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합적 정책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주희진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결과가 왜 애초의 정책 의도나 기대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장애인의 취업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 개입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에 대한 논의는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분석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하며, 왜 이러한 성과에 대한 연구가 일관되지 못하는가에 답하고자 세 단계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의 분류기준에 대하여 기존의 의학적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기준을 탐색하였다. 현재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은 장애인의 의학적 손상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여 지나치게 행정편의주의적이라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선행연구에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이 실효성을 확보하고 본래 의도했던 정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애인의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이를 실현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정책의 두 당사자인 장애인(수요자)와 담당 직원(공급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결과, ‘개인의 태도유형’, ‘심리적 결핍으로 유발되는 취업의지’, ‘직업능력’이 중요한 분류기준으로 모색되어야 하며, 이는 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탐색한 추가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을 분류하였다. 특히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이용과 취업효과 간의 인과관계에서 적극적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 및 동기, 즉 ‘취업의지’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3의 변수로 인하여 그 동안의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에 대한 연구기 비일관적으로 도출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취업의지를 측정하기 위한 간접변수로서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 기반을 두어 ‘심리적 결핍수준’을 선정하였다. 이는 개인의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결핍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즉, 장애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경험하는 불만족에서, 이러한 불만족(결핍)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취업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다. 일상생활 영역에 대한 장애인의 주관적 만족수준을 기준으로 장애인 고용정책 대상집단을 구분한 결과, 심리적 충족집단과 심리적 결핍집단 등 2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심리적 충족집단은 모든 영역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장애인들로 구성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학력수준이 높고 경증장애인의 비중이 높으며 월평균 소득이 높은 집단을 의미한다. 또한 심리적 결핍집단에 비하여 직접적인 구직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취업의지가 높으며), 실제 장애인 고용서비스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분화된 정책대상집단은 한번 결정되면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심리적 결핍이 증대되거나 혹은 심리적 결핍이 해소되는 데에는 취업을 통한 경제활동상태의 변화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취업으로 인한 심리적 결핍의 해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장애인의 심리적 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취업상태로의 변화가 중요하며, 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장애인 고용정책에 대한 정당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그렇다면 이렇게 세분화된 정책대상집단에 대하여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과연 애초에 목표로 하였던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기선택편의를 제거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하여 심리적 결핍수준에 따른 차이를 제외한 다른 차이는 모두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성과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장애인의 심리적 요인을 추가하여 정책대상집단을 세분화하여 재분석하면 이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된다. 먼저 심리적 충족집단에서는 일관되게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이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을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 기반하여 고찰하면, 심리적 충족집단에 속해 있는 장애인은 이미 내·외적 및 관계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기초적인 생활수준에 대한 보장과 같은 저차원적 욕구보다는 보다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고, 일하는 과정에서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고차원적 욕구가 발현된다. 하지만 현행 장애인 고용서비스를 통해 창출되는 일자리의 열악한 수준 및 단순 업무에 초점이 맞추어진 훈련 프로그램 등은 심리적 충족집단에 속한 장애인의 고차원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에 대한 불만족과 불신 등은 결국 부정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심리적 결핍집단에서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긍정적인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결핍집단과 그동안 상대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소외되어 있다고 논의되어 오던 중증장애인 및 신체외부장애 외의 장애(감각 장애, 정신적 장애, 신체내부장애)를 가진 장애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고용서비스가 장애인 집단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그래서 보다 정책의 개입을 시급하게 필요로 하는 정책대상집단에게는 분명히 목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요약컨대, 현행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은 특정 집단에 대해서만 성과가 나타났으며, 오히려 반대의 효과를 미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목할 점은, 이러한 정책대상집단의 세분화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고용서비스정책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집단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집단은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사각지대에 처해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에서 