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 개그의 〈개그 7세대〉 수용 양상과 의미 : 페코파, 엑시트, 미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효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일본개그를 대상으로 하며, '개그 7세대'를 중심으로 페코파, 엑시트, 미키의 3개 개그 그룹 작품을 분석의 초점으로 선정하였다. 세 개그 그룹의 작품을 일반문화 패턴 요소로 분석하고 그 우수성과 인기 요인을 연구해 '개그 7세대'의 공통점을 짚어봤다. '개그 7세대'의 공통성을 통해 일본 문화 복합의 중심이 '웃음'에서 '호감도'로 변화한 것은 관객의 취향이 문화 접변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글은 '문화 패턴'의 연구방법론을 이용해 개그 작품, 개그 시청자를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해 결론을 내린다. 결국 개그는 각국의 문화와 고도로 묶여 있는 대중문화 장르이지만 관객층이 다른 나라의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진로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각국이 문화 접변 전략을 수립할 때 자국 문화를 중시하는 상황에서 관객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지도해야 전통 문화와 자국 문화 사이의 연결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일본 가전 브랜드를 중심으로

        조효설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ross-Cultural study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Japan consumer electronics brand- Cao XiaoXue Advisor : Kim ChangYo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reign brand preference of Korean students with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consumer ethnocentrism, conspicuous consumption, brand of origin effect, product judgment was considered as key deterministic variables for foreign brand preference. From the analysis we could conclude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oduct judgment have posi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Consumer ethnocentrism of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nega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ut consumer ethnocentrism of Korean college student have on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And brand of origin effect also has no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of each country. 국문초록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일본 가전 브랜드를 중심으로 A Cross-Cultural study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Japan consumer electronics brand- 언론광고학과: 조효설 지도 교수: 김창룡 본 연구는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연구이다. 그래서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먼저 파악해 보고, 아울러 이들 요인 가운데 어떤 요소가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브랜드원산지효과,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제품의 품질평가, 과시소비성향, 미디어의 보도5가지 변수를 도출할 것이다. 주요어: 브랜드원산지효과,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제품의 품질평가, 과시소비성향, 미디어의 보도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양태부사에 대한 연구 : 호응관계를 중심으로

