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주소영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시설에 보호되고 있는 아동의 학대경험과 탄력성의 관계를 파악하고, 아동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 와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해 시설보호 아동의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의 경험실태, 시설 보호의 전반적 특성, 아동의 인지기능 수준, 아동이 지각하는 친구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 정도, 학대경험 아동이 보여주는 탄력성을 파악하였다. 아동의 인지기능과 사 회적 지지라는 매개변인이 학대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 는 보호요소가 될 것이라 가정하고 두 가지 이론모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모형 은 병렬적 매개모형으로 이들 보호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한 수준에서 학대 와 탄력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모형이다. 두 번째 모형은 순차적 매개모형으로 개인 적 차원의 보호요소인 인지기능이 사회적 지지라는 보호요소에 선행하여 매개효과 를 가질 것이라 설정한 모형이다. 본 연구는 두 연구모형 중에서 학대경험 아동의 탄력성을 설명하는데 더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을 밝혀내고, 매개경로의 유의성과 매개효과의 상대적 비중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족과 분리되어 1개월 이상 시설보호 하에 있는 9~12세 학령기 아 동 357명을 참여자로 하였고, 2006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서울, 경기, 경남, 전 남, 충남에 소재한 보호시설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1:1의 면접 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택한 아동의 인지기능 평가도구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Ⅲ)의 특성 상 연구자와 임상심리사 수련과정을 거친 심리 평가자가 면대면 개별검사를 실시하였으므로, 그 외의 질문지도 개별면접 과정을 통하여 작성되었다. 질문지는 주소영과 이양희(2007)의 아동용 탄력성 척도(RSC), 아동 학대경험 척도(한지숙, 2004), 사회적 지지 척도(김세원, 2003)와 인구학적 배 경, 학대경험 실태, 시설현황을 파악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도구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모든 척도들은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밝혀졌다. 자료분석은 SPSS 12.0과 AMOS 5.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 관계 분석, 문항내적합치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모집단동시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통계방법을 통하여 처리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도는 Sobel 검정방식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보호 아동의 학대경험 실태는 신체적 학대가 많았으나 단일형태로 발 생하기보다 정서적 학대와 중복되어 발생한 비율이 41%로 더 많았다. 시설보호 아 동의 70%이상이 1년 이상 지속적인 학대를 경험하였고, 절반이 넘는 아동들이 일상 적으로 반복되는 학대에 노출되었다. 학대행위자의 54%가 친아버지이었고, 알콜남 용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도 약 45%나 되었다. 시설보호 현황을 살펴보면, 35%의 아동이 9세 이전의 어린 나이에 시설에 입소하고 있었고, 40%이상의 아동이 1년 이 상 원가족과 분리된 채 방임되고 있었으며, 가정복귀 후 재입소하거나 시설 간 이 동이 잦아서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측정모형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들이 모두 기준치에 부합하였고, 각 측정변수들이 잠재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가 양호하였다. 측정모형의 동일성에 대한 검증 결과, 본 연구의 측정모형은 남 녀집단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측정모형의 자료가 서로 동질적인 것임을 확 인하였다. 셋째,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고 모수 추정치를 분석한 결과, 두 모형이 모 두 양호한 적합도를 보여 타당한 모형임을 확인하였고, 아동학대는 인지기능과 사 회적 지지, 탄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렬적 매개모형에서 매개변인인 인지기능(z=-2.190, p<.05)과 사회적 지지(z=-7.668, p<.05)의 간접효과 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아동학대의 직접경로는 통계적 의미가 없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설정한 아동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등한 수준에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은 지지되었 다. 한편 순차적 매개모형에서 아동학대가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를 거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면 이 매개효과(z=-2.573, p<.05)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아동학대의 탄력성에 대한 영향에서 아동의 인지기능이 사회적 지지에 선 행하여 순차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도 지지되었다. 하지만 순 차적 매개모형에서는 아동학대의 탄력성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남아있어 간접효과 에 비해 직접효과가 더 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떤 매개모형에서 아동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아동학대 의 직접적인 영향을 더 많이 줄일 수 있는가에 관심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든 매개모형이 타당한 모형임을 확인하였으므로, 모형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두 모형을 경쟁모형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병렬적 매개모형이 최종적인 모형으 로 채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병렬적 매개모형에서, 아동의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학대아동의 탄력성에 대한 전체적인 간접효 과에서 어떤 상대적 비중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병렬적 매개모형에서 두 매개변인 의 간접효과를 비교하면, 아동의 인지기능은 44%에 해당하고 사회적 지지는 56%를 차지하여, 아동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12%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최종적으로 채택한 병렬적 매개모형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개발된 모형 을 여러 집단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남녀집단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아집단과 여아집단의 모형에서 나타난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모두 기 준치에 부합하여 양호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두 집단에서 아동의 인지기 능과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의 상대적 비중을 비교한 결과는 흥미롭다. 매개 변인들이 보여준 아동학대의 탄력성에 대한 전체 간접효과에서 사회적 지지(64%) 는 남아집단에서 더 큰 간접효과를 보였고, 인지기능(54%)은 여아집단에서 더 큰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남아들은 자신에 대한 주변 환경의 사회적 지지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여아들은 개인적 특성인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학대의 부정 적 경험을 이겨내고 탄력성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 연구는 아동학대가 아동의 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변인에 의해 그 영향을 줄이고 더 나은 탄력성을 보일 수 있다 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특히, 치료적 목적이 될 수 있는 매개변인이 개입됨으로써, 학대의 직접효과는 줄어들고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간접효과만 남는다는 것은 실제적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요구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몇 가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아 동의 인지기능에 비해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학대 경험 아동의 적응을 위해 학교와 시설체계, 아동보호서비스와 관련된 각 분야의 연 계가 절실한 문제임을 깨우친다. 