정책의 제언으로 제시하였던 ‘차등적 서비스의 제공’이 실제로 필요하다는 점을 지지하는 실증적 분석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의 양적 성과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과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고용서비스를 이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하게 세분화된 장애인 집단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어 우리나라 장애인 고용서비스가 일정 수준 이상의 질적 성과를 달성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고용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 개선을 이끌어 내기는 하였지만, 그 수준은 여전히 3.0(보통)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은 향후 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은 결국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장애인 고용서비스정책에 대한 신뢰 향상으로 이어져 현재의 낮은 서비스 이용률을 증진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DEA-Window 모형과 MPI의 활용을 중심으로

        주희진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우리나라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실제 생산성을 측정하여 향후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생산성 향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국립공원의 생산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여 이를 우리나라 18개 국립공원에 적용하여 횡단면, 시계열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전체적 생산성에 경제적 생산성과 환경적 생산성 중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하고 바람직한 국립공원의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the 18 national parks during 9 years 2001 and 2009 in Korea, discuss methods of measuring the productivity and sugges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To analyze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tolls used wer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Post-DEA(DEA-Win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is study progress in two step. First step is an analysis whole productivity(economical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in Korean. Second step is an analysis only economical productivity score of 18 national parks and compare it with whole productivity score to draw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on whole productivity. This study shows the results to be summed up in two aspects as follows. In theoretical aspect first, studies about productivity of national parks especially considering national park's environmental purpose ware insufficient in Korea. But this study focuses two contradictory purpose of national park, economical purpose and environmental purpose. Second, Using Post-DEA(DEA-Winodow model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MPI)) as well as DEA, we suggest various measuring method to analyze and evaluate a productivity. Third, we suggest measuring method that can measure environmental productivity. In political aspect, first, we suggest relative ranking between 18 national parks and present influence factor of productivity. By focusing effort(resources, time, manpower...) on shortage, it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Second, we show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ductivity management. It means that effor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re required more to improve the national park's whole productivity in the future.

      • 근대산업유산의 재활용을 위한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개항장의 근대산업유산을 중심으로

        주희진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00여년의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근대산업유산은 지역을 기반으로 했던 산업들과 기능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구도심이나 항만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벽돌 건축물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근대산업유산이 최근에 와서 재활용이라는 새로운 지역 재생의 실마리가 되고 있어 각광을 받고 있다. 더욱이 근대의 특징적 소재가 벽돌이었고 중요한 시대적 산물이라는 역사적 배경 때문에 재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기에 활성화 되어 도심이나 항만 등에 입지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근대산업유산을 단순한 보존이 아닌 보다 적극적인 역사, 장소, 자원의 재활용의 의미에서 실천적인 유용한 시각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조화로운 경관 형성의 토대가 되도록 중점적으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항장이라는 장소적 공통점의 역사적 배경과 지역 재생의 가능성을 가진 근대산업유산의 색채 분석을 통해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근대산업유산을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시간성, 장소성, 소재성, 기능성을 기본 틀로 하여 입지여건과 양식이 비슷한 근대기 일본과 국내 개항장의 벽돌건축물을 창고와 공장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일본과 국내 대상지의 주요소인 지붕, 건축 외벽, 창호와 부요소인 보도, 사인물, 환경오브제, 그 외 주변 건축물을 분류 기준으로 분광광도계와 측색기, 색표를 활용한 정량적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연속성, 리듬감, 관계성, 소재와 질감 등 조화 요소를 고려하여 주변 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기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제시하였고 근대산업유산의 개념과 소재에 나타나는 역사적 배경 및 근대산업유산의 재활용 의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근대산업유산을 근대 역사문화 경관으로 이해하고 색채 조화의 평가 요소를 도출하여 일본과 국내의 비교 대상지의 색채 현황과 특징을 NCS 색체계와 먼셀 색체계, CIE L*a*b* 색체계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분석한 색채의 특징을 파악하여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구체화하고 조화로운 경관 형성을 위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근대기의 특징적 건축 소재는 벽돌이었고 벽돌 건축물은 중요한 시대적 산물이라는 역사적 배경의 시간성과 소재성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경우 근대의 대표적 외장재인 적벽돌과 오타루 연석 등의 소재가 주로 사용되어 있다. 