        자오샤오쉐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27

        在韩语中表示语气,起到修饰全句作用的词汇叫做样态副词,也就是汉语中的语气副词。 本文从韩语教学的角度详细地总结并选取了韩语教育中必须涉及的语气副词,通过在总结整理语气副词词义的基础上结合在语句中与其他语句成分相呼应的句式特点的研究,从而达到整体系统地理解韩语语气副词的目的,并将研究结果结合教育法运用在实际韩语教学中。 语气副词在词汇中是较为独特的,其语法意义和语法形式与其他词汇有较大的不同,语气副词是表示语气范畴的一种重要语法手段,在语言系统中有其独特的作用。西方的一些语言主要用语调和动词的变化了表示语气,韩语中也用语调表示语气,但更重要的是用语气副词来表示语气,所以人们日常的交流沟通当中语气副词在表达人的情绪,态度时起到非常重要的作用。然而,尽管如此,由于在韩语句式中语气副词与动词,形容词等其他构成文章基本成分的词汇相比并不作为句子的基本成分,同时语气副词由于在句式中与其他成分相互制约的关系,如果与其他句式成分不构成呼应关系,那么整个句子将不被成立。以上两种原因使得语气副词在韩语教育中并未得到重视和强调。 但是在韩语的学习过程中,作为中高级韩语学习者,语法项目大部分已经掌握的基础上,他们需要更深入的了解韩语,从而更好的了解韩国及韩国文化,其中语气是学生学习中的一个重要的方面,只有对语言的感受有更深的了解才能更好地培养对韩语的语感,这是韩语中高级阶段的学习中必须注意的问题。所以,本文不仅局限于对语气副词的本体研究,还注重了语气副词在韩语教学中的应用,本文对语气副词的考察力求理论和教学应用的结合,使得学生在运用韩语时更加得体,更加自如。 本文共分四部分,首先第一章简要概括了关于韩语语气副词的前人的研究结果,以及在韩语教学应用中的现状,通过对语气副词研究的调查发现韩语国语中关于语气副词的研究成果远远大于对外韩语教学中语气副词的研究,其原因,仍是在对外韩语教学中对语气副词的教学重视程度不够造成的。然而在关于外国学生的韩语错误调查的研究中发现,由于外国学生对于语气副词的不充分的理解和使用导致在出现语气副词的句式中往往忽略与之相呼应的其他成分使得整个句子不成立。所以在本文第一章中作者着重强调了在韩语教学中语气副词教学的重要性和必要性。 第二章整理了语气副词的概念并介绍了句式中各个成分呼应关系的特点。本章作为理解全文的基础内容整理了语气副词的定义,并且为了展开本文对于语气副词呼应关系的重点内容首先简单介绍了呼应关系的特点及在韩语中的重要地位。 第三章选定韩语教学中必须学习的基本语气副词,根据选定的副词目录进行教材分析,根据学生韩语水平等级,教材中出现的语气副词的数量及目录,教材中出现语气副词的教学方法进行分析并指出问题点。然后使用韩国国立国语院2011年发行的语言库资料进行韩国人实际使用语气副词的数据研究调查,从而掌握韩国人实际使用语气副词的频率,总结语气副词与呼应句式的特点,结合以上教材分析和数据分析这两点整理出了韩国语教育中必须涉及的语气副词的词义以及与之相结合的句式关系。在此基础上研究适合韩语语气副词的教学方法并对个别副词进行举例说明。 最后,在结论中总结整理了本文的主要内容,提出了本文在现有的韩语语气副词研究中较为有价值的方面以及在之后关于语气副词的研究中需要补充和改善的方面。 希望本论文能够对学习韩国语的外国学习者起到积极的作用,更加有效的提高韩国语水平,从而在韩中两国的政治,经济,文法发展过程中,在文化语言方面起到一定的有效,积极的促进作用。 본 논문의 목적은 양태부사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양태부사의 의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통사적인 호응양상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있다. 한국어 양태부사는 문장부사로서 문장 전체를 수식하고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발화하거나 문장을 생성할 때 양태부사로 자신의 의도나 생각을 정확하고 자유롭게 표현하며 한국인 화자와 의사소통할 때 상대방의 태도를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사나 동사 등 다른 어휘 항목에 비해 중요도가 떨어진다고 평가되어 한국어 교재나 선행연구에서도 미흡하게 다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양태부사는 문장 내에서 수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장을 생성할 때 생략되어도 문장 형성에 아무지장이 없다. 하지만 양태부사가 문장에서 실현되면 문장 중의 문법형태와 호응관계를 이루어야 올바른 문장이 되며 그렇지 않으면 비문이 되기 쉽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로서 한국어 언어 능력이 높아질수록 한국어 화자와 많이 부딪히게 될 것이고 대학을 진학하는 경우도 많아지므로 특히 한국어 구사능력을 어느 정도 갖춘 중·고급 학습자들은 기본적으로 적당량의 양태부사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양태부사는 필수적인 어휘는 아니지만 주어진 문장을 통해서 화자의 태도를 풍부하게 표현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논문은 양태부사의 의미적 · 통사적 특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면 양태부사에 대한 교육은 대부분 단순히 의미해석에만 머무르고 있다. 양태부사는 문장 중에 다른 성분과 호응관계를 맺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지만 한국어 교육에서는 이러한 호응에 대해 제대로 교수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는 양태부사에 대한 교수방법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추출할 것이고 양태부사의 의미적, 통사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만한 내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어휘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제공해주는 것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어휘에 대한 이해차원에서 도움이 되며 풍부한 어휘지식은 독해력을 향상으로 연결된다. 어휘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이해영역에 해당하는 듣기와 읽기뿐만 아니라 표현영역에 해당하는 말하기와 쓰기에서도 풍부한 어휘력뿐만 아니라 문맥에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고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문맥에 맞게 올바른 문장을 생성하려면 어휘에 대한 이해만으로는 부족하고 어휘의 문법적, 화용적 정보까지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양태부사는 문장에서 다른 문법성분과 호응관계를 맺으면서 다양한 서법을 드러내는 특성이 있다. 어휘가 문법 형태와 긴밀한 통합관계를 이루어서 어떤 문법적인 의미를 실현하는 경우를 문법적 관점에서는 일종의 덩이형태(chunk)라고 부른다. 송현정(1998,2007)은 이러한 통합관계를 호응관계라고 정의하며 호응관계의 지도가 한국어의 상관적 어구들에 대한 의미와 형태를 생산 교육적인 면에서 지도하는 것이 된다고 지적하였다. 이처럼 한국어 교육에서 제대로 된 양태부사에 대한 의미적 · 통사적 정보를 총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가지고 양태부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양태부사에 대한 의미적 ·통사적 특징을 고찰한다. 말뭉치 자료를 통하여 양태부사의 호응양상과 공기정보를 수집해서 양태부사가 주로 어떤 성분과 공기하고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우선 양태부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양태부사의 호응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호응관계에 대한 논의를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용 양태부사 목록을 선정하고 선정된 양태부사는 기관별 교재에서 어느 단계에서 제시하고 있는지 어떠한 통사적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 어떤 교수법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은 양태부사의 의미적 특성을 토대로 말뭉치 자료에서 나타난 예문 및 출현빈도를 제시함으로써 양태부사의 통사적인 호응양상을 검토할 것이다. 양태부사의 의미적 특성을 살펴볼 때 양태부사의 사전의미와 기존연구에서 양태부사에 대해 세분한 의미 분류로 양태부사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한다. 의미적 특성을 살펴본 후 말뭉치 자료로 양태부사와 다른 문장성분과의 호응관계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말뭉치 자료 조사와 교재분석을 통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습용 양태부사의 호응양상을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문제를 검토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