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메가이벤트 참여가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주은 순천대학교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지방자치제가 시작되고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 메가이벤트의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면서 경쟁적으로 유치, 개최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메가이벤트의 성공은 주민참여와 더불어 지역에 대한 자긍심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메가이벤트를 다룬 연구는 지역경제 활성화, 고용창출, 사회간접시설의 확충 등 외형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정원박람회의 경우에도 외형적인 효과 측면에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민의 자긍심이나 사회적 자본 등 사회 문화적인 효과 부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역 메가이벤트의 참여, 자긍심, 사회적 자본을 아우르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자긍심을 매개로 지역 메가이벤트에서의 주민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뒤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참여한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은 지역 메가이벤트 참여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양 변수 간 관계의 자긍심 매개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이에 2015. 5. 21일부터 5. 24일까지 총 400부의 설문지를 표적 할당방법으로 정원박람회 현장에서 배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한 363매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긍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수준의 하위요인인 참여시기, 참여유형, 참여동기가 신뢰, 네트워크, 지역사회 참여, 호혜성 규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동기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참여시기, 참여유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네트워크와 지역사회 참여의 경우, 참여유형, 참여동기, 참여기간 순으로, 호혜성 규범에 대해서는 참여동기, 참여유형, 참여시기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분석 결과 참여시기가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인 신뢰, 네트워크, 지역사회 참여, 호혜성 규범에 미치는 영향을 자긍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가이벤트에 대한 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주민의 자긍심이 높아지고,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의 정도가 강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긍심은 참여유형이 신뢰, 네트워크, 호혜성 규범에 완전매개,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후원금 기부’, ‘자원봉사’, ‘재능기부’와 같은 적극적인 참여가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매개로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참여동기는 자긍심을 통해 신뢰, 네트워크, 지역사회 호혜성 규범에 완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참여, ‘정원박람회 성공 개최’와 ‘지역사회 발전’과 같은 공익적 동기에 의한 참여가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주민참여를 통한 사회적 자본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방정부의 노력 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 교육기관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주민참여 사업과 프로그램 발굴 등 지원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투명한 사업정보 공개, 주민 참여 제도 및 가이드라인 마련 등 정책적인 접근도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금까지 메가이벤트를 지역경제 활성화의 척도로만 보는 관점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자본 확충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하고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공동체 의식 배양 및 나눔과 배려의 재능기부 및 봉사 활성화를 위해 시민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며,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물리적 기반도 확충해야 한다. 또한 재능 기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산을 확대 지원하고 우수 봉사활동 사례를 선정하여 포상 등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메가이벤트에의 참여, 지역에 대한 자긍심,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것이다. 반면 순천만정원박람회라는 메가이벤트를 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메가이벤트와 사회적 자본형성 간 관계에까지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지적된다. 한편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고 축적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향후 과제로 주민의 참여시기(사전-사후)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휴대폰재질에 대한 촉감선호도 연구 : 사상체질 별 촉감 중심으로

