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南祚 시 연구

        조윤미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Poet KIM NAM-JO started her works in 1950s and searched the subject of love, presenting essential question of the existence, through out a half century of her life as a poet. The transfiguration of KIM NAM-JO's poetry was connected from life through to hope and established personal poetic world in Korean modern poetic history. From the 1st collection poems to the 3th collection pomes 『A tree and a wind』 which made public in 1950 The specific character of her poetry made a man current to sing poem for life. She song sticky life in the destruction, terrible mental confusion and anxiety after korean war. Longing · thirsty, the subject of love which was shown in the 4th collection poems 『』『The flag of passions』 was song constantly to the 10th collection poems 『The light and the silence』. And her poetry hint love and relife. She song amicable settlement and peace to the latest collection poems 『The wind baptism』, 『The hope study』. Such change of the poet world is a product of the orgony for relief and self-recognition Her research of the life, love, hope are worth that the people who live in difficult history has been given a faint impression and hope.

      •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장애 유아의 어휘력 및 의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윤미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 song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and semantic relation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mpared the vocabulary and semantic rela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fter 20 interventions in 5 infa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it had an effect on improving the vocabulary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20th session, not on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target vocabulary improved, but also the vocabulary development ag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agitation activities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influenced the semantic relation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Most of the infants with disabilities had more utterances than before intervention and used multiple words rather than single words. Compared to the limited type of semantic relationship types before intervention, various types of semantic relationships were used after intervention.

      • 수중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에서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윤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수중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에서 균형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중대뇌동맥 영역의 허혈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로서 간이정신상태검사 상 26점 이상, 인지기능은 Rancho Los Amigos 인지기능 척도 상 VIIa 이상, 도수근력검사 상 마비측 근력이 MRC (Medical Reserch Council) 3등급 이상, 그리고 경직의 정도는 수정 애쉬워스 척도(modified Ashworth scale, MAS) 상 2등급 이상인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치료의 금기인 고혈압, 부정맥,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심한 심폐기능 저하 소견을 보이거나, 초회 전신풀 수치료 시행 후 심신 불안정, 빈맥, 빈호흡 등 심폐기능 이상 소견을 보인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조군은 10명(평균연령 57±8세; 평균유병기간 58±15일; 남 6명, 여 4명; 우측 편마비 4명, 좌측 편마비 6명)으로 신경발달치료만을 실시하였고, 수치료군 14명(평균연령 58±15세; 평균유병기간 53±20일; 남 8명, 여 6명; 우측 편마비 6명, 좌측 편마비 8명)에서는 신경발달치료와 함께 수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치료 프로그램은 전신풀 수중보행트레드밀 운동치료와 관절운동치료, 근육신장운동치료, 수중균형훈련, 수압자극치료 등을 1일 1회, 회당 20분으로 주 5회, 총 6주간 실시하였다. 수치료 전과 6주 후, 각각 두 군 모두에서 기능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MAS 및 균형점수(balance score) 등을 측정하여 수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수치료군과 대조군에서 6주간 치료 전후 1) 평균 FIM 점수는 102.2점, 104.9점에서 102.7점, 105.5점으로, 평균 MBI 점수는 88.6점, 91.0점에서 90.0점, 91.3점으로, 평균 MAS는 2.4등급, 2.5등급에서 1.7등급, 2.0등급으로 각각 호전경향을 보였으나 두 군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0.05). 2) 평균 균형점수는 32.4점, 32.7점에서 38.3점, 32.9점으로 각각 변화되어, 대조군에 비해 수치료군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p<0.05). 결론: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서 수중 운동치료는 균형훈련을 위한 보조 치료로써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스트라빈스키의 《설교, 설화 및 기도》에 대한 분석 연구

