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학교 3학년 음악교육 선호도 조사연구 : 경기도 양평지역 현대음악을 중심으로
음악은 인간의 전 생애동안 함께 해야 하며 더욱이 사춘기 시절에는 좋은 음악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 음악을 통해 그들의 내면을 가꾸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와줘야한다. 또한 학교에서는 음악 수업을 통해 특히 사춘기에 접어든 중학생들의 음악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며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하며, 음악을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자료들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중학생들의 음악 선호도를 통하여 어느 정도 음악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올바른 판단력과 가치관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의 음악교과 목표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한다.”이다, 즉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통하여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음악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특정시대의 음악만 추구하지 않고 현대음악을 포함한 다양한 시대 음악을 경험할 수 있는 음악적 개념 이해와 활동을 통한 창의력 사고 능력을 길러내야 한다. 현대음악을 음악교육의 내용으로 삼는 것은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발달시키고 창조성을 길러 줄 수 있고 현대음악을 이해함으로써 미래의 음악 문화를 수용하고 개척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미적 감각과 폭넓은 사고방식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현대음악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양평군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 교육에 대한 선호도 조사와 현대음악 교육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올바른 음악 교육의 대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음악교육이 좀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건전한 음악 생활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또 학생들이 현대음악 학습을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교사들이 현대 음악 지도 방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적극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를 기대한다. Musical education helps understanding human life. It is essential not only for growing an esthetic sense but also stimulating creativity and variety. Learning music is the whole life assignment.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learn music to young people for their character. As an effective lecture needs the students attention, surveying the area of interests of the students is essential. And then exploiting the interests would increas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objective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is to enrich musical emotion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It means different kinds of musical experiences enhance the students' comprehensive and imaginative faculty. However, the present education is focused on eighteenth classicism and nineteenth romanticism. It is natural that designating the modern music as a element of the music curriculum because it represents the taste of the students in this 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taste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o propose an advanced method of instruction that makes them familiar with music. At first, this thesis is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the seventh music curriculum. Next, I am going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sk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which kind of music they prefer and whether they like modern music or not. At last, I am going to study about an alternative method of music instruction adjusted for the students.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present easier and more effective way to teach music.
고령화사회에 있어 노인취업 및 인력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조은경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고령인구가 7.2%에 달해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다. 더구나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고령사회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속도가 빠른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인구의 고령화는 고령인구 각 개인의 소득 및 복지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을 부양해야만 하는 전체 사회의 경제적·사회적 부담도 동시에 증가시키게 한다. 인구 고령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장기적으로 대비하여 온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대비한 노령취업제도, 연금제도 등 노령계층을 위한 사회정책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가족제도 또한 산업화·도시화에 따라 서구적인 핵가족 제도가 보편화되고 젊은 계층의 인식은 날로 변질되어 노인부모에 대한 부양의식은 날로 희박해져 가고 있다. 그러므로 고령사회에 대비하는 노인 개인과 사회의 대안은 노인 스스로 자립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노인의 자립적 생활은 경제적 기반이 요구되므로 퇴직 후 경제적 수입과 더불어 사회적 활동과 인정을 얻을 수 있는 취업과 인력활용을 통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급증하게 될 노인인구를 사회적으로 생산적인 계층, 참여하는 계층으로 보고 노인들의 취업과 인력활용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외국의 노인 취업과 인력활용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노인취업과 인력활용 관련 프로그램 및 법·제도의 현황과 자원봉사활동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대안들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노인복지법과 고령자고용 촉진법의 개정을 통하여 고령자 취업과 인력활용의 기반을 마련해야한다. 동법의 규정이 대부분 임의적인 권장사항에 불과하기 때문에 고령자고용 등을 비롯한 몇가지 사항을 강제의무조항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취업을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노인인력운영센터 설립과 고령자 취업지원단을 설치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사회 시니어클럽의 활성화를 통해서 노인창업과 사회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로, 노인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노인들로 하여금 계속적으로 자신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유용하다는 느낌과 자부심을 갖게 하고 고독감과 소외감을 해소하게 하며 다른사람을 돕는 이타적 행동으로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지역사회와 국가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인력이 부족하여 미처 다루지 못하는 부분을 노인의 유휴인력으로 사회발전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자원봉사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재 노인들이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비율이 낮고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못하며, 조직적인 체계와 조직이 없으므로 노인의 자원봉사를 촉진하기 위해서 제도적·행정적 체계가 이루어 져야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소득보장과도 연관이 될 수 있도록 노인자원봉사 보상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무엇보다도 자원봉사활동을 장려하고 동기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해 보았다.