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남성 발라드 음악의 최고 음 및 음역 변화 분석

        조준영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대중음악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음악의 3요소 중 하나인 멜로디에 관한 부분은 보컬 전공자들에게 중요한 주제일 수 있다. 음역은 성별로 인한 신체적 특징이나 개개인의 특징 또한 다르므로, 보컬 전공자들은 신체적 한계의 특성으로 음역과 최고 음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그렇기에 시대의 변화에 따른 음역과 최고 음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 연구의 출발점이다. 분석 대상은 1987년부터 2022년도까지의 남성 가수의 발라드곡이다. 분석 대상은 음악 포털 사이트 멜론의 시대별 차트에서 연도별 100위 안에 있는 발라드 장르의 곡 중 남성 가수가 가창한 상위 10곡으로 하여 총 360곡을 선정했다. 장르 분류에 발라드라는 단어가 들어간 곡만을 선정하며, 록발라드와 같은 장르는 록 또는 메탈로 분류되기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분석 결과 최고 음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 분석 기간인 1987년에 G4를 시작으로 마지막 해인 2022년은 B4로 5단계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음역은 2005년을 기점으로 크게 상승하였으나 2017년 이후로 조금씩 수치가 하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남성 발라드 음악의 음역과 최고 음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Popular music is evolving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ime. The aspect related to melody, one of the three elements of music, can be a significant topic for vocal majors. Vocal range varies due to gender-specific physical trai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ding vocal majors to take an interest in vocal range and high notes due to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ir physical attributes.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vocal range and high notes over time serves as the starting point for this research. The analysis focuses on male singers' ballad songs from 1987 to 2022. The selected songs are the top 10 songs sung by male artists within the top 100 on Melon's annual charts for each year, totaling 360 songs. Only songs with the word 'ballad' in the genre classification were chosen, excluding genres like rock ballad, which are categorized as rock or met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a consistent upward trend in the highest note over the years. Starting with G4 in the initial analysis period of 1987 and ending at B4 in 2022, there is a continuous ascent of five steps. In contrast, vocal rang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005 but has gradually declined since 2017.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observe changes in the vocal range and highest notes in Korean male ballad music.

      • 알쯔하이머병 환자에서 무감동과 실행기능 장애와의 연관성

        조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환자에서 무감동과 실행기능 장애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Fourth Edition(DSM-IV)의 AD 진단기준과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ease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Association (NINCDS-ADRDA)의 probable AD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64명의 AD 환자가 참여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 K-MMSE),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노인우울증(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실행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신경심리검사가 시행되었다. 무감동은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 NPI)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30명의 AD 환자가 무감동이 있었고, 34명의 환자는 무감동이 없었다. 무감동이 있는 군과 무감동이 없는 군 간에 나이, 성별, 교육수준, K-MMSE, CDR, S-IADL, GDS, 무감동을 제외한 NPI 모든 항목 등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무감동이 있는 군이 무감동이 없는 군보다 서울언어학습검사(Seoul Verbal Learning Test, SVLT) 즉각기억, go-no-go test, 범주 유창성 검사, 글자 유창성 검사 등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GDS 우울점수를 통계적 유의성에 근접하여 공변량으로 공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무감동이 있는 군이 무감동이 없는 군보다 SVLT의 즉각기억, go-no-go test, 범주 유창성 검사 등에서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그 외에 관념운동 실행증, 레이복합도형 베끼기(Rey Complex Figure Test, RCFT) 지연회상에서도 수행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AD 환자에서 무감동은 실행기능 장애와 연관됨을 시사하며, 임상에서 AD 환자에서 무감동이 있다면 실행기능의 저하가 있는지도 평가하여 치료 전략에 반영하여야 한다. 중심단어: 알쯔하이머병, 무감동, 실행기능

      • 항해사의 피로에 의한 해양사고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조준영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bout 600 cases of marine accidents occurred annually in Korea. According to many studies and analyses on marine accidents, 70~80% of marine accidents were caused by human factors. Among the human factors, the fatigue is very important factor. In particular, officers’ fatigue affected marine accidents a lot. Although officers’ fatigue serves as an important role in marine accidents, it is quite difficult to exactly examine the degree of officers’ fatigue. The studies on human factors and fatigue factors have been partially carried out, but they are insufficient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fatigue and marine acci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systematic and depth study on the effects of officers’ fatigue degree on marine acciden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human factors according to types of marine accidents and extracted important five factors affecting officers’ fatigue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by means of literatures and 5-point scale. In addition, evaluation factors of marine accident risks caused by fatigue factors were divided and structured by using ISM(Interpretive Structural Modeling). Lastly, it fou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fatigue factor drawn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decided marine accidents that were most highly caused by officers’ fatigue in order.