        조윤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는 전 생애를 거쳐 민족적 원시주의, 신고전주의, 음열주의와 같은 다양한 음악 양식의 악곡을 남겼으며, 쇤베르크(Arnold Sehoenberg, 1874-1951)와 더불어 20세기 음악의 흐름을 주도한 작곡가로 꼽힌다. 19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음열작품을 쓴 스트라빈스키는 쇤베르크와 크세넥(Ernst Krenek, 1900-1991)과 같은 작곡가들의 12음 음열 기법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들의 음열 기법과는 구별되는 스트라빈스키만의 독특한 음열 기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음열 기법을 적용한 곡인 ≪설교, 설화 및 기도≫(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 1960-1961)의 음고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스트라빈스키의 음열 기법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논문은 크게 다섯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 1부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제 2부 스트라빈스키의 음열음악에서는 스트라빈스키의 생애와 음악세계를 세 개의 시기로 나누어 정리한 다음, 제 3기에 속하는 음열음악시기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제 3부는 스트라빈스키의 음열기법인 회전기법에 대한 연구로써, 회전기법의 정의와 기본적인 연산과정, 스트라빈스키의 음열기법에 영향을 준 크세넥의 회전기법, 그리고 스트라빈스키의 회전기법으로 나누어 진행될 것이다. 제 4부 ≪설교, 설화 및 기도≫의 분석에서는 제 3부에서 살펴본 스트라빈스키의 음열 기법이 실제 곡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악곡의 분석을 통해 자세히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제 5부 결론에서는 제 4부에서 ≪설교, 설화 및 기도≫의 음고구조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스트라빈스키의 음열기법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라빈스키의 회전기법연구와 ≪설교, 설화 및 기도≫의 분석 과정을 통해 동시대의 다른 음열 작곡가들과는 다른 스트라빈스키만의 독자적인 음열기법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Igor Stravinsky(1882-1971), who left various forms of style such as National primitivism, Neo-classicism and Serialism through his whole life,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omposer in the 20th century along with Arnold Schoenberg(1874-1951). He started writing serial works in earnest since 1950s. Even though he had been influenced by Schoenberg and Ernst Krenek(1900-1991)' twelve-tone technique, he presented his own unique style. The cent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vinsky's serial techniques by analyzing the pitch structure of 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1969-1961) that had been written in serial style. My study proceeds in fiv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states the purpose and approach of this study. In the second part, I throughly investigate the Stravinsky's serial music, dividing his life and music into three periods, and I take a close look at his serial music in the third period. Part three is about Stravinsky's serial technique called 'rotation arrays'. In this part, I study the basic operation of rotation arrays, Krenek's rotation technique which had an effect on Stravinsky, and Stravinsky's rotation technique. In the fourth part, I explore how Stravinsky's serial technique had been applied to his music by analyzing 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 In the part five, I study the feature of Stravinsky's serial technique based on the analysis of 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 in the previous part. In this study, I will look into Stravinsky's unique serial techniqu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generation's different serial composer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of A Sermon, A Narrative and A Prayer and Stravinsky's research on the rotation technique.

      • 유아의 회귀적 사고의 이해발달-이차적 인식 상태에서의 틀린 믿음과 이차순위 믿음을 중심으로

        조윤미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nce of children's recursive thinking acording to age, and type of task(standard task, disappear-of-location task, emotion-cue task, deception-cue task) in representing the recursive thinking. The subduct of the study were 320 children aged between 4-7 who were grouped by each age for 20 children and one experiment mumbers were 80 children, but one children participated at only one experiment. THe test instrument used for the experiment was test instrument of Perner and Wimmer(1985)(Ice-cream-task),which was modified by the author to fit the task type. The story used for this experiment was recorded in tape that children listen and background pictures were suggested to them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whole proceeding. In the question of recursive thinking, chidren were asked to answer 'Yes' or 'No', and "why do you think it the this?' The analysis of data were processed by the frequency of response and percentage of 'true','false' of the children and analyzed using x²-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cursive thinking showed difference among age of 4,5,6, and 7. That is, older children showed better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cursive thinking. Second, 4-year-old children the representation of other's second-order epistemic states and begin to understand the recursive thinking, and at age 6, they showed rapid development in recursive thinking by beginning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 of other's second-order epistemic state. Third, there was difference by type of task in children's understanding ability of recursive thinking. This failure of task performance is not vecause of children's lack of understanding ability of recursive thinking but the problem of task performance. That is, diminishing complexity level of representation of task at easy level or providing adequate cue to the level of children will incease the rate of task performance children. Therefore, teahers and parents might raise children's habit of discussion and thinking other's representation of various features using the understanding situation of in the educaional field, and let the children understand other's mind in situation of social interaction and search the response by themselves.

