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육공간에 따른 사육두수가 한우 거세우의 산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趙在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방은 입식부터 출하까지 소가 24시간 접촉하는 공간으로 소의 산육특성과 행동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 적정사육공간을 제공받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소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적정 사육두수 역시 소의 산육특성과 행동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에게 적정 사육공간과 사육두수를 제공하는 것은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생산성과 복지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춘천시 동산면에 위치한 일반 비육우사육농가의 비육용 한우 거세우 48두를 공시하여 우방 구성을 대조구(C)의 경우 35.28㎡에 4두를 배치, 처리구 1(T1)은 70.56㎡에 8두를 배치, 처리구 2(T2)는 105.84㎡에 12두를 배치하였으며, 각 처리구별로 2반복을 실시하여, 2006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12개월령을 시작으로 3개월 간격으로 각 개체별 체중(BW; Body weight)과 초음파 진단장치(HS-2000, Japan)를 이용하여 등지방두께(BFTU; Ultrasound Back Fat Thickness), 등심단면적(LMAU; Ultrasound Longissimus Muscle Area), 근내지방도(MSU; Ultrasound Marbling Score)를 측정, 각 처리구의 산육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17개월령과 19개월령에 행동관찰을 실시하여 기립(ST; Standing), 보행(WA; Walking), 횡와(LD; Lying down), 사료섭취(FD; Feeding), 자기핥기(SG; Self grooming), 긁기(SR; Scratching), 비비기(RB; Rubbing), 다른 개체 핥아주기(PG; Pairwise grooming), 기대기(LN; Leaning), 투쟁행동(FT; Fighting)을 관찰 후 행동특성을 비교하였으며, 12개월령과 18개월령에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을 측정하여 처리구별 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하였다. 처리구별 산육특성을 비교하였을 경우 대조구에서 육량등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등지방 두께가 두꺼운 경향을 나타냈으며, 육질등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근내지방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넓은 공간에서 사육된 처리구 1과 2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처리구 1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구 2에서 가장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별 행동특성에 있어서는 대조구에서 호신행동 항목인 자신을 핥는 행동(p<0.05)과 투쟁행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2에서는 보행행동(p<0.05)과 친화행동의 일종인 다른 소에게 기대는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행동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두당 사육면적이 같더라도 넓은 사육공간을 제공받을 경우 친화행동의 발현 및 운동성이 높게 나타는 것으로 판단되며, 사료섭취량에의 경우 처리구 중 보행행동 시간이 가장 많았던 처리구 2에서 가장 많은 량을 섭취하였으나, 증체량은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보아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넓은 사육공간을 제공받음으로써 운동성이 향상되어 증체량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생성되는 혈중 cortisol 농도와 갑상선 호르몬인 triiodothyronine의 농도 역시 처리구 2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처리구 2의 스트레스 정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2두를 공시한 한우 거세우의 산육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며, 본 시험결과는 한국형 축사에 적합한 복지형 사육관리 및 육성기에서 비육기까지의 합사관리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owadays, many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animal welfare studies. Also Korean beef cattle industry is highly concerned about it. Especially stress reduction is an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good quality and safe meat production. The pen and group size are great influence the factors known to have on the animal welfar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n and group size on growing and fattening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The experiment was carried from May 2006 to August 2007. Forty-eight,12-month-oldHanwoosteers(305.8±12.2kg)were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small; n=4, medium; n=8, large; n=12) and reared in seperate pens with a constant space allowance of 8.82㎡ per head from 12 to 21 month of age and then regrouped to 4heads per pen. Behavior of each steers were recorded from 8:00 to 18:00 for 2days. A common diet including concentrate(limited) and forage(ad lib) was provided to all the animals. Images of live animal ultrasonic back fat thickness, longissimus muscle area and Marbling score were evaluated after every three months using an ultrasonic equipment(HS-2000) at the 12th rib interface. In addi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concentrate of cortisol and triiodothyronine at 12 and 18 months of 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FTU in 4heads group was greater than 8 and 12heads groups and MSU was higher in 12heads group when compared with 4 and 8heads group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2. Pen and group size can be affected on MSU after 18 month started in earnest deposit of fat. 3. 8heads group showed the highest ADG while 12heads group had the lowest ADG. 4. 4heads group spent longer time for SG(p<0.05) and FT, however 12heads group spent more time for WA(p<0.05) and LN than other treatments. 5. 12heads group showed higher feed intake more than other treatments, but had lowest then other treatments. It can be indicated that 12heads group was increase the movement, then the reduce of ADG. 6. Stress hormones of cortisol and triiodothyronine(T3) levels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12heads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capacity of 12heads in the 105.84㎡(T2) is the most suitable pen size for reducing stress and animal welfare than those of 4heads and 8heads groups. These results can give positive effect for raising management and animal welfare suited to Korean stall and appropriate management from growing to fattening period.

