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소 그리기를 통한 의미 만들기 : 초등학교 학생들의 드로잉을 중심으로

        조인성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23명의 학생들의 아동화를 중심으로 그 속에 담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때 아동화의 주된 관심은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를 중심으로 한 아동화를 토대로 그 속에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문화, 더 자세히 말하면 장소적 문화이다. 여기서 문화는 삶의 방식이자, 사는 방법이다. 이로써 학생들의 장소적 삶이 반영된 아동화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하는 관점으로는 로웬펠드를 포함하여 많은 학자들이 주창한 아동 미술에 대한 인지발달론적 단계이론이 아니라, 윌슨과 같이 아동미술발달을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려고 모색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아동화 연구에 사회‧문화적 영향을 중시한 것으로, 아동화 또는 사진에 어떠한 문화가 영향을 끼쳤고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 그림 및 사진에 사는 방법으로서의 문화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새롭게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를 실행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아동화를 통한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 활동을 교육적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이 교육의 활동은 학생들이 자신의 의미 있는 장소를 그림으로 그리거나 장소를 사진으로 찍고 장소 활동지에 자신의 장소에 대한 정체성의 이야기를 적는 것이다. 아동화에 나타난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와 장소적 삶의 모습 및 양상을 장소적 삶, 비장소적 삶, 재현 공간으로서의 삶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로 집, 학교, 여행지, 비밀 장소 등이 나왔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장소가 된 것은 학생들이 그곳에서의 행위, 의도, 가치 등이 경험으로 층화되고 기억으로 승화되면서부터이다. 학생들 저마다의 경험이 장소로부터 나온 기억과 결부되어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가 되었다. 학생들의 그림과 사진의 장소 이미지에서는 장소의 현장 또는 물질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장소 활동지에서는 장소의 위치와 장소에 대한 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아동화를 통한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자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장소적 삶의 방식과 문화를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장소를 이해하고 깨닫게 해주는 발판을 제공해주고, 학생들의 장소적 삶에 있어서 일상생활 세계의 의미 단위로 작용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장소감, 특히 장소에 대한 삶의 정체성을 느끼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아동화를 통한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 활동은 장소를 통한 자아의 믿음과 신념을 굳건하게 하고 학생들의 사회화를 경험하게 하여 “의미 있는 장소”에서 본질로서의 나를 생각하게 해주는 학생들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다. The development theory perspective that would expla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rt, attaching importance to cognitive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stage factor poses va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as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various factors affect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and expression and are complexly correlated. The development theory perspective is important, but in order to understand and asses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rt more in depth and in a richer wa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development theory perspectives on children's art in different aspects considering their socio-cultural factors, in other words, their culture, which is the way of life. In the postmodern era, artistic development is understood as an overall categor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s well a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perspectives of children's art. Like this, in order to understand children's art in the postmodern er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elements, in which they live along with their cognitive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element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children's art. Children's art becomes a work of art only by int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transforms objects into a work of art. Thus, this study would pay attention to the signs reflected in children's art through this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children’s way of cultural life by interpreting and identifying signs in their drawings affected by their socio-cultural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asked to draw their favorite space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factors reflected in them by analyzing their drawings and products. This study would interpret and investigate the art or drawings of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paying attention to socio-cultural factors, rather than looking at them from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perspec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children's experience and culture in their drawings, using th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the pictures and photos to understand cultural expressions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in the products of the activities of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for Meaning Making through drawing place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nyang, Chungbuk. In addition,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case study, which is a research method that could understand the children in the case more in depth,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ir way of life in the places collected in various ways, such as students’ activity sheet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interviews between students and the teacher, and the field surveys to examine the students’ culture in the places further. As for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llected and observed children's pictures and photos of places with one class of 23 third grader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or Meaning Making through drawing places at D. Elementary School in Danyang in an art course implemented for eight class hours from the first week through the fourth week of December 2018. As for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pictures and photos of the children in the case, in the eight class hour art course planned as a program for Meaning Making through drawing places, they were asked to draw pictures freely,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ir way of life in the places was collected through creating activity sheets, taking pictures of places,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exploring the places in parallel. This study analyzed the expressions appearing in the children’s pictures and photo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ir places collected and observed. 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program for the activity of drawing meaningful places through children's drawings, first, it showed the students’ way of life and culture in the places. Second, it helped the students understand the places. It showed that the students’ places were small meaningful units in their everyday life, as they gave meanings to their life in the places closely related to their daily life themselves. Third, it allowed the students to feel the identity with the places. Talking about descriptive identities with the teacher and friends through personal images like pictures and photos, they identified with the places. Lastly, it strengthened their trust and faith in the self through the place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self and contributed to the education of ego-identity that would allow them to think about themselves as the essence, allowing them to experience students’ socialization.