      •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에 따른 토론 학습의 효과

        조윤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for online discussion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the type of online discussion media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ussion ability,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discu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Secon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Third,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ocial pres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for middle school online discussion (web community board, real-time text message, video confer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 first-year middle school classes located in Siheung,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Experimental Group I, which conducted discussion classes on the web community board, Experimental Group II, which had real-time text discussions, and Experimental Group III, which had video conference discussions, and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xperiment. The pre-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the social efficacy were conducted in ad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Ten sessions of discussion classes were carried out over a total of 4 weeks and the post-tests for discussion ability and social efficacy, social presence test, and satisfaction test were conducted.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the Tukey post hoc test was used to carry out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means for the group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 discussion abilit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67, 3.95, and 3.57, respectively and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5.216,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showed higher discussion ability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an social efficacy of students in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65, 3.94, and 3.60,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169, p<.05). However, the post-hoc result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average social presence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as 3.74, 4.03, and 3.86, respectively, and the one-way ANOVA results presen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3.237, p<.05). The post-hoc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that conducted real-time text discussion scored a higher sense of social presence than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discussion on the web community board,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s of the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group, the real-time text discussion group, and the video conference discussion group were 3.85 points, 4.09 points, and 4.00 points, respectively, and as a result of one-way ANOVA,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 =1.864,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real-time text discussion has higher score on discussion ability compared to video conference and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ocial presence than web community board discussion. In real-time text discussion, students can actively present their opinions without psychological burden, express their opinions in various ways and engage in various thinking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results of discussion abilit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se real-time text messages as their main tool to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and because they freely communicate and respond right away, it can be seen that they showed high results in social presence.