      • Effect of microstructure and electronic structure on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nSe

        조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화석 연료 및 기존 에너지 자원들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자원의 고갈 및 환경 오염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고, 친환경적이면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상호 변환할 수 있는 열전 기술은 에너지 위기와 환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열전재료의 효율은 ZT=S2σT/k로 나타내어지며 제백 계수 (S), 전기전도도 (σ), 열전도도 (k), 절대온도 (T), 로 구성된다. 높은 열전변환효율을 얻기 위해서, 열전재료는 높은 전기전도도와 제벡 계수, 그리고 낮은 열전도도를 동시에 가져야 한다. 하지만, 변수들의 복잡한 상호관계로 인하여 ZT 값을 최적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농도가 높을수록 전기전도도 (σ)는 증가하는 반면, 제벡 계수 (S)는 감소한다. 또한, 전기전도도의 저하 없이 열전도도만을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높은 열전효율을 갖기 위해서는 전하 농도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1019~1020 cm-3 의 캐리어 농도를 가질 때 열전 특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독성이 없고 지구상에 풍부한 원소를 포함하는 SnSe는 2014년에 단결정의 b 축 방향으로 ~ 2.6 (923K)의 높은 ZT값이 보고되면서 실용화 가능성이 큰 열전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계적 특성이 열악하고 생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단결정 SnSe를 소자에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SnSe에 대한 연구는 고효율의 다결정 SnSe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다결정 SnSe는 단결정 SnSe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와 높은 열전도도 때문에 ZT 값이 낮다. 따라서, 높은 열전 효율을 가지는 다결정 SnSe를 얻기 위해서는 전기전도도를 증가시키고, 열전도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및 전자구조가 다결정 SnSe의 열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미세구조, 밴드구조, 계면구조를 제어하여 다결정 SnSe의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를 동시에 제어하여 열전 효율을 향상시켰다. 먼저 다결정 SnSe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결 압력이 다결정 SnSe의 미세구조와 열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계적 합금화 공정으로 다결정 SnSe 분말을 합성한 후, 다양한 압력 조건 (30, 60, 90, 120MPa)에서 통전 활성 소결 (spark plasma sintering, SPS)하여 텍스처링 정도가 다양한 다결정 SnSe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압력이 30에서 120MPa로 증가함에 따라 텍스쳐링 향상에 의해 홀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향상하는 거동을 보였다. 반면, 소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격자 열전도도의 증가로 인해 열전도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입계에서의 포논 산란의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해석하였다. 60 MPa의 압력으로 소결한 다결정 SnSe의 823K에서 ZT ~ 0.7 값을 얻었으며, 이는 전기전도도의 큰 증가와 매우 적은 열전도도의 증가에 따른 결과이다. 이 연구를 통해 SPS 동안 가해진 압력 조건을 변화 시켜 텍스처의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다결정 SnSe의 열전 특성이 향상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SnSe–SnTe 고용체의 전하 수송과 열전 특성 관련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계적 합금화와 통전 활성 소결을 이용하여 SnSe1-xTex (x=0, 0.1, 0.3, 0.5, 0.8, 1)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XRD 및 EPMA 분석을 통해 SnSe1-xTex에서 Te의 고용 한도가 약 0.3~0.5 임을 확인하였다. T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홀 농도 증가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UV-VIS-NIR을 이용한 밴드갭 에너지 측정 및 DFT 밴드 구조 계산 결과를 통해 밴드갭 감소 때문에 홀 농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체 열전도도는 T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이는 격자 열전도도 감소에 따른 것이다. Te은 Se보다 원자 질량 및 크기가 더 크고, Se site에서 Te의 존재는 효과적인 점 결함으로 작용하여 포논 산란을 증가시켜 격자 열전도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SnSe0.7Te0.3으로부터 823K에서 ~ 0.78의 ZT 값이 얻어졌으며, 이는 다결정 SnSe에 비해 ~ 11% 증가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SnSe0.7Te0.3/CNT 복합체의 전하 전송과 열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nSe0.7Te0.3에 다양한 함량의 CNT (0, 0.3, 0.6, 1 wt %)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통전 활성 소결을 이용하여 SnSe0.7Te0.3/CNT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CNT는 대부분 SnSe0.7Te0.3 입계를 따라 분산되어 있으며, CNT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새로운 계면을 형성하며 홀 이동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기전도도는 CNT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SnSe0.7Te0.3에 비해 높은 CNT의 홀 농 때문에 전기전도도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0.3 wt % CNT가 첨가된 경우 계면에서의 포논 산란으로 격자 열전도도가 감소하며, 이는 전체 열전도도를 감소시켰다. 하지만 0.6 및 1wt %의 CNT가 첨가된 경우 CNT 고유의 높은 격자 열전도도로 인하여 전체 열전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0.3 wt % CNT가 첨가된 SnSe0.7Te0.3 로부터 823K에서 ~ 0.86의 ZT 값이 얻어졌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얻을 수 있었던 가장 높은 ZT 값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미세구조와 전자구조가 다결정 SnSe의 열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좀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결정 SnSe의 열전 특성을 향상시키고 특성을 이해하는 데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become a global issue. And the world’s demand for new, ecofriendly,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has been increasing. Thermoelectric (TE) material, which can reversibly convert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has been considered as a way to solve the energy cris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efficiency of TE material is represented by the dimensionless figure of merit ZT =S2σT/k, where S, σ, k, and T are Seebeck coeffici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and absolute temperature, respectively. In order to achieve high ZT values, TE materials should posses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large Seebeck coefficient, and low thermal conductivity simultaneously. However, these TE parameters have complex interrelationship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optimize ZT. For example, the increase of carrier concentration can lead to the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σ), but