      • 한국 석유화학 외항탱커선 해운기업의 경영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조인성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head of 2020’s, the global shipping economy is still in recession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e global tanker shipping industry is also in recession due to the reduction of consumption and logistics. By the way,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y is well developed in Korea. Under the current shipping market conditions, it can be said that a study on the management efficiency evaluation of Korean overseas oil and chemical tanker shipping companies utilizing those favorable Korean industrial systems is necessary to secur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Korean overseas oil and chemical tanker shipping companies(called “Companies”). For this Study, it has been reviewed the outline of Companies and collected 20 DMU companies. It has been collected 4 major financial factors of operating cost(OC), sales(S),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SAE), operating revenue(OR) which are noticed in DART and 1 non-financial factor of deadweight ton(DWT) of 20 DMU companies for 3 years from 2016 to 2018. It has been analyzed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20 DMU by DEA-CCR-I & DEA-BCC-I analysis models of ‘DEA-Solver-LV’ program including ‘SPSS Window(22V)’ and ‘MS Excel’ program with above 5 factors. And then, it has be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CEO and Directors of the 20 DMU companies so as to evaluate the results and trends, what factors are needed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for each DMU.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OC in 2018 increased by 15.7%, DWT increased by 15.3%, and the S increased by 3.3%. SAE decreased by 7.6% and OR decreased by 66.7% for which compared to its 2016, as the results of 20 DMU compan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trend of TE, PTE, SE, it was found that 6 companies of DMU No. 1, 4, 7, 10, 19, and 20 recorded its efficiency of '1' and RTS was ranked as CRS level for 3 years. It can be sai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has been proven.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OC, DWT and SAE were negativ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ir inefficiency values of OS and SAE were observed largely, thus it was suggested improving measures to each DMU company. Fourth, with the result of this DEA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it has been collected 87.5% of positive responses, and gained another improving measures for management efficiency. The contribu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most no study on the management efficiency using the DEA analysis method related to the Korean overseas oil and chemical tanker shipping companies. Second, it was gained improving measures by in-depth interviews with CEO and directors. Third, even though stagnant shipping industry since 2008, it was confirmed the remarkable growth of Companies and ship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recession of the shipping industry at all times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assets and resources by preemptively responding to crises such as efficient management of assets, reduction of cost expenditures. Also it needs training and investment of experts. The limitation and direc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at the research scope and depth were limited as there were no samples and few previous research data. Second, DEA research technique does not accurately assess the technical relationship to the results of the analyzed data. Third, as Korea's heavy and chemical industry is on a global scale, if many study including DEA research techniques shall be expanded and developed in related industries, it will be help to enhance the generality of future study. Keywords: DEA, DMU, Interview, Management Efficiency, Oil & Chemical Tanker, Petrochemical

      •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차전지를 위한 전극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 Electrode structural design for high-energy-density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조인성 한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 수급 불균형 및 이상기온, 지구온난화 등 환경 문제가 전 세계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차전지기술은 기존의 내연기관을 대체할 에너지 저장 매체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 EV), 에너지 저장 장치 (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에 사용됨으로써 지구의 탄소배출량을 낮춰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1991년 SONY에서 처음으로 상용화 되어 오늘날까지 수많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전지는 중대형 저장매체로 확대대기에는 부족한 에너지밀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Over Lithiated Oxide (OLO), LiNi0.5Mn1.5O2 (LNMO), silicon, tin, metal oxide, Li metal 과 같은 고용량 양극 및 음극 소재가 개발 중에 있으나, 고전압에서의 전해액 분해 문제, 부피팽창으로 인한 전극 구조 붕괴,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 등으로 인한 심각한 용량 저하 등의 해결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이는 해당 양극 및 음극 활물질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로부터 발생되기도 하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셀 설계의 부재가 이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고용량 양극 및 음극소재가 시장에서 요구하는 우수한 성능 및 안정성을 나타내도록 셀의 적절한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2장에서는, 현재 고용량 양극 활물질로서 유망한 Ternary transient metal component systems (Li-Ni-Co-Mn-O, NCM; LiNixMnyCozO2 where x + y + z = 1) 시스템의 도전재 형성에 따른 성능을 보고하였다. NCM은 높은 구동 전압에 따른 고에너지밀도, 기존의 LiCoO2 시스템보다 낮은 Cobalt 사용에 따른 가격 저하, 높은 안정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어 많은 이차전지 제조 기업에서 이를 사용 중이며, 높은 Nickel함량에 따른 고용량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그러나, NCM은 낮은 전기 전도도로 인한 율속 특성 및 고율 수명특성 저하가 문제가 되고 있다. 