일본 근대산업유산의 외벽의 색상은 2.5R~10YR의 색상에 분포하고 주요소에서의 명도는 주로 2.5에서 5.5사이의 중, 저명도의 분포를 보였다. 채도는 0.1에서 6.8까지의 중, 저채도의 경향을 보였다. 그 외 부요소인 주변 환경의 보도, 사인물, 환경오브제, 주변 건축물 등은 R~YR계열의 색상과 3.0~8.3의 중, 고명도와 0.6~4.9 중, 저채도의 비율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근대산업유산의 주요소의 색과의 유사한 수치로 조화를 이루고 있어 출현빈도에 따른 다양성과 색채 분포의 차이를 분석해 볼 때, 각 대상지는 주변 환경과 관계성과 연속성이 높았다. 둘째, 국내의 경우 근대의 대표적 외장재인 벽돌이 현재까지 보존, 복원되지 못했다. 7.5Y에서 2.5Y까지의 벽돌 색상 출현빈도가 높았으나 Y계열과 PB, BG계열의 색채가 혼재하여 출현함으로써 근대의 대표적 건축물인 벽돌 건축이 제대로 보존되거나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곳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소인 외벽의 기준에 대한 부요소인 주변 환경의 사인물과 환경오브제, 주변 건축물이 색차도 상당히 컸으며 주요소인 근대산업유산의 외벽에 비하여 색채가 과도하게 부각되고 관계성과 연속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정체성 확립과 근대 역사문화경관 조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주요색의 외벽에 권장되는 색채는 지역적 고유 색상과 분위기 보전에 우선하고 주변 환경과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기타 색상 사용을 억제하고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는 Y∼YR계열의 중, 저명도, 저채도의 색채 사용을 권장한다. 석재, 목재 등의 자연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예외로 하되 주변 건축물 및 시설물과 조화를 고려하여 적용한다. 둘째, 주변 환경의 보도에 권장되는 색채는 지면과 연장선상에 위치하므로 연속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변 환경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건축물 색상과 유사한 YR계열이나 무채색 계열의 중, 저명도, 저채도의 색채 사용을 권장한다. 셋째, 강조색에 권장되는 색채는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주변 환경에서 추출된 색채를 적용하되 근대기의 특징적 배색 개념에 준하여 동질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고채도의 색채적용 시에는 작은 면적에 한하여 적용할 것을 권장한다. 넷째, 시설물에 권장되는 색채는 기능을 고려하여 소재를 선정하고, 색채의 적용 시 자연 소재색, 무채색 계열의 색상으로 국한하고 중, 고명도, 저채도를 적용하여 최대한 돌출을 방지하고 공간 속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계획한다. 이 연구는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인 방법으로 근대 역사문화 경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지역 재생의 재활용을 위한 효율적이며 유지와 관리가 용이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향후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의 개선을 위한 효율적이며 실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여 근대산업유산의 적극적 재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국내 공항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저감효과 분석

        주희진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공기 배기가스가 지구의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은 항공산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환경 이슈 중 하나이다. 온실가스 배출의 잠재적 악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항공기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에 관한 항공기의 영향을 완화하는 수단 중 하나로 항공기 배기가스를 산정하고 예측하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배기가스의 산출과 저감효과 분석을 통한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여 미래 기후변화와 에너지 고갈에 대비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우선 민간 항공 교통 스케줄을 보유한 OAG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공항에 대한 항공 비행 일정을 확보하였다. 이후 미국 MIT 대학 항공 환경 실험실에서 개발한 AEI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2005년 한해 동안 우리나라 모든 공항에서의 3,000ft 이하의 고도에서 이륙, 상승, 접근, 착륙단계를 포함하는 LTO 운항 시 연료소모량과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과 3,000ft 이상의 고도에서 상승, 순항, 하강단계를 포함하는 non-LTO 운항 시의 연료소모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국 Lissys사에서 개발한 Piano-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3가지 항공기 급에 대한 다양한 비행거리와 경로에 대해 유상하중의 변화에 따른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다양한 항속거리와 고도에 따른 경제속도, 장거리 순항속도, 최대 운항거리 속도에 대해 연료소모량도 분석하였다. The potential impact of aircraft emissions on the current and projected climate of our planet is one of the more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s facing the aviation industry. Increasing concern over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has motivated the development of an aircraft emission estimation and prediction system as one of the ways to reduce aircraft emissions and mitigate the impact of aviation on climate. First, we obtained airline flight schedules for all the airports in Korea that are included in OAG data. Fuel burn and emission index of LTO flight for all the airports in Korea in 2005 were estimated which contains take off, climb and approach under 3000ft using AEIC softwar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MIT Lab for Aviation and Environment. Second, Fuel burn and emission index of Non LTO flight for all the airports in Korea in 2005 were estimated which contains climb, cruise and descent over 3000ft using AEIC softwar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MIT Lab for Aviation and Environment. Finally, in this research, using Piano-X software which was developed by Lissys Co., fuel consumption and emissions for 3 types of aircraft were estimated for different design payloads with various flight distances and flight paths. Fuel burns for economy speed, long range cruise speed, maximum range speed were also investigated with various flight distances and altitudes.