      • 향가에 나타난 죽음인식 연구 : <祭亡妹歌>·<慕竹旨郞歌>·<願往生歌>를 중심으로

        조재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지금까지 논의된 선학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가에 나타난 죽음인식을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문학작품은 창작 당시의 시대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향가는 우리 선조들의 삶을 관찰할 수 있는 고대 시가 장르이다. 고대의 사람들이 삶과 죽음을 어떤 모습으로 인식했는지를 살피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Ⅱ장에서는향가 개별적인 작품들에 나타난 죽음인식을 살피기 전에, 우선 고대의 죽음 인식을 종교적 관점에서 관찰하였다. 무속적 죽음 인식에서는 환생의 믿음은 있으나 사람으로서의 삶은 일회적이라고 본다. 불교적 죽음 인식은 환생의 믿음과 함께, 사람으로서의 삶도 얼마든지 다시 되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도교는 죽음을 극복하는 데에 중점을 둔 내세관을 펼친다. 아울러, 「三國遺事」에 수록된 여러 죽음의 양상을 분류하여 수록한 것은 신분이나 죽음의 유형에 따른 죽음인식의 차이점을 조명하고자 한 까닭이다. Ⅲ장에서는 정토사상에 관해 정리하였다. 정토사상은 한국의 고대 죽음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상으로, 본고에서 연구하는 향가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정토사상의 개념과 발생, 전개를 통해 신라 시대의 불교문화를 가늠해 보았다. 또한 「삼국유사」에 직·간접적으로 나타난 정토사상의 반영을 통해 고대인들의 죽음 인식을 여러 방면에서 살펴 보았다. Ⅳ장에서는 향가 3수를 선택하여 각각의 죽음인식을 살폈다.〈제망매가〉,〈모죽지랑가〉,〈원왕생가〉는 각각 죽음에 대한 인식을 바탕에 깔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특히,〈제망매가〉와〈원왕생가〉에는 정토로의 왕생을 강력하게 희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의 죽음 인식을 짐작해 볼 수 있다.〈모죽지랑가〉는 정토왕생 사상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그 관련 설화에 주인공이 이미 환생하여 태어난 인물로 설정되어 있다는 점, 노래의 화자가 주인공의 환생을 다시 한 번 바라고 있다는 점에서 당시의 불교적 내세관과 깊은 관련이 있다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고대의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죽음 인식과도 연관지어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죽음 인식을 살피는 일은 곧 삶에 대한 관점을 살피는 일이 된다. 따라서, 향가에 나타난 고대인의 죽음의 양상을 살피고, 죽음을 대하는 자세를 관찰해 유한한 삶을 가치 있게 꾸려나가고자 하는데 본고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하겠다. This thesis is aimed to research perception on death shown in Hyangga(鄕歌) based on researches done by ancestors discussed up to now. Literary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hase of the time when they were created. Hyangga is one of good source that we can peek into the lives of our ancestors. It becomes the basis in researching those literary works to know how people in ancient times lived. Before reviewing perceptions on death reflected on individual Hyangga the awareness on death of the ancient time was observed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in Chapter Ⅱ. In an awareness of shamanistic death, there is a faith of rebirth, yet, it views that the human life exists just once. As for an awareness of Buddhist death, it views that the human life is repeatable along with a faith in rebirth. Taoism presents a view of world focused on overcoming death.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diverse phases of death shown in「Samgukyoosa : 三國遺事」were categorized and articulated is because the difference on the awareness of death were aimed to be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social status or death. In Chapter Ⅲ, the paradise(Buddhist Elysium) ideology was discussed. The paradise(Buddhist Elysium) ideology is known to influence an awareness on death in the ancient time of Korea the most, and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old Korean folk song researched in this thesis. The Buddhist culture of the Shilla period was identified through the concept,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paradise(Buddhist Elysium) ideology. In addition, an awareness on death of ancient people were reviewed in many aspects through the reflection of the paradise(Buddhist Elysium) ideology directly or indirectly shown in「Samgukyoosa」. In Chapter Ⅳ, each awareness on death was reviewed by selecting 3 old Korean folk song. <Jeamangmaega :祭亡妹歌〉,〈Mojukjeeranga : 慕竹旨郞歌〉, and〈Wonangsaenga : 願往生歌〉are common in that they are grounded on an awareness on death. In particular, <Jeamangmaega> and <Wonwangsaenga> strongly aspire to have rebirth in paradise(Buddhist Elysium), thus, we can notice their awareness on death at that time. Although the rebirth in paradise(Buddhist Elysium) ideology is not directly shown in <Mojukjeeranga>, its hero is a character already reborn in the related tale and the speaker of the song desires the rebirth of the hero once again. Therefore, the work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Buddhist view on the life after death of that time. Such a research may be utilized in association with an overall awareness on death shown in literary works of the ancient times. To review an awareness on death is to review a view point on life. Therefore, the ultimate aim of this thesis lies in reviewing the aspect of death of ancient people shown in Hyangga, and in having a finite life more worthwhile by observing an attitude toward.