잘 분산된 도전망의 형성은 전극 내부에서 전자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셀의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전재 설계에 따른 NCM의 율속특성을 보고하였으며, 이를 LiCoO2 (LCO), LiFePO4 (LFP) 시스템과 비교 분석 하였다. 전극의 조성은 활물질 : 바인더 : 도전재 = 90 : 5 : 5 로 고정 하였으며, 도전재로는 carbon black의 한 종류인 Super-P와 MWCNT 형태인 VGCF를 다른 조성으로 전극 내에 첨가하였다(Super-P:VGCF = 5:0, 2.5:2.5, 0:5). 그 결과, 일차입자의 형태인 LCO와 LFP에서는 VGCF를 단독으로 사용한 전극의 율속 및 수명특성이 가장 높았지만, 이차입자의 형태인 NCM에서는 두 도전재의 혼합사용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제 3장에서는, 차세대 음극 활물질로써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실리콘 (Si) 음극의 집전체 개질을 통한 수명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였다. 실리콘 음극은 기 상용화된 graphite에 비해 이론적으로 10배에 달하는 높은 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충방전시에 수반되는 약 400%의 부피팽창으로 인해 낮은 수명특성을 보이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특히 부피변화에 따른 소위 “dead Si”의 생성은 실리콘 음극 용량 저하의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 그룹에서 전극 형태를 잘 유지해 줄 수 있는 바인더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고 있지만,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실리콘의 부피팽창 및 수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극 복합층과 집전체 사이의 박리 현상은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실리콘 음극에 사용되는 구리집전체에 홍합 유래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도파민(polydopamine)을 박막 코팅함으로써 바인더로 사용된 Poly (acrylic acid)와의 수소결합력을 높이고, 열처리를 통해 amide 형태의 공유결합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dead Si”의 발생을 최소화 한 연구를 보고하였다. 제 4장에서는, 조도 값이 큰 구리동박을 실리콘 음극용 집전체로 사용함으로써, 실리콘 음극의 우수한 전기화학 성능과 함께 플렉서블 구동 환경에서의 성능 향상 효과를 보고하였다. 실리콘음극용 집전체로는 1µm 이하의 조도값을 갖는 평평한 구리동박(Flat Cu foil)과 약 3 µm의 값을 갖는 거친 동박(Rough Cu foil)을 사용하였으며, 공초점 방식의 현미경을 통한 depth profiling과 단면 SEM촬영을 통해 이들의 조도값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더 높은 조도값으로 인한 많은 전극-집전체 계면의 접점 (Contact point)를 갖는 rough Cu foil에서 더 우수한 계면 접착력 및 전기화학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 6.5 mm의 직경을 갖는 롤 형태의 파우치타입 셀을 제조하여 플렉서블 구동 환경에서의 전가화학 성능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rough Cu foil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hapter 2는 RSC Advances., 2015, 5, 95073-95078에 보고된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Chapter 3는 Scientific Reports., Accepted on 11 July 2016 (DOI: 10.1038/srep30945)된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Over the past few decade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to operate various type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 computers. However, rapidly increasing atten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next-generation lithium-ion batteries (LIBs) with high energies, high power densities, high rate capabilities, improved cycle lives, and safe operation. This demand is driven especially by the increase in large-scale applications of LIB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In 1991, SONY successfully developed LIB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s (i.e., graphite) for use in portab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and laptops. Today these traditional LIBs, which contain electrodes that use intercalation chemistry, are now approaching the limits of their theoretical specific energies. Even without changing the original type of active material, however, there is still room to improve the rate capabilities of the electrodes. This can be achieved in two ways: 1) by controll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des such as the density and thickness and 2) by using strongly conductive conducting agents. Moreover, new active materials with much higher theoretical capacities must be considered as candidates for next-generation cathode and anode materials, as these materials intrinsically determine the total quantity of lithium ions in the system. In chapter 2, to investig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conductive additives on the cathode performance of LIBs, three types of cathode materials containing different ratios of vapor-grown carbon fibers (VGCFs) and carbon black (Super-P) are investigated. The pillar-like morphology of the VGCFs enabled them to efficiently connect to the active materials; hence, these materials achieve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LiCoO2 and LiFePO4 (both of which are composed of primary particles). On the other hand, for LiNi0.6Co0.2Mn0.2O2, which is composed of micro sized secondary particles with embedded nano sized primary particles, a mixture of VGCF and Super-P shows synergistically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Chapter 3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a novel Cu current collector by introducing a mussel-inspired polydopamine