그리고 아동보호체계들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할 뿐 아니라, 학령기 아동의 중요한 사회적 맥락인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에서 중재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학대경험 아동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보 호요소들의 매개효과를 찾아낸 이 연구는 고위험에 놓인 학령기 아동이 자신의 역 경을 극복하여 바람직하게 적응하고, 청소년기로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and to establish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maltreatment and resilience of school-age children taken in by child protection service systems. The work on which this paper is based examined children's experiences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alongside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s, further recording children's levels of cognitive function, children's own reports of degree of social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and teachers, and finally measures of abused children's resilience. The pre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wo mediators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may serve as protective factors, thereby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their maltreatment and enhancing their resilience. The study follows through on this assumption in its development of two theoretical models explaining children's resilience. In the first model (the mediating model of linear arrangement), each supposed protective factor mediators independently between maltreatment and resilience, so that two factors may be viewed as being linearly arranged; in the second model (the mediating model of arrangement in due order), cognitive function is taken to have mediating effects prior to social support, so that the factors are understood as mediating in due order. Further, the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models above,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relative weight of the two mediating effects, aiming to identify the more correct and simpler model explaining maltreated children's resil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57 children (male; 225, female; 132) between 9 and 12 years old who had lived in child care centers for more than one month.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in centers in Seoul, Gyeonggi, Gyeongnam, Jeonnam and Chungnam in South Korea between November 2006 and July 2007. The study measured children's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Korea-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K-WISC-Ⅲ), with tests administered in personal interviews with children and recorded by researcher holding K-WISC-Ⅲ scores independently. Other measures were calibrated according to the Resilience Scale for Children (So-Young Ju, Yang-hee Lee, 2007), the Child Abused Scale (Ji-Sook Han, 2004), the Social Support Scale (Se-Won Kim, 2003), children's personal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child maltreatment and child care centers. In analyzing data, this study employed statistical terms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alpha, explan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imultaneous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SPSS 12.0 and AMOS 5.0 program; in clarifying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Sobel test was used. Research results highlight five aspects as especially significant. First, in analyses of maltreated children living in child care centers, 41% of children show multiple abuses, including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the percentage for multiple abuses is higher than for any form of single abuse. Moreover, 70% of maltreated children experienced long-term child maltreatment lasting longer than a year; and 50% of these children were regularly subject to repeated abuse. 54% of abuser were children's fathers, with alcoholics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all abusers. In the present conditions of child care centers 35% of children were admitted before they were nine years old; and 40% remained separated from their family. These conditions in which those children have living are extremely unstable and insecure. Second, in analyses of the validity of measurement model for child resilience, the average fit indices all came up to standard, with latent variables satisfactory explaining each measurement variable. Further, analyses of equa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ttes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This satisfied validity conditions for this study's measurement models of child maltreatment and of children's resilience, further implying that these are equally applicable to Korean children between 9 and 12 in age, regardless of gender. Third, these valid models, as attested by their excellent fit indices, showed that child maltreatment had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cognitive functi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 first model (the mediating model of linear arrangement), the indirect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z=-2.190, p<.05) and social support (z=-7.668, p<.05)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effects of maltreatment were not captu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ather revealing complete mediating effects. This finding confirm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showing that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each have independent indirect effects, operating at the same level. Taking into account, in the second model(the mediating model of arrangement in due order), the process in which maltreatment influenced children's resilience via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this mediating effect (z=-2.573, p<.05) also showed up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 turn supports the study's hypothesis that, regarding the impact of maltreatment on resilience, children's cognitive function may operate