      •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의 작품에 나타난 ‘숭고(the Sublime)’의 경험

        조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by using technology in James Turrell’s works. Turrell is one of the California Minimalist in 1960’s and his works were made on the emphasis of the viewer’s perceptual experience reacting on light and space. He lead the audience the perceptual experince by giving light the shape, the depth and the materiality. His works induce them to go thorough an irrational experince in the scientific and rational way and I think this experince is the Sublime. The concept of the sublime was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object itself. The man who feels the terror in front of the large and overwhelming object and tries to overcome it by his will could experience the sublime. This thesis is the study of that experience come from Turrell’s works which seem to be minimal and non-object. It will be revealing the private and dematerialized experince of Turrell’s minimal works and overcoming the limits of matter on revising Minimalims in the 1960-70’s. First of all, Turrell’s works include high technology and scientific thought in that he use technical expertise to express materialized light and focus on the process of physical mechanism related with the sense. And this is based on California Minimalism in the 1960-70’s and ‘Art and Technology Program’ in 1969. While California Minimalism is minimal in common with New York Minimalism, the former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in that it emphasize the illusion on the surface using polished synthetic products and light, and the perceptual effect, the viewer’s sensory experience. To achieve it, he use engineer’s technical expertise, craftsmanship, and semi-techinical method of making. Moreoever, h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of perceptual psychology participating in ‘Art and Technology Program’ and used it for making his works. Turrell’s works evoke infinite and very subjective experience. And it is possible due to 4 factors in his works. First one is the illusion effect of light. He express the light a material thing; from artificial light(projectors, fluorescents, neon tubes…) to natural light(sunlight, moonlight, starlight…), this creat the optical illusion on the retina of the viewer’s eyes and help them concentrate on their act of seeing. Therefore, it evoke the area beyond the consiousness and they experience the fear and the awe at the same time. Moreoever, the injection of nature into the work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o make the sublime. While he put sunlight, water and sky into his enclosed works, his recent works are based on the geographical figure and he make it naked-eye observatory. Because Turrell’s light-projection works absorbe the space of viewing, it help viewers feel the vast scale of works. In his early period of works, perspective factor of interior space are hidden and creat virtually infinite space. In his recent land-works, the viewer can experience the large scale of art because of huge crater and vaste celestrial vault. This situation provide thew with self-recognition in the infinite space. Finally, the duration of time is essential to the sublime in his works. This time is caused by the incorrectness of human’s eys, Turrell focus this, use it and make it art. He make this process a kind of mediatation and help viewer’s reinforce their self-consiousness and concentrate themselves. 