다. 둘째,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의 5개의 점은 분배자의 역할을 통해 6개의 선을 직렬화하여 서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창작자와 예술 작품은 실제로 다른 세 개의 점보다 더 밀접한 연관성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창작자가 예술 작품의 궁극적인 구현에 가장 직접적인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참여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무용 장르의 관점에서 본 중국 동시대 무용보다 타임라인 인식에 더 무게가 실린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동시대 무용이 1998년 이후 무용 ‘장르’로 창안되었지만 그 전달과 수용 과정에서 ‘무용 장르’로서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단면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넷째, 흐름에 따라 중국 동시대 무용에서 강조되고 있는 현실주의적 특징은 현재의 중국 동시대 무용을 완전히 해석하지는 못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터뷰 참여자가 제공한 중국 동시대 무용의 작품에 따르면 현재의 중국 동시대 무용은 군대체재, 현실주의를 소재로 한 작품일 뿐만 아니라 ‘동시성’과 ‘융합성’이라는 또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동시성과 융합성은 중국 동시대 무용은 서양 컨템포러리 댄스가 가진 특성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동시대 무용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서 발전해 나가려면 내적이고 독립적인 특성을 더 찾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글로컬라이제이션 관점에서 중국 동시대 무용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무엇보다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동시대 무용의 무용 장르가 독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complex landscape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based on the 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to enh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ocalization. The proposed problems of this study i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localization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This study uses Roudometof's thre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glocalization theoretical analysis, that is, nationalization, indigenization, transnationalization characteristics, to bring it into Chinese contemporary dance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glocaliza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are specifically analyzed through the five aspects of society, art, creators, distributors and receivers provided by the 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is focusing on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in-depth interviews in qualitative. The specific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glocalization in Chinese contemporary dance, the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ization and nationalization a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iza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we can know that Chinese contemporary dance is still in a stage of early development, and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is take the cultural identity as the ultimate goal. Moreover, th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ization will appear more often in the subsequent developments. Second, in the modified cultural diamond of contemporary dance, the other four points and six lines are connected through the role of the distributor, thus affecting each other.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glocalization, it can be obtained that the presentation of the creator and the final artwork show a closer relationship than other points. Thirdly, through the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we can find that Chinese contemporary dance is more willing to recognize from the perspective of 'timeline' than 'dance type'. This also shows from the side that Chinese contemporary dance, which appeared in the form of dance in 1998, has not yet been truly received today.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timeliness and simultaneity", Chinese contemporary dance and western contemporary dance are in the same vein. Facts show that with the changes in the trend, the realist characteristics emphasized in Chinese contemporary dance cannot fully explain today's Chinese contemporary dance. In addition, today's Chinese contemporary dance not only has works which express the military genre and realistic themes, but also has another characteristic of "timeliness" and "simultaneity". In summary, the glocalizat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are mainly manifested in the combination of external globalization and internal localization. At the same time,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teract with each other, sometimes integrating and sometimes confrontating, which finally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discussed in this study. It is only 21 years since the birth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timeliness”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world. From the aspect of culture, it has the core of “Oriental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From the perspective of ideology, It also has the socialist values embodied by the "minority". This study has a further research on the analysis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glocalization, to accelerate the clearer positioning and development of Chinese contemporary dance. Meanwhil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omoting the Chinese danc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