can lead to the decrease in Seebeck coefficient (S). And it is difficult to suppress only the thermal conductivity without affect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order to obtain a high TE efficiency, the charge carrier concentration should be optimized, and in general, it is known that high TE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the carrier concentration lies in the range of 1019 to 1020 cm-3. In recent years, tin selenide (SnSe) which contains non-toxic and earth-abundant elements has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TE material since a remarkable ZT value of ~2.6 at 923 K (the world record to date) along the b-axis in its single crystal form were reported in 2014. It, however, is still difficult to use single crystal TE materials in devices because of poor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 production costs. For these reasons, the research on SnSe has focused on developing high performance polycrystalline SnSe. The low ZT values of polycrystalline SnSe which is lower than that of single crystal SnSe originate mainly from its poo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polycrystalline SnSe having high TE efficienc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should be enhanced and thermal conductivity should be suppress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 and electronic structure on the TE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nSe were investigated, and the TE efficiency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reducing the thermal conductivity by controlling the microstructure, band structure, and interfacial structure. First,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crystalline SnSe, the effects of the pressure applied during spark plasma sintering (SPS)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TE properties of the polycrystalline SnSe were investigated. Polycrystalline SnSe powder were synthesized by mechanical alloying, and then specim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texturing were fabricated by SPS under various pressure conditions (30, 60, 90, 120MPa). As the sintering pressure was increased from 30 to 120 MPa, the hole carrier mobility was increased by the enhancement of degree of texture, which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sintering pressur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increase of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he phonon scattering at grain boundaries. A ZT of ~0.7 was obtained at 823K from the polycrystalline SnSe sintered with a pressure of 60 MPa, which can result from large increase in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relatively small increas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TE properties of the polycrystalline SnSe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texture by changing the pressure applied during SPS. Second, the electrical transport and TE properties of SnSe-SnTe solid solution were investigated. SnSe1-xTex (x = 0, 0.1, 0.3, 0.5, 0.8, 1) bulk specimens were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and SPS. The solubility limit of Te in SnSe1-xTex was found to lie somewhere between x = 0.3 and 0.5. With increasing Te conten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hole carrier concentration. The measurements and calculations of band gap using UV-VIS-NIR spectrum and DFT, respectively, showed that the band gap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Te was increased, which can lead to the increase of carrier concentration. The total therm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 content,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of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Te has atomic mass and size larger than Se, and the presence of Te at Se site can act as an effective point defect, increasing phonon scattering and thus reducing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A ZT of ~ 0.78 was obtained at 823K from SnSe0.7Te0.3, which is ~ 11 % improvement compared to that of SnSe. Third, the effects of CNT addition on the charge transfer and TE properties of SnSe0.7Te0.3/CNT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Various amounts of CNT (0, 0.3, 0.6 and 1 wt %) were added to SnSe0.7Te0.3, which were sintered using SPS. Most CNTs are dispersed along the grain boundaries of SnSe0.7Te0.3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amount of CNT reaches 0.6 wt %, thereby forming new interfaces, which can result in the decrease in hole carrier mobility. With increasing CNT content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increased,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higher intrinsic hole concentration of CNTs compared to SnSe0.7Te0.3. When 0.3 wt % CNT was added, the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by phonon scattering at interface, which results in the decrease of total thermal conductivity. However, when 0.6 and 1 wt % CNT was added, the total thermal conductivity was increased due to the high intrinsic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f CNT. A ZT of ~ 0.86 at 823K was obtained from SnSe0.7Te0.3 with 0.3 wt % CNT, which is the highest ZT value obtain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s and electronic structures on the TE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nSe, and can be used to control the TE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SnSe which can be used in practical TE devices.

