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효과

        조은애 명지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피험자에는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실험집단인 경기도 성남시의 M골프아카데미의 골프 수강생들과 고전방식 골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집단은 경기도 용인시의 T어린이스포츠클럽의 수강생으로 연령은 만 6세~11세의 골프 입문자이다. 실험집단 40명, 비교집단 40명은 남, 녀의 합으로 총 80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골프가 불가능한 신체 질환자는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은 두 집단 모두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D골프연습장에서 시행되었으며, 골프 학습동기 수준 검사지를 통하여 사전, 사후의 동기수준을 측정하였고, 12주간 각 프로그램으로 골프 수업을 진행 후 트랙맨4를 통해 골프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골프 수행능력은 샷 정확도와 퍼팅 정확도로 구분 지었으며, 취학 전과 취학 후 아동의 연령별 신체 발달을 고려하여 목표점의 차등을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간 ARCS 하위요인에 따른 골프 수행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중 ARCS 하위요인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상급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실험집단 상급과 하급의 모두에서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골프 수행능력 중 퍼팅 정확도에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 상급과 실험집단 하급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에서의 차이는 보인 것으로 보아 모든 ARCS 하위요인의 정도에 따른 퍼팅 정확도 분석은 집단별 골프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골프 수행능력인 퍼팅 정확도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샷 정확도의 경우 퍼팅 정확도와 마찬가지로 모든 항목에서 실험집단의 상급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비교집단의 하급이 가장 낮았으며, 두 집단간 p< .00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을 위한 골프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체계적인 교육 방법을 도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소년을 위한 골프 프로그램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유소년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소년이 효율적으로 골프를 배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또한 그간 유소년을 위한 골프 교수법이 적절한 것이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Among the subjects are golf students at the M Golf Academy in Seongnam, Gyeonggi -do, an experimental group of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and those who apply the classic golf program at the T- child Sports Club in Yongin, Gyeonggi-do, who are aged between 6 and 11 years old. The 40 experimental group and 40 comparison groups consist of a total of 80 boys and girls, excluding those with physical conditions who cannot play golf.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both groups at the D- Golf driving range located in Seongnam, Gyeonggi-do, and measured the level of motivation in advance and after through the examination paper of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and the performance of golf was measured through Trackman-4 after each of the 12 week programs. Golf performance ability was divided into shot accuracy and putting accurac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oints considering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ages before and afte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gol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ub-factor of ARCS between groups showed that ARCS sub-component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ll of which were ARCS sub-factories, showed the highest on average among the higher level group with a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learning, both in the higher and lower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ore different the accuracy of putting, which is a sub-factor of golf performance.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ow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analysis of putt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ll ARCS sub-facto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learning golf per group. It can be seen as a positive difference in putting accuracy, a sub-factor of golf performance ability. For shot accuracy, as with putting accuracy, the experimental group has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all categories, the lower level of the comparison group was the lowest,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at the level of p < .001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golf program for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based on the ARCS model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systematic education method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the cornerstone of the golf program for child and youth. It provides systematic education for child and youth it will help them learn golf efficiently, it also suggests that golf teaching methods for child and youth have been appropriate.

      • 친환경 그래픽 아트펜스(art fence)를 응용한 혐오공간 환경개선 가능성 연구 : 공동주택 쓰레기 집하장을 중심으로

        조은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been a few years since public design projects are put into practice on a national scale. Though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public design goes back to the creation of cities, public design gained more attention recently with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as the needs of people have been diversified not only in private, but also in public. The public space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citizen and among citizens, and it is also a place where people can relax. Whereas industrial design carries commerciality, public design entails the notion of publicness which means it is of interest to all.