본 논문은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 1943~)의 작품이 관람자에게 불러일으키는 ‘숭고(the Sublime)’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터렐은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캘리포니아의 미니멀리즘에 속하는 작가로, 그의 작업은 빛과 공간에 반응하는 관람자의 시지각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빛에 형태와 깊이, 물질성을 불어넣음으로써, 공간 속의 빛을 인지하는 관람자의 시지각적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터렐의 작품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비논리적인 경험을 자아내는데, 필자는 그것을 숭고의 체험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숭고는 인간이 거대하고 압도적인 대상을 마주했을 때 처음에는 공포를 느끼지만, 자신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는 경험을 일컫는다. 이 글에서는 아무 것도 없고 일루젼만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극도로 미니멀한 형식의 터렐의 작품에서 숭고의 체험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조형적 장치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것은 1960-70년대 미니멀리즘이 풍미했던 시대에 미니멀리스트들이 표상했던 의도와는 상반되는 지극히 사적이고 비물질적인 경험, 즉 미니멀리즘의 이면을 뒤집어 보는 일이 될 것이다. 우선 터렐의 작품은 물질화된 빛의 효과를 창출해내기 위해 고도의 기술적인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인간의 시지각에 관련된 신체적 메커니즘의 과정이 작품의 주가 된다는 점에서, 테크놀로지와 과학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1960-70년대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이라는 미술사적인 맥락과 1969년에 작가가 참여했던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이 있다. 먼저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은 감축적 표현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시대 뉴욕 중심의 미니멀리즘과 형식적인 유사성을 띠지만, 광택이 나는 합성물질과 빛을 이용해 작품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루젼을 강조하고 그로 인해 발생한 지각적인 효과, 즉 작품을 보는 관람자의 감각적인 경험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작가는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실험들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의 경험은 이후 그의 작업에 과학적인 전문성을 제공한다. 이렇듯 물리학, 생리학, 지각심리학, 대기과학과 천문학까지도 아우르는 그의 작업은 과학과 예술의 절묘한 결합을 보여준다. 터렐의 작품은 미니멀한 형식과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면서도 관람객에게는 무한한 감성이 동반된 매우 주관적인 경험을 불러일으키는데, 이것을 가능케한 조형적 장치로 먼저 빛에 의한 일루젼 효과를 꼽을 수 있다. 프로젝터와 형광등, 네온을 이용한 인공적인 빛에서부터 해와 달의 자연적인 빛까지, 그의 작품 속에서 물질화되어 표현된 빛은 관람자의 망막 위에서 시각적 일루젼이 창출되도록 하며 그 효과는 관람객이 빛을, 그리고 작품을 본다는 행위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그리하여 빛이 만들어내는 예측할 수 없는 일루젼 효과는 의식의 통제를 넘어선 영역을 상기시킴으로써,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과 경이로움의 교차를 경험하게 한다. 그의 작품에서 대자연의 삽입은 또한 숭고의 체험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작가는 폐쇄된 기존의 전시공간을 열어 햇빛과 물, 하늘을 작품 속에 끌어들이는데, 더욱이 최근 작업에서 작품 전체를 언덕이나 분화구와 같은 자연적인 지형에 옮겨 놓고 또 그것을 거대한 천체관측소로 개조하여 관람객이 밤하늘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관람자들이 우주의 모습을 맨눈으로, 아주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또한 빛을 방사함으로써 관람자가 서 있는 공간마저도 작품의 일부로 흡수해버리는 터렐의 작품은, 관람자에게 광대한 스케일을 실감하게 한다. 초기 실내 작품에서는, 물리적으로 한정되어 있는 내부 공간의 원근법적인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숨김으로써 무한한 공간감을 체험하게 한다. 최근의 대지 작업들에서는, 거대한 자연 지형이 주는 규모감에 더해 무한한 천체가 눈 앞에 펼쳐짐으로써, 관람객은 기존의 예술작품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광대한 스케일을 경험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무한한 우주 공간 속에 떠 있는 것 같은 체험을 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에게 몰입하게 한다. 거대한 작품은 관람자를 둘러싸는 장을 형성하여 자아를 확인시키는 실존적 환경을 제공하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서서히 드러나는 빛을 인지해야만 하는 터렐의 작품은 시간의 지속 과정이 필연적인데, 작가는 이 과정을 명상으로 유도함으로써 관람자의 내면의식을 강화시키고 자신의 존재에 보다 집중하게 만든다. 그의 작품 속에서 시간은 인간의 눈이 가진 결함, 그 부정확성 때문에 생기는 시간차에서 비롯되는데, 작가는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이와 같은 물리적인 시간에 주목하고 그것을 예술로 끌어들인 것이다. 요컨대 터렐은 인간의 눈의 한계라는 지각적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시지각적 경험이 진행되는 구체적인 시간적 과정을 초월적인 정신적 체험의 과정으로 유도한다. 그것은 자신의 신체의 한계를 깨는 것에서 자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을 초월한 것에 대한 경외심 즉 ‘숭고’에 이르는 과정이다.

      • 조선후기 서울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

