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댕기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패션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조은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Design of Jewelry Utilizing the Deanggi (In Focu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JO, Eun Mi (Supervisor Choi, Seung Wook) Dept. of Metal Art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consumers gets higher and the technology is developed, as the boundaries between countries crumble down and the opening of market becomes active, only the cultural products that secure th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can survive in the global competition. Arising from the such a necessity of period for the cultural industry, it is a time at which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and adding high vale of the cultural products are needed. While the culture such as K-POP was being known considerably as the interest of foreigners increases day from day to day with recent Korean wave, the things called the cultural products in case of our country are the tourism products that are being sold targeting foreigners in the majority of cases. However, the cultural products have an inclusive meaning that encompasses all fields of culture and art having a cultural value rather than the concept of tourism product targeting foreigners and the desires for the cultural value of domestic consumers also are increasing. Especially, the cultural industry that has distinct cultural characteristics became to receive an attention. Not a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s the products having simply cultural value, all products that connote the economic added value as the cultural field is combined with the economic field, that i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mean the products having characteristics of fashion among cultural products is especially urgent.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mean the products having a cultural value and economic value as products in which traditional elements and modern elements of Korea are expressed. Arising from the necessity for the cultural industry,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are receiving an attention as the products that have a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and create the high value. Especially, the Deanggi among jewelry of traditional hair ornament is an jewelry native to Korea that is rich in the traditiona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jewelry and it has various cultural values. As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apply the Deanggi, creating the added value combined with economic value by u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 is possible and it has infinit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Accordingly, as studier I feel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intends to develop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invigoration of domestic market of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hysical beauty and the beauty of colors of the Deanggi. The contents o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pplying the Deanggi are as follows. Firstly, it seeks the value of Deanggi as a fashion cultural products by grasping the concept, type and meanings of pattern of Deanggi and reinterpreting the kind and meaning of the symbol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cultural products and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grasp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Korean image. Thirdly, it seeks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on the basis of design application cases of the Deanggi. Fourthly, it deploys the design in order that the practicality and the decorative beauty show by applying the fabric which is a material of Deanggi to the metal jewelry and the modern edge stands out by using the jewels to express Korean and colorful color sense of Deanggi. Fifthly, it modifies the unit, deploy the design and make the jewelry by applying the gilt such as peony, pomegranate, orchid, bat and butterfly patterns and the embroidered patterns. Sixthly, it express the identity as our own unique element of the culture using the formative physical beauty of the Deanggi and it designs and develops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ha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t the market in the future that the international sense and the Korean sense are felt together. For this, this study newly recognizes the beauty and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Deanggi and finds the possibility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original fashion cultural products through a theoretical study and analysis. Further, as