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irst, future studies should compare the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online discussion media through various dependent variables, such as discussion messages, interaction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discussion classes using real-time text, the medium most familiar to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although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firmed in this study, since the video conferencing method has been universall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since COVID-19,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on/offline video conferencing discussion class strategy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이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에 따라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 변인은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이고 종속 변인은 토론 능력, 사회적 효능감, 사회적 현존감, 만족도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토론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효능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사회적 현존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온라인 토론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을 위한 매체 유형(웹 게시판, 실시간 문자, 화상 회의)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3개의 집단, 즉 웹 게시판 토론 수업을 하는 실험 집단 Ⅰ, 실시간 문자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Ⅱ, 화상 회의 토론을 하는 실험 집단 Ⅲ으로 구분되어 연구를 위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확인을 위하여 사전에 토론 능력 검사와 사회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총 4주 10차시 동안 토론 수업을 실시한 뒤 토론 능력 검사, 사회적 효능감 검사, 사회적 현존감 검사,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들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집단들에 대해서는 Tukey 검증 방법으로 평균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을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토론 능력의 평균은 각각 3.67점, 3.95점, 3.57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216,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화상 회의 토론을 실시한 집단 보다 토론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효능감의 평균은 각각 3.65점, 3.94점, 3.60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169, p<.05). 그러나 이에 대한 Tukey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셋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사회적 현존감의 평균은 각각 3.74점, 4.03점, 3.86점으로 나타났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237, p<.05). Tukey 검증 결과 실시간 문자 토론을 실시한 집단이 웹 게시판 토론을 실시한 집단보다 사회적 현존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웹 게시판 토론 집단, 실시간 문자 토론 집단, 화상 회의 토론 집단의 만족도 평균은 각각 3.85점, 4.09점, 4.00점이었으며,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1.864, p>.05).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이 화상 회의를 활용한 집단의 토론 능력 점수 평균에 비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 문자 토론은 웹 게시판 토론에 비해 사회적 현존감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간 문자 토론에서 학생들은 심리적 부담감이 없이 활발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사고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다른 매체들을 사용한 집단보다 토론 능력 점수가 더 높은 것과 관련이 있으며, 중학생들은 실시간 문자를 평소에도 사회적 관계 맺기의 주된 도구로 이용하며 자유롭게 대화하고 바로 응답기 때문에 사회적 현존감에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몇 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토론 매체 유형 간의 효과 차이를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토론 메시지나 상호작용, 문제해결력 등 다양한 종속 변인들을 통해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한 매체인 실시간 문자를 활용한 다양한 유형의 토론 수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충분히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화상 회의 방식은 코로나19 이후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화상 회의 토론 수업 전략 및 실천적 적용에 대한 탐색이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프랑스어 교재의 프랑코포니 문화 분석

        조윤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프랑코포니’를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과 국가 또는 지역 단위의 언어공동체’로 정의하였다. 최신 FLE 교재 중 A2 수준의 교재를 선정하여, 프랑코포니 학습자료를 분석해 보았다. 먼저 국가․지역별로 등장순서와 횟수 분석을 통해, 프랑코포니 학습요소의 우선순위와 프랑코포니가 포괄하는 다양한 지역적 정보에 대해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학습자료의 문화적 유형을 언어 문화, 일상 문화, 여가 문화, 전통 문화, 예술 문화, 제도 문화, 사회 문화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프랑스 문화에 한정된 학습자료에 비해 다양하고 풍부한 프랑코포니 문화 학습자료들을 발견하였다. 특히 언어 문화, 일상 문화, 여가 문화, 예술 문화 자료가 많았는데, 이와 같은 프랑코포니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소개된다면, 한국인에게 이질적으로 느껴지는 일상 문화나 예술 문화에 대한 자료들이 학생들의 시야와 사고의 폭을 넓히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이와 같이 다양하고 풍부한 프랑코포니 학습자료를 한국의 프랑스어 교수․학습에서 활용할 때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첫 번째, 프랑코포니 자료들을 활용할 때, 언어 학습과 문화 학습을 통합해야 한다. 가급적 프랑코포니 지역에서 생산된 실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프랑코포니 지역의 문화에 대한 생생한 이해를 유도해야 하며, 프랑스어 교육의 테두리 내에서 프랑코포니 문화 학습을 전개해야 한다. 두 번째, 광범위한 프랑코포니 국가·지역을 다룰 때, 지역적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 익히 알려진 벨기에, 퀘벡 등의 프랑코포니 지역 외에도 아프리카의 국가들과 해외영토를 포함해야 하며, 프랑코포니 국가․지역 간의 협력과 연대의 노력들을 언급해야 한다.세 번째, 프랑코포니 문화에 대해 상호문화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프랑코포니 지역들은 지리적 자연환경 및 역사적 배경이 매우 다양하며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지역들이 많다. 프랑코포니 지역들의 이와 같은 특성들을 고려하여, ‘고정관념’과 ‘편견’ ‘정체성’과 같은 상호문화교육의 주요 주제들을 다룰 필요가 있다.