        조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체질별로 인간의 성향이 다르듯이 촉감에 대한 선호도도 다르고 체질별로 선호하는 촉감이 있다는 것을 사상체질별 개개인에 대한 실험과 리서치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항상 만지고 가까이 두고 있는 휴대폰을 이용하였으며, 휴대폰 재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촉감이 구분되는 11개의 재질을 선정하여 샘플을 제작하고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라이프스타일별, 성별, 연령대별 구매 집단을 분석하여 디자인, 유행에 민감하며 소비 활동이 잦은 20 ~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체질별로 선호하는 촉감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태양인은 크롬, 스텐레스의 촉감을 선호하고 태음인은 나무, 크롬의 촉감을, 소양인은 가죽의 촉감을, 소음인은 강화유리의 촉감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19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로 디자인은 과거 순수미술에서 기술과 접목되는 새로운 변화의 흐름 속에서 진화, 발전하였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색상, 새로운 주조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졌고 이와 동시에 과거에는 제품에 적용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색상, 형태적 미의 추구가 이루어졌으며 시각적 디자인은 급속한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최근 우리사회는 기술과 시각적 디자인의 포화 속에서 새로운 디자인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유로 오감을 이용한 감성디자인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감성디자인은 지금까지의 기술과 시각적 만족감을 통한 제품 구매요인의 한계를 넘어서 인간의 다른 감각기관에 강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서 새로운 감성적 구매요인을 자극하게 되었다. 이러한 5가지 오감 중 촉감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요인으로서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촉감은 오감 중 원시적이고 직접적으로 자극이 주어져야 느낄 수 있는 하위레벨의 감성이지만 직접적인 자극이라는 요인으로 인하여 다른 감성들보다 강한 느낌을 전달하게 된다. 개개인 별로 느끼는 촉감적 메시지는 명확히 규정되어 지지 않고 다양하다. 하지만 이러한 촉감에 대한 선호도는 인간의 특정 그룹 별로 구분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후기의 한의학자 이제마는 인간은 4개의 체질 그룹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하였고 현대에도 그의 주장대로 사상의학은 그 이론과 해법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사상체질을 들여다보면 인간은 체질별로 성향과 형태가 다르므로 그에 맞는 치료 요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처럼 사상체질별 인간의 성향이 다르듯 촉감의 선호도에 대한 성향도 다를 것이다. 본 논문은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과 방법, 범위를 설명하였으며 2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촉감디자인과 사상체질 그리고 촉감과 구매활동의 관계를 설명하였으며 3장에서는 촉감선호도와 사상체질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리서치와 휴대폰 재질에 대한 선호도 실험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결론을 토대로 사상체질에 따른 촉감선호도를 고찰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이와 같은 실험이 다양한 제품에 대해서 그리고 촉각 이외에 다른 감각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면 급속히 변해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디자인의 또 다른 새로운 진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ypes, their sensory preferences can be individually different and each constitutional type is related to its respective feel preferences. We chose as the objects for our experiments the cell phones, which most people touch, keep handy and use in everyday life, and categorized the phones into eleven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feel of the materials to produce the respective samples out of each categor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lifestyles, genders, and ages of the cell phone buying groups, w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our experiments the fashion-conscious and spending-inclined women in their 20 to 30’s. Throughout the experiments, we could witness that those with different constitutions had respectively different feel preferences, and found that the Taeyang-in type liked the feel of chrome and stainless steel, the Taeeum-in type that of wood and chrome, the Soyang-in type that of leather, and the Soeum-in type that of the tempered glass, respectively. Since the emergen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on the late 19th century, designs have evolved and developed from the traditional fine arts to a new type that merged with technologies. Along wi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 new set of color and minting technologies have emerged, and these enabled the new expressions of diverse designs whose application s to products had been almost impossible in the past. Such development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products of new colors and aesthetic beauty, and visual design could make notable achievements. In the present age of the overflowing technologies and visual design, we now call for the coming of new design, and thus we are witnessing the emergence of emotional design, which takes advantage of the five senses. Going beyond the conventional limits of the product-purchasing factors that have focused on the technological and visual satisfaction, emotional design stimulates the emotional factors of the buyers by transmitting strong messages via other human senses. Out of these five senses, we tried to find in the study how the individual feel preferences are associated the purchasing factors. Although the feel sense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low-level