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골구조물의 자동자기진단 시스템에 관한 실험적 연구

        조재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 유비쿼터스 환경의 구축은 정부의 “u-korea"정책과 맞물려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시스템은 교통 및 물류시스템, 위치추적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등의 광범위한 활용분야에서부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스마트 디스플레이 등 미세한 분야에 까지 활용되고 있으며, 임베디드 시스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초소형 정밀기계, 그리고 센서와 칩ㆍ배지 등의 전자적인 요소들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과 맞물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건축/엔지니어링/건설 산업 등에도 높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최근 건설 분야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대형화ㆍ복잡화 되어 있는 건설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IT를 활용한 체계적인 전문정보를 통합관리 할 수 있는 정보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으로 구조물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메커니즘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 학회 및 학술발표가 광섬유 및 무선 Zig-Bee 시스템 등의 센서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고(김기수, 노용래, 20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한국과학기술원, 2002), 특히 외국에서는 교량을 통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Fu-Kuo Chang, 2003, Aftab Mufti, 2001).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몇몇 단체와 연구소에서 실험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아직 많은 부분에서 부족한 상황이다. 구조설계시 설계 및 해석에 사용되는 구조설계 프로그램은 구조물에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각각의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구조설계 프로그램은 단순화시키고 일반화시킨 조건들을 적용하고 그에 따라서 실제 구조물의 거동과 거의 유사하도록 설계되지만 실제 구조물의 거동을 정확히 설명할 수 없다. 이유는 실제 구조물은 여러 가지 변수 즉, 시공오차, 골조의 비대칭, 불균질한 재질, 편심 등의 조건에 의하여 구조설계시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구조물의 거동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준공 후 구조물의 거동이 설계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려는 노력도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안전점검 시스템은 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안전진단 등의 점검을 수행한 후에야 진단결과에 의해 보수 및 보강 대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의 안전 진단 체계는 일회성에 그치므로 구조물을 상시 점검할 수 없고, 장기적으로 볼 때 매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어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을 고려한 자동자기진단시스템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이하 SHM으로 쓴다))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반 골조의 축소모델을 사용하여 SHM시스템을 구축하므로써 하중에 따른 실제 구조물의 거동을 실시간 계측하여 센서의 선택 및 적용, 손상감지 및 위치 파악, 손상의 정도 파악 등을 확인하며, 구조물의 취약부와 위험도를 실시간 파악하므로써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연구를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시공간을 초월해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고 조기대처가 가능한 웹을 기반으로 한 SHM시스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 Computer programs for structural design are of help to the optimum design in contemplation of each condition. But it can simplify and a general condition, it can't make accurate explanation about a behavior of the real-living structure. Also, existing diagnosis system is not a rational method abou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 structure. because it establish a measure with diagnosis results of a structure. Accordingly, existing diagnosis system invested time and fund is not economy in the long view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SHM) is introduc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can settle them as to solve the structure at all times. SHM observes real-time structure of health, if it finds an accident condition, it immediately sends a message and furnishes information to the manager, so that repair works can be done to the problem. Therefore we can diagnose a structure more effectively better than before. In this study, we manage measur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we introduce a good measuring system in contemplation of a measuring method against a joint of technology information, a standardization of diagnosis method and a database of material. Finally, we compare a behavior of the existing structure design method with a behavior of the living structure by experiment, we not only examine adequacy of a measuring system. but also prepare a foundation of the web-based SHM

      • 응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및 스트레스

        조재덕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하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응급실과 내과계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50명을 표집하여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고 불충분한 응답이 있는 질문지는 제외한 14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지식은 조희연(2008)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2011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태도는 박세훈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심폐소생술 수행관련 스트레스는 cole 등(2001)이 개발하여 차동희(2013)가 번역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월 20일부터 2월 28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 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검정 t-test, Pearson’s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knowledge, attitudes, and stress levels related to CPR performance of emergency room and general ward nurses. The data from 146 nurses working in five general hospital emergency rooms and internal medicine wards in the Gyeongnam area were collected, Knowledge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a revised version by Cho (2008) reflecting 2011 Korean CPR guidelines. Attitude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Park (2006). Stress related to CPR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ole (2001) and translated by Cha (2014).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20th to February 29th,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 우리나라 조선 및 해양플랜트 산업의 인력수급 및 양성에 관한 연구