        조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후기 서울에서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기생의 기업(妓業) 활동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현시대에 더욱 추상화되어 가는 기생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출발했으며, 이를 위해서 기생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조선후기를 그 시대적인 배경으로 한다. 조선후기의 사회.경제적인 성장은 문화.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주어 기생의 활동에 변화를 야기했기 때문에 조선후기 기생의 활동을 살펴보기 전에 사회경제의 변화 과정과 그 영향을 고찰하였다. 주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관찬 기록과 개인 문집을 자료로 활용했고, 문헌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구체적인 모습은 풍속화를 통해 재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는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하여 서울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도시 구성원의 계층과 직업은 다양하게 분화되었다. 그 중 경제적으로 성장한 상인층과 중인층, 그리고 경아전(京衙前)층은 도시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여, 경제력을 바탕으로 서울의 향락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주도하였다. 둘째, 조선후기에 도시민의 취미와 여가 생활의 발전은 기악(妓樂)의 수요를 창출했다. 이 시기 국가에서 주어진 역할이 축소된 서울의 기생은 민간의 폭발적 수요에 응할 수 있게 되어 민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다. 조선후기 기생의 영업 공간으로 새롭게 등장한 기방(妓房)에서 기생은 기예를 제공하고 술을 판매하고, 고객과 성적 관계를 맺었다. 셋째, 지방에서 올라온 기생들에게 의식주를 제공하면서 기생을 장악한 일부 중간계층이 금전적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기방을 열고 기방을 지배하였고, 기방을 찾는 주고객 역시 중간계층이었다. 그러나 기방에는 양반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조선사회의 전 계층의 남성들이 기생과 유흥을 즐기고자 출입하여 기생이 조선전기에 왕실과 사대부층을 상대했던 것과 달리 조선후기에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방 활동을 통해 기생은 많은 대중들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고, 도시민들은 기생을 직접적으로 상대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각 계층의 사람들은 기방에서 상품화된 기생의 성과 기예를 체험함으로써 기생의 성격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기생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전반적으로 저하되었다. 본고는 기생의 성을 향유하는 방식이 유교와 신분 제도의 틀이 아닌 사회경제적인 구조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조선후기에 기방에 각 계층의 남성들이 출입하면서 기생과의 유흥이 대중화된 사실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how kisae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id their businesses for city residents in Seoul. Central to this issue is the character of kisaengs in mokern society : it is abstract and ambiguo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haracter of kisaengs,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business of kisaeng became prosperous. Soc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largely affected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and in turn, it made changes in kisaengs' activities. So, I examin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economy and society and the effects prior to the examination of their activities. I focused on studying documents and used Joseonwangjosillok,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 variety of government-written records and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so that I was able to confirm their specific appearances with Korean traditional drawings, which these documents materials l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late Joseon Dynasty had seen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 into a commercial city brought about the diversification of the classes of its members and their jobs. Emerging as a new force in the city, the middle class who accumulated wealth and the low-ranking official class led the formation of a leisure environment in Seoul on the basis of their wealth. Second, the development of hobby and leisure activit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mong city members created demand for the performance of kisaengs. Kisaengs in Seoul, who had less service duties given by the Dynasty, were able to meet the explosive demand from the public and carried out active activities. At kibangs, which were introduced as new business places for kisaengs, they offered music and dancing, sold alcohol, and made sexual relations with their customers. Finally, it is clear that some of the middle class took an important role in the business activities of kisaengs : they not only supported kisaengs from rural areas as giv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controlled. They opened and managed kibangs in order to earn money, and the primary customers using them were also people in the middle class. However, kibangs were places where all kinds of men of the Joseon Dynasty from low-class people to the nobility went to and enjoyed entertainment