emotion that requires direct stimulations, it is as much strong as it requires a direction stimulation. The feel messages each individual personally feels have yet to be defined and are vary diverse. Nevertheless, we assumed the personal feel preferen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specific groups of the humans. Lee Jema, a Korean herb docto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roposed that human being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ur groups of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and his theories are being briskly applied and developed in the modern age. His theory of the four constitutional medical types proposes that clinical treatments should be differently applied based on the different constitutions which produce different dispositions and forms. As much as the personal inclinations can be different as per the different constitutional types, their feel preferences can also be different. In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we provided the background, methodologies and scope of this study, an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e explained in the second chapter the relations between the feel design and the four constitutional types and those between each feel and the purchasing patterns. And in the third chapter,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on the preferences on the materials of the cell phones in an effort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feel preferences and the four constitutional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the previous chapter, we examined in the fourth chapter the rates of the feel preferences and offered the results. We assume the future experiments of this kind that would be conducted on the various products in relation to other senses as well as the feel sens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 3세, 4세, 5세 일반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조주은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의 음소오류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서 음운변동 분석을 통해 아동의 음운발달을 연구해 왔다. 국외에서는 시대에 따른 음운발달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오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2000년 초기에 연구된 이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세, 4세, 5세 일반아동 각각의 음운변동 특성을 살펴보고 연령 간 음운변동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신경학적, 인지적, 정서적 및 감각적 문제가 없는 3세, 4세, 5세 일반아동 48명으로 선정하였다. 발화 샘플을 수집하기 위하여 부산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우리말 조음ㆍ음운 평가(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U-TAP; 김영태, 1994)의 단어검사를 이용하여 조음위치 및 방법적으로 음운변동을 분석하였다. 샘플 분석은 3년 이상의 조음치료 경력을 가진 2급 언어치료사가 하였고 두 분석자 간 신뢰도는 92%가 나왔다. 결과처리는 Pasw stastics 18.0 버전을 이용하여 각 연령의 아동 음운변동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음운변동의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정으로 Tukey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3세 아동의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에서 종성 생략, 유음 생략이 두드러졌다. 대치 변동에서도 조음 위치 및 방법적으로 경구개음의 전설음화로 치조음화와 파열음화가 두드러졌고 치조음 동화와 파열음 동화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세 아동의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에서 유음 생략이 두드러졌다. 대치 변동에서도 경구개음의 전설음화로 치조음화와 파열음화가 주로 나타났고 이와 동시에 치조음 동화, 파열음 동화를 보였다. 5세 아동은 생략 및 첨가 음운변동을 거의 보이지 않았고 대치 변동에서 파열음화, 이완음화가 두드러졌다. 연령 간에서 음운변동을 살펴보면, 3세, 4세와 5세 아동 간에서는 종성 생략, 파열음 생략, 양순음 생략, 연구개음의 전설음화, 치조음화, 치조음 동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4세와 5세간에 비음화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최근 일반아동의 음운발달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이것은 조음음운 치료 및 진단 시에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史的인 背景을 바탕으로한 Belcanto 發聲과 現代發聲의 比較硏究