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은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인식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으며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평택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 3학년 학생으로,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N=16)으로 하고 자아개념과 진로인식에 대한 사전검사의 결과가 실험집단과 비슷한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N=16)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8회기의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주 1회씩 8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운영이 끝난 뒤 실험 및 통제 집단 모두 동시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인식 향상을 위하여 「초등진로교육 교육자료 3~4학년용 알롱달롱 함께 엮어가는 우리의 꿈」(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06),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최은희, 2007),「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최장미, 2008),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장옥수, 2011)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고용정보연구원에서 초등학생용으로 개발한 진로인식 검사와 정종진(1996)이 개발한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초등학생 대상의 가정과 연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진로인식과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인식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 연구 : 남편의 양육 태도와 남편의 역할 수행 중심으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발달장애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장애수용, 대처행동, 남편의 양육태도, 남편의 역할수행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파악하고 위의 변수에 따라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한 특수학교와 치료센터 및 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척도는 자아존중감 척도, 장애수용 척도, 대처행동 척도, 남편의 양육태도 척도, 남편의 역할수행 척도,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ver. 20.0를 이용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측정변수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Cronbach의 알파값의 수준을 가지고 불필요한 변수를 제외하여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신뢰성 분석을 먼저 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각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을 토대로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자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발달장애자녀의 장애유형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 발달지연의 장애유형보다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이 양육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 종교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월평균 가구 소득, 취업여부는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는 자녀의 기질적인 특성이나 문제점 보다는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문제나 고통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더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장애수용, 대처행동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 대처행동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편의 양육태도, 남편의 역할 수행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남편의 역할 수행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학력, 장애수용, 대처행동, 남편의 역할수행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남편의 역할수행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있는 특수학교와 치료센터 및 복지관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지역적 제한점이 있고, 표집 된 자료의 수가 적어(136부) 얻어진 자료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어머니들에게 배부된 최종설문지는 심층면접 및 관찰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이 병행되지 않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심층적 조사가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영적․질적 연구가 통합된 형태의 연구의 조사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해내야 할 것이다. 셋째, 남편의 양육태도와 남편의 역할수행에 관한 척도가 어머니가 생각하는 남편의 양육태도와 역할수행으로 어머니의 입장에 국한된 제한점이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남편의 양육태도와 역할수행을 남편이 직접 응답하여 부부가 인식하는 양육태도와 역할수행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좀 더 객관화 된 후속연구가 필요하고 양육스트레스를 받는 아버지나 비장애형제 등 연구대상을 가족차원으로 확대시키는 한편, 일반 아동 부모와 다른 장애 영역의 가족 또한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대상 간의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 행동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남편의 역할수행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와 남편의 역할이나 양육태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아버지들끼리의 모임 또는 집단상담, 부부만의 여가시간을 갖도록 하는 기회 제공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늘리고 적극 활용하여 부부나 가족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현실적인 체계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적 지원이나 가족상담 전문기관을 확충하고 부모교육의 취약계층인 장애아동 부모들을 위하여 복지관, 교육청에서 이루어지는 찾아가는 부모교육이나 특성화 된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도 있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what factors affecte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o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mothers, self-esteem, handicap acceptance, and coping behavior of their mothers, and parenting attitudes and role performance of their husbands affecte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analyze the determinants significantly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thes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pecial schools, therap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in Daegu.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scale, the handicap acceptance scale, the coping behavior scale, the husband' parenting attitude scale, the husband' role performance scale, and the parenting stress scal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an SPSS for Windows ver. 20.0,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returned data to maintain internal consistency by removing unnecessary variables at the level of Cronbach's α to secure reliability of variables to measure, follow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based o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 of each variable, and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for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parenting stress, disability type was found to affect their mothers' parenting stress. Autistic disabilities induced mothers to experience more parenting stress than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developmental delay.