      • 흥타령 춤 체조 참가 만족도 및 이미지 분석

        주희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images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participating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on the self-images. A total of 230 public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nd data from 217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the following: 1. While 37.8% of the subjects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more than two years, 25.3%, 24.9%, and 12%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less than a year, less than two years, and less than six months,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in the order of more than once a month(80.2%), more than twice a month(13.4%), more than once a week(6%), and everyday(0.5%). While 67.7%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 intensity of activity was appropriate, 18%, 11.1%, and 3.2% of them perceived the intensity of activity as a little bit low, a little bit high, and too low, respectively. 2. While 52.5% of participants perceived the activity as interesting, 38.2%, 6.9%, and 2.3% perceived it as not interesting, entirely not interesting, and very interesting, respectively. In terms of required improvements to enhance their participation, 53% selected interests and motivation, while 22.1%, 17.5%, and 3.7% selected changes in movements, facility and location, and the specialty of leaders, respectively. 3. In terms of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59%, 32.7%, 4.6%, and 3.7% of participants responded as recommended, not recommended, not recommended at all, and highly recommended, respectively. The recommended place of activity was in the order of culture center(28.1%), public facility for physical activity(20.7%), center for the elderly(19.4%), elemantary school(15.2%), social welfare center(12%), and others(4.6%). The recommended way of advertisement was in the order of using local broadcasting(59.4%), billboard and posters(18%), placards(7.4%), local newspaper(5.5%), others (5.5%), and handbills(4.1%). 4.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participating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was not different between gender, and higher at the twenties than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The level of social satisfa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education. The level of physical and social satisfactions was higher in participants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3,000,000 than those with over \3,000,000. 5. The evaluative image was higher in female participants than male.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images were higher at the twenties than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The negative image increased with decreasing level of education, and the behavioral image was higher in participants with a monthly income of over \4,000,000 than those with less than \4,000,000. 6. The level of soci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image. 7. The level of phys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mage. 8. The level of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ve image. 9. The level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Hung-taryung dance exercis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negative image. 이 연구는 천안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참가실태와 참가 만족도, 그리고 이미지 지각수준을 분석하고, 흥타령 춤 체조 참가 만족도가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흥타령 춤 체조를 수행하고 있는 천안시청 소속 공무원 총 23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 13부를 제외한 총 217부의 자료를 SPSSWIN Ver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참가기간은 2년 이상(37.8%), 1년 미만(25.3%), 2년 미만(24.9%), 6개월 미만(12%)의 순으로 나타났고, 참가 빈도는 월 1회 이상 참가(80.2%), 월 2회 이상 참가(13.4%), 주 1회 이상 참가(6%), 매일 참가(0.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참가강도는 적당하다(67.7%), 조금 낮다(18%), 조금 높다(11.1%), 매우 낮다(3.2%)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참가 흥미를 인식하는 정도는 흥미롭다(52.5%), 흥미롭지 않다(38.2%), 전혀 흥미롭지 않다(6.9%), 매우 흥미롭다(2.3%)의 순으로 나타났고, 개선 요구사항은 흥미 및 동기유발(53%), 동작의 변화(22.1%), 시설 및 장소(17.5%), 지도자의 전문성(3.7%), 기타(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흥타령 춤 체조에 대한 타인 추천 의도는 권유하고 싶다(59%), 권유하고 싶지 않다(32.7%), 전혀 권유하고 싶지 않다(4.6%), 매우 권유하고 싶다(3.7%)의 순으로 나타났고, 추천 장소는 문화센터(28.1%), 공공체육시설(20.7%), 노인정(19.4%), 초등학교(15.2%), 사회복지센터(12%), 기타(4.