        조재덕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hipbuilding industry in Korea has achieved a great growth since the first ship yard in Mipo was built in 1964 as a part of “5 year economy development plan” led by Korean government. It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Korean Economy growth especially in heavy industry development such as metal, machinery etc. It is known that shipbuilding industry originated from European countries based on metal rivet technology which changed ships from wood to metal body. In 1960’s Japan adopted block welding from the US military war ship building technology and they dominated the world’s shipbuilding industry until the early 2000’s. A great demand in oil tanker ships caused by world’s oil shock in 1970’s greatly supported Japan’s ship building industry growth. In early 1990’s, Korea accelerated to invest in shipbuilding industry with huge scale shipyard building and shipbuilding naval architecture training programs in universities. Although, it enfaced a crisis during Korea Economy crisis in 1997, it succeeded in becoming world’s leading country in 2002. Korea’s shipbuilding industry ranked in the 1st place of all until 2008 and contributed a lot in Korean economy growth. However, many of under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China, paid attention to shipbuilding industry as a means of their economic growth, finally, China took Korea’s first place in shipbuilding industry in 2008 thanks to the great demand new ship from huge maritime industry and strong support from government. Korean restored the first place in 2009, but it is obvious that China’s shipbuilding industry will be great threat. Korea, whose labor cost is over 5 times higher than that of china, it cannot take advantage of cost competitiveness any more as it had against Japan in the past. The only way to continue the prosperity of Korea shipbuilding industry is to renovate technology where China cannot take over. To do so, Korea have to review human resources education and new possibilities in th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continue Korea’s shipbuilding industry’s continuous challenge over the world by looking into shipbuilding and offshore plant operation industry in point view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do this,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hipbuilding and offshore plant industry as well as technology trend and demand from market Secondly, I studied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atus by looking into education system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o identity problems which exist As a result, I suggest two enhancement plan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to support Korea’s shipbuilding industry growth

      • 패밀리레스토랑 내 지각된 혼잡성이 부정적 감정,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절변수인 시간압박을 중심으로