        조주은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악도들은 누구나가 훌륭한 기교로 아름답게 노래하여 장차 유능한 성악가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막상 성악에 입문하여 본격적으로 노래를 배우게 되면서 올바른 발성법을 터득 하기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님을 깨닫게 되고 누구나 한번쯤은 혼란과 좌절을 경험하기 마련일 것이다. 더우기 오늘날에는 발성법에 대하여 서로 상반되는 갖가지 견해들이 주장되고 있는 실정 이어서 그들중 어느것이 올바른 방법 인지를 가려내는 일 부터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갖가지 이론들에 대하여 바른 판단 능력을 키우고 자신의 발성에 대한 주관을 확립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는 발성법의 시대적 변천과정과 이론에 대한 조사를 해 보았다. 발성법을 시대적으로 구분하여 Bel Canto발성과 현대 과학적 발성으로 兩分 하였고 문헌을 바탕으로 하여 각기 발성에 대해 형성과정과 일반원리를 중심으로 조사·비교한 결과 다음과같은 결론을 얻었다. 1 . Bel canto 발성법은 17세기 Opera의 발생과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지 못한 채 경험과 口傳의 방법으로 전수되고 있었다. 2 . 19세기에 이르러 발성기관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가 시작 되었고 그 연구의 결과인 발성기관의 해부학적인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이 발성지도의 기초이론으로 채택 되면서부터 새로운 발성의 시대가 열리게 되어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3 .두 이론을 비교한 결과 Bel canto시대의 교사들은 발성의 과학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었으나 경험을 통하여 音의 생리적인 원인과 음질의 이어짐에 대해서 완벽하게 터득하고 있었고 그러한 경험적인 지식을 바탕으로하여 학생들이 당면한 문제에 확실한 치료법을 제시 해줌으로써 성공적인 성악가들을 배출 해 놓고 있다. 그러나 현대 과학적발성법을 인간의 심리적이고 감각적인 측면은 무시한채 오직 기계적인 방법으로만 신체기관을 다루려고 노력한 결과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발성기관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들은 실제적인 발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4 . 현대의 연주가들은 현대 발성법의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非科學的인面 즉, 心理的, 精神的, 感覺的인면이 결부되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이와같은 견지에서 볼때 우리는 古 Italia 발성법을 등한시 하기 보다는 그 장점을 살려서 현대 발성법에 결부시킴으로써 단점을 개선하고 보다 진보적인 발성법이 연구되도록 노력해야할 필요성을 느끼며 성악지도에 있어서도 이론적이고 기계적인 면을 志向하고 심리적인면을 중요시하는 지도 방법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적으로 성악가를 양성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의 설립 등 제도적인 면으로도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할 것 같다. Most of the vocal students wish to be competent singer in their future with fine singing technique to sing beautifuly. However, after they enter into musical study and by practicing in singing, they are facing with difficulties in proper vocalization and experiencing confusion and failure feeling at once. Moreever, in fact that there are many opinions of vocalization lately which are contradict to each others in its method and assoting proper vocalization among those opinions have been brought up as a main subject in these days. This thesis is to illustrate proper judging ability among the theories and to establish one's subjectivity in their own vocalization by researching of periodical transimissible process. By bisection periodical transimissible process of the vocalization and segregation of Bel-Canto vocaling and modern scientific vocalization based upon the literatures, and finding from the researching of forming process to common principle of the vocalization, have reache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1. The Bel-Canto vocalization were occured during seventeenth centry with begining of the Opera without theoretical organization and succeeded by Oral instruction to the following generation. 2. The new era of the vocalization has opened and succeeded to these days by nineteenth centry with begining of scientific research on vocal organ and adopted as basic theory of vocal instruction along with the knowledge in anatomic structure of the vocal organ which were the result of it's researching. 3. From the comparison of both theories, it appears that instructers at Bel-Canto time have no knowledge of scientific vocalization but they were fully learned through their experience for physlologic origin of the voice and combination of the tone quality, and based upon their experienced knowledge, they have faithfuly solved student's problems and have produced successful vocalists at the times. But mordern scientific vocalization has ignored psychological and sensible affairs of the human and by forcing to utilize physical organ with mechanical method. It has created many reacting problems and found that the theoretical knowledge of vocal organ is not helpful in solution of practical vocalization problems. 4. To solve existing problems in mordern vocalization, current music performers emphasizing and expressing that psychological, moral and sensible affairs(which are unti scientific) to be linked to mordern vocalization. At the view form the above, instead of neglecting old Italian vocalization, link it's merit in to the mordern vocalization to improve weak parts and effort for researching of progressive vocalization is required. On the guidance of vocalists, cease instruction of theoretic and mechanical affairs and develop important method of psychological affairs, and to establish typical institution to train vocalist and a systematic attention is demanded.