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ir mothers on parenting stress, age or religion had no effect on their parenting stress, whereas education,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employment status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Third, as for the effects of self-esteem, handicap acceptance, and coping behavior of the mothers on their parenting stress, their handicap acceptance and coping behavior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Fourth, as for the effects of their husbands' parenting attitudes and role performance on their parenting stress, their husbands' role performance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Fifth,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ir age, handicap acceptance, coping behavior, and their husbands' role performa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among these factors, their husbands' role performance exert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parenting stre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few suggestions can be made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pecial schools, therapy centers, and welfare centers in Daegu, has geographical limitations and can hardly have its data generalized because of the small size of sampling (136 copies). Second, the final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e mothers with no accompaniment of such qualitative methods as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had limitations in mothers' conducting in-depth research in their children. Therefore, further study needs to draw results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ird, since the scales for husbands' parenting attitudes and role performance are confined to their wives' belief, more objective research that asks husbands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ir parenting attitudes and role performance is necessary to compare them between husband and wife.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subjects to include the entire family, such as fathers experiencing parenting stress or non-disabled siblings, and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parents of non-disabled children and thos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Fourth, among the factors affect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ir husbands' role performance greatly affected their parenting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gram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fathers' gathering, group counseling, or spare time only for husband and wife and use them actively to improve husbands' role or parenting attitude with the objective of establishing a practical system to allow both husband and wife or the entire family to participate in.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national support or family counseling centers, provide positive parent education or specialized education at welfare centers and education offices to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in the underprivileged bracket of parent education, and offer institutional support for such education.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Goya)의 <전쟁의 참화 The Disaster of War>(1810-1820)연구
조은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series of prints The Disaster of War (1810-1820) by a Spanish painter Francisco José de Goya y Lucientes (1746-1828). Francisco José de Goya made the series The Disaster of War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Spanish war against France from 1808 to 1814. Spanish intellectuals in the late 18th century, when Francisco José de Goya worked as a painter, thought of the French Enlightenment as an important means for social reforms in Spain in which there was prevalence of political corruption, religious evil customs and socially widespread superstition and immorality, and so on. Francisco José de Goya had a critical opinion of the then politics and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lightenment preceded by his communication with Enlightenment-oriented intellectual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eries of print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period when The Disaster of War was produced and the fact that Goya did not produce these prints for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intended to review Goya's viewpoint to the war reflected on The Disaster of War as well as his awareness and claim for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The themes comprising The Disaster of War include: (1) the miserable state of the war, (2) famine suffered by people in Madrid from 1811 to 1812, and (2) Emphatic Caprichos that gave a metaphoric and symbolic satire to the then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Francisco José de Goya worked as a court painter for Charles IV and continued to be the court painter until José Sr., a brother of Bonaparte Napoleon, was king of Spain. For such reason, Goya could be assessed as an opportunist but, through The Disaster of War starting to be produced at that time, he made an accusation against the pain Spanish people had to suffer in the war with France rather than gave a view biased to France. Put another way, he provided a vivid picture of the miserable situations facing poor and powerless women in The Disaster of War in order to give an expression