        조재덕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식산업이 무한경쟁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서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에 대한 차별적인 경영전략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기업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하진 만큼 사회 및 경제 환경의 변화와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외식 소비자들의 소비환경과 구매 방식이 과거와는 현저히 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패밀리레스토랑 고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혼잡성과 부정적 감정,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볼 수 있는 시간압박의 변인을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의 지각된 혼잡성, 부정적 감정, 고객만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각각의 변수들이 모형에서 어떠한 관련성과 영향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증 연구를 통하여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도출한 후 지각된 혼잡성이 부정적 감정, 고객만족에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시간압박의 조절변수가 지각된 혼잡성이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조절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서 표본추출은 자주 이용하는 네이버 검색순위 패밀리레스토랑 7곳을 선정하고, 2012년 4월 16일부터 2012년 5월 7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평소 자주 이용하는 패밀리레스토랑 7곳 중에서 1곳을 이용했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게 하였다. 설문지는 340부를 배포하여 313부가 회수되었으며(92.1%), 총 303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한 결과 지각된 혼잡성은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 감정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시간압박은 지각된 혼잡성과 부정적 감정 간의 관계에서 조절하는 것을 볼 수 있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으로 구성한 모형이 실제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 V.17.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패밀리레스토랑 내 지각된 혼잡성은 부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들이 부정적 감정의 감소를 위해서는 패밀리레스토랑 내 지각된 혼잡성의 감소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고객의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혼잡성이 시간압박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혼잡성이 부정적 감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압박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시간압박이라는 조절변수가 부정적 감정에 유의미한 변수인 것을 의미한다. 곧 시간압박이 높아질수록 부정적 감정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시간압박은 지각된 혼잡성과 부정적 감정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선행연구(Hui & Bateson, 1991)에서는 혼잡성이 어떤 상황에서는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고 또 다른 상황에서는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의 혼잡성에 따른 감정을 부정적 감정 단일 차원으로 구분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시간압박의 조절변수가 지각된 혼잡성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조절하는지 파악한 결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제외 시켜 부정적 감정만을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한다. 셋째, 고객의 부정적 감정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독립변수로서 고객의 부정적 감정은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이 높아지면 고객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만족의 향상을 위해서는 부정적 감정의 감소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영진은 고객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객들이 혼잡함으로 인해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를 갖지 않도록 해야 하며, 특히 매장 내 혼잡에 영향을 받는 고객들이 서비스와 분위기에 갖게 될 부정적인 기대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on family restaurants' customers may be desperately needed when food industry is entering infinite competition. As increasing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and a variety of customer needs, spending environment and how to buy are changing dramatically from the past due to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improvement in income levels. Therefore, it's necessary to approach crowdedness and negative emotion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 and the factor of time pressure which might adjust these relations in a new way. In this study, I set up a hypothesis with research model based on crowdedness perceived in family restaurants, negative emo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 want to clarify that perceived crowdedn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negative emo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fter drawing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us, i'd like to grasp whether the control factor of time pressure regulates the degree of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edness on negative emotion. For sampling, 7 family restaurants in Naver search ranking used frequently was chosen to analyze and verify these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6, 2012-May 7, 2012,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customers who used 1 out of 7 family restaurants where to go frequently. 34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13 copies(92.1%) were returned a total of 303 were used in a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adequacy of research model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ere that perceived crowdedness affected nega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ffected customer satisfaction. Time pressure affected perceived and negative emotion since time pressure could be seen to regulate crowdedness perceived and negative emotion so the model configured theoretically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actual dat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collected by data analysis method did in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it was analyzed using SPSS V.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difference wa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uncan test was conducted as a post test.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Cronbach's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rowdedness perceived in family restaurants showe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Thus it was analyzed that the decrease of crowdedness perceived in family restaurants was important to decrease negative emotion of customers. Secon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ve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crowdedness had an posi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statistically to verify whether perceived crowdedness affected negative emotion controlled by time pressure, time pressure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trol factor of time pressure means a significant factor in negative emotion. It was analyzed time pressure was higher, negative emotion was higher. Therefore, time pressure can be seen to regulate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crowdedness and negative emotion. Previous studies(Hui & Bateson, 1991) showed whether crowdedness led positive emotion in any situation and it led negative emotion in any situation. Howev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 by crowdedness in family restaurants by separating as negative emotion single dimension. As a result of grasping that perceived crowdedness regulated the degree of the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 the negative emotion was used except for positive emotion. Third, customer's negative emotion as an independent factor in the impact of customer's negative emo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tatistically, as negative emotion was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was lower.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decrease of negative emotion was important to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The management of family restaurants needs to take about way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Moreover, the management makes customer not have negative expectations for service due to crowdedness, in particular, it should find strategies to mitigate negative expectations of the customers affected by crowdedness in restaurants.