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보방법은 지역방송을 통한 홍보(59.4%), 게시판 및 포스터 홍보(18%), 현수막홍보(7.4%), 지역신문을 통한 홍보(5.5%)와 기타(5.5%), 전단홍보(4.1%)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참가 만족도는 여자참가자가 남자 참가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만족도에서의 차이는 신체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 환경적 만족도, 심리적 만족도에서 20대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연령대를 가진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따라서 사회적 만족도는 대학원졸 이상의 학력자 집단이 고졸, 전문대졸, 대졸 학력을 가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입에 있어서는 신체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에서 300만원 이하 소득수준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300만원 이상의 소득 수준을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에 따라서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평가적 이미지에서 여자 참가자 집단이 남자 참가자집단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심리적 이미지와 행동적 이미지요인에서 20대가 30대, 40대, 50대 이상의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서는 부정적 이미지요인에서만 고졸, 전문대졸, 대졸 집단이 대학원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입에서는 행동적 이미지요인에서만 40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을 가지고 있는 집단의 400만원 이하의 소득 수준을 가지고 있는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사회적 만족도, 환경적 만족도, 그리고 심리적 만족도는 심리적 이미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신체적 만족도, 사회적 만족도, 환경적 만족도, 그리고 심리적 만족도는 행동적 이미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환경적 만족도와 심리적 만족도는 평가적 이미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흥타령 춤 체조 참가자들의 신체적 만족도와 심리적 만족도는 부정적 이미지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 여성의 기업활동에 대한 연구 : 창업자원과 환경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주희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10여년 사이 전세계적으로 여성 창업과 기업활동이 증가하고 이들의 경제적 기여도가 인정되기 시작함에 따라 여성의 기업활동은 학문적·정책적 관심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여생기업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면서 여성의 기업활동은 학문적·정책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여성학 내에서도 여성의 기업활동 경험이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지위향상을 가져와 경제적 의사결정권과 대표성 확보 여성의 경제적 세력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여성의 기업활동은 학문적 연구나 정책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어왔고 여성의 기업활동 경험은 비공식화·비가시화 되었기 때문에, 여성기업인에 관한 한 공식통계 자료조차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기존의 이론과 방법론에 연구대상과 변수의 하나로만 성별을 첨가하고 있어 여성 기업활동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부재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실제 기업활동 경험을 통해 여성 기업활동 연구의 방법론과 구체적 정책지원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여성기업가가 놓여 있는 사회적 조건과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해야만 여성기업가의 실제 경험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분석의 수준을 여성기업가 개인이 아닌 조직과 사회구조로 확대하고, 창업과정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자본접근력의 성별차이에 관심을 갖는다. 이에 본 논문은 여성기업의 경우 사회구조에 의해 창업자원이 제한되고 성별분업으로 인해 특정 업종에서의 창업이 비교적 용이하며 그로 인해 여성 사업과 관리방식의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Brush의 문제의식과 문제화 방식의 유효성을 인정하여 '사회구조와 창업자원모델'을 중요한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또 여성기업가라 하더라도 서로간의 자원과 조건, 경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성기업가의 유형을 구분하여 가사와 고소득을 위해 전통적 여성역할을 기반으로 창업하는 여성기업가로 연구대상을 제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김치가공사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현재김치가공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기업가의 경험을 중심으로 창업자원의 특성과 이로 인한 여성기업활동 방식, 그리고 환경적 영향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치가공사업에서 여성 창업자는 자신의 가내숙련기술(domestic skill)을 창업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회구조와 성별분업의 영향으로 가정내 성역할이 기대되고 제한된 부업경험과 사회생활 경험하고 있는 여성 창업자의 경우 창업과정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가내숙련기술을 기반으로 소규모 창업하고 있다. 둘째, 이러한 창업자원과 창업과정의 특성은 여성의 기업활동 방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성은 제한된 창업자원으로 인해 자신이 속한 지역공동체 내에서 소규모로 창업하고 있으며 기계화를 지향하는 김치산업 전반의 추세와 달리 생산과정의 수작업을 선호하고 맛을 강조하는 판매전략을 사용하게 된다. 셋째, 이러한 여성기업의 특성은 경영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여성의 기업활동 기회와 가능성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는데, 특히 정부의 급속한 산업화 정책이 추진됨에 따라 소규모 기업활동은 점차 위축되고 있다. 정부정책의 영향으로 김치산업에 대자본이 유입되면서 기업규모의 확대, 생산과정의 기계화와 분업, 대량생산의 효율성(efficiency of scale)이 강조되었고, 자동화·표준화를 기준으로 하는 품질보증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위생기준이 획일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활동에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 적은 소규모 여성기업의 시장기회와 성장가능성은 점점 위축되고 있으며 여성의 가내숙련기술은 탈자원화 되고 있다. 결국 김치산업화 과정에서 정부정책은 남성을 경영자·기술자의 전문직으로 여성을 하위 생산직 또는 소비자로 이분화 하면서 여성노동과 가내숙련기술에 대한 평가절하와 직종내 위계적 성별분업이라는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전통적 여성영역에서조차 기업활동의 성별화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김치의 산업화는 개발정책의 부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여성에게 경제활동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변화의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특히 현재김치산업은 대량생산과 분업의 효율성·규모의 이익이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창업자원의 성별차이 효과를 기업활동 과정에서 축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여성의 기업활동 확대를 위해 이미 창업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는 기업활동 기회와 가능성의 성별차이를 인식하고 기업활동의 성별차이를 줄이기 위한 경영전략 마련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전략과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여성 기업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마케팅 전략의 개발과 이에 적합한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사례분석 결과 김치가공사업에서 소규모 여성기업은 차별화 전략을 통해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 여성기업은 재래식 수작업 생산과 적소마케팅을 통해 고부가가치 상품화 하면서 안정적 판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또 중소기업간의 공동구매와 공동브랜드 사용을 통해 비용부담과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개별기업의 경영전략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재의 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변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누적되어 