      • 주의집중성 기질,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윤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주의집중성 기질과 개인 외적 변인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가족지지 그리고 심리적 변인인 자아탄력성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가설적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 내에서의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5개구 (광산구, 남구, 동구, 북구, 서구)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80부 중 80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분석을 나누어 살펴보는 2단계 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최대우도법(ML : 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TLI, CFI, RMSEA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고, 구조 모형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의 검정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주의집중성 기질을 살펴보면, 평균점수는 3.21~3.55로 중간점수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의 평균점수는 3.88~4.02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가족지지의 평균은 모두 5점 만점에 4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가족정보지지, 가족평가지지, 가족정서지지, 가족물질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3.31~3.75점으로 중간점수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데, 활력성, 호기심과 낙관성, 친구관계, 감정통제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문제행동에서는 외현화 문제행동이 .36~.50수준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공격성, 비행 순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은 .35~.41 수준으로 신체증상, 우울불안, 위축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 문제행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는 주의집중성 기질이었으며 자아탄력성이 그 뒤를 따랐다. 주의집중성 기질과 자아탄력성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16% 설명했다. 즉, 주의집중성 기질이 강하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적어짐을 알 수 있다. 내재화 문제행동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는 자아탄력성이었으며, 가족지지와 애정적 양육태도가 그 뒤를 따랐다. 자아탄력성, 가족지지, 애정적 양육태도는 내재화 문제행동을 25% 설명했다. 즉,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지지와 애정적 양육태도를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자아탄력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는 주의집중성 기질이었고 다음으로 가족지지와 애정적 양육태도가 그 뒤를 따랐으며, 주의집중성 기질, 애정적 양육태도, 가족지지는 자아탄력성을 53% 설명했다. 즉, 자아탄력성에는 주의집중성 기질이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며, 주의집중성 기질이 강할수록 가족지지와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다고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의 효과분해를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에 대한 주의집중성 기질, 애정적 양육태도, 가족지지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즉, 아동의 주의집중성 기질과 애정적 양육태도, 가족지지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주의집중성 기질은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애정적 양육태도와 가족지지는 간접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자아탄력성은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주의집중성 기질은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애정적 양육태도와 가족지지는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애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지지와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주의집중성 기질은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애정적 양육태도는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가족지지는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아탄력성은 직접효과와 총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주의집중성 기질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영향을 미치므로써 주의집중성 기질과 내재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주의집중성 기질,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가족지지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변수인 자아탄력성이 각각의 변수와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아동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개입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교육에 따른 지식과 태도의 변화

        조윤미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before and after pain management education and to make use of base material for edu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nurse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ho were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the aim of the study, and volunteering to participare in the study. Excluding uncollected questionnaires and untrustworthy questionnaires, the research was done with 79 nurses in experimental group and 62 in comparison group.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window18.0. χ2-test, paired t-test were done. Study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comparison on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showed that knowledge of injecting pain reliever increased from 10.73(before experiment) to 13.44(after experiment). Knowledge of general pain management and cancer patient slightly differed after experiment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comparison on knowledge of pain assessment scale and knowledge of method for relieving pain showed the following. The awareness(knowledge) of pain assessment scale increased from 2.27(before experiment) to 3.78(after experiment) and the usage of pain assessment scale increased from 1.86(before experiment) to 2.38(after experiment). The awareness(knowledge) of method for relieving pain increased from 8.54(before experiment) to 10.46(after experiment) and the usage of method for relieving pain increased from 5.39(before experiment) to 6.25(after experiment). Third, comparison of attitude on pain management resulted as following attitude point increased from 6.16(before experiment) to 6.58(after experiment) showing that education on pain management resulted positive effect on change of attitude on pain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effect of education was insufficient than predicted result from advanced research. It appears that it is due to short education (1 time, 40 minutes) and mass education. There is research opportunities to expand this study by developing guide and program for pain management and by extending education time(hour) and repetition. 