designing the functional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satisfy two kinds of respects by combining the functions of hair accessory and brooch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Deanggi jewelry and developing more fresh and modern products, it attracts the purchasing need of the consumers. Moreover, it promotes the unique value of legacy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extensively and makes it help enhance the national image of Korea. This study values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Deanggi of Korean image that could be carried on and developed in the future and I hope that it will receive an attention as the products that creates the high value having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that has a cultural and economic value as the products in which Korea’s traditional and modern element are expressed. Besides, through the study on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having an exclusive and unique scarcity value such as the Deanggi, I hope that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anticipate that the measures of development and research of the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better function and quality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요 약 제 목 : 댕기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패션문화상품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기술이 발달하다보면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시장의 개방화가 활발해지며 각 나라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 문화상품만이 이 글로벌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이러한 문화산업의 시대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한국을 상징할 수 있는 문화상품에 대한 경쟁력 확보 및 고부가가치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한류 열풍을 타고 외국인들의 관심이 나날이 증가하여 K-POP 문화 등이 많이 알려지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상품이라고 하면 외국인을 대상으로 판매되어지고 있는 관광상품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문화상품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상품의 개념이라기보다는, 문화적 가치를 지닌 모든 문화·예술 영역의 분야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욕구 또한 증대되고 있다. 특히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 담긴 문화산업이 주목 받게 되었다. 단순히 문화적 가치를 갖고 있는 상품으로써의 문화상품 개발이 아니라 문화의 영역이 경제적 영역과 결합하여 경제적인 부가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모든 상품, 즉 문화상품 중에서 특히 패션 특성을 가진 상품을 의미하는 패션문화상품 개발이 절실하다고 본다.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은 한국의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요소가 표현된 상품으로서,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갖는 상품을 의미한다. 문화산업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패션문화상품은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상품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전통수식 장신구 중 댕기는 다른 장신구에 비해 전통성이 짙은 한국 고유의 장신구이며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댕기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은 우리나라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와 결합한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며,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패션문화상품의 개발 필요성을 느끼고 댕기의 형태미와 색체미를 이용해 국내 패션문화상품 시장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댕기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로부터 댕기의 개념 및 종류, 문양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징의 종류와 의미를 재해석하여 패션문화상품으로서의 댕기의 가치를 모색한다. 둘째, 문화상품과 패션문화상품의 개념과 분류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댕기의 디자인 적용 사례를 토대로 패션문화상품의 개발 필요성에 대해 모색한다. 넷째, 댕기의 재료인 직물을 금속장신구에 응용함으로써 실용성과 장식미가 나타나도록 하고 댕기의 한국적이며 화려한 색감 표현을 위해 준 보석류를 사용하여 현대적 감각이 돋보이도록 디자인 전개한다. 다섯째, 댕기의 모란문, 석류문, 난초문, 박쥐문, 나비문 등의 금박과 자수 문양을 응용하여 유닛을 변형, 디자인을 전개하고 장신구를 제작한다. 여섯째, 댕기의 조형적 형태미를 활용하여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요소로서 정체성을 표현하고, 국제적 감각과 한국적 감각이 함께 느껴지는 미래의 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춘 패션문화상품을 디자인 개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분석을 통해 전통댕기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재인식하고 독창적인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및 개발의 가능성을 찾아본다. 또한 댕기 장신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헤어 액세서리와 브로치의 기능을 접목시켜 두 가지 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패션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보다 참신하고 현대적인 상품개발을 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한국의 전통문화의 고유한 유산 가치를 널리 홍보하고 한국의 국가 이미지 교양에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앞으로 계승발전 할 수 있는 한국적 이미지의 댕기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가치를 두며, 한국의 전통적·현대적 요소가 표현된 상품으로서 문화적·경제적 가치를 갖는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닌 고부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상품으로 주목받게 되길 기대한다. 또한 댕기처럼 독특하고 고유한 희소가치를 갖는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기를 바라며, 더 나은 기능과 품질의 패션문화상품 개발 연구 방안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관광 목적지의 관광객 참여가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