      •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의 압축적 시간경험에 관한 연구

        조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의 일상과 시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최근 시간과 관련하여 눈에 띄는 현상은 시간의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인식은 성·계급·직업·생애주기 등에 따라 다르다. 전 지구적 무한경쟁을 내용으로 하는 신자유주의, 속도경제, 성과주의, 정보기술의 발달 등은 사람들로 하여금 예전과는 다른 시간을 경험하도록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시간에 대한 연구는 시간을 구성하는 내용의 성격, 그 시간을 확보하기까지의 과정, 다른 시간들과의 관계와 의미는 고려되지 않은 채 수량화되어, 그 맥락이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과 관련된 갈등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집단으로 지적되고 있는, 자녀가 있는 유배우 취업여성의 일상을, 시간의 질적 특성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공동부양자 가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변화된 사회·경제적 특성은 고려되지 않은 채 남녀 가사노동시간, 이중부담에 대한 강조 속에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근대적 젠더 규범을 해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공동부양자 가족 내 여성의 일상을 시간을 통하여 세밀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는 일과 가족이 어떠한 상호작용 속에서 변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젠더가 일과 가족생활에서 어떠한 언설과 의미화를 통하여 수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개념은 ‘압축적 시간경험’이다. 압축적 시간경험은 시간의 질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 시간의 동시성, 시간의 밀도 강화, 시간의 최적화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수집 방법은 인터뷰를 포함한 질적 방법이다. 주요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던 시기는 2007년 6월부터 11월까지이다. 주요 연구 참여자는 서울 지역에 거주하면서 중간계급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 전문기술직·행정관리직·사무직 취업여성으로, 현재 취업해 있는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고 첫째 자녀의 연령이 19세(고등학교 3학년) 미만인 30-40대 여성이다. 주요 연구 참여자는 총 20명이고, 보조 연구 참여자는 11명이다. 이상의 연구목적과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시간에 대한 인식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시간적 여유의 유무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연구 참여자들의 시간에 대한 인식은 다양하여 “시간에 쫓긴다”, “특정 시간에만 바쁘다”, “항상 바쁘다”, “이제는 바쁘지 않다” 등으로 드러났지만, 거의 대부분 “바쁨”이라는 언설을 빌려 자신의 일상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지원받고 있는 가사·돌봄 서비스의 특성, 남성의 개입 여부, 여성의 생애주기와 자녀의 연령, 업무의 특성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근대적 규율과 정확함에 기반한 직장의 시간과, 돌봄과 관련된 시간은 서로 조화되기 힘든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중간계급의 가족 규범을 갖고 오랫동안 직장경력을 이어나가고 있는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공적’ 과제와 자녀들에 대한 돌봄을 동시에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의 동시성을 경험한다. 여성들에게 생애주기에 따른 시기, 평일과 주말의 의미는 다르고, 평일에도 퇴근 전 시간, 근무시간, 퇴근 후 시간은 다르게 구성되고 있다. 즉 여성들에게 “바쁨”이라는 인식은 변화하고 있는 일터의 ‘공적’ 과제와 돌봄이 충돌하면서 시간의 동시성을 경험하는 것과 관련된다. 둘째, 속도 중심의 사회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는 가속화의 경향은 성과·업적의 경쟁, 정보기술에 따른 새로운 관리노동의 증가에서 기인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노동의 양 증가에 따른 시간의 밀도 강화를 경험하고, 그들 자신의 욕구와 자녀들의 요구를 놓고 시간 갈등을 겪는다. 노동들은 일터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기도 하고, 다양한 과제들의 충돌을 겪으며 집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4년부터 실시된 주5일제는 평일 근로시간의 노동 강도를 강화시키고 노동시간을 증가시키면서 관리해야 할 두 개의 영역을 등장시켰다. 심리적 저항감이 깔려 있는 평일의 장시간 노동은 ‘정규직 노동자로서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면서 동시에 소비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족적인 것’으로 의미되고 있다. 대부분 노동 단절 없이 안정된 직장에서 15년 이상의 노동 경력을 이어오고 있는 연구 참여자들에게 ‘일’은 생존의 기반이자 사회의 인정을 가져오는 강한 동인임과 동시에, 가장권에 기반한 가족주의로부터의 강력한 승인과 지지에 기반해 있다. 여성들은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질 좋은 돌봄노동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전략을 구사하고, 시기·방법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친족관계를 활용하고 있다. 여성들에게 ‘행운’으로 의미되는 친족관계는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을 지원해주지만 동시에 친족관리노동을 생겨나도록 한다. 근대적 젠더 규범이 해체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요구받으면서 동시에 자신의 성취를 위하여 일하는 여성들은 일상의 노동시간화를 경험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 생산성에 대한 강조 속에서 자기계발의 욕구에서 비롯되는 노동시간의 증가를 사회적으로 요구받으며 실천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시간들이 가족 안으로 침투하는 것에 대하여 심리적으로 저항하며 시간을 조정·계획·관리하는 노동을 별도로 수행하고 있다. 셋째, 부부 모두 전일제 노동자로 일하고 있는 가족 내에서 근대사회의 핵심 개념인 이성적 합리주의·효율성은, 공적인 영역이라고 의미되는 직장보다는 가족 안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가족에는 최적의 시기에 임신·출산하는 시테크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과제들과 관계들을 처리하고 만들어가기 위해 시간과 동작을 계획·관리해 나가는 기획의 중요성이 등장하고 있다. 가족은 빠른 시간 안에 일을 처리하는 곳으로서 가족관계의 질이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협상의 장이 되어가고 있다. 