of the populace’s sufferings and hardships. The painting presented a depiction of the revenge taken by the guerilla and the populace and damage from famine brought to people in Madrid. It seems he thought the war was the result of lack of reason, for he attached a lot of importance to reas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Enlightenment. When Ferdinand VII was reinstated to the throne in 1814, he turned a blind eye to the constitution and instead relied on absolutism to rule over his country. From the paint, it is judged that since he was a champion of the constitution of liberalism, he was of the opinion that war can make no difference, war ends just in death, and war is of no use and value, and it is just nihilistic. As seen above, Francisco José de Goya took a critical and negative view of the system of absolutism advocated and implemented by Ferdinand VII and the nobles who supported it. In other words, his critical view of politics and society was expressed in a biting satire on Ferdinand VII’s oppression of liberalists and priests’ immorality and hypocrisy. He made a harsh criticism of inequality derived from the system of feudalistic class by contrasting the appearance of the populace who starved to death against that of the nobles living in comfort. As such, it could be found that Goya accused the horrors of the outrageous war as an liberalism thinker influenced by the ideology of enlightenment as well as the unequality and irrationality of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at the time. 본 논문은 스페인의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José de Goya y Lucientes, 1746-1828)의 <전쟁의 참화 The Disaster of War>(1810-1820)판화 연작에 대한 연구이다. 프란시스코 고야는 1808년부터 1814년까지 지속되었던 스페인에서의 프랑스와의 전쟁을 배경으로 <전쟁의 참화>를 제작했다. 고야가 활동했던 18세기 후반 스페인의 지식인들은 정치적 폐단과 종교적 악습 그리고 사회에 만연해 있던 미신과 부도덕 등으로 프랑스 계몽주의가 사회를 개혁할 수 있는 방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고야 역시 계몽주의자들과의 친밀한 교류로 인해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당시 정치․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쟁의 참화>가 제작된 시기의 특수성과 고야가 이 작품을 출판할 의도로 제작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이 판화집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전쟁의 참화>에 반영되어 있는 고야의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과 당대 정치·사회적 상황에 대한 고야의 인식과 주장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쟁의 참화>를 구성하고 있는 주제들은 첫째, 전쟁의 참혹한 상태, 둘째, 1811년부터 1812년까지의 마드리드시의 기근, 셋째, 당시 정치와 사회적 상황을 은유와 상징적인 방법으로 풍자하고 있는 <강렬한 카프리쵸스>이다. 고야는 카를로스 4세의 궁정화가였고 1808년부터 1813년까지 나폴레옹의 형제였던 호세 1세가 스페인의 왕으로 있을 때 여전히 궁정화가로 일을 했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고야는 기회주의자였다고 평가되기도 하지만 이 시기에 제작하기 시작한 <전쟁의 참화>에서 고야는 프랑스에 경도된 관점을 보여주기보다는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인한 스페인 민중들의 고통을 고발하였다. 고야는 <전쟁의 참화>에서 민중들의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가난하고 힘없는 여성들이 고통에 처한 상황을 고발하고 있다. 또한 게릴라와 민중들의 복수전 그리고 마드리드시의 기근으로 인한 민중들의 피해를 묘사하고 있다. 나아가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고야는 전쟁을 이성이 부재한 결과라고 보며 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1814년 페르디난도 7세가 다시 왕위에 복위했을 때 페르디난도 7세는 자유주의 헌법을 무시하고 절대왕정체제를 시행했다. 고야는 자유주의 헌법을 지지했기 때문에 전쟁은 아무것도 변화시키지 않았고 그 결과는 죽음일 뿐이라는 전쟁을 허무하고 무가치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고야는 페르디난도 7세의 절대왕정체제와 이를 지지했던 귀족계층들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고야의 관점은 페르디난도 7세의 자유주의자들을 향한 억압, 수도사들의 부도덕함과 위선에 대한 풍자로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굶어 죽어가는 민중들의 모습과 안일한 귀족들의 모습을 대비시킴으로써 계급구조로 인한 불평등을 고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쟁의 참화>를 통해 고야가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 사상가로서 비이성적인 전쟁의 참상을 고발함과 더불어 불평등하고 불합리한 정치·사회 현실을 비판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준 우도함수의 사용은 일반적 우도함수의 근사적 대용방법이나 비해석적인 경우에 사용하고 있다. 특히 관찰자의 분포함수의 평균과 분산의 비례관계에 의하여 준 우도함수의 형태가 결정되어지고 추정하고자 하는 모수도 준 우도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면 추정에 있어서 보다 좋은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우도함수의 대체 방법인 준 우도함수 방법은 추론에 있어서도 우도함수가 갖는 성질을 그대로 유지시키며 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과 분산구조의 형태에 따라서 모형의 모수를 경험적 추정방법으로 추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우도함수의 형태를 모형의 모수에 따라 조정함으로서 평균과 분산의 구조식을 찾아내어 준 우도힘수의 형태로 바꾸어 모수 추정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Qusai 우도 함수의 특성을 활용한다면 복잡한 구조식을 갖는 우도함수를 간단한 형태의 우도함수로 조정이 가능하다. 모수의 구조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모형을 가정할 수 있다. 어떤 모형이 적합한가에 대하여 모델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 보다 연구가 필요하다. 검정부분에서도 확장된 우도함수방법을 사용하면 우도비 검정에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기반 응용 서비스에 관한 연구 : 엔터테인먼트 접목분야 및 차별화 내용을 중심으로
조은경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3 국내석사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의 미디어적 속성과 위치기반서비스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국내 무선인터넷 시장의 성장 및 기술적 변화에 따른 위치기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접목분야와 서비스 차별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 각종 발표자료 및 연구자료, 분석자료 등을 포함한 국내외 문헌과 기타 실무적 내부자료를 이용하였고, 특별히 필요한 논의를 위해서 무선인터넷 관련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관련 신문기사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한 정보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자가 살펴본 논의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위치기반서비스의 개념, 위치기반서비스와 무선인터넷의 미디어적 속성과의 관계, 그리고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의 개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무선인터넷 현황, 위치기반서비스의 기술적 특징, 그리고 국내×외 위치기반서비스 현황과 서비스 동향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위와 같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서비스 접목분야 및 차별화 내용을 제시할 수 있었다. 