      • 갑상선 절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 remifentanil 지속주입이 수술 직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intraoperative remifentanil infusion on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조준영 울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mifentanil is a potent ultra-short acting synthetic opioid and a direct μ-opioid receptor agonist,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groups of patients regardless of hepatic and renal condition. Opioid-induced hyperalgesia is regarded as a problem of intraoperative remifentanil infusion since several years ago, but there are still discrepancies in the results of clinical human studies.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clarify whether the remifentanil infusion causes severe pain at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in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We retrospectively assessed 2,021 patients aged 20 years or over who underwent thyroidectomy for 1 year between January 1, 2013 and December 31, 2013 at Asan Medical Center. Every enrolled patien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ithout intraoperative remifentanil (Group N), or with intraoperative remifentanil infusion (Group R).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done and 343 patients were included in each group finally. The pain scores based on Numeric Rating Scales (NRS) for pain at postoperative anesthetic care unit and at ward until postoperative 2 day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Moreover,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nausea and shivering were compared. NRS of pain at post-anesthetic care unit was 4.4 ± 2.1 in group N and 6.4 ± 2.2 in group R (P < 0.001)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NRS at ward between two groups. Also, compared to Group N (73.6%), postoperative nausea was more frequent in group R (87.6%) despite of anti-emetics (P = 0.001). In conclusion, remifentanil-based anesthesia can cause opioid-induced hyperalgesia, at least, during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in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Also, intraoperative remifentanil infusion is related with mor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 중앙은행 최적화의 정체성 딜레마

        조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의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방식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실제 경제에서 이런 단순한 형태의 의사결정 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현실에서 중앙은행의 최적화 문제는 여러 변수가 반영된 형태로 확장되게 된다. 최대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진행해 나간다는 것은 합리적 경제주체의 당연한 행동이다. 그러나 새로운 정보를 반영하는 것이 항상 효율적인 것인가 하는 원초적인 질문에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해 보고자 한다. 이 논의가 의미를 갖는 것은 정책당국이 목적함수를 선택하는 단계부터 다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완전한 의미의 물가안정 목표제만을 위해서는 오로지 물가안정 한 가지만을 목표로 삼는 것이 더 우월할 수도 있음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은행의 최적화문제에서 물가안정 외의 변수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중앙은행은 자신이 제시한 인플레이션 목표치 달성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목적함수의 단순 최적화만이 경제전체적으로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반영하고자 하는 문제나 변수가 인플레이션 증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속성인 한, 목적함수에 반영하는 것 자체가 통화정책의 핵심가치인 인플레이션 안정화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은 중앙은행으로 하여금 정체성딜레마에 빠지게 만든다. 이제는 ‘최적값’을 생각하기에 앞서 ‘최적함수’를 선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방법론의 측면에서 가상의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에 실제 경기변동 data를 직접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물론 가중치의 조절이나 세부적인 단계에서의 수렴여부를 보장하지는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위 분석방법을 통해 목표 인플레이션 뿐 아니라 다른 경제주체나 다른 정책변수 등에 대한 경로를 살펴보는 것도 좋은 연구의 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 생활세계를 중심으로