      • 휠체어 조작기술 훈련 프로그램(WSTP)이 휠체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재덕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표적인 휠체어 훈련 프로그램인 WSTP(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가 휠체어 조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의 다양한 환경들 중 휠체어 사용자가 스스로 독립생활을 하게 되는 환경 중 하나인 캠퍼스를 중심으로 캠퍼스 이동에 필요한 휠체어 조작기술에 WSTP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캠퍼스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휠체어 사용 경력이 5년 이상이고 캠퍼스 이동에 문제가 없는 휠체어 사용자 1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12일부터 동년 10월 18일까지 자문을 얻어 캠퍼스 환경을 구성하였다. WSTP를 통해 변화된 조작 능력이 캠퍼스 이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휠체어 사용 경력이 없으며, 상지에 근골격계 이상이나 신경계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 남자 6명과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WST(Wheelchair Skills Test)와 캠퍼스 환경 검사를 WSTP를 통한 훈련을 받기 전과 후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WST와 캠퍼스 환경 검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ST 전체 실행 능력 점수(TPS)의 사전검사는 46.1±7.5(%)이었고 사후검사는 80.3±5.2(%)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WST 전체 안전 점수(TSS)의 사전검사는 45.6±7.9(%)이었고 사후검사는 78.6±5.3(%)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WST 전체 점수의 사전검사는 45.9±7.7(%)이었고 사후검사는 79.5±5.1(%)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휠체어 조작기술 난이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한 결과 ‘사회기술’과 ‘고급기술’에 해당하는 조작기술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캠퍼스 환경 검사 실행 점수의 사전검사는 54.3±5.8(%)이었고 사후검사는 97.0±3.4(%)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캠퍼스 환경 안전 점수의 사전검사는 54.0±5.7(%)이었고 사후검사는 93.3±7.8(%)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캠퍼스 환경 검사 전체 점수의 사전검사는 54.2±5.7(%)이었고 사후검사는 95.2±5.2(%)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넷째, 캠퍼스 환경 실행 변화와 안전 변화를 비교한 결과 ‘높은 각도의 경사면 올라가기’, ‘출입문 들어가기’, ‘대변기로 이동하기/휠체어로 이동하기’ 검사 항목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현재 국내 휠체어 보급의 문제점은 전문적인 훈련과 교육을 받지 못하고 보급 및 구입이 이루어지고 있어 휠체어 사용 시 신체적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훈련과 교육의 부족으로 조작 및 사용상 어려움이 발생해 보급 및 구입된 휠체어가 방치되고 있는 결과를 초래해 국가 재정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WSTP가 휠체어 조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WSTP를 통해 향상된 조작 능력이 캠퍼스 이동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WSTP를 통해 캠퍼스 이동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능력도 향상되었다. 국내에서도 WSTP를 통한 휠체어 사용자의 조작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휠체어 사용자의 신체적 상해와 휠체어의 미사용을 줄여 국가 재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휠체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기 위해 초기 재활과정부터 WSTP를 통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WSTP(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the most well-known wheelchair training program, could help to improve wheelchair operation skills. Specifically, it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WSTP on the wheelchair operation skills needed to move around on the campus, which is on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wheelchair users get to lead an independent life in the nation. Consultation was elicited from ten wheelchair users, who have used a wheelchair for five years or longer and have no problem with moving around on the campus, from October 12 to 18, 2009 in order to organize a campus environment for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hanged performance skills through WSTP on moving around on the campus. Participants were twenties adult(6 males, 14 females), who had no experience of using a wheelchair and no problems with the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 in the upper body. They were put to the WST(Wheelchair Skills Test) and the Campus Environment Test before and after training through WSTP.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otal Performance Scores(TPS) of WST were 46.1±7.5 in the pre-test and 80.3±5.2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otal Safety Scores(TSS) of WST were 45.6±7.9 in the pre-test and 78.6±5.3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otal Score of WST were 45.9±7.7 in the pre-test and 79.5±5.1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Second, chang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wheelchair operation skills. The result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kills" and "advanced skill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hird, the subjects' performance scores of the campus environment examination were 54.3 ± 5.8 in the pre-test and 97.0±3.4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heir safety scores of the campus environment were 54.0±5.7 in the pre-test and 93.3±7.8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heir total scores of the campus environment were 54.2±5.7 in the pre-test and 95.2±5.2 in the post-tes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And fourth, changes to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campus environment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mbing up a steep incline," "entering through a door," and "moving to the toilet/moving in a wheelchair" between the pre- and post-test(p<.05). There are a couple of problems with the distribution of wheelchairs in Korea today; the users don't get to receive professional training and education after purchase and thus are exposed to the risk of physical injury. In addition, the lack of training and education leads to difficulties with operation and usage, which in turn leave wheelchairs unused and contribute to the inefficient spending of national budgets. The study finds that WSTP is helpful in improving wheelchair operation skills and that the improved wheelchair operation skills are conducive to moving around on the campus. WSTP also improved the abilities to move around on the campus with more safety. When they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wheelchair operation skills in the nation, they will reduce the users' physical injury and lack of use of wheelchairs and thus increase the efficiency of national budgets. Thus it's required to provide training through WSTP in the earlier stages of rehabilitation in order for individuals to efficiently use wheelchairs.