coating onto the Cu surface; the current collector was used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 Si electrode. The polydopamine coating covalently bonded the polymeric binder (with hydroxyl functional groups) via a condensation reaction. The coating improved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Si composite electrode and the Cu current collector (245.5, 297.5, and 353.2 N m−1 for Si electrodes based on bare Cu, polydopamine-treated Cu without thermal treatment, and polydopamine-treated Cu with thermal treatment, respectively). We demonstrated that the attachment of the Si composite electrode to the current collecto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Si electrode. The cycle life and rate capability of the Si electrode improved when the polydopamine surface-treated Cu current collector was used (963.9, 1361.1, and 1590.0 mAh g−1 for the Si electrodes based on bare Cu, polydopamine-treated Cu without thermal treatment, and polydopamine-treated Cu with thermal treatment, respectively, at C/2 after 500 cycles). In chapter 4, to apply the Si anode in flexible and high-energy-density LIBs by improving the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Si composite electrode and the current collector, two types of Cu foil having different roughnesses are used. To characterize their morphological status, depth profiling using both confocal microscopy and cross-sectiona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are used. These indicated that the roughness of the rough Cu foil is around 3 µm, whereas the conventional flat foil had a smooth surface with a roughness of less than 1 µm. The greater surface area of the rough Cu foil due to the rough surface produced a higher contact point at the Si composite electrode–current collector interface, improving its interfacial adhesion strength to 135.7 N m−1 from the flat Cu foil’s value of 89.7 N m−1. As a result, the Si electrode adopting a rough Cu foil shows a significantly higher discharge capacity of 1500 mAh g−1 after 200 cycles than that using the flat Cu foil. Furthermore, it delivers improved cycle performance in a rolled conformation with a radius of 6.5 mm owing to the enhanced interfacial adhesion.

      • 지구단위계획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인성 중부대학교 (중부사회산업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is a deed of city development, and a planned means to control and to lead construction works properly. It was newly established in January 2000. However, by the reason of the beginning stage, many problems were disclosed, such as the system of city design, interconnection of detailed plan, conflicting problems, insufficiency of linkage of the plan execution means, insufficiency of new system application, insufficiency of administrative power for performance and relation with the related business, etc.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solution of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lan by researching the related examples of regional development plan and by reviewing related laws based on the example of city development of the unit region of Daejun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resulted as belows : First, a solution applicable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is requir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s of various businesses which applicable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Second, saving professional manpower and sections available to adjust and lead the prior step of regional development plan is required. And, at the same time, it suggest to separate the guiding substance of regional development plan and then to utilize by separating as a definite adjusting means. Third, solution should be found out that the execution power is strengthened by leading posi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 and that practical outcome is returned to resident. According to above, more detailed alternative suggestion can be arranged as : First, a solution for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incentive should be studied positively. Second, each regional ordinance should be established and applied to settle and execute the division of role by private and governmental off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region of regional module planning. Third,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d apply a separated ordinance, and a solution of positive participation by resident should be found out for successful execution. The results and the proposed solution suggested as above are still place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and it is suggested without any example of application. So, we have to carry out and develop to more detailed scheme through the trial process during the appl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lan. One task we have to solve is that a study of the more detailed substance of plan and business method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the system of city design and the system of detailed plan which was enforced so far by our country, and also based on the example of foreign countries which made a good precedent similar to the regional development plan.