prior to social support. However, the direct effects captured by this second model evidenced far more partial-mediating effects than did the indirect effects, on account of the negative impact of maltreatment on resilience. Fourth, this study was concerned to determine which of the two mediating models more effectively mitigated the direct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A comparison of the two competing models, proved by the study to be equally reliable, found the first mediating model of linear arrangement more definitive. The study then ought to determine the relative weigh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as proportions of the total indirect effects of abused children's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44% of mediating effects could be attributed to cognitive function and 56% to social support, meaning that children perceiv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latter as 12% larger than those of the former. Last, this study examined the stability of its final structured model, analyzing male and female groups in order to clarify whether the model held for both groups. In fact, both male and female groups showed excellent fit indices with the study's model. Moreover, a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groups as to the relative weight an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yielded interesting results; namely, for the whole indirect effect of child maltreatment on resilience, male group showed a greater weighting for social support (64%) as a mediating effect, while female group showed a greater weighting for cognitive function (54%). This suggests that boys perceived the social support of their environment as being more significant than girls, while girls possess better cognitive functioning than boys; and that the more these statements are true, the more representatives of the two groups are resilient in the face of abuse, thus standing a better chance of recovering from their negative experiences. This study asserts that, although child maltreatment has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resilience, two mediators, in the form of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can diminish such effects, bolstering children's resilience. The significance of study lies in its claim that cognitive function and social support, especially if boosted through therapy, may serve to mitigate the direct effects of child abuse, with the indirect effects of those mediators remaining active in the course of treatment. This study is innovative in making this suggestion, shedding further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reventive interventions in enhancing children's resilience so far as is deemed necessary. In summary, this work is significant in two respects. First, it suggests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count for more than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in children's resilience. The implication is that in caring for maltreated children, it is vital to establish more systematic links between such social support systems as child care institutes and child protection service systems. Further, as this study shows, the activities of these centers should coordinate with those of social communities including schools, which as children's most important social environment may be in a position to apply appropriate strategies of mediation. In finding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bolster abused children's resilience, this work focuses most attention on the social settings from which at-risk children can draw support as they seek to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of any child maltreatment and move towards a happy adolescence.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비판적·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주소영 순천향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21세기 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지식과 정보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과거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교육에서 무엇인가를 이뤄내기 위한 교육의 단계를 지나 과정을 통해 혁명과 새로운 발견을 이끄는 교육의 시대로 변화하여, 지식과 정보를 개발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한 지식을 습득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넘쳐나는 수많은 정보 사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주어진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비판적 사고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동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도록 단계를 그림으로 제시하는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Problem-Based Learning; PBL)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효과 여부를 살펴보고 지능, 가정환경, 학교환경에 따라 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PBL과는 차별화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을 총 20차시 개발하였으며, 웩슬러 지능검사 IQ 125이상 또는 레이븐 지능검사 결과 백분위 90 이상인 영재아동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으로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근거 들어 주장하기, 편견탐지하기, 신뢰로운 정보 선택하기, 비판적 사고력 전체와,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 자기신뢰성, 비판적 성향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투입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창의적 사고력 중 언어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언어 전체와 창의적 사고력 중 도형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 도형 전체,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동기, 능력, 창의적 성향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재의 지능에 따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IQ 130이상의 최우수 집단과 IQ 120~129의 우수 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최우수 집단이 우수 집단에 비해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근거 들어 주장하기, 숨겨진 가정 확인하기, 비판적 사고력 전체, 창의적 사고력 중 언어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언어전체와 창의적 사고력 중 도형의 하위요인인 제목의 