성평등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는 한국사회에서 평등한 부부로 기대되었던 공동부양자 부부 모두가 시간외 근무를 ‘선택’하여 장시간 근무를 유지시키고, 경제적 자원 및 친족자원으로 가사노동을 외주화하며, 서로를 가족주의에 기반한 경제적 동맹자로 의미화함으로써 부부관계의 도구적 성격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속도경제 사회에서 중요한 개념인 시간을 중심으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중간계급 유배우 취업여성들의 일·가족의 변화를 살펴보고, 특정 시간의 내용과 의미, 특정 시간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질문함으로써 시간의 질적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본 논문은 여성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한 다양한 여성들의 시간의 질적 특성을 정교하게 분석함으로써 일·가족생활에서 성별관계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 percep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ime and women’s daily life. One of today’s remarkable phenomena related to time is that the speed of time is growing faster, and this phenomenon is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class, area, lifecycle, etc. Neo-liberalism, speed economy, performance-oriented culture,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etc. make people experience time in a way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on time until now, however, have quantified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nature of contents composing time, the process until securing the time, and the relation with other times and the meaning of the relation, and as a result, they have failed to reveal the context. Thu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aily life of married employed women with children, the group who are believed to experience time-related conflicts most, focused o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time. Previous researches on dual-earner couple families have been focused on the sharing of household labor time between man and woman and double burden, but they have not explained the details of such issu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reveal the details on the daily life of women in dual-earner couple families, which are expected to disintegrate modern gender norms, through time. A study like this can explore how work-family are changing through their interaction and analyze what discourse and semanticization is used for gender roles to be performed in work-family life. The main concept of this study is compressive time experience. Compressive time experience is a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ime, which are the synchronism of time, the densification of time, and the optimization of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s perception of time does not reflect whether to have a free time that exists objectively.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ime are diverse including “pressed for time,” “busy at a specific time,” “busy always,” “not busy any longer,” etc. but most of them explained their daily life by borrowing the discourse of “busyness.”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man’s help to household labor, this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man’s involvement, the woman’s lifecycle, children’s age, the characteristics of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assistance to housework-parenting. Women experience the synchronism of time when they have to carry out the tasks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ccording to a timetable based on mosed differently. That is, to women, the perception of “busyness” is related to the synchronism of time that they experience as changing demands and tasks of their workplace and family collide with each other. Second, the trend of acceleration, which is even intensified in the speedy society, increases the participants’ volume of labor and this is manifested by the densification of time. Such labor happens in physical space of workplace or at home where various tasks collide with one another. Kinship relations support household labor-parenting labor and women’s commitment to their workplace, but at the same time, they engender labor for managing kinship relations. With the spread of performance-orientedness and informatization since the IMF foreign currency crisis, the five-day working week system introduced in 2004 intensified the intensity of labor and increased labor time during working hours in weekdays, and brought two areas to be managed. The long labor in weekdays underlaid with psychological resistance is ‘responsibility for work as a permanent worker’ and at the same time it means ‘a family thing’ that enables family activities centering on consumption. To the participants, most of whom have worked continuously for over 15 years in a stable workplace with a promotion system, ‘work’ is the base of survival and a strong motive that brings them recognition from society and self-satisfaction. Furthermore, it is based on full approval and support from familism. In the situation where modern gender norms have not