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look at the direction of projects promoted by the government. We witness that the streets we live in are transform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but if the discussion is not limited to the general ambience,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We can make better the living space we directly associate with by improving, for instance, obnoxious space that everyone tries to avoid. An obnoxious space means surroundings of public facility or unpleasant space we see on streets that are visually or soundly polluting. A construction site would be one example. A fence is used to veil the construction site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safety and esthetics. Diverse artworks have been put into place to avoid dreary and overpowering sentiments, and new styles of fences, such as artworks of eminent installation artists and entertaining graphics, give pleasure to the citizens passing by. Now, a fence to cover an obnoxious space has become a part of urban landscape, and is called an “art fence”. This research began by looking through the trend in important yet neglected subject in the design arena: obnoxious spaces. It then focused on obnoxious spaces in residential area, and investigated prospect of improving obnoxious spaces in apartment complex, the current common form of housing in Korea. The study aims to design and recommend visual-friendly fence for garbage collection facilities. The negatively conceived space could become a shared area with a touch of sophisticated artwork reflecting higher interests in living well, and thus could contribute positively to the community in general.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publicness of design, concept and types of public design and the significance of public space in apartment complex were examined. Second, the background and the concept of art fence were explained summarizing its characteristics and styles. In particular, examples of art fence with eco-friendly graphics were analyzed so that the examples could be used in the final design piece. Third, the concept of obnoxious space was defined, exemplifying different types, with cases illustrating improvements. Forth, garbage collection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A survey was conducted asking opinions of residents to find out needs for improvement. Fifth, a case study of art fence and analysis of garbage collection facility within apartment complex was conducted. A fence with eco-friendly graphic elements was designed to improve surroundings of garbage collection facility based on plans following objective found from the user survey. The recommended design for a garbage collection facility within apartment complex could be extended to an obnoxious space of similar size and shape. Rather than making guidelines to fit government’s policy or cases abroad, the study intends to suggest ways to reflect unique identity of a particular distric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a range of public design, with which neglected public space could turn into a positive and attractive shared space. 몇 년 전부터 공공디자인이라는 화두 아래 국가적으로 구체적인 시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디자인은 오래된 개념이지만 현대에 와서 더욱 부각되는 이유는 사람들의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사적인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공적인 영역까지 다양한 요구가 나타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공공의 영역은 국가와 국민들과의 소통, 국민들끼리의 소통을 의미하며 동시에 국민들의 안식처가 될 수 있는 곳이다. 즉, 도시의 발생과 함께 공공디자인의 역사도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공공디자인은 상업성을 동반하는 산업디자인분야와는 다른 의미의 공공성을 지니게 되며 모두를 위한 공간임을 감안하여 볼 때 현재 정책적으로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 주변의 거리는 변화․발전하고 있는데, 이 변화가 그 공간을 살고 있는 사회구성원들의 필요에 의한 것인지 단순히 국가의 문화적인 발전을 위한 시행인지 구분해볼 때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우리 주변에서 우리가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생활공간에서 개선해야 할 점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모두가 기피하는 혐오공간이 대표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혐오공간이란 우리가 생활하면서 길에서 보게 되는 흉물스러운 공간들 혹은 공공시설물주변으로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 후각적으로 공해가 되고 있는 공간이다. 공사현장도 그 예라고 할 수 있는데, 공사장 주변에는 부정적인 인식의 공사장을 가리기 위해 안정성과 심미성을 고려한 가림 벽이 도시미관을 위해 존재한다. 근래에는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도심 곳곳에서 재미있는 그래픽처리 혹은 유명작가의 설치미술작품과 같은 새로운 가림 벽이 시민들의 눈을 즐겁게 하고 있다. 혐오공간을 가리기 위한 수단으로 세워진 가림 벽이 하나의 도시환경조형 요소로서 대접을 받고 있는 것이다. 가림 벽 은 시민들의 공사현장에 대한 삭막함과 위축감을 없애고 아름다운 공간으로 태어나기 위해 다양한 아트작업이 접목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아트펜스라는 용어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통해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지만 방치되어 있는 혐오공간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고, 본 연구 자는 우리가 생활하는 주거지에서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대표 주거형태인 공동주택 단지 내에서 발생되는 혐오공간의 개선점에 관해서 생각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배경으로 공동주택 단지 내 쓰레기 집 하 장을 대상으로 시각적으로 친환경적인 펜스를 디자인하고 제안하는 데 있다.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공간을 공동주택 단지 내의 웰빙 개념 확산에 발맞추어 아름답게 가꿔진 아트작업을 가미함 으로서 공간에 대한 기존인식을 바꾸고, 커뮤니티를 위한 아름다운 공용공간으로서 지역사회를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써 디자인의 공공성과 공공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공동주택에서 공용공간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아트펜스의 출현 배경과 개념을 알아보고 현재 아트펜스의 특성 및 종류를 정리한다. 세부적으로 친환경 그래픽을 이용한 아트펜스 사례를 작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분석한다. 셋째, 혐오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우리 주변의 혐오공간의 현황과 종류 및 개선사례를 알아본다. 넷째, 공동주택 내 쓰레기 집 하 장 의 공간에 대한 분석 및 유형을 정리하고 아파트 거주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에 대한 니즈 를 분석한다. 다섯째, 아트펜스의 사례분석과 공동주택 내의 쓰레기 집 하 장 에 관한 분석, 사용대상자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디자인 목표설정과 계획을 세우고 쓰레기 집 하 장의 환경개선을 위한 친환경 그래픽 요소를 이용한 펜스를 디자인한다. 공동주택 내의 쓰레기 집 하 장 을 위한 디자인이지만, 비슷한 규모와 형태의 혐오공간에 적용 가능한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며, 국가 정책에 따른 혹은 외국사례의 일방적인 가이드라인을 좇는 디자인이 아닌 대상지역의 아이덴티티가 반영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생활과 밀접하지만 방치되어 있는 부정적인 공용공간이 아름답고 긍정적인 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공디자인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눈 움직임 분석을 통한 숙련급 조종사와 초급 조종사의 상황인식 비교에 관한 연구