      • 아크릴섬유 폐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공정의 개선

        조인성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연의 정화능력을 초과할 정도의 과다한 영양염류가 유입되어 하천의 부영양화현상과 적조 발생등의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1996년부터 팔당호, 대청호 그리고 낙동강 유역 일부지역에 대해서만 총질소 총인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하던 것을 2003년 전국의 1~4종 폐수배출업소뿐 만 아니라 5종을 포함한 모든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규제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대외적인 요구에 따라 기존의 폐수처리방법으로는 영양염류에 대한 처리에 어려움이 있어 많은 업체들이 새로이 고도처리를 도입하거나 기존의 폐수처리를 개조하여 배출수의 오염도를 낮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섬유 중 아크릴섬유를 생산하는 H사의 폐수의 특성과 총질소제거 고도처리 공정 운전중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사례를 연구하였다. 질산을 용매로 사용하는 아크릴섬유 공정은 200㎎/L 이상의 NO₃^(-)-N 과 약 50㎎/L 의 NH₃^(+)-N를 포함한 고농도 질소배출시설이다. 이러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기존의 활성오니공정을 개조하여 A/O 공법의 고도처리로 운전 중 충격부하발생으로 인한 불안정한 처리를 개선하고자 두차례의 개선을 시도하였다. 먼저 전처리 공정에 폭기공정을 추가함으로써 활성오니에 유해한 미반응된 Acrylonitrile 등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제거하고, 이 폭기공정이 pH11 의 알카리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NH₄^(+)-N 을 Air Stripping 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으로 NO₃^(-)-N 의 제거율은 양호하나 NH₄^(+)- N의 저조한 제거율 향상을 위해 고도처리 공정중 최종 탈질조를 질산화조로 개조하여 질산화조의 HRT를 1.5 배 늘려 NO₃^(-)-N 의 처리는 변경전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지 않았으나, NH₄^(+)-N의 처리효율을 32%에서 67%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e Abstract effluent discharge standards of industrial wastewater has become more stringent since 2003. Many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has been upgraded to advanced treatment facilities. There are high concentrations of nitrate(>200mg/L) and ammonium(>50mg/L) nitrogen in the acrylic fiber wastewater of H textile Co. Wastewater from acrylic fiber industry containing acrylonitrile, which may affect the subsequent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Manufacturing of acrylic fiber also produces shock loadings. Excessive acrylonitrile and polymer debris produced in the polymerization process was screened, coagulated with CaO and sedimented. A preaeration system was added to treat this high pH effluent to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ammonia nitrogen by the air stripping effect. It was found that nitrification rate was not sufficient in the Anoxic/Oxic(AO) process. One denitrification tank was converted to nitrification reactor to extend HRT of nitrification. Nitrification rate of ammonia nitrogen was promoted from 32% to 67% by this modification and effluent nitrogen concentration was well satisfied effluent with the standards since then.