        조은미 계명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1995년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되면서 지방자치단체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발전을 위하여 경제학, 경영학 등에서 연구되어 온 브랜드에 관심을 가지고 타 지역과 차별화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는 자신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하여 “로고”를 개발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체성과 비전이 담긴 "슬로건"을 개발하여 자기지역을 홍보하고 있다. 로고와 슬로건은 지방자치단체를 대표하는 요소로서 지방자치단체는 로고와 슬로건 등의 브랜드를 통하여 경쟁 지방자치단체와 자신을 구별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자산가치를 제고시키는 전략으로 관광객의 참여행동을 주목하고 대구시 달성군에 발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객 참여가 브랜드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는 달성군을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비슬산 250부, 도동서원 50부, 스파벨리와 허브힐즈 150부, 용연사와 유가사에서 각각 50부를 7월 18일부터 8월 17일까지 1개월 동안 관광객들에게 배부하여 획득하였다. 배부한 설문지 500부 중 378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설문 42부를 제외하고 총 336부를 SPSS-WIN 12.0과 AMOS 4.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적극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적극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적극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소통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소통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소통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교감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교감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교감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순응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인지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순응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째, 관광객 참여의 구성요인인 순응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지각된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 12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이 지지되었고, 4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이 관광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브랜드 자산가치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자산가치를 제고하려면 관광객이 적극적인 행동을 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관광객이 지방자치단체를 관광하고자 정보를 찾을 경우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관광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관광객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달성군의 브랜드 자산가치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달성군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와 슬로건의 자산가치를 높이려면 관광객이 관광 도중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관광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관광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정보의 입력과 욕구의 표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달성군의 브랜드 자산가치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달성군이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와 슬로건의 자산가치를 높이려면 관광객이 관광 중 원활한 정보입력과 욕구 표현이 가능하도록 관광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달성군은 달성군의 인지도와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감성을 인식하고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관광객이 훌륭한 관광 경험을 위하여 관광객 스스로가 절차에 방해되지 않도록 협조와 노력을 기울이고, 규정이나 절차를 분명하게 이행하는 일을 의미하는 순응성은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인인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 그리고 지각된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지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절차 또는 규정은 브랜드 자산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리적인 절차와 규정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관광지에서 관광객 참여가 해당지역의 브랜드 자산가치를 제고하는 방안으로 인식할 수 있다.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극성, 소통성, 그리고 교감성의 요인이며,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적극성과 소통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자산가치를 제고시키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 관광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줄 것이다. Since its debut in 1995, municipalities around the country have severely competed with on another. Every municipality has shown a keep interest in a brand that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management to develop its region distinguishable from other. In an effort to develop a logo and slogan with its own identity and vision, municipalities have built up their regions to differentiate with other regions. Because the logo and slogan are an essential element representing municipalities, municipalities have tried to make the difference between themselves and rival municipalities in the brand of logo and slogan. This research, which focuses on establishing a strategy to improve its brand equity, observes tourists' actions and examines whether tourist participations has an effect on brand equity of Dalseon-gun, Daegu.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which was to be distributed among tourists in Dalseo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following schedule-Mountain Bisuel with 250 questionnaires, the Dodong auditorium with 50, the Spavalley & Herbhills with 150, Temple Yongyeon and Yuga with 50 questionnaires during the period of July 18th to August 17th. 378 out of 5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336 of 37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The followings show summaries of this research. First, activity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awareness. Second, brand equity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image. Third, activity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perceived quality. Fourth, communication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awareness. Fifth, communication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image. Sixth, communication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Perceived quality. Seventh, sympathy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awareness. Eighth, sympathy effor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image. Ninth, sympathy effort had no effect on perceived quality. Tenth, compliance effort had no effect on brand awareness. Eleventh, compliance effort had no effect on brand image. Twelfth, the study showed that compliance effort had no effect on perceived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rought these implications. First, municipalities have to make the social environment that helps tourists experience more actively because the study shows if tourists take part in tour procedure more activity, brand equity goes up. If tourists want to get information for traveling in municipalities, they have to consider the system offering information in easier way. Second, If Dalseong county wants to improve current brand equity and slogans, it has to establish a tour system which offers instant communication to the tourists touring around the region. Third, the more expression of desiring and information's input progressing tour course go on smoothly, the more brand equity of Dalseong county is improved. If Dalseong County wants to improve brand equity of slogan and brand that Dalseong County adopted, they have to make the system for tourists to go through the expression of desire and input in the tourist's tour. Therefore to help improve awareness and image of county Dalseong, it has to recognize and improve communication. Forth, tourists cooperate and try not to disturb the procedures by themselves for excellent tour experience. Statistically, comliance effort which means correctly doing the procedures or rules doesn't positively affected on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which is factor of brand equity. So, necessary procedures or rules for protection of tourist attractions do not negatively affected on brand equity. So, reasonable procedures and rules have to established. After considering all the results, tourist participation can be perceived as a factor to raise their equity. Positiveness,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re the factors of brand awareness and image. Also perceived quality is affected by positiveness and communication. This resul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ourism to municipalities which want to raise their brand equity.