위치기반서비스는 모바일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적인 분야인 게임, 엔터테인먼트형 커뮤니티 분야인 미팅, 채팅 등과 접목해 더욱 발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위치 기반서비스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기능대안적 속성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성의 공간적 요인과 CMC와의 보완적 관계를 서비스에 적용해 차별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위치기반서비스가 관련시장을 더욱 확대시키고 다양한 이용자들이 무선인터넷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시장과 기술이 갖는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부합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그 개념과 목적이 명료해야 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해 설계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또한, 이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노출하는 데 따르는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long with the assumption that Mobile Internet is another type of new medium, this study has attempted to come up with some of its newly applied L-Entertainment services by exploring their relational features with their users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L-Entertainment service in terms of its market and technological chang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study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ports and documents including the research and analysis data published at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In addition, survey and interview studies were conducted on some selected professional workers in the field of Mobile Internet business. Some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 search results were also used in developing the discussion. After all, the current study was don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of all, in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the concept of LBS, some characteristics of Mobile Internet as a kind of medium, its relationship with LBS, and the concept of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 were studied. In addition, this study also looked a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Internet technology, its current market conditions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Mobile Internet markets, and some basic technological features of LBS. Finally, the study has suggested some feasible types of applied entertainment services and their differential features as follows. 'game', 'meeting', and 'chatting' were suggested as the most feasible service areas. And it was discussed that these service areas could be differentiated by their alternative functional features,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ir interactivity, and their complementary relationships with CMC. In order to have LBS-related markets be expanded and make users actively choose Mobile Internet services, we need to grasp th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their related market and technologies and provide the services which correspond well with the motives of their users. Also, these services should be design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ir clear concepts and goals with deep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their users, and they should be updated constantly. And, after all, the improvement on the restriction and regulation policies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that could be caused by the release of individual's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made.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7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satisfaction with life. This research utilized the fourth(2012) and fifth(2014) research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arried out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subjects were 543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o were at the age above 65 in 2012, and lived alone throughout the two research terms(fourth and fifth research year).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general tendency of variables. Lagged Effect Model including lagged endogenous variables was utilized fo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how social network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ffects life satisfaction. Since the research utilized fourth and fifth panel data, analysis of how the independent variable of fourth data(2012)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of fifth data(2014) under controlled conditions was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elderly women living alone show an averag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80% of them meet closely-related people more than once a week. On average, these elderly women living alone meet their children who do not live together 4-5 times a year,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formal social network was one or none. Secondly, the number of contact with close people, which is an informal social network,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life but social relations variables other than the controlled variables failed to fully explai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s.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4차 자료(2012년 자료)와 5차 자료(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4차 자료가 수집된 2012년에 65세 이상이고, 가구 구성원이 4차와 5차 모두 1명인 여성 독거노인 543명이었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차내생변수를 포함한 시차효과모델(Lagged Effect Model)을 활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4차와 5차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므로 4차(2012년) 조사 시기의 종속변수 점수를 독립변수로 통제한 상태에서 4차(2012년) 조사 시기의 독립변수가 5차(2014년) 조사 시기의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독거노인은 보통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보이며, 80%이상의 노인이 주 1회 이상 친한 사람들과 만남을 가지고, 비 동거 자녀와는 평균 1년에 4-5회 만나며, 공식적 사회적 관계망에는 1개 혹은 아무 것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둘째,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중 비공식적인 사회적 관계망인 친한 사람과 만나는 횟수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통제변인 이외에 사회적 관계망의 변인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