        조은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황인식이란 주변의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인식, 그것들에 대한 이해, 그로부터 기대되는 가까운 미래에 대한 예측을 의미한다. 눈 움직임 분석법은 상황인식의 측정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의 다른 상황인식 측정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황인식의 경험 효과란 경험이 많을수록 상황인식의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으로서 이에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가 상황인식의 경험효과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 움직임 분석법을 통해 상황인식을 측정하여 상황인식의 경험효과를 보임으로서 눈 움직임 분석법이 상황인식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일종의 타당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정상상황과 비정상 상황을 설정하여 숙련급 조종사 14명과 초급 조종사 12명의 분당 응시 횟수와 응시 시간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응시 데이터의 이동과 특정 영역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숙련급 조종사가 초급 조종사에 비하여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고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숙련급 조종사의 상황인식의 수준이 초급 조종사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황인식 측정에 눈 움직임 분석법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상황인식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는 방법론적인 의의가 있다.

      •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조은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공지능시대라는 급격한 변화 속에서 탈인습적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미 도래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비접촉·비대면으로도 사람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시행되었던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기술과 정보에 대한 취약성으로 야기되는 불평등, 개인주도학습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바에 따른 개인주의화 및 타인과의 상호주의적 협력성 부족,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학습이 가져오는 구조적 분화, 다원화에 저항하는 근본주의의 등장이라는 다양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기술이 삶의 편의와 질은 높여주지만, 예측할 수 없는 위험(risk)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누리는 개인에게 불안을 느끼게 한다. 즉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자 노력하지만, 동시에 시공간을 불문하고 야기되며 보상받을 수도 없는 위험들이 나타남에 따라 현대인들은 소외현상과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리차드 아스머(Richard Osmer)의 ‘합의 모델’을 가지고 네 가지의 과제 곧 기술적-경험적 과제, 해석적 과제, 규범적 과제, 실용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비판적 과제를 진행하였다. 우선 기술적-경험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그에 따른 비대면·온라인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과제 수행을 위해 인공지능시대와 기독교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규범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인공지능(AI)과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에 대해 고찰해보고, 관계성(relationality)을 추구하는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을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교육이 관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토대로 실용적 과제 수행의 결과로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비접촉·비대면의 인공지능시대에 ‘공간과 장소’로 한정되어 있던 교회를 넘어 ‘나와 너(I-Thou)’의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관계성·평등성·개방성을 토대로 하는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정립하는 데에 교육목표가 있다. 그리고 베로즈(Barrows)에 의해 의과대학에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활용되는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여 PBL협력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의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PBL협력모형은 일반교육과 기독교교육에서 작용되는 구체적 실행 단계에 있어서 ‘삶으로의 적용(Praxis)’여부가 가장 큰 차이로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여러 학자들의 PBL학습모형을 비교분석하여 탈인습적 자아정체성을 위해 김현숙이 제시한 ‘탈인습적 대화 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 모색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비대면·온라인 교육을 연구하였다는 점이며,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해 PBL협력학습을 활용한 구체적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in the context that effectiv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mid the rapid change of the AI era. The technology of the era of AI that has already arrived shows that people can connect with each other without contact or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had been implemented due to the special Hi Corona 19 fandom, suggests that education can now be done without any further restrictions on space. Howev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poses various problems such as inequality caused by vulnerabilities in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dividualism and lack of mutualistic cooperation with others. In addition, the rapid changes in the AI era have both the advantages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and the unpredictable risks, which make individuals anxious to adapt to them. In other words, modern people suffer from the confusion of alienation and self-identity as risks appear that they try to adapt to rapid changes in society but cannot be compensat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a model of agreement by Richard Osmer and has four tasks: technical-experimental tasks, analytical tasks, normative tasks, practical ones.Critical tasks were carried out in the way they were carried out. First of all, the advent of the AI era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to carry out technical and empirical tasks. And to carry out the analytical task, we hav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Christian education,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basis to carry out normative task. In particular, we considered human beings as AI and the image of God (Imago Dei) and shed light on the 'postconventional' education centered on the Trinity of seeking relationality. And we looked at wheth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AI era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teaching seeking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carrying out practical tasks based on this series of courses,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was presented.