이 연구는 간호사에게 통증관리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통증관리 교육 지침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대전광역시 소재의 일개대학병원 전체 간호사 중 이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이해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간호사 170명을 대상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이중 회수 되지 않은 설문지와 불성실한 답변을 한 대상자를 제외한 실험군 79명, 대조군 6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window18.0을 이용하여 χ2-test, paired t-test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점수 비교 결과 실험군의 진통제 투약지식은 사전10.73점에서 사후13.44점으로 점수가 높아졌고, 일반적인 통증지식과 암환자 통증에 대한 지식에서 미약하게나마 점수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둘째. 통증 척도와 통증 중재법에 대한 지식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알고 있는 통증 척도는 사전2.27점에서 사후3.78점, 실제 사용해본 통증 척도는 사전1.86점에서 사후2.38점으로 점수가 높아졌다. 알고 있는 통증 중재법은 사전8.54점에서 사후10.46점으로, 실제 적용해본 통증 중재법은 사전5.39점에서 사후6.25점으로 높아졌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통증관리에 대한 태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통증관리 태도 점수가 6.16점에서 6.58점으로 높아져 통증관리교육이 통증태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보다 지식과 태도점수가 적게 상승하여 교육의 효과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증교육이 집단교육으로 1회 40분 동안만 이루어지는 것에 그쳐 결과가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 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통증관리 개선을 위한 통증관리 지침과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교육시간 및 횟수를 확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 국내 벽화마을만들기의 성공요건 분석

        조윤미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1990's, The effort of the area unit that was going to make a city has begun to appear in the country. The mural village in the more than 60 reason occurred in the country by afterward. After 2006 when a public art project of the government began in the time when the mural village occurred in earnest, The method used universally is paint. It has easiness to be easy to demand popularity and materials used universally. For the mural's paint depending on the place and use of the road, an average life cycle is only limited to 3 to 4 years. Currently, it is the time when new mural villages are occurring in spite of the outstanding matter of mural not to be cleared. A general flow for the making of mural village, It is necessary to watch precedents well how it develops through various examples in the future. The study of the book for mural village occurring successively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of generally showing the success matter which I can apply. It is contains about a progress process, the cooperation subject, inhabitants participation, persistence. It is inflected in the mural village. This study is regarding the mural villages in Korea, with the surveying period starting from 1 Jan.1990 until this data collection time of 31 May 2011. Mural village's case study was done by taking a look at primarily 'mural town' to be generally recognized in Korea. The cases were classified by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mural village, according to the type. In-depth case study was proceeding with selecting the typical case of each type.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appearance background regarding by whom, from when and for what and the progress of the on-going status, along with the change after the mural village and the future plans. Thru in-depth case study, we found out the Haenggung-dong case in Suwon, Gyeonggi-do, had a variety of production processes, filling with related body's activities positively and being in operation continuously. By the depths example analysis, An outbreak stage, A progress stage, I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 fact through a common point to appear at a management stage posthumously and causation. First, in order to continuously conduct an operation of the creation of mural town, internal factors of occurrence are important. In case of mural village by village residence and local facilities. it remained 100% persistence. Second, Ability for practice of the village leader is important in the making of mural village. Even though there were village leaders, the participation type of residents in creating the mural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 like passive, normal and active respectively. Third, if there was a program for visitors, the follow-up actions was done. It was general for village residents to suffer the inconvenience by noise from the visitors or privacy infringement. Simply photo shooting only in coming to the village caused those problems. But in case of any follow-up events such as training, experience and other events for visitors, village has been managed. Domestic mural towns are still occurs. In making the mural villag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t occurs by external factors, it is important to discover potential element of the village leader that can serve in a town. And