        조준영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litical attribute of the activity of child-free women that resist to the social norm which considers women as the maternal identity with the equality of ‘married woman = mother’. Also,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possibility that the social caring has been expanded over the biological motherhood with the contribution of the relationship by the experiences of child-free women.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 with the interview, the experience of child-free women have chosen their own accord to the childlessness among married eligible women. The choice of childlessness has been treated as exceptional, abnormal and unclean, because the social point of view that the state of childlessness means the important lack for women has been dominant. At present, the falling of the birth rates escalates to the national issu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life of child-free women have been revealed and focused. In fact, the dominant social point of view is this phenomenon is the transient stage for the raising of the birth rate rather than the recognition of their subjectivity. We search the backgrounds of the choice for childlessness, the diverse stages of the childbirth that is needed to married women and the point that the women can encounter the conflict situation by the negotiation process. Besides, we search the method of making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free women by their experie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 First, the choice of childlessness might be the resistance against the sexual role assignment in the society that accepts the equality ‘married woman = mother’ without any doubt. But this fact has been passed over. These women consider the social norm that the main responsibility is given to women as the obligation that means the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children. Because they have experienced that this is contrary to the independent life and the working women. The rearing of children needs the other women's individual help and the expectation of rearing children has grown because the process of the rearing has been subdivided and detailed. This is far from the women's reality for reasons of the social conditions that is capitalized. Consequently, The choice of childlessness is not a special thing but a result that the women have taken by the consideration of their life condition. Second, child-free women are in conflict with the living life, their husbands´ home, their parents´ home, neighborhoods, colleagues, husbands and their own mentalities. Their real trouble is that they would choose what kind of life, and this is passed over the problem of childbirth. They behave actively for keeping their choice in the negotiation process. Differently to the other married women of their age who make ‘mother-network’, child-free women try to make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diverse issues. Third, child-free women are enforced within the limit of the system of sexual discrimination. But they still have the social works and the citizenship and continually consider their identities. Their relationship is the anti-capitalistic solidarity which share their own things with others. This relationship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extension of maternal category that is the social caring. The social caring makes the sexual distinction between the caring and the cared to be ambiguous. Accordingly, it can develop the base for demolishing the boundary of the sexual distinction role which is enforced for women. This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ild-free women and their activity is worthy because we can develop the possibility of not to be taken the motherhood as the absolute value for married women. The existence of child-free women proves that all of the women are not enforced by the motherhood and family. child-free women accept their role as a wife, a working person and a citizen with the identity. 본 연구는 기혼여성= 어머니라는 등식으로 여성을 모성정체성으로 위치 짓는 사회적 규범에 저항하는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능동적인 행위성이 지니는 정치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의 경험을 통해 이들의 관계맺음이 생물학적 모성을 넘어서 사회적 보살핌(social caring)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기혼 가임여성 중 스스로 무자녀를 선택한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경험을 심층면접 자료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무자녀(childlessness)’ 상태는 기혼여성에게 중요한 것이 ‘결핍’되어 있다고 규정하는 지배적인 인식 속에서 이들 여성의 무자녀 선택의 능동적 행위성은 예외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치부되고 부정적으로 정의되어 왔다. 출산율하락이 국가적 이슈로 극복되어야 할 문제로 부상한 현재 그동안 가시화되지 못했던 무자녀 여성의 삶이 새롭게 조명되는 듯하지만, 이들 선택의 진정성을 인정하기 보다는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도기적 상태로 인식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자녀 선택의 배경을 알아보고, 일반적으로 기혼여성에게 요구되는 출산에 대한 여러 층위 상대들과 어떤 지점에서 갈등적 상황에 직면하는가 하는 점과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한 여성들의 의미 해석체계는 어떠한 것인지 협상과정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관계맺음의 방식이 어떠한지를 이들의 경험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을 어머니로 등치시키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사회문화적 인식 속에서 무자녀 선택이 가부장적 가족 체계와 성별화된 역할분담에 대한 저항일 수 있음은 간과되어 왔다. 