      • IB-DFE를 적용한 SC-FDMA 시스템의 성능 비교 분석

        조재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C-FDMA는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으로 각광 받고 있는 3GPP-LTE 시스템의 상향링크에 채택된 통신 방식으로 OFDM에 준하는 성능을 제공하고 비슷한 복잡도를 가지며, 신호의 PAPR이 OFDM에 비해 낮고, 사용자 간의 주파수 자원 할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SC-FDMA는 OFDM과 마찬가지로 등화기를 FD-LE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현된 FD-LE는 잡음 증폭 문제로 인해, FF 필터는 주파수 영역에서 구현하고 FB 필터는 시간 영역에서 구현한 Hybrid-DFE보다 성능이 열악하다. 최근에 FB 필터의 구현 및 처리 과정이 복잡한 Hybrid-DFE의 단점을 보완하고 FD-LE보다 우수한 성능을 얻기 위해 여러 가지 IB-DFE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3GPP-LTE 상향링크 시스템과 SC-FDMA에 대하여 설명하고 가장 큰 장점인 PAPR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그리고 FD-LE와 여러 가지 IB-DFE 알고리즘을 3GPP-LTE 상향링크 시스템에 적용하고, 등화기의 계수를 비교하여 IB-DFE 알고리즘의 잡음 증폭 억제 능력을 확인하며, 비트 오류율을 계산하여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3GPP-LTE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제안한 기준 신호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그 오차가 IB-DFE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IB-DFE 알고리즘의 계산량을 분석하여 설계자가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하고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SC-FDMA is employed in the 3GPP-LTE standard as the uplink transmission scheme. SC-FDMA has several advantages as follows; lower PAPR of signal than OFDM, flexible bandwidth allocation, a simple equalizer such as FD-LE. But FD-LE has inferior performance because of noise enhancement problem to Hybrid-DFE composed of a frequency-domain feedforward filter and a time-domain feedback filter. Recently, IB-DFE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implementation and processing complexity of the Hybrid-DFE and to obtain superior performance to FD-LE. In this paper, we give an overview of 3GPP-LTE uplink system based on SC-FDMA, and compare PAPR of SC-FDMA with that of ODFM. Next, we estimate the channel response in the frequency domain by using a reference signal proposed in 3GPP-LTE uplink system, and investigate effects of channel estimation errors on performance of IB-DFEs. Also, we apply several equalization algorithms including IB-DFEs to 3GPP-LTE uplink system, and compare coefficients of each equalizer to confirm the ability of anti - noise enhancement of IB-DFE, and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IB-DFEs by calculating BER. Finally, by analyzing computational complexity of IB-DFEs, we present some criteria to choose appropriate algorithm and to decide the number of iterative processes.

      • 턱관절 장애치료에 있어서 침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조재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Acupuncture for treating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by Cho JaeDeok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Cho Jae-Heung Objective: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assess the clinical evidence for or against acupuncture and acupuncture-like therapies as treatment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Data: This systematic review includes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 of acupuncture as a treatment for TMD. The search ter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medical subject heading (MeSH). Sources: Systematic searches were conducted in 9 electronic databases up to September 2023; Pubmed, Cochrane Lirary, Embase, CNKI, KISS, ScienceOn, RISS, OASIS, KMBASE. Study selection: All RCTs of acupuncture for TMD were searched without language restrictions. Studies in which no clinical data and complex interventions were excluded. Finally, total of 8 RCTs met our inclusion criteria. Conclusions: In conclusion, ou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monstrate that the evidence for acupuncture as a symptomatic treatment of TMD is limited. Further rigorous studies are, however, required to establish beyond doubt whether acupuncture has therapeutic value for this indication. Key words Acupunctur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Systematic review, Meta-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