추상성,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태도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재의 가정환경에 따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가정환경을 가족의 구성과 부모의 직업,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은 정도로 크게 3가지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외동인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창의적 사고력 중 도형의 하위요인인 유창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부모가 일반 직업군에 속하는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편견 탐지하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어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가정에서 심리적 지지를 잘 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동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영재의 학교환경에 따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교환경을 교사와의 관계와 또래와의 관계로 크게 2가지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교사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 확인하기,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탐구성, 비판적 성향 전체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을 또래와 관계가 좋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숨겨진 가정확인하기, 비판적 성향의 하위요인인 개방성, 자기신뢰성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또래와 관계가 좋지 않은 아동에게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인 신뢰로운 정보 선택하기에서 더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PBL 프로그램이 영재의 비판적 사고력과 성향, 창의적 사고력과 성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Brain plastic changes for neuropathic pain in patient with electrical burn or non-electrical burn injury : an approach with multimodal neuroimaging

        주소영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Causes of neuropathic pain in electrical burn (EB) and non-electrical burn (NEB) are different; therefore, our study aimed to characterize changes to pain networks in both groups by measuring cerebral blood volume (CBV) and processing of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Materials and Mathods Sixty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20 EB and 40 NEB] with a VAS five or higher and twenty healthy controls were chosen. Pain intensity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CBV maps and DTI measurements were analyzed using functional MRI software library. Results In the whole burn group, including EB and NEB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BV of postcentral gyrus, frontal lobe, temporal lobe, and insula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P < 0.05). In E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d CBV in frontal and temporal lobe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P < 0.05). In NE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CBV in the postcentral gyru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d CBV in precentral gyrus and frontal lobe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In only E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in severity and CBV in bilateral superior parietal lobe (P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actional anisotropy (FA) or radial diffusivity (RD) values among groups. The whole burn group and the EB group showed higher mean diffusivity (MD) and axial diffusivity (AD) values associated with tracts, where CBV changes were observed, than the healthy controls. The NEB group showed higher AD values in bilateral corona radiata than the healthy controls and no differences in MD values. EB group showed higher AD values compared with NEB group in corona radiata. Conclusion This study found differences in CBV and structural connectivity by DTI complements in different regions associated with the cerebral pain network among the EB, NEB, and control groups. Our findings provide strong evidence for brain plasticity in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due to burns. 목적 전기 화상 및 비 전기 화상에서 신경병성 통증의 발생 기전은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상후 만성 신경병성 통증의 기전에 대한 연구시 전기 화상과 비 전기 화상은 구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공명촬영을 통해 확산텐서 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과 뇌혈류량(cerebral blood volume)을 측정함으로써 화상 이후 통증 네트워크의 변화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화상 수상후 신경병성 통증이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 scale) 5점 이상인 환자를 포함 시켰다. 20명의 전기 화상 환자군, 40명의 비 전기 화상환자군과 20명의 통증이 없는 정상 성인의 뇌영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촬영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functional MRI software library)를 이용하여 뇌혈류량과 확산텐서 영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기 화상 및 비 전기 화상 그룹을 포함한 전체 화상 환자 그룹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 전두엽(frontal lobe), 측두엽(temporal lobe)과 대뇌섬(insula) 의 뇌혈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전기 화상 환자군에서는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두엽과 측두엽에서 뇌혈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비전기 화상 환자군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중심뒤이랑에서 뇌혈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와 전두엽에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뇌혈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기 화상 환자군에서만 양측 위 두정엽(superior parietal lobe)에서 통증 강도와 뇌혈류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P < 0.05). 그룹들 사이에서 분할 비등방도(fractional anisotrophy) 또는 방사형 확산도(radial diffusivity) 값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화상 그룹 및 전기 화상 그룹은 건강한 대조군보다 뇌혈류 변화가 관찰된 영역에서 높은 평균 확산도(mean diffusivity) 및 축 확산도(axial diffusivity) 값을 나타 내었다. 비 전기 화상 그룹은 건강한 대조군보다 양측 방사관(corona radiata) 에서 더 높은 축 확산도 값을 보였으며, 평균 확산도 값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기 화상 그룹은 방사관에서 비전기 화상 그룹과 비교하여 높은 축 확산도 값을 나타 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기 화상 그룹, 비 전기 화상 그룹과 정상군에서 통증 감각 영역과 운동영역에서 뇌혈류량과 구조적 연관성을 나타내는 확산텐서 영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상으로 인한 신경병성 통증 발생 시, 뇌 가소성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공했다고 생각된다.