with them. Compared with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only royal people and the nobility who was called "Sadaebu"s could enjoy the service of kisae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y members were also able to get access to kisaengs. With the opening of many kibangs, common people were more easily able to get access to kisaengs, and in this process, the overall social estimation of kisaengs became low because all classes of people started to recognize what characters they have as people experience the service of kisaengs. This study is meant to have contemplated the way to enjoy sexual relations with kisaengs through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 frame based on Confucianism and social position system. Moreover, this study is meant to have confirmed the fact that with all classes of men's visits to kibangs, entertainment with kisaengs becam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학습 동기 상실 요인 분석

        조재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국제화 시대를 맞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영어교육에 있어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학습 동기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학습 동기는 외국어 학습에서 매우 중요하며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또한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영어 수업 현장에서 살펴보면 영어에 흥미를 잃게 되어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거나 쉽게 좌절하고, 궁극적으로 영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높은 수준의 영어 학습 성취를 이루지 못해 학습 의욕이 저하된 학생들이 만연하다. 또한 상위권 학생들조차 동기가 상실되어 억지로 영어 공부를 하거나 영어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가 박약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와 같이 영어 학습에 있어 학습 동기 상실은 중요하게 다뤄져야할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반면 학습 동기 상실에 대한 연구는 질적·양적으로 미흡한 현실이다. 영어 학습 동기 상실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은 주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을 가져오는 요인을 밝혀봄으로써, 실제 영어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동기 상실 요인에 대한 초등 영어교사들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여 동기 상실에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 학생들의 동기 상실 예방 및 해결을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상실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상실 요인은 성취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셋째,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에 대한 초등 영어교사의 인식이 초등학생들의 인식과 일치하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D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학생 124명 중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사전 개방형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동기가 상실되었다고 파악된 82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 추출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30문항으로 작성되었고 모든 문항은 5단계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였다. 둘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동기 상실 요인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후, 회전된 성분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이 영어 학습 성취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실행 후 7개의 t-검정 및 2개의 일원분산분석을 추가로 실행하였다. 셋째, 상위권 10명·하위권 10명의 학생 및 9명의 교사 대상 심층인터뷰는 반구조화 형식으로 진행하였고, 연구자가 준비한 질문을 포함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의 응답 형태에 따라 추가적인 질문을 하였으며 심층 인터뷰 내용은 동의를 구한 후 녹음하여 전사 후 분석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의적 요인(부정적인 태도 및 자신감 부족), 시험 요인, 교사 요인, 사교육 요인, 수업 방법 요인, 학습 교재 요인, 동료 요인과 같은 7개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요인이 규명되었다. 7개의 동기 상실 요인 중 수업 방법 요인과 정의적 요인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동기 상실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반면 기존 선행 연구에서 주요한 동기 상실 요인으로 드러난 교사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그다지 큰 영향력이 있는 동기 상실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어 성취 수준에 따라 동기 상실 요인의 차이점이 나타났다.