been disintegrated, women working for self-achievement experiences that their daily life turns into a labor time. In the social atmosphere emphasizing individual productivity, the participants are exposed and respond to social demand for the increase of labor time originating from desire for self-development, but on the other hand, they psychologically resist to the infiltration of such labor time into their family. Third, in families where both husband and wife are full-time workers, rationalism and efficiency, which are the key concepts of modern society, are implemented more actively within family rather than workplace that is regarded as a public area. In order to deal with and make various tasks and relations in family, beginning from time-technique for pregnancy-childbirth at optimal tim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plan and manage time and actions. Family is becoming a place of negotiation for processing tasks within a short time, carrying out reasonable consumption, and managing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 efficiently. In Korean society where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gender equality and the quality of life, a dual-earner couple who are expected to be equal to each other are likely to strengthen familism by ‘choosing’ overtime work and maintaining long working hours, and outsourcing household labor from economic resources-kinship resources and strengthening the meaning of economic alliance with each other.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ocused on ti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speedy economic society, it examined changes in life and work-family of middle-class white-color women living in Seoul and revealed what discourses and justification mechanisms are used in establishing gender relations by asking questions on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specific times and relations among the specific tim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research on how gender relations are created in work-family life by analyzing closely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ime in various kinds of women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among the women.

      • 陰陽五行의 結合過程 硏究 : 天人關係論과의 相關性을 中心으로

        조주은 東方文化大學院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 고대철학에서 天人관계와 陰陽五行은 名實이나 禮法 등의 범주와 마찬가지로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문에서는 戰國시대에 진행된 陰陽과 五行의 결합과정과 그것의 근본적 원인을 제자백가의 天人關係論과 연계시켜 살펴보았다. 본문의 구성에서 儒家와 墨家는 당시 지식인 집단과 하층민 집단의 이념을 대변하는 학파였으며, 『呂氏春秋』는 전국말 통일전야에 제자백가를 집대성한 문헌이다. 이들의 논의를 통해 보면, 천인관계의 재정립 과정에 수반하여 본래 상호 무관하였던 음양과 오행은 합일의 과정을 거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천인관계론의 측면에서 儒家는 天보다는 인간(인위)에 주안점을 두었지만 荀子에 이르면 양자의 분리와 합일이 이루어졌으며, 묵가는 기존의 天관념의 수용과 개조를 통해서 자기 집단의 정치 윤리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양가는 당시 顯學으로 병칭될 정도로 성행하였지만,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에 음양오행의 범주에 대해서는 주목하기 어려웠다. 유가는 다만 五行이라는 개념을 윤리적 범주인 ‘仁․義․禮․智․聖’으로 지칭하였을 뿐이며, 묵가는 당시에 유행하는 음양오행론을 일상생활과 군사학 측면에서 실천적으로 수용하는 데 그쳤다. 음양오행론을 이론적 측면에서 주목한 것은 전국 중기 이후의 陰陽家이며, 이것을 인간과 사회를 아우르는 체계화한 것은 『呂氏春秋』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전국 중기 이후 秦나라에 의한 통일의 분위기가 성숙되고 그에 수반하는 사상적 통일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여기에는 천인합일과 마찬가지로 天地人 三才, 구체적으로 人事와 천지만물을 통일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포함된다. 따라서 음양과 오행의 결합은 ‘天人合一’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제Ⅰ장에서는 陰陽家의 성립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음양가는 '음양오행가'의 준말로서 漢代에 정립된 개념이다. 『史記』에서는 陰陽家의 대표로서 鄒衍을 거론하였지만, 그의 사상적 특성은 儒家와도 일정한 관련이 있었다. 이것은 당시 음양오행의 범주가 특정 학파의 전유물이 아니었음을 반증한다. 제Ⅱ장에서는 儒家의 천인관계와 음양오행론을 살펴보았다. 儒家를 포함하여 선진의 제자백가는 殷․周이래의 천(상제)에 대한 관념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었다. 그러나 天(鬼) 관념의 재정립은 공통적으로 현실적 가치 규범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연적 요청이었다. 제Ⅲ장에서는 전국시대와 흥망을 함께한 묵가의 음양오행과 천인관계론을 제가와의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묵가는 당시 유행하던 음양오행 관념을 수용하고 일상생활과 軍事學 방면에서 적극 활용하면서도 일관되게 합리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제가의 현실인식과 역사관의 차이에서 근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묵가에서 천인관계론의 전개 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제Ⅳ장에서는 『여씨춘추』의 음양오행론과 천인관계론을 月令, 刑德, 災異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에서는 선진 제가의 사상을 집대성하고 고래의 陰陽과 五行의 범주를 활용하여 天地人 三位一體의 도식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인간을 중심으로 시간과 공간, 하늘과 땅의 사물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킨 것으로 통일제국을 위한 설계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Chinese ancient philosophy, the 