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model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consisted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eachers, learner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it is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for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which is less educational.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form an online community of faith that can develop into an I-Thou relationship beyond the church, which was limited to space in the age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AI. And the goal of education is to establish a Christian self-identity based on relationships, equality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PBL (Problem Based Learning) cooperative model wa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PBL, which was started by Barrows and is used today. PBL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summarized into six major categories: starting with the first question, emphasiz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econd learner, means a shift from the "professor"-centered to the "learning"-oriented, sharing solutions together with teams, sub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utonomous exploration, and creating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fourth member teams form a team, and promoting the role of the fifth-professor. However, this model of the PBL agreement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Praxis" in specific stages of implementation in general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spons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BL learning models of various scholars to find out how to apply the "postconventional dialogue model" proposed by Kim Hyun-sook to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self-identity. In this context, 'non-face-to-face' and 'on-line' applied PBL cooperative learning forms a team for solving problems, seeks relationality in preparation for the change, equality through coordination, and openness through shared reflection in the community beyond dichotomous thinking in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self-taught education, and also to present a specific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using PBL cooperative learning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at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록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 은 애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대중가요를 접목시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1-1.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자아존중감 변화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1-3.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적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가? -ⅰ- 연구대상은 경기도 고양시 M초등학교 6학년 60명(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29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될 프로그램은 총 10회로 구성하였고,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1회 10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하고 전승배(2000)가 수정·보완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검사의 결과 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 .01).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학생에게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p< .05). 셋째, 성적별 자아존중감의 향상도를 상위그룹, 중위그룹,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위그룹과 중위그룹 학생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효과적이며, 성적이 낮은 그룹에게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담임 교사들이 인성교육시 노래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아동들에게 보다 흥미 있고, 비 위협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분야와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접목한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고, 자기행동 보고식의 검사도구와 행동관찰을 통해 자아존중감 상이 행동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인과관계 연결어미 '-어서', '-니까'의 담화 문법 연구 : 드라마 담화 분석과 담화인식테스트를 중심으로