온 차별 시정을 위한 지원정책이 실시되어야 하며, 성차별적 경영환경과 사업관행의 변화를 통해 여성 친화적 경영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정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현재 기업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기업가를 위해 획일화된 위생기준과 품질보증제도에서 벗어나 수작업으로 생산된 제품의 품질도 객관적으로 보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생검사기준과 품질보증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 남성중심의 사업관행으로 인한 불이익을 보상하기 위해 정부나 공공기관의 단체급식에서 여성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하는 동의 판로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예비 여성 창업자를 위해서 창업과정에서 요구되는 시설기준 완화와 창업지원 확대, 경영훈련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여성 기업활동의 공식화·가시화 노력을 통해 성차별적인 사회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여성의 소규모 기업활동을 포함하는 공식적 실태조사가 필요하고, 소규모 여성기업의 네트웍을 활성화하여 여성이 기업활동 경험을 공유하고 집단적 세력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여성연대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or last ten years, a number of women foundation and entrepreneurship has been increasing. Women's entrepreneurship is getting attention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as their economical contribution is recognized. In 1999, Korean government passed 'Act for women entrepreneurship'. Many feminists believe that women's establishment and their experiences will help them for right of finance decision making, representation and empowerment. Their experiences will bring women's financial independence and higher social standing. However, women's entrepreneurship has been excluded from many researches and policy. So working experiences of women's entrepreneurship has been nonofficial and unvisual. And there is no official study or theory of women's entrepreneurship because most of previous researches on the study are not represented real experience of business women. Therefore, I try to discuss methodology of women's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specific plans through the women's real experiences of business. In my thesis, I want to focus on social structure, not individual and sexual differences of access to resources of entrepreneurship. I expand my research subject from individual to social structure because we can have better understanding if we consider women entrepreneur's social positions and situations. In my thesis, I also look at how women enterprises establishment resources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are limited. I use Brush(1998)'s theory because it is very useful to explain how the resource gap make the sexual differences of the entrepreneurship. And it is also useful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women's enterprise and management style. I categorize women entrepreneur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experiences and resources. So I limit my research who start up their business on domestic skill. I specially choose Kimchi industry for example of women entrepreneurship. I am going to discuss start-up resources, management style and environmental factors. First, women entrepreneurs use their domestic skills as foundation resources in Kimchi industry. Women who has limitations of working experiences and social experiences due to our social structures do not have change to use their resources. Second, these spec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influence on women's management style. They build their business in their own community. It influences their management. Therefore, women has different methods that support of handmade process and tastes even though other major Kimchi industries go other directions. Third, these characteristics cause result that reduce chance and possibility of entrepreneurship. Especially small business is reduced rapidly due to government policy. Kimchi industries are capitalized by government. So, market opportunity and competence of women's enterprise is shrinking up because of unbalanced government policy and not enough resources.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men are high ranking managers or skilled workers. At the same time, women are low workers or just consumers. Women's labor and domestic skill are devaluated. It cause clear discrimination of sex and genderizing of entrepreneurship. However, industrialization of Kimchi provides a chance for women to work. There are possibilities of shrinking discriminations of sex because there is no high volume production and efficient industrialization. So, to expand opportunity of women's entrepreneurship we need to recognize the sexual gap of the access to the resources and opportunity and possibility in the entrepreneurship. We also have to develop marketing strategy and policy to reduce discrimination in the business. As a result of my thesis, we need strong support policy from government. Government need to provide training program for small women enterprise owner. According to a report, small women Kimchi enterprise can be successful by marketing strategy. Women enterprise can make high profit by traditional handmade method production and niche marketing. Each company need to work together to minimize risk, for example joint brand. To establish the policy, government need to do three things. First, government should change policy of warranty. They need to make new warranty of products for women enterprises. They need to provide the way to sell, for example school lunch program. Second, they also need to make marketing program, support of start-up for future business people. Third, we have to acknowledge businesswomen by changing our thoughts toward them. We need official study for working women. We also need to make network of sisterhood for empowerment of women entrepreneurship.