      • 행위자 네트워크론에 기초한 지역학습의 실천 : 단양 지역을 사례로

        조인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간의 다양한 관계로 구성된 지역이라는 공간에서 비인간 요소를 지역 정체성으로 번역하고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점에서 핵심적 유의성을 가진 행위자 네트워크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 내 그들의 역할을 인식하지 못하고 지역 정체성 또한 함양하지 못하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지역 정체성을 함양시키기 위해 행위자 네트워크 론의 번역과 네 단계를 바탕으로 실행연구를 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역사적 장소인 ‘수양개’ 유적지를 중심으로 장소감 발달을 통해 단양에 대한 지역 정체성을 공고화하였다. 사례지역인 단양군은 역사적 장소와 문화유산, 그리고 다양한 관광지가 있는 관광 중심지이므로 학습자원으로 활용도가 높은 환경이다. 연구 대상은 충북 단양 D초등학교 4학년 23명의 학생이며, 남자 14명과 여자 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자는 학생들이 단양에서 지역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해 역사적 장소인 ‘수양개 유적지’를 중심으로 교육적인 활동을 구상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지역 정체성 형성을 확인하고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 수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학생들의 결과 활동지, 학생들과의 면담 기록지, 수업 성찰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 수집을 통해 수양개와 단양과의 관계성에 기반하여 학생들이 수양개 요소를 통해 단양에 어떤 의미로 번역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지역 정체성 함양 프로그램은 총 4차 실행과 총 15차시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1차 실행 프로그램은 번역의 단계로 ‘문제제기’에 해당되고 주제는 지역 정체성을 함양하지 못한 것에 대해 문제화하기이다. 여기서는 학생들은 지역 정체성을 함양하지 못했음을 인식하고 이를 형성해야겠다는 의무통과점을 거쳤다. 2차 실행 프로그램에서 번역의 단계는 ‘관심 끌기’이고 주제는 ‘수양개’와의 이해관계 부여를 통한 동맹 맺기이다. 학생들은 관심 끌기 장치인 ‘수양개 유적’의 가치를 통해 이를 왜 초점화해야 하는지를 학습하고 그것이 단양과 지역 정체성 형성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차 실행 프로그램은 번역의 단계로 ‘역할 인식’에 해당되고 주제는 수양개를 위한 나의 역할 인식과 역할 수행 준비하기이다. 수양개에 대해 학생들로부터 관심 끌기에 성공하여 이 둘 간의 관계가 형성되었던 2차 실행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은 ‘수양개’를 위해 어린이 문화 해설사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그 역할 수행을 위한 소개 자료를 만들었다. 4차 실행 프로그램에서 번역의 단계는 ‘실천 활동 및 지속성 확보’이고 주제는 수양개를 통해 지역 정체성으로 번역하기이다. 학생들은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으로의 답사와 역할 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계획하였다. 이는 실제 답사로 이어지고 학생들은 그 곳에서 수양개를 위해 소개 자료를 매개로 자신들의 역할 수행을 실천하였다. 그 후에 학생들이 수양개와 단양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그들이 수양개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내면화하고 번역하였다. 장소감 발달을 통한 지역 정체성 측정 도구의 적용 결과와 학생들의 지역학습 활동의 결과물들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장소감 발달에 기초한 지역 정체성의 형성 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단양에 관한 생각그물 활동지에서는 그들이 생각하는 지역의 인간과 비인간에 대한 구성 요소의 구축과 비인간 행위자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재 행위자 네트워크론을 학습 이론으로 적용한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렇지만, 지역학습의 과정을 번역의 네 단계로 적용하여 전개해 나간 것은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례지역인 단양에서 초등학교 4학년 23명의 학생들과 이루어진 실행연구이면서 동시에 교육적인 실천 사례 연구라는 측면에서 지역학습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의 다른 학년이나 중등의 교육 현장 또는 다른 공간 스케일이나 다른 사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가 이러한 연구의 초석으로 작용하여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을 통한 공공성 증진에 관한 연구

        조인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그 시대가 남긴 건축물을 통해서 도시의 과거를 기억할 수 있고 그 당시의 사회 및 문화를 파악할 수 있다. 역사적 건축물은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을 담고 있으며, 현재의 도시인들에게 과거를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오늘날 우리의 도시 모습은 항상 새로운 것을 갈구하지만, 한편으로는 과거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와의 공존을 추구하는 의미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즉 건축물에 내재되어 있는 역사성을 보존하고 과거의 건축물의 활용을 통해 그 가치를 이어가고자 한다. 