      • EGCG는 장상피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된 NF-kB 및 MAPK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한다

        주소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Aims: Green tea consump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 reduce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the main catechin in green tea ha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aim of current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impact of EGCG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nate signaling in rat intestinal epithelial cells (RIE) and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s (BMM) isolated from ICR mice. Methods: The effect of EGCG on LPS-induced NF-κB activation,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an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was examined in RIE and BMM. All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by RT-PCR. IκBα degradation and RelA nuclear translocation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DNA binding activity of NF-κB was determin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The phosphorylation level of MAPK signaling proteins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LPS-induced ICAM-1, VCAM-1, IL-6, MIP-2 and 3α mRNA accumulations were inhibited by EGCG treatment in RIE. In addition, LPS-induced IκBα degradation and RelA nuclear translocation were blocked by EGCG in RIE.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1/2 was inhibited by EGCG in RIE. Moreover, LPS-induced IL-6, IL-12p40, IL-23p19, MCP-1, MIP-3α, ICAM-1 and VCAM-1 mRNA accumulations were inhibited in EGCG-treated BMM. LPS-induced IκBα degradation and RelA nuclear translocation were blocked by EGCG-treated BMM.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ERK1/2, JNK and p38 was inhibited by EGCG-treated BMM. EGCG blocked DNA-binding activity of NF-κB in RIE and BMM. U0126 (a specific inhibitor of MEK-1, an upstream effector of ERK1/2) suppressed the LPS-induced ICAM-1 and VCAM-1 mRNA accumulations in RIE and BMM.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GCG prevents LPS-induce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through blockage of NF-κ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in RIE and BMM. Therefore, modulation of these pathways by EGCG could contribute to the treatment of IBD. 배경/연구목적: 녹차를 섭취하면 심혈관계질환과 악성종양의 발생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카테킨 성분으로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쥐의 장상피세포와 골수유도 대식세포에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신호전달경로에 대한 EGCG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NF-κB, MAPK 신호전달경로와 전염증성 유전자에 대한 EGCG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쥐의 장상피세포와 골수유도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모든 전염증성 유전자는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IκBα 분해와 ReIA 핵내 전이는 Western blotting과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NF-κB의 DNA결합능은 전기영동 mobility shif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MAPK 신호전달단백의 인산화 정도의 평가에는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였다. 결과: 쥐의 장상피세포에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IL-6, MIP-2, MIP-3α, ICAM-1 및 VCAM-1 mRNA의 발현이 EGCG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IκBα 분해와 RelA 핵내전이 역시 EGCG에 의해 차단되었으며, ERK1/2 의 인산화도 EGCG에 의해 억제되었다. 쥐의 골수유도 대식세포에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IL-12p40, IL-23p19, IL-6, MCP-1, MIP-3α, ICAM-1과 VCAM-1 mRNA의 발현이 EGCG 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IκBα 분해와 RelA 핵내전이가 EGCG투여에 의해 차단되었다. ERK1/2, JNK 와 p38 의 인산화도 EGCG투여 후 억제되었다. 쥐의 장상피세포와 골수유도 대식세포 모두에서 EGCG는 NF-κB의 DNA결합능을 감소시켰다. U0126은 쥐의 장상피세포와 골수유도 대식세포 모두에서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ICAM-1과 VCAM-1 mRNA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대로EGCG가 쥐의 장상피세포와 골수유도 대식세포에서 NF-κB와MAPK 신호전달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지질다당체에 의해 유도되는 전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염증에 관여하는 신호전달경로에 대한 EGCG의 차단효과는 녹차가 염증성장질환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도덕, 영어 통합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주소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한된 초등학생의 영어 능력을 토대로 도덕적인 가치와 문제들을 수업 현장에 끌어들여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창의․인성을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창의․인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도덕, 