with a discovery, it need to support village leaders which are empowered and raised. occurred by internal factors, most of the village leaders are the ones from artists. If it does not find a potential element by external factors, the role of village leaders could be given using the residency program, it has a limitation due to the fixed period of time and a non - deep understanding of the town. Second, the program for visitors at the mural village must be accompanied. There are a lot of people at Mural site for the purpose of projecting the village. Being accompanied by a program for visitors mean that there must be a community center which the program proceed at, and existence of linked programs. This make the village to be managed continuously even after mural village was created. Third, the local government's support and interests is important.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follow-up management depending on local government's involvement, even though same type of government-led project. This mean municipalities have the power of action to expand or to link with other business, not as part of the beauty business in the town. We need to go on the business focusing on the dual approach in case of internal occurrence of mural town with external support and collaboration, while external occurrence with finding internal potential elements and bringing up. Considering this, we can control the reckless occurrence of the mural villages and expect the existing mural village to be grown up in the near future. 1990년대, 국내에서는 도시를 가꾸려는 지역단위의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로 국내에는 60여 곳 이상의 벽화마을이 발생하였다. 벽화마을이 본격적으로 발생한 시기는 정부의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시작된 2006년 이후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방법은 페인트이다. 페인트벽화의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된다는 대중성과 재료를 구하기 쉽다는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장소 및 도료의 사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수명은 3-4년에 불과하다. 현시점은 계속해서 벽화마을이 발생하고 있는 시기이며, 이전에 발생된 마을벽화들에 대해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시기이다. 이에 벽화마을만들기에 대한 총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향후에 어떻게 발전해나가고 있는지 전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에 계속해서 발생하는 벽화마을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공요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생요인 별로 진행과정, 협력주체, 주민참여, 사후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벽화마을이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경우 단계별로 필요한 항목들을 살펴볼 수 있고, 향후 계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황에 맞게 이를 활용해볼 수 있다. 연구는 1990년 1월 1일부터 자료 수집을 완료한 2011년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에서 발생된 벽화마을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벽화마을 사례조사는 1차적으로 국내에 '벽화마을'이라고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곳을 개괄적으로 살피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사례들은 벽화마을의 발생과 지속성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심층사례분석은 각 유형의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어느 주체로부터, 언제, 무슨 이유로 벽화마을이 발생하게 되었는지 등장배경과 벽화마을조성의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성 이후의 변화와 향후계획들을 살펴보았다. 심층사례분석에서는, 발생단계, 진행단계, 사후관리단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 및 인과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벽화마을만들기가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내부적 발생요인이 중요하다. 내부적으로 마을주민이나 지역시설에서부터 벽화마을이 발생한 경우, 100% 사후관리가 이루어져 단발적인 조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리되었다. 둘째, 벽화마을만들기에 있어 마을리더의 실행능력이 중요하다. 벽화마을만들기 진행시, 마을리더가 존재하더라도 주민참여형태는 소극, 보통, 적극으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사후관리가 이루어졌다.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은 주로 커뮤니티센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벽화마을은 대부분 방문객으로부터 마을의 소음이 발생하거나 사생활이 노출된다는 불편함을 겪는다. 단순히 벽화마을로 출사를 오는 방문객들만 존재할 경우 위와같은 문제들만을 동반시킨다. 그러나 방문객에 대한 프로그램, 교육, 체험 및 부대행사가 존재할 경우 마을은 계속해서 관리되어졌다. 국내 벽화마을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벽화마을을 만듦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한다. 첫째,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했을 경우, 마을 내에 마을리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요소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발견과 더불어 마을리더를 육성하고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내부적인 요인에서 발생한 마을리더의 경우 대부분 예술가출신의 사람들이다. 외부적인 요인에서 잠재요소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마을리더의 역할을 부여할 수도 있지만, 일정기간이 정해져있고, 마을을 깊이 이해하고 있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둘째, 벽화마을을 찾는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반되어야한다. 벽화마을은 출사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다.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반된다는 것은 계속해서 프로그램을 진행시킬 수 있는 커뮤니티 센터나 연계된 활동들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벽화마을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을을 관리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셋째, 지자체의 지원과 관심이 중요하다. 같은 형태의 정부주도형 프로젝트라고 할지라도 지자체가 관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후관리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지자체는 벽화마을을 단순히 미관사업의 일환으로 그치지 않고, 다른 사업과 연계시키거나 확대시킬 수 있는 실행력을 지니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 벽화마을이 발생했을 경우 외부적인 지원과 협력에 대해, 외부적으로 발생했을 경우 내부적인 잠재요소를 발견하거나 육성하는 것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양단 간으로 진행해야한다. 이것을 고려한다면 무분별하게 발생하는 벽화마을의 발생을 제어하고, 발생한 벽화마을에 대해서는 보다 성장된 모습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