      •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관한 연구 :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주희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ffecting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f the aged by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it from many different angles, and on the basis of these draw up a concrete plan to increase it. To attain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aged, who played as volunteers in gener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Also, I looked into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sex, age, health, presence of his/her partner, living style of family, level of living,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job,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ies, volunteering careers),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e(selfish or altruistic), workers(contents, appropriateness, recognition of works), management(education, compensation, me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men volunteers were more than four times of men volunteers and most of their age was from sixty-five to sixty-nine. 69% among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thought that they themselves had good health and 96.4% of them answered that their levels of living were more than the middle classes. The rate of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his/her partner was almost equal and 89.3% of them lived with other members of their family. 76.2% of them had their religions and only 7.6% of them had their jobs now; Most of the old volunteers didn't have their jobs. The volunteers who have experiences in volunteer activities past, also were merely 28.6%, and 48.9% of them lasted now their volunteer activities for more than one year. Second, for participation motive, 57.1% of them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by altruistic motives, whereas the others of 42.9% by selfish motives. Third, for works, the volunteers who served simply were 56%, and others who served positively were 67.9%. More than the majority of them said that they played volunteering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ir aptitude and capabilities in proper time. Moreover, most of them thought that the institutions, in which they played the activities, regarded their activities as meaningful. Fourth, for management, 53.6% of them had been educated volunteer activities, 50% of them were compensated for the activities and 75.0% of them had regular meetings between other volunteers. In result,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f the aged and 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 motive, work, and management is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mong factor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health and career of volunteer activities; the more volunteer workers think they are healthy and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for a long time, the more frequency and time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increased. Second, I found that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e did not affect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motive did not affect degree of participation whether the participation motive is altruistic or selfish. Third, for factor of works, the more volunteer workers participated they want, did volunteer activities to meet with their abilities and aptitudes, spent proper tim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ought that the institutions considered their service activities to be meaningful, the more frequency and time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Forth, I found that education, compensation, and meeting -which I suggested as management factors in the above- were important factors differentiating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the more volunteer workers who received education on volunteer services, were compensated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participated in meeting with other volunteer workers, the more frequency and time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increa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method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f the aged as follows. First, the personnel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ho is responsible for volunteer activities of the aged, should support the activities emotionally