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 상실은 상위권 학생들보다 시험 요인, 정의적 요인, 교사 요인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상위권 학생들은 하위권 학생들과 비교해볼 때 사교육으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또한 상위권 학생들의 동기 상실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주요 요인은 사교육 요인, 수업 방법 요인, 학습 교재 요인이고 이 요인들은 교사 요인, 정의적 요인, 시험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위권 학생들의 동기 상실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험 요인과 정의적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 두 요인은 공통적으로 동료 요인, 사교육 요인, 수업 방법 요인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영어 학습에 있어 교사들의 동기 상실 요인에 대한 인식과 학생들의 인식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방법 요인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꼽은 학생들의 인식과는 달리, 교사들은 부적절한 학습 환경 요인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인식하였고 수업 방법 요인을 주요 요인으로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로부터 영어 학습 동기 상실 예방과 동기 상실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다 Motivation is commonly belie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econd language learning. However, some students easily lose interest and become frustrated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Even high proficient language learners occasionally become demotivated and show disinterest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ough demotivation is likely to be crucial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issue in Korean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mmon demotivating factors that discourag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It also investigates whether different demotivating factors across students proficiency levels are present. A 30-item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and two way analysis of variance. Furthermore, it also examined whether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auses of demotivation agreed or disagreed with the students' percep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even demotivating factors were extracted : (1) Negative Attitude toward English and Reduced Self-confidence, (2) Test Score, (3) Teachers' Personalities and Incompetence, (4) Private Education, (5) Characteristic of Classes, (6) Learning Contents and Materials and (7) Attitude of Class Members. The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istic of Classes’ was found to be the major demotivator when learning English, whereas ‘Teachers' Personalities and Incompetence’ was not the strong factor of demotivatio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what demotivated them in terms of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Lower-proficiency learners considered the 3 factors (Test Score, Negative Attitude toward English and Reduced Self-confidence, Teachers' Personalities and Incompetence) to be more demotivating than higher-proficiency learners. On the other hand, Higher-proficiency learners considered Private Education to be more demotivating. While higher-proficiency students tended to attribute their demotivation to Private Education, Characteristic of Classes, Learning Contents and Materials the most, lower-proficiency students attributed their demotivation to Test Score, Negative Attitude toward English and Reduced Self-confidence as important demotivation factors. Teachers' perception of the causes of students' demotivation did not necessarily agree with students perception in learning English. Contrary to the students perceptions on demotivation, teachers didn’t consider ‘Characteristic of Classes’ to be a crucial demotivating factor among students.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Characteristic of Classes is a major cause of demotiv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rrespective of proficiency levels. It also illustrates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develop teaching skills to promote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considering their demotivation factors. Teachers need to not only find the appropriate method to prevent students' disinterest in leveled intense and supplementary learning, but also promote a desirable learning environment. Finally, aside from teachers needing to find new learning methods, English textbooks should consider the various proficiency levels of students to fuel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