영어 교과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창의․인성 수업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구체화시켜 경기도에 소재한 G초등학교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하여 파일럿팅을 하였으며, 영어 교육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수업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에 따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의 창의․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도덕, 영어 교과의 통합 수업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초등 영어의 제한적 언어 능력의 문제를 극복하고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활동과 도덕적인 상황 제시를 통해 창의․인성의 지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개발한 창의․인성 수업모형을 적용한 결과, 지필평가를 통한 평가 결과를 통해서는 평균만 올랐을 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말하기 영역의 유창성이나 참여도, 그리고 창의․인성 요소 측면에서의 과제집착, 호기심, 사고의 개방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수업 시간을 통해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창의․인성 수업을 계획하여 도덕, 영어 통합 수업모형을 적재적소에 도입한다면 언어 학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창의․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목표 언어를 암기하여 기계적으로 발화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가 경험하는 도덕적 가치와 상황을 수업 시간에 끌어들여 목표 언어와 연계시키고, 목표 언어를 실제적인 맥락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진정한 의미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 영양정보가 단백질 강화스낵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단백질 강화 스낵에 대한 영양정보가 소비자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백질 함량이 다른 스낵 3종(10, 20, 30%)을 개발하여 시료로 제시하였고 20-30대 남, 녀 223명을 대상으로 비정보군과 정보군으로 나누어 소비자 검사를 실시하여 제품에 대한 영양정보가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소비자 검사에서는 제품에 대한 정보(단백질 함량, 열량, 유기농 여부 및 스낵의 외관사진 등)의 제공 유무에 따른 기호도 조사, 스낵의 선호와 비선호 이유에 대한 CATA(Check-all-that-apply)설문조사, 구매와 추천의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추가로 스낵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섭취현황, 단백질 스낵에 대한 인식 및 스낵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비정보군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적은 LPS(10% 단백질군)와 MPS(20% 단백질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PS(30% 단백질군)을 비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보군의 경우 비정보군의 결과와는 다르게 단백질 함량이 높은 MPS(20% 단백질군)와 HPS(30% 단백질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이 가장 낮은 LPS을 비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제품의 관능적인 특성보다는 주어지는 제품의 외적정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단백질 강화 스낵 시료의 선호 이유 및 비선호 이유에 대한 CATA 설문 결과 정보군과 비정보군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선호 이유로는 “담백함”, “촉촉함”, “풍부한 맛”, “곡물 향미”가 주로 선택되었으며, 비선호하는 이유로는 “텁텁함”, “색”, “외관”, “건조함”이 주로 선택되었다. 정보군의 선호 이유로는 ”곡물맛”, “바삭함”, “건강에 좋을 것 같음”, “친숙함” 등이 선택되었고, 비정보군의 선호 이유로는 “단맛, 스낵의 질감”, “담백함” 등이 선택되었다. 정보군의 비선호 이유로는 “단맛”, “외관”, “색”, “건조함” 등이 선택되었고 비정보군의 비선호 이유로는 “눅눅함”, “건조함’, “외관” 등이 선택되어 정보 유무에 따른 시료별 선호 이유 및 비선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단백질 스낵 인식 및 스낵의 요구도 조사 결과 정보군에서는 스낵에 단백질 첨가 비율을 높였으면 좋겠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비정보군에서는 단백질 첨가 비율을 낮췄으면 좋겠다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스낵의 원재료로 정보군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높은 두류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비정보군에서는 곡류를 선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유무에 따라 단백질 스낵에 대한 기호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 하였으며 CATA를 이용하여 응답한 소비자의 선호 이유 및 비선호 이유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보유무와 시료간의 교호효과를 검증하여 소비자에게 있어 영양 강화 정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에 대한 정보가 주어짐에 따라, 감각적 특성만이 아닌 다른 요소들의 영향으로 기호도가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Even though sensory characteristic of a product is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preference of consumers, external factors of the product also affect consumer prefer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external information of the different protein percentage(10%, 20%, 30%) influence consumer preference of snacks that were made with ISP and WP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nsumer acceptability for protein snacks not only changes based on intrinsic sensory characteristics, but it also gets influenced by other external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ingredients, calorie, protein percentage etc of the snack.) It was found that percentage of protein information had a great impact on consumer.