        조은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인 ‘-어서’, ‘-니까’를 담화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모어 화자들의 실제 사용 양상 및 특징을 담화적 차원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어서’, ‘-니까’는 실제 모어 화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이지만 의미적 유사성 때문에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들어도 모국어 화자들에게 어색하다고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런 ‘-어서’, ‘-니까’를 기존의 의미론, 통사론 관점을 넘어 모어 화자가 사용할 때 작용하는 직관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 검증하기 위해 담화적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의의, 그리고 연구 절차에 대해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번 연구와 관련한 담화 문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국내의 한국어 교육에서 진행된 담화 문법 분야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주로 연구되었던 ‘-어서’, ‘-니까’의 의미적, 통사적 특성들을 정리하여 이번 연구의 담화적 특성과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연구 절차는 크게 3단계로 드라마 준구어 자료 분석, 모어 화자의 담화인식테스트를 통한 가설 검증,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인식테스트를 통한 오류 확인을 거쳤다. 제4장에서는 드라마 준구어 자료를 담화 맥락 요소와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의미·담화적 특성과 의사소통 기능에 따른 연결어미 사용 양상을 도출하였다. 먼저, 담화 맥락 요소의 분석 결과, ‘-어서’, ‘-니까’는 화·청자의 지위 관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연결어미지만 선·후행절의 의미 관계를 넘어서 담화적 차원의 화·청자 지위 관계도 고려되는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전체적인 의미·담화적 특성은 5가지로 ‘공손성과 화·청자 지위 관계에 따른 ‘-어서’’, ‘화자에게 부담이 되는 화행에서의 ‘-어서’’, ‘분명한 근거의 강조에 따른 ‘-니까’’, ‘화·청자 정보 공유에 따른 ‘-니까’’, ‘객관적·주관적 판단에 따른 ‘-어서’, ‘-니까’’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별로 선호하는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정리하였는데 공손성이 필요한 인사, 양해, 걱정의 의사소통 기능들은 ‘-어서’를 선호하고 명령, 청유, 조언, 격려와 같은 지시의 의사소통 기능들은 ‘-니까’를 선호하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위의 준구어 자료 분석 결과와 한국어 교재를 비교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어서’, ‘-니까’를 어느 단계까지 교육하는지를 살피고 초급 교재에서 개선점들을 제안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정리한 ‘-어서’, ‘-니까’의 의미·담화적 특성들과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 유형들을 바탕으로 나온 가설들을 모어 화자에게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설문 결과, 50% 미만의 2문항을 제외하고 총 82.6%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는데 여기에서 발견한 특이점은 화·청자 관계에 따라 ‘-어서’의 공손성과 ‘-니까’의 주장에 대한 근거 강조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이었다. 공손성이 필요한 인사, 양해, 걱정의 의사소통 기능에서 화자가 청자보다 지위가 낮을 때보다 동등할 때 부담이 낮아져 ‘-어서’의 선택 비율이 떨어졌고 지시의 의사소통 기능에서는 화자의 지위가 높을수록 타인에게 지시를 강하게 하는 ‘-니까’의 사용 부담이 낮아 더 높게 선택되었다. 또한, 검증된 담화인식테스트 문항들을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도 실시하였는데 54.75% 일치도를 보여 자연스러운 연결어미 사용을 어려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와 차이가 나는 문항들을 분석하고 학습자에게 오류 응답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교육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어서’, ‘-니까’를 새로운 담화적 관점과 후행절의 의사소통 기능에 따라 분석 및 유형 정리를 시도하고 또한,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사용을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교육이 필요한 항목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Korean causal connectives ‘-Eoseo’ and ‘-Nikka’ under discourse analysis. These two causal connectives are two popular grammar forms which Korean native speakers use everyday in conversation.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finitions of ‘-Eoseo’ and ‘-Nikka’ so Korean learners often do not know how to use them properly. Moreover, even though they have been widely analyzed under semantics and syntax, there are many un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 intuitive use of them by native speaker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discourse to observe this object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discourse characters of ‘-Eoseo’ and ‘-Nikka’, the discours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spoken conversation corpus data from TV dramas. Through analyzing the discourse data, the five big characters of the connectives were categorized. These are ‘the usage of ‘-Eoseo’ depending on polite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the usage of ‘-Eoseo’ to avoid loss of face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the usage of ‘-Nikka’ in order to strongly emphasize a reason’, ‘the usage of ‘-Nikka’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 speaker and a listener’, and ‘the usage of ‘-Eoseo’ by objective judgment and ‘-Nikka’ by subjective judgment’.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following clause, it reveals that one of the causal connectives is preferred in the specific communicative function. For example, ‘-Eoseo’ is more often chosen for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greeting, refusal, apology and concern. On the other hand, ‘-Nikka’ is highly preferred for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giving commands, advice, encouragement, strongly emphasizing opinions and of making requests to do something together. Furthermore, in order to prove the above hypothesis, a cognitive discourse test of 22 questions was conducted on 65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ults of the test show 82.6% accuracy with the exception of 2 questions which had results of less than 50% accuracy. Excluding the two questions with results of less than 50% accuracy, the same test was conducted on a group of 20 Korean language learners in order to predict how many errors foreign students of Korean make when using these causal connectives. Their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students scores 54.75% and were therefore 27.85% less accurate than native speakers. Furthermore, such errors can affect the proper usage and politeness of the senten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why they make these errors. Finally, this paper summarizes the list needed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avoid these errors. Through analysis of the discourse data and conducting the cognitive discourse test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the paper contains three important results: the five characteristics of ‘-Eoseo’ and ‘-Nikka’, native Korean speaker usage preference patterns depending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following clause, and suggested key points to emphasize when teaching the use of ‘-Eoseo’ and ‘-Nikka’ to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Eoseo’ and ‘-Nikka’ to help both students and teachers of everyday Korean conversation.