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 correlates with Yin-yang and Five Elements as strong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 and outs or between courtesy and rules. This paper looks into the combination proces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studies its root cause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 mentioned in Hundred Schools of Thought. Confucianism and Mohism are schools which reflect ideology of both intellectuals and the lower class, and Lu's Spring and Autumn is an encyclopedic compendium of the ideas of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compiled at the end of the Warring Stated period. The arguments of these schools confirm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which had not been originally related with each other were united in the course of reestablishment of the 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Confucianism emphasized man than heaven, but Xunzi separated and united the two elements. The Mohism tried to justify their party politically and morally through embracement and conversion of the original notion of Heaven. Consequently, Confucianism and Mohism flourished as the great schools of the time, but the prosperity prevented the attention to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Confucianism just designated the notion of Five Elements as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and truthfulness which fall into the ethical category, and Mohism accepted the flourishing theory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to just apply it to people’s daily lives and military science. After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theory was paid attention to by the Yin-yang school, and it was developed into the organized theory which deals with humans and their society by Lüshi Chunqiu. That’s because Jin led the unification of China after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unification of ideology was necessary. This required the efforts to understand not only the unity of Heaven and man but also Three Powers “Heaven,” “Earth,” and “Man,” or the efforts to see people’s lives and the logic of all creation as one. For the reason, it is proper to say that the combination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is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Chapter I of this paper looks into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Yin-yang school. The Yin-yang school is the abbreviation of the school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Han era. Historical Records regards Zou Yan as an important philosopher of the Yin-yang school, but his ideology was related to Confucianism. This shows that one specific school did not monopolize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Chapter Ⅱ studies the relation of Heaven and man and the theory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with the Confucian approach. The Hundred Schools Thought, including Confucianism, was still under the influence of notion of Heaven established in the Eun and Ju eras. However, reestablishment of the notion was required in order to justify common and practical norms and values. The Chapter Ⅲ looks into the relation of Heaven and man and the theory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formed by Mohism, which rose and fell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compares them with Hundred Schools of Thought. Mohism accepted the notion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which was popular at that time and was active in applying it to military science with a comprehensive and reasonable approach. Its root cause is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reality and historical view from Hundred Schools Thought. According to Mohism, this is well reflected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lation between Heaven and man. The Chapter Ⅳ studies the relation of Heaven and man and the theory of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mentioned in Lu's Spring and Autumn, with the focus on the age of the moon, punishment and virtue, and the theory of disaster and accident. This paper compiles the ideas of Hundred Schools of Thought and systemizes the formation of trinity of “Heaven,” “Earth,” and “Man,” using the category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from the ancient. This may be considered a blueprint for the unified empire which connects creations of the sky and earth, or time and space, closely to each other with humans as th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