      • 카본 나노 튜브가 Vertical Alignment 액정 셀의 전기광학 및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은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bon nano tubes (CNTs) were dop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ic liquid crystals (LCs). Dispersion of CNTs in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ic LCs was found to be better than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ic LCs. Accordingly CNTs doped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LC and undoped negative dielectric anisotropy LC of vertical alignment (VA) cells were fabricated and their physical and electro-op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i.e. birefringence, dielectric anisotropy, elastic constants and clearing temperature were not affected much in CNTs doped LC cell than that of undoped LC cell. However, in the presence of electric field, there is change in the electro-optic properties of CNTs doped LC cell. The electro-optic results reveal the decrease in transmittance and increase in driving voltage of CNTs doped LC cell. This is possible due to mismatch of orientation of long axis of CNTs and LC director in the presence of electric field. Furthermore, the CNT-doped cell exhibits a slight fast response time and residual dc of CNTs-doped VA cell is improved compared to undoped cell but voltage holding ratio was almost same in both the cells.

      •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성숙도 비교

        조은미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성별에 따른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성숙도를 비교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성역할 정체감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청주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로는 첫째,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Spence와 Helmreich(1978)의 PAQ(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를 임용자(1994)가 수정,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rites(1978)가 개발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척도를 김현옥(1989)이 우리나라 말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도구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Student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역할 정체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취업모 자녀의 경우 양성성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비취업모 자녀의 경우는 미분화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별에 따라 성역할 정체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미분화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여성성 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진로성숙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취업모의 자녀가 결정성, 독립성, 성향, 타협성에서 더 높았으나,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모 자녀와 비취업모 자녀의 성별에 따라 진로성숙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관여성, 독립성, 성향, 타협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하여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형성하고, 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성숙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in the children of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gender role identity by maternal employ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gender role identity by sex?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maternal employment?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sex?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70 third-grade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Cheong-ju. The following measurement tools were applied in the study: (1) For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gender role identity, 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 developed by Spence and Helmreich (1978) and translated by Yong Ja Im (1994) was used. (2) To measure the participants’ attitudes in choosing a career, Career Maturity Inventory developed by Crites (1978) and translated by Hyeon Ok Kim (1994)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Cronbach’s coefficient alph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student t-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gender role identity by maternal employment, the children of working mothers scored high in the androgynous type.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of nonworking mothers scored high in the undifferentiated typ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2)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gender role identity by sex, the male students scored high in the undifferentiated type. The female students, however, scored high in the feminine type,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3)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maternal employment, the children of nonworking mothers scored higher in decisiveness, independence, orientation, and compromise compared to the children of working moth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sex, the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involvement, independence, orientation, and compromise compared to the male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students should try to build a desirable gender role identity and to develop a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Towards these end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grams will be needed.

      • 초산모를 위한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조은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산모를 위한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A 대학병원과 S 대학병원에서 출산하고 병동에 입원 중인 초산모 중 실험군 18명,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5월 10일부터 2004년 9월 6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로는 Zung(1965)의 자가평가 우울도구(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20문항 Likert형 4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산후 2-4일째에 우울을 측정한 후 실험군에게만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제공하지 않았다. 이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산후 6주째 우울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들은 SPSS/WIN version 11.5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 우울이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실험후 산후 6주째 우울 정도가 실험군은 평균 30.22점, 대조군은 49.50점으로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t=-5.432, p=.000)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전체 대상자의 실험전 산후 2-4일째의 우울 정도는 정상범주(S.D.S 40점 미만)가 23명(60.53%)으로서 과반수 이상이나, 12명(31.58%)이 경증 우울(S.D.S 40-49), 2명(5.26%)이 중등 우울(S.D.S 50-59), 1명(2.63%)은 중증 우울(S.D.S 60점 이상)을 나타내었다. 실험후 산후 6주째의 우울 정도는 실험군에서는 우울의 정도가 감소했으나, 대조군에서 중등 우울과 중증 우울에 속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의 산후 우울 관리프로그램은 초산모의 산후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므로 산후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간호 중재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효율적인 산후 관리를 통한 산모와 영아 및 그 가족의 건강증진과 안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This study used an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 subjects from May 10 to September 6, 2004 at the obstetric care unit at A and S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Korea. 18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was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 by Zung(1965).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Win version 11.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The degree of postpartum depression would be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not receiving the program” was suppor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t=-5.432, p=.000). 2. As the score of postpartum depression measured on pretest was assorted by the level, 60.53% of subjects belonged in normal level(S.D.S 40 below), 31.53% in mild level(S.D.S 40-49), 5.26% in moderate level, and 2.03% in severe level. The level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easured on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measured on pretest, but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e moderate and severe level increased. A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this program will be used as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Also, this will contribute to health promotion and well-being of the postpartum women, infants and family.

      • 기초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

        조은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conducted a survey of 135 college students on 15 basic mathematics questions related to extreme, continuous and differentials, and analyzed errors in problem 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xtreme value was found to have made many errors in matters with absolute symbols, and about 8.8% of students knew exactly what the continuous function was defined. In the question of average change rates, most students (about 95%) failed to solve the problem. In this sentence, it was found that about 56% of the students obtained the local maximum values and minimum even though the maximum values and minimum values do not exist because the domain is all real numbers. About 51 percent of the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 of getting the highest and the highest values.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a poor understanding of the domain of a function. Many other errors are committed in the course of solving the problem.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 the need to closely investigate and analyze students' errors in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 and guide th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rror type and apply the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to each student, and develop the ability to measure the level of knowledge and resolution of problems on their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