      •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 소비에트 특성

        조은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정체성 형성과 패션 성향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시대적 상황을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영향을 고찰한 뒤,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의 특성을 조형적 표현방법과 내적의미로 나누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는 구소련이 붕괴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는 구소련 공간에서 공존하고 있는 구소련의 회원국 이었던 15개의 국가로 개념정리 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사회·문화적 쟁점을 탈-사회주의와 섹슈얼리티의 전면화, 독립 국가 건설, 문화 정체성 형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포스트소비에트의 특성은 상이한 가치관, 민족갈등 등이 공존하며 혼동을 불러일으킨 데서 나타난 ‘모호성’, 서구의 글래머 문화와 수위 높은 포르노그래피 등의 유입으로 인한 성적 향락의 ‘관능성’, 범죄와 사회체제에 대한 불만과 소수집단에 대한 차별에 대항하여 나타난 ‘저항성’, 청년들의 일상의 놀이를 통해 형성된 청년 문화에서 나타난 ‘유희성’, 서구문화에 대한 동경과 헛된 상상력의 조성, 과거에 대한 그리움의 향수에서 오는 ‘환상성’이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청년기를 보낸 세대이며 오늘날 패션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패션 종사자를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구의 패션을 받아들이는 데서 발전하여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형성된 그들만의 특수한 미적 정서와 개성을 패션에 반영하며 서구 패션 시장에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을 조형적 표현 방법과 내적의미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성장한 바잘리아와 그의 동료들 간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작업된 바잘리아 작품의 조형적 표현방법으로 과장·해체·착장 방식으로 표현한 ‘형태 왜곡’, 소재 본래의 용도가 아닌 낯선 모습으로 변화시켜 표현한 ‘소재 변용’, 욕설·부정적 단어·연상문구를 담은 ‘슬로건 활용’, 색채가 가지는 심리적인 효과를 활용한 ‘상징 색’이 분석되었다.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의 내적의미로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집단의 자유로운 놀이과정을 통한 장난스러운 발상으로 ‘자율성의 극대화’, 반항적 문구와 상징성 파괴로 저항하는 ‘관습에 반항’, 다변적 가치 공존으로 혼동을 겪는 ‘정체성의 혼동’, 불완전한 상태를 통해 표출되는 비정상성을 미적 가치로 여기는 ‘불완전상태의 미’, 과거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향수에 의한 환상’으로 논의되었다. 구소련 시기에 출생하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청년기를 보내며 역사적 과도기를 경험한 바잘리아는 서구의 패션을 받아들이는 데서 발전하여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형성된 특수한 미적 정서와 개성을 반영한 패션으로 세계 패션계에서 가장 급진적인 디자이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바잘리아의 작품을 포스트소비에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역사적 특수성이 글로벌 디자이너로 성장한 바잘리아의 아이덴티티에 내재되어 그의 패션에서 지대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unique situation of Post-Soviet era that had prominent effects on the identify establishment and fashion propensity of Demna Gvasalia, a fashion designer, and the effects of Post-Soviet found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Post-Soviet in terms of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and internal meaning, respectively. The Post-Soviet era refers to the period from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o present, and Post-soviet countries are defined as the 15 countries that was a member of and is at the old territory of Soviet Union.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of Post-Soviet era were investigated while dividing the issues into de-socialism, generalization of sexuality, construct independent nation and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were 'ambiguity' caused by confusion due to co-existence of values of different gender roles and national identities, pleasure-seeking 'sexuali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exotic trends such as West glamour culture and high-level pornography, 'resistance' fueled by complaint for crime and social system and against discrimination, 'amusement' formed in young people's culture through daily play of young people, and 'fantasy' derived from yearning for West culture, formation of vain imagination coming from nostalgia. For the investigation of effects of Post-soviet o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fashion industry workers who is generation that experienced early Post-Soviet as young people and is active players in fashion communities were reviewed. They not only accepted West fashion but also have been extending their realms in West fashion markets by applying their unique art emotion and characteristics formed at Poste-Soviet times to fashion.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Post-Soviet expressed in Gvasalia's work in terms of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and internal meaning, respectively. The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izing Post-Soviet, found in Gvasalia's work was analyzed as 'distortion of form' expressed by exaggeration, deconstruction, attachment methods, 'change in appearance of material' expressed by using unfamilar changed appearance, 'use of slogan' containing foul language, negative words, association text, 'symbolic color' using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 The internal meanings, characterizing Post-Soviet, expressed in Gvasalia's work were playful idea of a group with social bond through course of play and discussed as 'maximization of autonomy', 'defiance to custom' through rebellious expression and destruction of symbolism, 'confusion in autonomy' by co-existence of multi-facet value, ‘beauty with unstable state' regarding abnormality expressed through unstable state as a value, and 'reproduction by nostalgia' meaning longing to past. Gvasalia, who born in Soviet Union ear and experienced historial transition period in his youth time, not only accepted West fashion but also have made fashion reflecting unique aesthetic emotion and characteristics formed in Post-Soviet era, calling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s an most radical designer. This study is expected to reveal Post-Soviet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rominent effects embedded in Gvasalia's identity who became a global designer by analyzing his works in a view of historical particularity of Post-Soviet era.