이러한 이유로 역사적 건축물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시민들의 의식 속에서 보존 및 활용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역사적 건축물 재생의 주안점은 주로 역사성의 계승, 건축 양식의 보존, 문화재적 가치에 따른 복원 등에 있으며 활용 측면에서는 현대적인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확보만이 고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역사적 건축물 재생은 역사성 보존 외에도 공공성의 가치 즉, 개인이나 특정 집단을 위한 것이 아닌 시민들 모두에게 다가가는 공공적 특성이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하나의 건축물로 인식되기보다는 도시의 공공 공간을 제공하는 공공재로써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보존 및 활용 방안이나 계획 방법에 중점을 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계획이 가져야 하는 근본적 의미 즉, 공공적 측면에서의 접근에 무게를 두었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을 통한 공공성 증진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역사적 건축물 재생 시 우선되어야하는 공공성의 특성과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계획 요소 및 디자인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재생이 완료된 국내외 모범 사례 9개를 선별하였고, 재생 중에 도입된 주요 개념, 계획 요소, 세부 디자인 기법을 심층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어떠한 공공성 증진 효과를 가져왔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2가지 측면으로, 역사적 건축물이 지닌 공공적 가치 및 그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재생 과정에 도입되는 계획 요소 및 디자인 기법, 그로 인해 강조되는 공공성의 특성 부분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역사적 건축물이 가진 공공성의 가치 및 그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에서의 공공성은 그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나 시민들에게 보다 쾌적하고 접근이 편리하며,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소이며, 건축물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의 다양한 요소와 연속되는 풍경을 만드는 데 이바지한다. 이러한 공공성은 지금의 삭막한 도시를 활력 있고 매력적인 장소로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가치이자 요소이다. 따라서 모든 건축물이 공공성의 가치를 지녀야 한다는 주장은 많은 건축가들의 모토이지만 그 범위 자체가 너무 광대하며 개별 건축을 일일이 통제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다. 이는 사회 전체가 건축을 단순히 물리적 건조물이 아닌 문화로 받아들이며 차츰 성숙되어지는 인식의 변화와 함께 찾아올 미래의 도시 모습이다. 아직은 공공성의 가치를 대변할 수 있는 건축물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 중 역사적 건축물은 획일화된 도시의 공공성과 시간성을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즉 우리의 도시에서 함께 시간의 켜를 쌓아온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 가치(역사적 가치, 공공적 가치)에 대해 지금부터라도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막연한 공공성 증진이 아니라 진단부터 개선 및 효과, 재생의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공공성 증진 프로세스가 도입되어야 한다. 이런 인식의 전환을 거친다면 역사적 건축물은 더 이상 박제된 시간을 표현하는 단절되고 독립된 오브제가 아닌 시민들에게 도시의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일상의 체험공간으로 되살아날 것이다. 둘째, 재생 과정에 도입되는 계획요소 및 디자인 기법, 그로 인해 강조되는 공공성의 특성 부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역사적 건축물 재생 시 공공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계획요소는 크게 배치, 형태, 공간, 프로그램의 4개 항목으로, 각각의 세부계획요소가 있다. 또한 재생을 통해 증진되는 여러 공공성의 특성 중 가장 중요시되고 증진되어진 성격은 지각적 특성 중에서는 개방성과 연계성이었으며 이용적 특성에서는 체류성 및 투명성이었다. 주목할 것은 이런 4가지 특성은 실제로 다른 특성들보다 계획요소 및 디자인으로 증진시키기 쉬운 요소라는 점이며 이는 계획가들에게 큰 힘을 실어주는 내용이다. 정리해보면, 공공성 증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계획 요소는 프로그램의 변화로 소프트웨어적이며 근본적인 변화이다. 하지만 직접적인 공공성을 띤 시설로 프로그램이 전환될지라도 다른 하드웨어적 항목의 계획 요소가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공공성의 증진은 어렵게 된다. 이는 각각의 사례가 단순한 계획 요소의 나열식 도입보다는 증진되어야 할 공공성의 특성을 목표로 맞춤형 디자인 기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인 재생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었다. 현 시점부터 역사적 건축물은 단순히 보다 쓰기 편하게 구조를 개선하고, 트렌드적인 프로그램을 이입하는 일반적 재생이 아니라 뚜렷한 공공성 증진의 목표(체크리스트, 지표)를 가지는 체계적 재생되어야 한다. 재생 이전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재생 후에 증진될 수 있는 공공적 가치를 분명하게 검토한 후, 효과적인 계획 요소에 창의적 디자인 기법을 개발 적용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역사적 건축물 재생에 나타나는 공공성 증진방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과 공공성의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건축가들이 도시의 역사적 건축물 재생 계획 시 공공성의 가치를 인지하고 확대 재생산 하기 위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적 건축물의 재생을 통한 공공성 회복에 관련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향후 더 많은 사례와 다양한 공공성 계획 기법 분석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생된 역사적 건축물의 공공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