      •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rtuin in the Growth and Encystation of Acanthamoeba : 가시아메바의 성장 및 분화에 있어 sirtuin 단백질의 역할 규명

        주소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Encystation of Acanthamoeba leads to resilient cysts from vegetative trophozoites. This process is essential for parasite survival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such as starvation, low temperatures, and exposure to biocides. To inhibit Acanthamoeba from encysting during the treatment of amoebic infections can lead to more favorable outcomes. During encystation of Acanthamoeba, the expression levels of encystation-mediating factors were upregulated. However, the regulatory mechanism in their expressions during the encystation, to our knowledge, remains unknown. Sirtuin is one of the sensors that interpret external information and coordinate the internal reaction at the sub-cellular level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cellular functions such as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apoptosis, DNA repair, and longevity. Here, we identified a sirtuin-like protein (Acanthamoeba castellanii sirtuin 2, AcSir2)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and characterize its cellular functions in trophozoites and cysts of Acanthamoeba. AcSir2 contains a highly conserved protein domain of the SIR2 family, clustering to class IV sirtuins with humans SIRT 6 and SIRT7. 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AcSir2 protein has the YEATS domain, which recognizes an acetylated lysine and binds it, following a catalytic domain. SIRT deacetylase activities of AcSir2 was determined in the nucleus of AcSir2-overexpressing cells. AcSir2 is highly expressed during encystation and is localized mainly in the nucleus of A. castellanii. AcSir2-overexpressing trophozoites showed increase in cell density, cell size, DNA content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se changes result from the overexpression of AcSir2, Acanthamoeba trophozoites were treated with the sirtuin inhibitors, sirtinol and salermide. The sirtuin inhibitors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Acanthamoeba trophozoite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reatment of encysting cells with sirtinol and salermide during encystation decreased mature cyst formation. TEM-based ultrastructural analysis in the encysting cells after treatment with sirtuin inhibitors revealed that sirtuin proteins are required for autophagosomal degradation or cyst walls construction during encystation of Acanthamoeba. In AcSir2-overexpressing cells, the rate of encyst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and some of the encystation-mediating proteins, including cyst specific cysteine protease, encystation mediating serine protease, catalase, and cellulose synthase were much more highly expressed than in controls during encystation. In trophozoites, deacetylase activities of AcSir2 are tightly regulated for optimal growth of Acanthamoeba, but those are highly upregulated and mediate in transcriptional increases of encystation-mediating proteins in order for Acanthamoeba to encyst successfully during encyst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Sir2 is a SIRT deacetylase and plays an essential role as regulator of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Moreover, regulation of AcSir2 expression itself is indeed important for growth and encystation of Acanthamoeba. Sirtuins of Acanthamoeba are valuable as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ing Acanthamoeba infections. 인간의 생활 환경 주변에 널리 분포하는 가시아메바는 피부염, 아메바성 각막염 또는 육아종성 아메바성뇌염을 유발 할 수 있다. 가시아메바의 생활사는 영양형과 포낭형으로 나누어지며 적합한 생존 환경에서는 영양형의 형태로 증식하는 한편 영양분의 고갈, 급격한 온도, 삼투압 및 pH변화, 항아메바 약제 처리 등의 생존에 불리한 환경에 직면하면 포낭을 형성하여 저항성을 갖게 되고 생존을 유지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항가시아메바 약제 개발을 위해서는 가시아메바 포낭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가시아메바 포낭형성과 관련된 연구는 포낭형성 과정 동안 특이적인 발현 증가를 나타내는 인자들을 발굴하는데 중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포낭 형성과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이 어떠한 방식으로 조절되어 특이적인 발현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효모에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존재하면서 다양한 외부요인 및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한편 세포증식, 대사과정, apoptosis, 자가포식, 수명연장, 노화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세포 조절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sirtuin 단백질을 가시아메바에서 처음으로 동정하고 (Acanthamoeba castellanii sirtuin 2, AcSir2), 가시아메바의 생활사인 영양형과 포낭형에서 그 세포생물학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가시아메바 Sir2단백질은 SIR2 family 단백질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catalytic domain이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phylogenic 분석을 통해 사람의 sirtuin 6와 7이 포함된 class IV sirtuin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cSir2는 phylum Sarcomastigophora 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class IV sirtuin이다.