      • 골프 초보자들의 상체회전 훈련과 체중이동 훈련의 효과에 관한 비교 연구

        조은애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를 처음 접해보는 초보자들의 상체회전 훈련과 체중이동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특히 초보자들의 비거리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프로그램 제시와 함께 초보자들을 교육시키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궁극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 의거하여 문헌연구, 참여관찰 등을 중점으로 하여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소재의 V골프연습장의 남녀회원 20명을 대상으로 두 개의 다른 집단으로 나누어 4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두 집단의 점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과 요인별 측정값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ANOVA)를 사용하였다. 유의범위는 5%이며, 유의한 변인에 관한 사후검증은 Turkey's Post Hoc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의 비거리 향상은 연습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훈련 방식을 고려하고 연습기간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상체회전을 훈련시킨 그룹(A-Group)과 체중이동 훈련을 시킨 그룹(B-Group)의 결과에서 첫째 주에는 두 그룹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둘째 주부터는 체중이동을 훈련시킨 그룹에서 효과가 나타나 실험을 마치는 넷째 주까지 비거리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훈련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대상자들의 성별 차이만을 분석해 본 결과, 비거리는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월등히 앞선다고 나타났다. 넷째, 훈련 방식과 대상자들의 성별 차이를 두어 연습기간별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남녀에 따른 기간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훈련방식이 성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eport's purpose is effects of comparing the upper body's rotation exercise with weight movement's to beginners who just start golf. Especially, this research is to prepare the organizational excercise program, to educate the beginner and to show the basic data. For achievement of the research, it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documents and participate This research is progressed by twenty people who divided by two groups and tested in four weeks at the 'V' golf driving range in Yongin, Gyeonggi-do. T-inspection is used for difference of each group's scores and ANOVA is used for difference of each group's measurement of factors. Significance ranges is 5% and the after inspection of significance factor is used by Turkey's Post Hoc inspection. Summary of this research's result is as below. The first, tester's driving distance is rising as how long they were practic each week and it had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depend on a way of exercise that A-group was practiced with upper body swing and B-group was practiced with weigh movement. In the first week, those groups were nothing different, B-Group has, however, the difference of driving distance from second week to fourth week. Th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epend on tester's sex to ignore training method, driving distance depend on sex. therefor men are superior to women at driving distance. Th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ance of each training period depend on training method and sex, the distance of each period is nothing statistically depending on sex. Therefor training method have not an effect on the sex.

      • Complex system from biocompatible polysaccharide / PEI derivatives for enhancement of cancer therapeutic effects

        조은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lex system which has a specific 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Cationic polymer/vitamin conjugates was synthesized via the formation of amide bond. The cationic polymer has a cytotoxicity, while the toxicity of the conjugate was slightly reduced. For this reason, the conjugates was covered with biocompativle polysaccharide (BP) which could be easily degraded by an enzyme secreted from tumor site. In this study, the cytotoxicity of conjugates covered with or without BP was measured by tetrazolium based colorimetric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analysis (FACS). When the enzyme is absent, the conjugates with BP showed no cytotoxicity against the cells, while the cytotoxicity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he enzyme that can digest BP. The cytotoxicity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 and shielding ratio of BP. In order to define the effect of BP on the cytotoxic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jugates and the cells was observed by confocal microscopy. The cell cytosol was perfectly stained by the red color (RITC-labeled PEI/ATRA conjugate) in the presence of the enzyme, while RITC-labeled conjugates only stained in the cell membrane without the enzyme. The result indicated that BP could enhance the specificity of PEI/ATRA conjugates against tumor site by inhibiting the internalization in the normal tissue.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세포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나노 입자를 만들기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와 비타민을 아마이드 결합을 이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였다. 폴리머의 화학 구조 안에 아민 그룹을 가지고 있는 양이온성 폴리머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비타민과의 결합체 형성을 통해 그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으로의 특이적인 전달을 위하여 암세포 표면에 과발현되는 리셉터와 결합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다당류로 양이온성 폴리머/비타민 결합체 표면을 감싸도록 하였다. 이 때 사용한 다당류는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로 특이적인 전달을 할 수 있으며 전달된 후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세포 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세포에 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세포로의 유입에 있어서 매우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 결합체와 다당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나노 입자의 표면에 있는 다당류가 분해된 후에 세포 내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결합체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TT assay를 수행하였고, 다당류의 유무에 따른 독성을 확인하였다. 