이들 여성들은 개별적으로 양육의 주된 책임이 여성에게 전가되어 있는 모성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자녀를 무한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이들 여성이 일하는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인간으로서의 삶의 지향과는 어긋남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자녀양육을 ‘어머니’ 여성이 주변의 다른 여성들을 사적으로 섭외해서 해결해야 하고, 양육과정이 세분화, 정교화되는 가운데 양육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마저도 자본화되어 있는 사회적 조건 역시 여성 자신의 현실과는 동떨어진 것이다. 따라서 무자녀를 선택하는 이들 여성들의 경험이 특별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삶의 조건에 대해서 진지하게 성찰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생활세계에서 시집, 친정, 이웃, 동료, 남편 그리고 내적으로도 갈등을 겪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고민은 이미 출산 여부에 대한 갈등을 넘어서 어떤 삶을 살 것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해 있다. 갈등에 대한 협상과정에서도 무자녀 선택을 유지하기 위한 능동적인 행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한다. 더불어 같은 또래 기혼여성들이 어머니 네트워크로 자연스럽게 뭉치는 것에 비해서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사회적으로 타인과 구체적인 이슈를 가지고 세분화된 기획으로 관계맺음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결혼이라는 성별화된 역할을 요구하는 제도에 포섭되어 있지만, 사회적인 ‘일’과 ‘시민정신’을 가지고 어떠한 존재로 거듭날 것인가를 성찰하고 있다. 타인에게 자신의 것을 나누는 반자본주의적 연대로서의 이들의 사회적 관계맺음은 생물학적 모성을 넘어서 사회적 보살핌으로서의 모성범주의 확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사회적 보살핌은 모성과는 달리 보살피는 자와 보살핌을 받는 자의 성별을 모호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여성이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강화되는 성별화된 역할론의 강고한 경계를 허물고 벗어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화되지 못했던 자발적 무자녀 여성의 삶의 경험과 이들의 능동적인 행위성을 살펴보는 것은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여성을 발견함으로써 모성을 기혼여성의 삶에서 절대화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무자녀를 선택하고 이를 유지하려는 의사를 보이는 여성의 존재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모성담론과 가족담론이 모든 여성에게 힘을 발휘하는 것이 아님을 증명한다. 자발적 무자녀 여성들은 이미 자신의 정체성을 어머니로 한정시키지 않으며 아내, 일하는 여성, 시민으로서 다원화된 정체성을 구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A novel non-invasive device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body fluid change using regional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a study in a pig model

        조준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과도한 체액 상태는 몇 가지 좋지 않은 결과와 관련이 있다. 저혈량증의 적절한 모니터와 관리에 대한 연구는 많이 발전하였지만, 조직 부종을 일으킬 수 있는 과한 체액 상태를 빠르게 진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는 진전이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은 체액 구성 성분의 양과 그 변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모델에서 국소적인 말초 부위에서 비침습적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으로 수액 주입에 의한 전신 체액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새로 개발된 바이오 임피던스 분석기는 4개의 전극으로 구성하였으며, 8-64kHz와 50kHz에서 2초마다 연속적으로 임피던스(Z), 저항(R), 리엑턴스(Xc)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는 자동 저장장치를 통해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엑셀 파일로 자동으로 저장되었다. 11마리의 암컷 돼지(요크셔, 37.1 ± 1.24 kg)가 연구 사용되었다. 균형 잡힌 결정질 용액(Hartmann’s solution)를 반복 주입하고 중심정맥압, 복강압, 폐초음파 소견(ultrasound lung comet lines, ULC)을 포함한 각종 파라미터의 기준값을 획득한 후 수액을 주입하였다. 10분동안 3.3ml/kg/min의 속도로 수액을 주입한 후 10분 동안 데이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액을 총 6번 주입하였으며 주입과 데이터 역시 6회 얻었다 (T1~T6). 추가적으로 2회 데이터를 더 얻었지만 이 때는 10분간의 수액 주입 없이 이루어졌다 (T7, T8). 돼지의 왼쪽 뒷다리에서는 개발된 기기의 다주파수 생체전기 임피던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졌고, Inbody S10으로느 네 개의 다리에 전극을 부착하여 전신의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간헐적으로 측정하였다. 체중 변화를 예측하는 방정식은 T5 시점의 데이터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다중 회귀 분석으로 도출하였으며, 그 식의 검증을 위하여 T6~9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율은 15.9 ± 2.4 %였으며, 중심정맥압과 복압은 T6까지 오르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증가량은 평균 16 ± 5.8 mmHg, 8 ± 4.2 mmHg 이었다. 동맥혈 산소분압은 421 ± 27.1 mmHg에서 316 ± 58.6 mmHg로 감소하였고, 초음파로 측정한 ULC의 개수는 평균 5.6 ± 3.5개 증가하였다. 새로 개발된 장치와 Inbody S10로 50 kHz에서 측정한 임피던스는 수액 주입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Spearman의 상관 계수 0.983, P-value < 0.001). 새로 개발한 장치를 통하여 체중을 예측하는 식에 측정된 데이터를 적용한 각 돼지의 체중 변화량은 실제 계산된 체중 변화와 일치하는 것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새로 개발된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장치는 국소부위에서 연속적, 비 침습적인 방법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수액 주입에 따른 전체 체액상태를 실시간으로 평가하는 것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