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종의 sirtuin과 구별되는 뚜렷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catalytic domain 에 이어 아세틸화된 리신을 인식하고 결합하는데 관여하는 YEATS domain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시아메바의 영양형과 포낭형에서 Sir2의 발현양상을 qRT-PCR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영양형 보다 포낭형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포낭 형성을 유도한 후 24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가장 높은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AcSir2의 세포내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EGFP를 fusion 한 가시아메바 발현 벡터를 transfection한 후 관찰한 결과, 영양형과 포낭형 모두 핵에 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cSir2 단백질이 과발현되고 있는 영양형의 핵추출물을 이용하여 AcSir2의 deacetylase활성을 확인하였고 sirtuin저해제인 salermide에 의해 효소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Sir2 단백질이 과발현되고 있는 영양형의 경우 in vitro 배양시 세포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control에 비해 세포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AcSir2 단백질이 과발현되고 있는 세포는 control에 비해 세포 크기가 증가하는 한편 세포내 DNA양 또한 증가하였고 미토콘드리아 membrane potential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가시아메바 Sir2가 과발현되고 있는 영양형에서 세포의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control과 비교했을 때 미토콘드리아의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세포 변화가 AcSir2의 과발현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고자 sirtuin inhibitor로 알려진 salermide와 sirtinol을 처리한 결과 세포 밀도, 세포 크기, 세포내 DNA의 양이 증가하지 않았다. 아울러 salermide와 sirtinol를 처리하였을 때 약제의 농도와 시간을 증가시킬수록 영양형의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시아메바 Sir2단백질은 영양형의 성장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작용하며 영양형에서 Sir2는 주로 미토콘드리아의 biogenesis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AcSir2가 cloning된 가시아메바 발현 벡터를 transfection 시켜 AcSir2가 과발현되도록 한 후 포낭 형성을 유도하였을 때 포낭 형성 속도가 control에 비해 현저히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포낭 형성 속도 증가 요인이 가시아메바의 과발현으로 인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가시아메바의 포낭형성을 유도한 후 sirtuin 저해제인 salermide와 sirtinol를 처리한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가시아메바 보다 포낭형성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AcSir2를 과발현 시킨 가시아메바에서 포낭 형성 속도가 발라지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AcSir2가 과발현되고 있는 가시아메바의 포낭 형성을 유도한 후 지금까지 가시아메바 포낭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발현 양상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이들 단백질 가운데 특히 CSCP, EMSP와 같은 단백분해효소들과 catalase, cellulose synthase 등의 발현이 control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AcSir2의 과발현에 의해 포낭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질들이 발현이 조절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가시아메바가 포낭을 형성하는 동안 sirtuin저해제인 sirtinol과 salermide를 처리한 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sirtinol의 경우 control과 달리 autophagosomal structure가 관찰되지 않았고 대부분의 미토콘드리아가 분해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salermide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ectocyst세포벽이 가시처럼 돌출되어 있었으며 endocyst 세포벽과intercyst space가 사라진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시아메바 Sir2단백질은 포낭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질로, 포낭형성에 필요한 단백분해효소의 발현과 endocyst세포벽을 만드는데 필요한 cellulose synthase의 발현을 조절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가시아메바 Sir2단백질은 SIRT deacetylase 활성을 가진 functional단백질로서, 가시아메바 영양형에서는 세포 성장과 분열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단백질로 생각되며 정상적인 분열 성장을 하는 영양형에서는 AcSir2의 발현이 엄격히 조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가시아메바의 포낭형에서는 포낭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regulator로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가시아메바 AcSir2단백질은 가시아메바의 성장 및 분화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regulator로 생각되어지며 항아메바 약제 개발을 위한 중요한 표적 단백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