효소가 없을 때, 다당류와 결합시킨 결합체는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효소 존재 하에서는 급격하게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독성은 효소와 표면을 감싼 다당류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독성에 있어서 다당류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세포와 결합체 간의 상호작용을 confocal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효소의 존재 하에서는 RITC로 표지한 결합체에 의해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띄지만, 효소가 없을 때는 오직 세포 막 부위에서만 형광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결합체에 있는 비타민이 세포핵과 반응할 수 있는 리셉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당류에 의해 결합체의 표면이 가려져 있을 때는 세포핵과 상호작용을 할 수 없지만 효소에 의해 다당류가 분해되게 되면 결합체는 세포핵과 상호작용을 하여 나노 입자가 세포핵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는 다당류에 의해서 나노 입자의 성질이 충분히 가려지며 효소에 의해 다당류가 효과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다당류가 분해 된 후 나노입자가 암세포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중학교 생물 실험의 분석과 개선 : 영양소 검출 단원을 중심으로

        조은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 실험 중 영양소 검출 단원을 선정하여 영양소 검출 실험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적절한 실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8종을 분석하고 이 중 중복 실험 과정을 제외한 3개 교과서를 선정하여 실험 과정을 알아보았다.교과서 실험 분석을 해보면 실험 설계 부분에서는 3종 교과서 모두 탐구과정을 설명해주고 과제를 해결하게 하는 안내된 실험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3대 영양소 모두를 검출하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한 개의 검출 재료를 선택해 실험하도록 하는 과정도 있었고, 4개 영양소 검출을 위해 4개의 시약반응을 보도록 설계한 실험은 시간의 한계를 드러냈다.이렇게 영양소 검출 실험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첫째, 협동학습을 도입하여 각 영양소 검출의 전문가 집단 활동과 모집단 활동을 적절하게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런 협동학습 방법은 개인이 전체 학습 내용의 일부를 담당하고, 모둠의 모든 학습자는 주어진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서 협동하게 되며, 각 개인이 모둠 구성원의 성공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이 기대된다. 즉, 4가지 영양소 검출 방법을 하기에 시간의 한계가 있었지만 이런 협동 학습 방법을 선택하면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집단 구성원 모두가 실험 과정을 경험할 수 없고 특정 과정만 경험한다는 한계도 있기 때문에 이런 점을 고려해서 실험 과정을 구성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둘째, SSC (Small Scale Chemistry)를 통한 실험 학습의 도입이다. 이러한 실험 학습은 가존 실험이 기구의 부족으로 인해서 학생들의 실험 참여를 낮추게 한 단점을 극복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다. 영양소 검출 실험은 생물분야 실험이지만 실험 과정이나 방법에 있어서는 화학실험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실정에 따라서 실험 시약이나 실험 기구의 부족으로 인해서 실험조 편성을 다수로 하여 학생들의 참여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SSC를 적용한 실험은 적은 비용과 간단한 실험 키트를 사용하여 실험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실험 기구가 제공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이 학생들 스스로 실험과정을 수행하고 결과를 얻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알아갈 수 있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습의 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실험 방법이다. 또한 실험 과정에서 실험 기구가 무겁거나 깨지기 쉽고, 화학 약품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른다. 따라서 SSC는 아주 적은 양의 시약을 사용 하며 작은 실험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험실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그러나 본 연구는 영양소 검출 단원 실험을 분석하고 개선 실험 방법을 모색했으나 개선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유의미한 실험 방법이라 확신할 수 없으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lternative experiment processes properly after examining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and finding out the drawback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3 different textbooks in eight different seri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1st grade students under the 7th curriculum.The data analysis shows that all three textbooks provide the guided experiment processes such as the directions to follow. There are the drawbacks of space and time limits. For example, students just pick up one of the thre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or need more time to finish the three experiments. Then, some suggestions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re here.First of all, the cooperation learning will be the answer. In each group, all the members take their own task and cooperate to each other for completing the group task. Then, the group can share their own results with the others. They can overcome the time limits from this. But, the drawback is that each student can't have the all different experiment experiences.Next, SSC(Small Scale Chemistry) will be the answer as well. This is the way for overcoming the drawbacks by the lack of the equipments which lower the quality of students' participation for learning. Actually, th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are like chemistry more than biology based on the experiment processes and methods. Because of the lack of the equipments, each group is consisted of lots of students and, it doesn'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them to participate. When applying SSC into the experiment, teachers can provide sample kits to all the students which are based on the small money. Through the better quality learning, students can get the new knowledge with fun. It's useful experiment method for the spread of learning opportunity. In fact, real equipments are heavy and easy to be broken, and it's dangerous to use toxic chemical. But, SSC is safe because it use a few toxic chemicals and little experiment kits.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experiment method of th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This is not proved enough yet, so we need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