so that the aged volunteer workers do volunteer activities continuously. Second, we should understand correctly what kind of services the aged volunteer worker wishes and decide services to satisfy their individual desires. Third, we should understand individual abilities and aptitude of the aged volunteer workers and divide services to meet their abilities. Forth, we should help the aged volunteer workers decide service time without affecting their daily lifes; it causes inconvenience in personal life if it spends too much time in services. Fifth, we should consider whether a distance between the house of the aged volunteer worker and the institution is appropriate. Sixth, institutions, in which the aged volunteer workers perform their activities, should help the aged volunteer workers consider that they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ose institutions. Seventh, educa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performed in advance. Eighth, we should prepare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for services and pay the cost for their services to the aged volunteer workers. Ninth, we should make regular meeting so that the aged volunteer workers discuss the problems or discontent in services and support them together.

      • 외래어 명사 변이형 인식을 위한 사전 연구 및 구축

        주희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constructs a dictionary of the alternants of nominal loanwords in order to efficiently process various nominal loanwords appearing in Korean texts. Normally, each loanword needs to be expressed in conformity with IPA phonetic transcription. However, in many of Korean texts, some loanwords are found to be frequently transliterated in more than two different forms. During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the alternants of loanwords become more common if either the pronunciation of a loanword is not in Korean or the pronunciation structure is different from Korean. In this regard, these various transliteration forms arise mismatch problem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To overcome the issue of word discrepancies due to transliteration, mos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automatic display of Korean from English with three approaches: dictionary-based, statistical-based, and rule-based. Here, most studies of transliteration are in favor of the statistical-based research. However, statistical-based phonetic transcription studies do not accurately reflect the various transliteration forms. Thus, this present study proposes a dictionary of the alternates of nominal loanwords from a complementary perspective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statistical – based research.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an alternant dictionary of nominal loanwords with a dictionary-based model that reflects rules and patterns by focusing on the linguistic features of individual vocabularies. Moreover, several alternants that are considered to be feasible in the text with incorrect spellings are included, since the goal is to analyze loanwords in texts. The dictionary of the alternants of nominal loanwords has started with the list of 12,680 loanwords from the DECO Korean electronic dictionary (Nam, 2018). The study has selected loanwords with simple (SIM) and mutable (VAR) tags that are used as nouns in a single word. Thus, the dictionary has consisted of a total of 1,141 loanwords in this present study. Additionally,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alternants of nominal loanwords – emphasis, deletion, abbreviation, epenthesis/insertion, and vowel mutation – in order to reflect variations of loanwords. For these linguistic features, long vowel sound and fortis for emphasis, liquid ‘ㄹ’ deletion, ‘ㅡ, ㅣ’ abbreviation, epenthesis of sai-siot and final consonants, and vowel mutations such as ‘ㅏ, ㅔ’ vowelization and semivowel formation have been deeply observed. The study makes use of Local-Grammar Graph(LGG) model which has proposed by Gross (1997) in order to effectively describe the alternant forms of loanwords. The LGG model is to implement partial language information in the form of Finite-State Automata syntax. Accordingly, the dictionary has consisted of one main graph and 34 subgraphs. The total number of alternants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dictionary is 8,056. The study has constructed experiment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ictionary by establishing and containing several loanwords. As a result, the dictionary has attained 81.7% of recall and 94.2% of precision.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statistical transliteration method from the complementary perspective and to reflec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vocabularies in the transliteration forms. Also, the alternant dictionary of nominal loanwords constructed i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database for constructing a recognizer in the future by expanding and complementing the criteria for generating altern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